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047B1 -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 - Google Patents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047B1
KR102566047B1 KR1020210100541A KR20210100541A KR102566047B1 KR 102566047 B1 KR102566047 B1 KR 102566047B1 KR 1020210100541 A KR1020210100541 A KR 1020210100541A KR 20210100541 A KR20210100541 A KR 20210100541A KR 102566047 B1 KR102566047 B1 KR 102566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vel
loosening
cap member
swivel shaft
cham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700A (ko
Inventor
이경용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0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047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49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being turned through an angle when passing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벨 샤프트의 회전력이 캡부재측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위벨 조인트의 캡부재과 스위벨 볼의 나사 체결구조에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스위벨 샤프트과 캡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방지용 록 와셔를 별도로 구비하고 회전방지용 록 와셔의 회전을 방지하는 면취구조를 이용하여 스위벨 샤프트의 회전력이 캡부재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LOOSENESS PREVENTING STRUCTURE FOR SWIVEL JOINT}
본 발명은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벨 샤프트의 회전력이 캡부재측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위벨 조인트의 캡부재과 스위벨 볼의 나사 체결구조에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스위벨 샤프트과 캡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방지용 록 와셔를 별도로 구비하고 회전방지용 록 와셔의 회전을 방지하는 면취구조를 이용하여 스위벨 샤프트의 회전력이 캡부재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벨조인트는 일측 배관에 타측배관이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여러개의 스위벨조인트를 이용하여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부두가에 정박한 움직이는 선박과 같은 곳에 연결하여, 유체등을 이송하도록 하는데 사용하여 왔다.
즉, 스위벨 조인트는 부두가에 정박한 움직이는 선박과 같은 곳에 연결하여, 유체등을 이송하도록 하는데 사용하여 왔으며, 또 산업용 로봇의 본체부에 설치된 정역 회전 가능한 손목부와 작업용 기기 사이에 설치되거나, 손목측와 작업용 기기측을 연결하는 유체 전달 경로를 구비하는 곳에 사용되거나, 스위벨 샤프트와 스위벨 볼로 구성되어 유압을 전달하도록 유압 브레이커 등에 사용되고 있다.
기존 스위벨 조인트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853876호 "스위벨 조인트"(등록일자 : 2008.08.18)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를 통해서 유체가 유입되거나 또는 배출되는 플랜지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유체유도부가 구성된 한쌍의 케이싱과, 각각의 상기 케이싱의 유체유도부로 끼워져 상기 플랜지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유체를 안내하는 사이드센터와, 일측의 상기 케이싱에 연결된 상기 사이드센터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일측 상기 케이싱에 구성된 상기 플랜지의 중심축과 동축상으로 공급함과 더불어 타측의 케이싱에 연결된 상기 사이드센터와 연결되어 타측 케이싱에 구성된 플랜지의 중심축과 동축상으로 유체가 배출되도록 각각 설치된 회전엘보우와, 각각의 상기 회전엘보우에 각각 일단부가 고정되어 중심축방향으로 서로 끼워져서 슬라이드되어 신축가능함과 더불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면서 유체를 일측 회전엘보우에서 타측 회전엘보우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로드바수단을 포함한다.
기존 스위벨 조인트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014221호 "스위벨 조인트"(등록일자 : 2011.02.0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에 유체공급공이 형성됨과 더불어, 유체공급구의 일단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로터조립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로터조립부가 형성된 쪽의 외주면에서 중심축 쪽으로 구리스를 주입하고 막을 수 있도록 니플설치부를 갖춘 케이싱과; 상기 로터조립부에 끼워져 조립됨과 더불어, 축방향으로 유체유입부가 형성되는 한편, 로터조립부에 끼워지지 않는 유체유입부쪽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로터와; 상기 로터의 선단에 끼워져 니플설치부로 공급된 구리스가 유체공급구와 유체유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로터조립부로 삽입설치된 제1패킹과; 상기 로터조립부에 끼워지는 로터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 요홈에 설치된 제2패킹과; 상기 케이싱의 볼유입부에서 유입되어 로터조립부의 내주면과 로터의 외주면에 환형 요홈으로 형성된 볼안착부에 끼워진 다수개의 스틸볼과; 상기 볼유입부에 체결되어 볼유입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볼유입부개폐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패킹이 로터조립부에 형성된 환형 요홈에 안착된 상태로 로터의 선단이 끼워진 것이다.
그런데, 기존 스위벨 조인트는 스위벨 샤프트의 단부에 이탈을 방지하도록 캡부재가 나사 체결되고 스위벨 샤프트와 캡부재 사이에 회전력을 차단하도록 와셔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나, 상기 스위벨 샤프트의 회전력이 와셔부재를 통해 캡부재측에 전달될 경우, 캡부재가 분리되면서 이탈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한 누유 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853876호 "스위벨 조인트"(등록일자 : 2008.08.18)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014221호 "스위벨 조인트"(등록일자 : 2011.02.07)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위벨 샤프트의 회전력이 캡부재측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위벨 조인트의 캡부재과 스위벨 볼의 나사 체결구조에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위벨 샤프트과 캡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방지용 록 와셔를 별도로 구비하고 회전방지용 록 와셔의 회전을 방지하는 면취구조를 이용하여 스위벨 샤프트의 회전력이 캡부재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공급공이 형성되고 일측단에 회전방지용 록 와셔가 끼워지도록 단턱진 단턱부가 형성되는 스위벨 샤프트와; 상기 스위벨 샤프트의 단부 외주 둘레에 결합되는 스위벨 볼과; 상기 스위벨 샤프트의 단부에 나사 체결되도록 결합되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와 스위벨 샤프트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단턱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회전방지용 록 와셔; 및 상기 회전방지용 록 와셔와 상기 단턱부의 접촉 부위에 각각의 면취부를 갖는 풀림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단턱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평면형태로 형성되는 제1면취부와, 상기 회전방지용 록 와셔의 통공 테두리 상,하측에 상기 제1면취부와 대응되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제2면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면취부는 톱니 구조로 엇갈리게 상호 결합되는 요철부가 더 구비된 것이다.
상기 제1면취부는 오목한 홈 형태의 수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면취부에 상기 수용홈에 대응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는 걸림돌부가 더 형성된 것이다.
유체공급공이 형성되고 일측단에 회전방지용 록 와셔가 끼워지도록 단턱진 단턱부가 형성되는 스위벨 샤프트와; 상기 스위벨 샤프트의 단부 외주 둘레에 결합되는 스위벨 볼과; 상기 스위벨 샤프트의 단부에 나사 체결되도록 결합되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와 스위벨 샤프트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단턱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회전방지용 록 와셔; 및 상기 회전방지용 록 와셔와 상기 단턱부의 접촉 부위에 각각의 면취부를 갖는 풀림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스위벨 샤프트의 일단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홈과, 상기 지지홈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캡부재의 체결부를 지지하는 풀림방지와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단턱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평면형태로 형성되는 제1면취부와, 상기 회전방지용 록 와셔의 통공 테두리 상,하측에 상기 제1면취부와 대응되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제2면취부를 더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위벨 조인트의 스위벨 샤프트 내에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스위벨 볼을 통해 유체의 흐름방향을 전환하여 유압 브레이커의 내부로 유압을 공급하게 되며, 캡부재의 체결부가 스위벨 샤프트의 중공 내부에 나사 체결되어 스위벨 샤프트의 걸림턱에 일측이 지지된 스위벨 볼의 타측을 캡부재로 고정시켜 스위벨 볼과 스위벨 샤프트간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유압을 스위벨 조인트를 통해 유압 브레이커측으로 공급하는 공급과정에서 스위벨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캡부재의 나사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풀림방지수단으로 방지함으로써, 스위벨 조인트의 분해 및 이탈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요철부 및 또 다른 실시 예의 수용홈과 걸림돌부는 단턱부의 제1면취부가 마모되더라도 회전방지용 록 와셔의 회전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방지용 록 와셔의 좌,우방향 요동을 억제시켜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작동 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스위벨 조인트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체공급공(111)이 형성되고 일측단에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가 끼워지도록 단턱진 단턱부(115)가 형성되는 스위벨 샤프트(110)와;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의 단부 외주 둘레에 결합되는 스위벨 볼(120)과;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의 단부에 나사 체결되도록 결합되는 캡부재(200)와; 상기 캡부재(200)와 스위벨 샤프트(110)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단턱부(115)의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 및 상기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와 상기 단턱부(115)의 접촉 부위에 각각의 면취부를 갖는 풀림방지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는 일단부가 상기 스위벨 볼(120)의 내부에 관통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일측단에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가 끼워지도록 단턱진 단턱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는 유체의 이송을 위해 내부에 중공(11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는 상기 중공(112)의 단부에 상기 캡부재(200)의 체결부(210)가 나사체결되도록 상기 중공(112)의 단부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10)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를 통해 스위벨 볼(120)이 결합되도록 정위치에 스위벨 볼(120)이 조립된 후에 캡부재(200)의 배치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걸림턱(11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풀림방지수단(400)은 상기 단턱부(115)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평면형태로 형성되는 제1면취부(410)와, 상기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의 통공(305) 테두리 상,하측에 상기 제1면취부(410)와 대응되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제2면취부(4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면취부(410)는 단턱부(115)의 상,하측에 가로방향으로 평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면취부(420)는 상기 통공(305)의 테두리 상,하측에 가로 방향의 평면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와 캡부재(200) 사이에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가 개재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의 회전력이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측에 전달되더라도 제1,2면취부(410,420)에 의해 회전이 차단되어 캡부재(200)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풀림방지수단(400)은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의 일단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홈(117)과, 상기 지지홈(117)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캡부재(200)의 체결부(210)를 지지하는 풀림방지와셔(1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풀림방지와셔(130)는 노드락(nord lock) 와셔를 채택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의 회전력이 체결부(210)를 통해 캡부재(200)측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는 유압브레이커 등에 적용되어 유압을 공급하는 스위벨 조인트(100)의 스위벨 샤프트(110)와 스위벨 볼(120)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캡부재(200)가 스위벨 샤프트(11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스위벨 샤프트(110)와 캡부재(200) 사이의 중간에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의 회전력에 의한 회전을 차단하여 상기 캡부재(200)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400)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풀림방지수단(4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의 단부에 단턱부(115)가 형성되고, 단턱부(115)의 상,하측에 평면 형태의 제1면취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115)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제1면취부(410)와 대응되도록 제2면취부(420)가 형성된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가 단턱부(115)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측에 전달되더라도 제1,2면취부(410,420)의 면접촉 구조로 인해 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되므로, 상기 캡부재(20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풀림방지수단(400)은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의 일단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홈(117)과, 상기 지지홈(117)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캡부재(200)의 체결부(210)를 지지하는 풀림방지와셔(130)를 더 구비함에 따라, 상기 캡부재(200)의 체결부(210)와 근접된 중심 부위에 스위벨 샤프트(110)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스위벨 조인트(100)는 스위벨 샤프트(110) 내에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스위벨 볼(120)을 통해 유체의 흐름방향을 전환하여 유압 브레이커의 내부로 유압을 공급하게 되며, 캡부재(200)의 체결부(210)가 스위벨 샤프트(110)의 중공(112) 내부에 나사 체결되어 스위벨 샤프트(110)의 걸림턱(113)에 일측이 지지된 스위벨 볼(120)의 타측을 캡부재(200)로 고정시켜 스위벨 볼(120)과 스위벨 샤프트(110)간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조립과정이 완료된 후에 유압을 스위벨 조인트(100)를 통해 유압 브레이커측으로 공급하는 공급과정에서 스위벨 샤프트(110)의 회전력에 의해 캡부재(200)의 나사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풀림방지수단(400)으로 방지함으로써, 스위벨 조인트(100)의 분해 및 이탈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풀림방지수단(40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제1,2면취부(410,420)의 서로 접하는 부위에 톱니 구조로 엇갈리게 상호 결합되는 요철부(415)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요철부(415)는 상기 단턱부(115)의 제1면취부(410)가 마모되더라도 상기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의 회전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의 좌,우방향 요동을 억제시켜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작동 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풀림방지수단(4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구성인 제1,2면취부(410,420)를 구비하며, 상기 제1면취부(410)는 오목한 홈 형태의 수용홈(417)이 형성되고, 상기 제2면취부(420)에 상기 수용홈(417)에 대응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417)에 결합되는 걸림돌부(427)가 형성된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풀림방지수단(400)의 다른 실시 예와 또 다른 실시 예는 이는 상기 제1면취부(410)가 형성된 단턱부(115)의 라운드진 측면 부위가 마모될 경우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의 회전력이 캡부재(200)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의 회전 방지기능을 더 보강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스위벨 조인트 110 : 스위벨 샤프트
111 : 유체공급공 112 : 중공
113 : 걸림턱 115 : 단턱부
117 : 지지홈 120 : 스위벨 볼
130 : 풀림방지와셔 200 : 캡부재
210 : 체결부 300 : 회전방지용 록 와셔
305 : 통공 400 : 풀림방지수단
410 : 제1면취부 415 : 요철부
417 : 수용홈 420 : 제2면취부
427 : 걸림돌부

Claims (5)

  1. 유체공급공(111)이 형성되고 일측단에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가 끼워지도록 단턱진 단턱부(115)가 형성되는 스위벨 샤프트(110)와;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의 단부 외주 둘레에 결합되는 스위벨 볼(120)과;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의 단부에 나사 체결되도록 결합되는 캡부재(200)와;
    상기 캡부재(200)와 스위벨 샤프트(110)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단턱부(115)의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 및
    상기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와 상기 단턱부(115)의 접촉 부위에 각각의 면취부를 갖는 풀림방지수단(400);을 구비하고,
    상기 풀림방지수단(400)은 상기 단턱부(115)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평면형태로 형성되는 제1면취부(410)와, 상기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의 통공(305) 테두리 상,하측에 상기 제1면취부(410)와 대응되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제2면취부(4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면취부(410,420)는 톱니 구조로 엇갈리게 상호 결합되는 요철부(41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면취부(410)는 오목한 홈 형태의 수용홈(417)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면취부(420)에 상기 수용홈(417)에 대응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417)에 결합되는 걸림돌부(427)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
  4. 유체공급공(111)이 형성되고 일측단에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가 끼워지도록 단턱진 단턱부(115)가 형성되는 스위벨 샤프트(110)와;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의 단부 외주 둘레에 결합되는 스위벨 볼(120)과;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의 단부에 나사 체결되도록 결합되는 캡부재(200)와;
    상기 캡부재(200)와 스위벨 샤프트(110)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단턱부(115)의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 및
    상기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와 상기 단턱부(115)의 접촉 부위에 각각의 면취부를 갖는 풀림방지수단(400);을 구비하고,
    상기 풀림방지수단(400)은 상기 스위벨 샤프트(110)의 일단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홈(117)과, 상기 지지홈(117)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캡부재(200)의 체결부(210)를 지지하는 풀림방지와셔(1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수단(400)은 상기 단턱부(115)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평면형태로 형성되는 제1면취부(410)와,
    상기 회전방지용 록 와셔(300)의 통공(305) 테두리 상,하측에 상기 제1면취부(410)와 대응되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제2면취부(4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
KR1020210100541A 2021-07-30 2021-07-30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 KR102566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41A KR102566047B1 (ko) 2021-07-30 2021-07-30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41A KR102566047B1 (ko) 2021-07-30 2021-07-30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700A KR20230018700A (ko) 2023-02-07
KR102566047B1 true KR102566047B1 (ko) 2023-08-11

Family

ID=8522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541A KR102566047B1 (ko) 2021-07-30 2021-07-30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0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6807B2 (ja) * 2005-09-20 2011-06-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イベルジョイン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76B1 (ko) 2007-01-26 2008-08-22 주식회사 멀티스하이드로 스위벨조인트
KR101014221B1 (ko) 2010-06-29 2011-02-16 남상건 스위벨 조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6807B2 (ja) * 2005-09-20 2011-06-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イベルジョイ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700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9517B (zh) 用于流体管道的多功能旋转联接组件
US4043575A (en) Riser connector
US10088085B2 (en) Extendable and contractible flexible joint
DK2944819T3 (en) Progressive cavity pump.
EP0439328B1 (en) Tube coupling
EP0037922B1 (en) Pipe swivel joint with bearing and seal
US4002186A (en) Quick disconnect coupling
JPH01120416A (ja) ジョイント
US4023836A (en) Split flange retainer for flanged conduits
US20050046181A1 (en) Fluid rotary union
US1938829A (en) Conduit
ES2381494A1 (es) Acoplamiento.
US8096731B2 (en) Modular hot stab with improved connection flange
TW200916669A (en) Bearing for kingpin or other shaft assembly
JPS5848792B2 (ja) 導管用回り継手
EP1108943B1 (en) Fluid transport pipe joint
JP2024516714A (ja) 迅速ロック解除継手
KR102566047B1 (ko) 스위벨 조인트의 풀림방지구조체
KR101757575B1 (ko) 퀵 커플링장치
CN101639135A (zh) 具有环形螺母联接的流体输送和/或分配装置
KR101014221B1 (ko) 스위벨 조인트
WO2007042417A1 (en) Female element with anti-screwing system for quick-coupling for pipe fitting
US3504935A (en) Swivel coupling for fluid conduit
US4488741A (en) Compression coupling for service valve
US5851034A (en) Pipe swivel joint with removable plug for main seal repla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