KR102566893B1 - 시준렌즈를 이용한 영점조준장치 - Google Patents

시준렌즈를 이용한 영점조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893B1
KR102566893B1 KR1020210096351A KR20210096351A KR102566893B1 KR 102566893 B1 KR102566893 B1 KR 102566893B1 KR 1020210096351 A KR1020210096351 A KR 1020210096351A KR 20210096351 A KR20210096351 A KR 20210096351A KR 102566893 B1 KR102566893 B1 KR 102566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collimating lens
zero
main body
a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5060A (ko
Inventor
배재국
이재호
김종민
김용수
원지연
류완준
Original Assignee
(주)네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스랩 filed Critical (주)네스랩
Priority to KR1020210096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893B1/ko
Publication of KR20230015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54Devices for testing or checking ; Tools for adjustment of s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46Sighting devic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준렌즈를 이용한 영점조준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점조준장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여닫이가 가능하며, 저면 내측에 완충재가 형성된 덮개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표적부, 상기 표적부와 대항향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시준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적부 및 시준렌즈부는, 회동이 가능한 힌지 형태로 구현되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본체부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접철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에 내삽되어 보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 형태의 본체부에 시준렌즈와 표적을 수납 가능하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별도의 전원 없이도 사용 가능하므로 실내 또는 실외 등 장소 구애 없이 필요에 따라 노출하여 영점 조준을 수행할 수 있어 항상 전투 준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점 조준을 위해 실 사격이 필요치 않고, 화기의 종류 및 화기에 장착되는 광학 장비의 위치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 가능하므로 시간 및 비용 절감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조준거리 오차, 총기 제원 오차 등이 발생되지 않아 사격 시 명중률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시준렌즈를 이용한 영점조준장치{Zero targeting apparatus using collimated lens}
본 발명은 시준렌즈를 이용한 영점조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준렌즈와 표적을 이용하여 영점확인 및 조정을 가능하도록 하되, 휴대성 및 보관성이 편리하도록 제작되어 화기 충격이나 장비의 장탈착에 따라 즉시 영점확인 및 조정이 가능한 영점조준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점조준은 정밀한 영점사격을 통하여 소총 따위의 조준점과 탄착점이 일치하도록 가늠자와 가늠쇠를 조정하는 행위를 말하며, 이러한 행위가 완료된 상태를 전투가늠자라고 한다.
화기에 부착하는 광학장비는 실탄 사격 또는 광학장비에 부착된 가시광선을 통해 전투가늠자와 영점조준을 실시 한 후 전투 및 훈련에 투입된다
먼저, 실탄 사격에 의한 영점 조준 방법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실탄사격에 따른 안전문제와 사격소음의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광학장비에 가시광선을 부착하여 비사격 영점이 가능하도록 제작이 되었다.
그러나 가시광선을 이용한 영점조준 방법은 가시광선의 밝기 제한으로 인하여 5m정도의 거리 내에서 영점을 조정하게 되므로 오차를 많이 발생시켰다
부연하자면, 가시광선을 이용한 영점조준 방법은 총기 제원을 정확히 적용하여 영점표적지의 가시광선 위치와 화기조준점을 표시하여야 하므로 총기에 따른 정확한 사격제원 획득이 어려워 표적 좌표오차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조준오차와 조정오차가 상존하여 정확한 영점조준을 실행할 수 없으므로 명중률이 떨어지며, 총기마다 영점표적지를 달리 적용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광학장비를 장착하는 위치를 달리하거나, 장착을 잘못한 상태에서 영점을 잡게 되면 명중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225910 호(2021.03.10.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준렌즈와 표적을 이용하여 영점확인 및 조정을 가능하도록 하되, 휴대성 및 보관성이 편리하도록 제작되어 화기 충격이나 장비의 장탈착에 따라 즉시 영점확인 및 조정이 가능한 영점조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준렌즈를 이용한 영점조준장치에 있어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여닫이가 가능하며, 저면 내측에 완충재가 형성된 덮개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표적부,
상기 표적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시준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적부 및 시준렌즈부는, 힌지를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므로, 접철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에 내삽되어 보관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상기 표적부를 내삽하는 제1 수납공간, 그리고 상기 제1 수납공간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시준렌즈부를 내삽하는 제2 수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적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판자 형태로 형성되며, 시준렌즈의 초점거리에 위치하며, 일측 끝단부가 상기 제1 고정부와 힌지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제1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의 타측 끝단부에 직교된 형태로 고정되며, 망선 형태 또는 모눈종이 형태로 형성되는 표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준렌즈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블록부, 판자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끝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블록부와 힌지 형태로 결합하는 제2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부의 타측 끝단부에 직교된 형태로 고정되는 시준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레일을 포함하는 제3 수납공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부는, 상기 제3 수납공간에 설치된 레일이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시준렌즈는, 접합렌즈, 평면구면렌즈 및 양면구면렌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준렌즈부는, 영점조준을 수행할 경우, 외부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부를 수평 이동하여 상기 표적부와 동일한 위치선상에 위치하고, 보관할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드 블록부를 수평 이동한 다음, 접철하여 상기 렌즈가 상기 제2 수납공간 내에 내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준렌즈를 이용한 영점조준장치에 있어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시준렌즈,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 위치하며, 망선 형태 또는 모눈종이 형태로 형성되는 표적을 포함하며, 상기 시준렌즈와 표적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시준렌즈를 통과하는 빛이 상기 표적에 결상되도록 한다.
상기 표적은, 상기 본체부의 배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와 상기 표적 사이에 위치하며, 일단은 상기 표적과 직교된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고정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와 레일 형태로 연결되어 인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시준렌즈는, 접합렌즈, 평면구면렌즈 및 양면구면렌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화기에 부착된 광학장비에서 출력된 레이저가 상기 시준렌즈를 관통하여 상기 표적의 중심부에 결상되면 영점조준이 완료되었음을 알림신호로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 형태의 본체부에 시준렌즈와 표적을 수납 가능하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별도의 전원 없이도 사용 가능하므로 실내 또는 실외 등 장소 구애 없이 필요에 따라 노출하여 영점 조준을 수행할 수 있어 항상 전투 준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점 조준을 위해 실 사격이 필요치 않고, 화기의 종류 및 화기에 장착되는 광학 장비의 위치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 가능하므로 시간 및 비용 절감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조준거리 오차, 총기 제원 오차 등이 발생되지 않아 사격 시 명중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적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시준렌즈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준렌즈부가 본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에 포함된 표적부 및 시준렌즈부가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적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시준렌즈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준렌즈부가 본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100)는 본체부(110), 덮개부(120), 표적부(130) 및 시준렌즈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부(110)는 사각형상이며 상면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본체부(110)의 내측에는 탄성부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사출된 성형제품을 내삽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상면에는 복수의 수납 공간을 포함한다.
부연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100)는 표적과 시준렌즈를 필요에 따라 펼치거나 접어 수납하여 휴대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체부(110)의 상면에는 표적부(130)를 수납할 수 있는 제1 수납공간(111)과, 시준렌즈부(140)를 수납할 수 있는 제2 수납공간(112) 및 시준렌즈부(140)의 일부가 내삽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제3 수납공간(113)을 포함한다.
제1 수납공간(111)과 제2 수납공간(112)는 본체부(110)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되며 서로 이웃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표적 및 시준렌즈가 각각 내삽될 수 있을 만큼의 깊이와 넓이를 가진다.
또한, 제3 수납공간(113)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시준렌즈부(140)가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내측에 레일이 형성된다. 제3 수납공간(113)과 시준렌즈부(140)은 결합형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 다음, 덮개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덮개부(12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저면 내측에는 완충재가 설치되어 표적부(130) 및 시준렌즈부(14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표적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31), 제1 지지부(132) 및 표적 지지부(133)을 포함한다.
먼저 제1 고정부(131)는 판재 형성으로 되어 본체부(110)의 상면에 고정설치 되며, 상면에는 원형이며 내측이 관통된 제1 베어링(1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지지부(132)는 제1 고정부(131)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제1 지지부(132)의 일측 끝단부에는 복수의 제2 베이링(132-1)이 형성된다. 제2 베어링(132-1)과 다른 제2 베어링(132-1)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2 베어링(132-1)과 다른 제2 베어링(132-1)의 사이에 제1 베어링(131-1)을 위치시킨다. 그 다음, 제1 베어링(131-1)과 제2 베어링(132-1)은 내측은 관통하는 고정핀(134)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된다. 즉, 제1 고정부(131)와 제1 지지부(132)는 힌지 형태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표적 지지부(133)는 제1 지지부(132)의 타측 끝단부에 직교된 방향으로 설치되며, 표적 지지부(133)의 내측에는 표적(133-1)을 포함한다. 표적(133-1)은 망선 형태 또는 모눈종이 형태로 구성되며, 시준렌즈를 통과하는 빛이 내측에 결상된다.
한편, 표적 지지부(133)는 제1 수납공간(111)에 내삽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제1 고정부(131)와 제1 지지부(132)가 힌지 형태로 결합되므로, 화기의 영점을 조준할 경우에는 제1 지지부(132)를 본체부(110)의 바깥 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적 지지부(133)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영점조준장치(100)를 보관 및 이동할 경우에는 제1 지지부(132)를 본체부(11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적 지지부(133)가 제1 수납공간(110)에 내삽되도록 한다.
그 다음, 시준렌즈부(140)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블록부(141), 제2 지지부(142) 및 시준렌즈 지지부(143)를 포함한다.
먼저 슬라이드 블록부(141)는 단면이 반원형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은 관통되어 베어링이 삽입된다. 또한, 슬라이드 블록부(141)의 상면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3 베어링(141-1)을 포함한다. 이때, 제3 베어링(141-1)은 내측에 통공을 포함하며, 후술되는 제2 지지부(142)의 제4 베어링(142-1)과 동일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핀(144)을 통해 연결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드 블록부(141)의 저측에는 레일결합공(141-2)을 더 포함한다. 레일결합공(141-2)은 내측에 리니어부쉬를 추가 삽입하여 제3 수납공간(113)의 내측에 형성된 레일에 연결하여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수납공간(113)의 내측 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3-1)가 형성된다. 여기서 돌출부(113-1)는 한쌍으로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돌출부(113-1)와 다른 돌출부(113-1)의 사이에 레일(113-2)이 설치된다.
이때, 레일(113-2)은 슬라이드 블록부(141)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블록부(141)는 레일(113-2)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시준렌즈부(140)는 제3 수납공간(113)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이동되어 시준렌즈부(140)를 접철하여 보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시준렌즈부(140)는 영점조준을 수행하기 위하여 표적부(13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3 수납공간(113)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드 블록부(141)가 정위치에서 멈춤되도록 멈춤돌기(113-3)를 더 포함한다.
그 다음, 제2 지지부(142)는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끝단부에는 복수의 제4 베어링(142-1)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4 베어링(142-1)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제4 베어링(142-1)과 다른 제4 베어링(142-1)의 사이에는 제2 고정부(141)의 제3 베어링(141-1)을 위치시킨다. 그 다음, 제3 베어링(141-1)과 제4 베어링(142-1)은 내측을 관통하는 고정핀(144)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된다. 즉, 제2 고정부(141)와 제2 지지부(142)는 힌지 형태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지지부(142)의 타측 끝단부에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시준렌즈 지지부(143)를 고정한다.
시준렌즈 지지부(143)의 내측에는 시준렌즈(143-1)가 설치되며, 시준렌즈(143-1)는 접합렌즈, 평면구면렌즈 및 양면구면렌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에 포함된 표적부 및 시준렌즈부가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훈련자는 영점조준을 수행하고자 하는 위치에 영점조준장치(100)를 위치시킨다. 그 다음, 훈련자는 영점조준장치(100)의 덮개부(120)를 개방한 다음 표적부(130) 및 시준렌즈부(140)를 본체부(110)의 외측 방향으로 펼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적부(130)는 본체부(110)의 내측으로 접철되며, 표적 지지부(133)가 제1 수납공간(111)에 내삽된 상태로 보관된다. 또한, 시준렌즈부(14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본체부(110)의 내측으로 접철되며, 시준렌즈 지지부(133)가 제2 수납공간(112)에 내삽된 상태로 보관된다.
따라서, 훈련자는 표적부(130)를 본체부(110)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적(133-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훈련자는 시준렌즈부(140)를 본체부(110)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시준렌즈(143-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 다음, 훈련자는 시준렌즈부(140)를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적(133-1)과 시준렌즈(143-1)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영점조준장치(100)에 대한 설치가 완료되면, 훈련자는 화기에 장착된 광학장비를 조정하여 레이저빔을 발사한다. 그 다음, 훈전자는 화기를 거치대에 거치 또는 의탁한 상태에서 전투가늠자 또는 조준경을 이용하여 표적을 조준한다.
이때, 훈련자는 시준렌즈(143-1)를 통과한 전투가늠자 또는 화기 조준경의 망선과 가시광선 레이저의 조준점을 일치하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하여 영점조준을 완료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700)에 대해 더욱 상세하세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700)는 제1 실시예의 영점조준장치(700)와 동일한 형상 및 구성으로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센서(750) 및 제어부(760)을 더 포함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700)는 본체부(710), 덮개부(720), 표적부(730), 시준렌즈부(740), 센서(750) 및 제어부(76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710), 덮개부(720), 표적부(730), 시준렌즈부(74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고 생략한다.
그 다음, 센서(750)는 표적부(730)에 포함된 표적의 망선 내측 중심부에 설치된다. 센서(750)는 시준렌즈를 통과한 가시광선 레이저를 감지한다. 따라서, 센서(750)는 빛을 감지하는 포토센서, 광센서 및 빛감지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다.
그리고, 센서(750)는 빛을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760)에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760)는 센서(75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레이저의 조준점에 표적의 중심부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760)는 판단된 결과를 알림신호로 출력하거나 화면에 광선의 위치 또는 좌표를 표시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제어부(760)는 전투가늠자 또는 화기 조준경의 망선과 가시광선 레이저의 조준점을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전투가늠자 또는 화기 조준경의 망선과 가시광선 레이저의 조준점이 일치될 경우, 제어부(760)는 영점조준 완료에 따른 알림신호를 출력한다. 반면에 화기 조준경의 망선과 가시광선 레이저의 조준점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760)는 불일치에 따른 알림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훈련자는 광학장비의 크리크를 조정하여 조준점을 재정열한다.
이하에서는 도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8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700)는 본체부(810), 시준렌즈(820), 표적(830) 및 연결부(840)을 포함한다.
먼저 본체부(81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손잡이(811)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부(810)의 전면에는 시준렌즈(820)을 설치한다. 이때, 시준렌즈(820)는 접합렌즈, 평면구면렌즈 및 양면구면렌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 다음, 표적(830)은 본체부(810)의 배면에 설치된다. 다만, 표적(830)은 훈련자로 하여금 영점조준을 직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본체부(810)의 배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본체부(810)와 표적(830)의 사이에 연결부(840)가 형성된다. 연결부(840)의 일측 끝단부에는 표적(830)이 직교된 형태로 설치되고, 타측 끈단부는 본체부(810)에 내삽되어 설치된다.
한편, 연결부(840)는 본체부(81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고, 본체부(810)의 내측 저면에 레일(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인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그 다음, 표적(830)은 망선 형태 또는 모눈종이 형태로 형성되며, 시준렌즈(82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설치하여 시준렌즈(820)를 통과하는 빛이 표적(830)에 결상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700)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센서 및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센서는 표적(830)의 내측 중심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센서는 표적에 결상되는 빛의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는 전투가늠자 또는 화기 조준경의 망선과 가시광선 레이저의 조준점을 일치 여부를 판단한 다음, 판단 결과에 따라 알림신호를 출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점조준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자는 영점조준을 수행하고자 하는 위치에 영점조준장치(900)를 위치시킨다.
이때, 연결부(840)가 본체부(810)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이면, 훈련자는 즉시 영점 조준을 수행한다.
반면에 연결부(840)가 본체부(810)와 레일 형태로 결합되었을 경우에는 연결부(840)를 본체부(810)로부터 인출하여 표적(830)을 외부에 노출시킨다.
영점조준장치(800)에 대한 설치가 완료되면, 훈련자는 화기에 장착된 광학장비를 조정하여 레이저빔을 발사한다. 그 다음, 훈전자는 화기를 거치대에 거치 또는 의탁한 상태에서 전투가늠자 또는 조준경을 이용하여 표적을 조준한다.
이때, 훈련자는 시준렌즈(820)를 통과한 전투가늠자 또는 화기 조준경의 망선과 가시광선 레이저의 조준점을 일치하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하여 영점조준을 완료한다.
한편, 영점조준장치(800)의 내부에 제어부가 더 포함될 경우, 제어부는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전투가늠자 또는 화기 조준경의 망선과 가시광선 레이저의 조준점을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전투가늠자 또는 화기 조준경의 망선과 가시광선 레이저의 조준점이 일치될 경우, 제어부는 영점조준 완료에 따른 알림신호를 출력한다. 반면에 화기 조준경의 망선과 가시광선 레이저의 조준점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부로 하여금 불일치에 따른 알림신호를 출력함으로서, 훈련자는 광학장비의 크리크를 조정하여 조준점을 재정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점조준장치는 박스 형태의 본체부에 시준렌즈와 표적을 수납 가능하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별도의 전원 없이도 사용 가능하므로 실내 또는 실외 등 장소 구애 없이 필요에 따라 노출하여 영점 조준을 수행할 수 있어 항상 전투 준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점조준장치는 영점 조준을 위해 실 사격이 필요치 않고, 화기의 종류 및 화기에 장착되는 광학 장비의 위치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 가능하므로 시간 및 비용 절감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조준거리 오차, 총기 제원 오차 등이 발생되지 않아 사격 시 명중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영점조준장치 110 : 본체부
111 : 제1 수납공간 112 : 제2 수납공간
113 : 제3 수납공간 113-1 : 돌출부
113-2 :114 : 레일 113-3 : 멈춤돌기
120 : 덮개부 130 : 표적부
131 : 제1 고정부 131-1 : 제1 베어링
132 : 제1 지지부 132-1 : 제2 베어링
133 : 표적 지지부 133-1 : 표적
140 : 시준렌즈부 141 : 제2 고정부슬라이드 블록부
141-1 : 제3 베어링 141-2 : 레일결합공고정돌기
141-3 : 가이드 돌기 142 : 제2 지지부
142-1 : 제4 베어링 143 : 시준렌즈 지지부
143-1 : 시준렌즈 700 : 영점조준장치
710 : 본체부 720 : 덮개부
730 : 표적부 740 : 시준렌즈부
750 : 센서 760 : 제어부
800 : 영점조준장치 810 : 본체부
820 : 시준렌즈 830 : 표적
840 : 연결부

Claims (12)

  1. 시준렌즈를 이용한 영점조준장치에 있어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여닫이가 가능하며, 저면 내측에 완충재가 형성된 덮개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표적부,
    상기 표적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시준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적부 및 시준렌즈부는,
    회동이 가능한 힌지 형태로 구현되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본체부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며, 접철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에 내삽되어 보관 가능한 영점조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상기 표적부를 내삽하는 제1 수납공간, 그리고
    상기 제1 수납공간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시준렌즈부를 내삽하는 제2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영점조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판자 형태로 형성되며, 시준렌즈의 초점거리에 위치하며 일측 끝단부가 상기 제1 고정부와 힌지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제1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의 타측 끝단부에 직교된 형태로 고정되며, 망선 형태 또는 모눈종이 형태로 형성되는 표적을 포함하는 영점조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준렌즈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블록부,
    판자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끝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블록부와 힌지 형태로 결합하는 제2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부의 타측 끝단부에 직교된 형태로 고정되는 시준렌즈를 포함하는 영점조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측에 레일을 포함하는 제3 수납공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부는,
    상기 제3 수납공간에 설치된 레일이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영점조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준렌즈는,
    접합렌즈, 평면구면렌즈 및 양면구면렌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점조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준렌즈부는,
    영점조준을 수행할 경우, 외부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부를 수평 이동하여 상기 표적부와 동일한 위치선상에 위치하고,
    보관할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드 블록부 를 수평 이동한 다음, 접철하여 상기 렌즈가 제2 수납공간 내에 내삽되는 영점조준장치.
  8. 시준렌즈를 이용한 영점조준장치에 있어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시준렌즈,
    상기 본체부의 배면의 초점에 위치하며, 망선 형태 또는 모눈종이 형태로 형성되는 표적, 그리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표적 사이에 위치하며, 일단은 상기 표적과 직교된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준렌즈와 표적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시준렌즈를 통과하는 빛이 상기 표적에 결상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와 레일 형태로 연결되어 인출 가능한 영점조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은,
    상기 본체부의 배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영점조준장치.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준렌즈는,
    접합렌즈, 평면구면렌즈 및 양면구면렌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점조준장치.
  12.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화기에 부착된 광학장비에서 출력된 레이저가 상기 시준렌즈를 관통하여 상기 표적의 중심부에 결상되면 영점조준이 완료되었음을 알림신호로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영점조준장치.
KR1020210096351A 2021-07-22 2021-07-22 시준렌즈를 이용한 영점조준장치 KR102566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351A KR102566893B1 (ko) 2021-07-22 2021-07-22 시준렌즈를 이용한 영점조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351A KR102566893B1 (ko) 2021-07-22 2021-07-22 시준렌즈를 이용한 영점조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060A KR20230015060A (ko) 2023-01-31
KR102566893B1 true KR102566893B1 (ko) 2023-08-16

Family

ID=8510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351A KR102566893B1 (ko) 2021-07-22 2021-07-22 시준렌즈를 이용한 영점조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8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859B1 (ko) * 1994-04-29 2001-01-15 윌리암 씨. 스튜어트, 제이알. 소형 병기용 레이저 정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067A (ko) * 2006-06-29 2008-01-03 레이센 주식회사 광선총과 스크린을 이용한 사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859B1 (ko) * 1994-04-29 2001-01-15 윌리암 씨. 스튜어트, 제이알. 소형 병기용 레이저 정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060A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6468B2 (en) Universal firearm marksmanship system
EP2615415B1 (en) Attachment device and total station
JP2949370B2 (ja) 小型火器用のレーザー式アライメントシステム
CN101802760B (zh) 具有改进照明的光学触摸屏
KR900000975B1 (ko) 모듈러 안정화 시스템
US20070144051A1 (en) Reference beam generating apparatus
JPS6042734A (ja) 照準線の方向決定装置
NO320448B1 (no) Skytesimulator
CN105352514A (zh) 一种空间导航探测器地面标定的对准纠偏装置及方法
US4464974A (en) Device for the shooting simulation of sight-controlled missiles
KR102566893B1 (ko) 시준렌즈를 이용한 영점조준장치
NO128680B (ko)
CA114873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oincidence or synchronism of a periscope line of sight with an element to be directed at a target
US5123737A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deviation of a target from a predetermined location
KR101897116B1 (ko) 양궁 표적장치
NO143392B (no) Skuddledningsinnretning.
JP6362227B2 (ja) 視準校正装置、視準校正システムおよび視準構成方法
CN108168462A (zh) 一种用于自由面形子孔径拼接测量的方法和系统
KR20180096100A (ko)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이용한 카메라 정렬 장치 및 방법
KR101358458B1 (ko) 지표에 설치된 기준좌표점의 측지정보 확인을 위한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1228327B1 (ko) 영점 조정 장치 및 영점 조정 방법
US11280584B2 (en) Ballistic correction device for the sight members of weapons
KR970070940A (ko) 광선을 이용한 사격훈련방법 및 장치
KR101895055B1 (ko) 유탄발사기의 조준장치
CN110313237B (zh) 基于陀螺寻北仪的飞机惯性导航装置安装方位的调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