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581B1 - 이동형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581B1
KR102565581B1 KR1020170018653A KR20170018653A KR102565581B1 KR 102565581 B1 KR102565581 B1 KR 102565581B1 KR 1020170018653 A KR1020170018653 A KR 1020170018653A KR 20170018653 A KR20170018653 A KR 20170018653A KR 102565581 B1 KR102565581 B1 KR 102565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main body
air
condensate
wast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3185A (ko
Inventor
이정훈
김동우
정윤섭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8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581B1/ko
Priority to US15/780,603 priority patent/US10704790B2/en
Priority to CN201780004264.6A priority patent/CN108291729B/zh
Priority to PCT/KR2017/005258 priority patent/WO2017204500A1/ko
Publication of KR20180093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7Remote control using telephone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조부의 분리 및 장착이 간편하고, 공조부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응축수 트레이에 수집된 응축수의 제거 처리가 가능하며, 폐열배출구측 폐열의 공기도입구측 재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한 공조본체와, 공조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냉,온풍을 발생시켜 송풍하는 공조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공조장치에 있어서, 공조부를 수납할 수 있는 공조부 수납실을 가지며, 공조본체에 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공조부 수납실에 공조부를 수납한 후 공조본체에 장착하거나 또는 공조본체에 장착된 공조부를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는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동형 공조장치{PORTABLE TYPE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이동형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부의 분리 및 장착이 간편하고, 공조부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응축수 트레이에 수집된 응축수의 제거 처리가 가능하며, 폐열배출구측 폐열의 공기도입구측 재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동형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이동형 공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동형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이 가능한 공조본체(1)에 공조부(3)를 설치한 것으로, 냉,난방이 필요한 곳에 공조본체(1)를 이동시킨 후, 공조부(3)를 실행시켜 냉,온풍을 제공한다. 특히, 공조부(3)의 난방용 열교환기(3a)측에서 방출된 온풍, 또는 냉방용 열교환기(3b)측에서 방출된 냉풍을 제공한다.
따라서, 공조작동이 필요한 곳을 국부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고, 아울러 냉,난방의 사각 지대를 효율좋게 냉,난방할 수 있다.
한편, 공조부(3)는, 경우에 따라 공조본체(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공조부(3)는, 공조본체(1)와는 별도로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공조부(3)는, 공조본체(1)의 내부공간(1a)에 수납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1a)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공조부(3)를 공조본체(1)로부터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공조부(3)를 분리한 후, 공조부(3)의 내부 부품들을 유지, 관리, 보수 및 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냉방용 열교환기(3b)의 응축수 트레이(5)에 응축수가 가득찼을 경우, 공조본체(1)로부터 공조부(3)를 분리한 후, 공조부(3)의 내부로부터 응축수 트레이(5)를 인출하여 응축수 트레이(5)의 응축수를 제거 처리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응축수 트레이(5)는, 냉방용 열교환기(3b)의 하측부분에 설치된다. 특히, 격벽(7)을 사이에 두고 냉방용 열교환기(3b) 하측의 폐열유로(8) 바닥면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응축수 트레이(5)는, 격벽(7)에 형성된 호퍼(Hopper)형 응축수 받이(7a)의 배수구멍(7b)을 통해 배수되는 냉방용 열교환기(3b)의 응축수를 받아서 수집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형 공조장치는, 공조본체(1)로부터 공조부(3)를 분리 및 장착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공조본체(1)로부터 공조부(3)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조본체(1)의 후면커버(9)를 분리하여 공조본체(1)의 내부공간(1a)을 개방한 다음, 개방된 내부공간(1a)에서 공조부(3)를 탈거해야 하므로, 공조부(3)의 분리가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리된 공조부(3)를 공조본체(1)에 장착할 경우에도, 분리된 공조부(3)를 공조본체(1)의 내부공간(1a)에 밀어넣어 수납한 다음, 공조부(3)가 수납된 내부공간(1a)을 후면커버(9)로 일일이 밀폐해야 하므로, 공조부(3)의 장착이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형 공조장치는, 응축수 트레이(5)에 수집된 응축수를 제거 처리하기 위해서는, 공조본체(1)로부터 공조부(3)를 분리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응축수의 제거 처리가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이동형 공조장치는, 냉,난방 과정에서 폐열유로(8)와 폐열배출구(8a)의 폐열이, 공기도입구(8b)측으로 재유입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냉,난방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폐열유로(8)를 따라 배출되는 폐열이, 폐열유로(8)와 공기도입구(8b)측을 분리하는 격벽(7)의 호퍼형 응축수 받이(7a) 배수구멍(7b)을 통해 공기도입구(8b)측으로 재유입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공기도입구(8b)측으로 유입된 폐열이 냉방용 열교환기(3b)와 난방용 열교환기(3a)측으로 도입되면서 냉,난방효율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폐열유로(8)의 폐열이, 폐열배출구(8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후, 공조본체(1)의 후면과 측면부분에 형성되는 공기도입구(8b)로 재유입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공기도입구(8b)측으로 재유입된 폐열이 냉방용 열교환기(3b)와 난방용 열교환기(3a)측으로 도입되면서 냉,난방효율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조부의 탈,장착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공조본체로부터 공조부를 보다 쉽게 분리 및 장착할 수 있는 이동형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조본체로부터 공조부를 보다 쉽게 분리 및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개선된 이동형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조본체로부터 공조부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응축수 트레이에 수집된 응축수를 손쉽게 제거 처리할 수 있는 이동형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조본체로부터 공조부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응축수 트레이의 응축수를 손쉽게 제거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개선된 이동형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폐열유로와 폐열배출구측의 폐열이 공기도입구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형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열유로와 폐열배출구측의 폐열이 공기도입구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도입구측으로의 폐열 유입으로 인한 냉,난방 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형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조장치는, 이동이 가능한 공조본체와, 상기 공조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냉,온풍을 발생시켜 송풍하는 공조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를 수납할 수 있는 공조부 수납실을 가지며, 상기 공조본체에 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공조부 수납실에 상기 공조부를 수납한 후 상기 공조본체에 장착하거나 또는 상기 공조본체에 장착된 상기 공조부를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는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조본체는, 후측이 개방되어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는, 상기 공조본체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출위치와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수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인출위치로 이동할 시에 상기 내부공간의 후측 개방부를 개방하고, 상기 수용위치로 이동할 시에 상기 내부공간의 후측 개방부를 밀폐하는 후면커버를 일체로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조부의 냉방용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부에 설치되는 응축수 트레이와; 상기 공조부의 응축수 트레이를 상기 공조본체의 외부에서 인출할 수 있는 응축수 트레이 인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조부는, 상기 응축수 트레이가 배치되는 응축수 수집실을 구비하되, 상기 응축수 수집실은 외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응축수 트레이 인출부는, 상기 공조부의 응축수 수집실 개방부와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공조본체에 형성되는 응축수 트레이 인출구와, 상기 응축수 트레이 인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수 트레이 인출구는, 상기 공조부를 상기 공조본체에 장착했을 시에, 상기 공조부의 응축수 수집실과 정렬되어 상기 응축수 수집실의 응축수 트레이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조부는, 냉방모드 시에 난방용 열교환기측에서 발생된 폐온풍을 방출하는 폐열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폐열유로는, 격벽을 사이에 두고 냉방용 열교환기의 중력방향 하측부분에 배열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의 표면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받은 후, 배수구멍을 통해 중력방향 하측의 상기 폐열유로측으로 배출시키는 호퍼(Hopper)형 응축수 받이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수집실과 상기 응축수 트레이는, 상기 호퍼형 응축수 받이와 상기 폐열유로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폐열유로와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측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조본체는, 상기 공조부에 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는 공기도입구와, 상기 공조부에서 방출되는 폐열을 배출시킬 수 있는 폐열배출구 및; 상기 공기도입구와 폐열배출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폐열배출구에서 배출된 폐열의 상기 공기도입구측으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조장치에 의하면, 서랍식 공조부 트레이를 이용하여 공조부를 탈,장착하는 구조이므로, 공조부의 분리 및 장착이 매우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조부에 설치된 응축수 트레이를 공조본체의 외측에서도 인출할 수 있으므로, 공조본체로부터 공조부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응축수 트레이에 수집된 응축수를 손쉽게 제거 처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응축수 수집부의 위치 개선을 통해 폐열유로와 공기도입구를 차단하고, 배플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폐열배출구와 공기도입구를 차단하는 구조이므로, 폐열유로와 폐열배출구측의 폐열이 공기도입구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열유로와 폐열배출구측의 폐열이 공기도입구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공기도입구측으로의 폐열 유입으로 인한 냉,난방 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형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조장치의 주요 특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공조부가 공조본체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공조부가 공조본체에 수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공조부가 공조본체에 수납된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공조부가 공조본체에 수납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동형 공조장치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동형 공조장치는, 공조본체(10)를 구비하며, 이 공조본체(10)에는, 공조부(20)가 설치된다.
공조부(20)는, 공조본체(10)의 내부공간(10a)에 장착 및 탈거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공조케이싱(22)과, 공조케이싱(22)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기(22a)와 난방용 열교환기(22b)와 팽창밸브(22c)와 냉방용 열교환기(22d)와 송풍팬(22e)들 및 개폐도어(22f)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조부(20)는, 압축기(22a)에서 냉매를 압축시킨 다음, 이를 순차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난방용 열교환기(22b)에서 온기를 발생시키고, 냉방용 열교환기(22d)에서 냉기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난방모드" 시에는, 난방용 열교환기(22b)에서 발생된 온기를 실내에 송풍하여 실내를 난방하고, "냉방모드" 시에는 냉방용 열교환기(22d)에서 발생된 냉기를 실내에 송풍하여 실내를 냉방한다.
여기서, "난방모드" 시에, 냉방용 열교환기(22d)측에서 방출된 폐냉풍은, 폐열유로(24)로 이송되며, 폐열유로(24)로 이송된 폐냉풍은 폐열배출구(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냉방모드" 시에, 난방용 열교환기(22b)측에서 방출된 폐온풍은, 폐열유로(24)로 이송되며, 폐열유로(24)로 이송된 폐온풍은 폐열배출구(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형 공조장치는, 공조본체(10)의 내부공간(10a)에 설치되는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를 구비한다.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는, 상측이 개방된 공조부 수납실(32)을 갖추고 있으며, 양쪽의 가이드 레일(34)을 통해 공조본체(10)의 내부공간(10a)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내부공간(10a)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출위치(X)와, 내부공간(10a)에 수용되는 수용위치(Y) 사이에서 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러한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는, 공조부 수납실(32)에 공조부(20)를 수납한 상태에서 인출위치(X)와 수용위치(Y) 사이에서 슬라이딩운동한다.
특히, 공조부(20)를 수납한 상태에서 공조본체(10) 외측의 인출위치(X)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공조부(20)를 공조본체(10)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공조부(20)를 수납한 상태에서 수용위치(Y)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공조부(20)를 공조본체(10)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공조부(20)를 공조본체(10)의 내부공간(10a)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수납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한편,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의 후측부분에는, 후면커버(4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후면커버(40)는, 공조본체(10)의 내부공간(10a)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가 공조본체(10)의 내부공간(10a)에 수용되었을 시에, 내부공간(10a)의 후측 개방부(10b)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가 공조본체(10)의 내부공간(10a)으로부터 인출되었을 시에, 내부공간(10a)의 후측 개방부(10b)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후면커버(40)는,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를 공조본체(10)의 내부공간(10a)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또는 내부공간(10a)에 수용시키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공조본체(10)의 내부공간(10a)을 개폐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킨다.
특히, 종래와 같이, 공조본체(10)의 내부공간(10a)을 개폐하기 위해서 공조본체(10)에 설치된 후면커버(40)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리 또는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준다.
그리고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형 공조장치는, 상기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를 인출위치(X)와 수용위치(Y) 사이에서 구동시키는 구동부(50)를 더 포함한다.
구동부(50)는,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의 밑면부분에 설치되는 랙기어(Rack Gear)(52)와, 랙기어(52)와 치합될 수 있도록 공조본체(10)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Pinion Gear)(54) 및, 피니언기어(54)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5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부(50)는, 공조본체(10)에 설치된 인출 및 수납버튼(56, 57)을 사용자가 조작할 경우, 정,역 방향으로 작동되며, 이렇게 작동되는 구동부(50)는,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를 인출위치(X)와 수용위치(Y) 사이에서 구동시킨다.
따라서,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를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조부(20)의 분리 및 장착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구동부(50)는, 원격제어 단말기(60), 예를 들면,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 스마트 폰 등을 통해서 원격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공조본체(10)에는, 원격제어 단말기(60)와 무선 통신수단, 예를 들면, 와이파이, 블루투스, RF, 무선 인터넷 등을 통해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62)와, 무선통신부(62)로부터 전송받은 원격제어 단말기(6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64)를 포함한다.
이렇게, 원격 제어가 가능한 구동부(50)는, 공조본체(10)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지 않고서도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의 위치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킨다.
한편, 원격제어 단말기(60)는, 이동형 공조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공조장치 제어 응용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공조장치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있으며, 내장된 "공조장치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조본체(10)의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원격제어 단말기(60)에 내장된 "공조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구매한 후 다운로드받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형 공조장치는, 공조부(20)를 구비하되, 상기 공조부(20)는, 냉방용 열교환기(22d)의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는 응축수 수집부(70)를 구비한다.
응축수 수집부(70)는, 냉방용 열교환기(22d)측과 폐열유로(24)를 구획하는 격벽(28)측의 응축수 수집실(72)과, 응축수 수집실(72)에 배치되는 응축수 트레이(74)를 포함한다.
응축수 수집실(72)은, 격벽(28)의 밑면부분에 형성된다. 특히, 격벽(28)의 밑면부분 중, 냉방용 열교환기(22d)의 응축수를 직접 받아서 배출하는 호퍼형 응축수 받이(28a)의 밑면부분에 직접 형성된다.
여기서, 응축수 수집실(72)은, 폐열유로(24)측과 차단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폐열유로(24)를 따라 흐르는 폐열이 응축수 수집실(72)로 유입되지 않는다.
응축수 트레이(74)는, 응축수 수집실(72)에 배치된 상태에서, 호퍼형 응축수 받이(28a)의 배수구멍(28b)을 통해 배출되는 냉방용 열교환기(22d)의 응축수를 받아서 수집한다.
이러한 응축수 수집부(70)는, 호퍼형 응축수 받이(28a)의 하면에 설치되므로, 호퍼형 응축수 받이(28a)와 폐열유로(24)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폐열유로(24)와 응축수 받이(28a)의 배수구멍(28b)측을 서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폐열유로(24)측의 폐열이 응축수 받이(28a)의 배수구멍(28b)을 통해 공기도입구(80)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도입구(80)측으로의 폐열 유입으로 인한 냉방용 열교환기(22d)와 난방용 열교환기(22b)의 냉,난방 성능저하 및, 그로 인한 실내의 냉,난방 저하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응축수 수집부(70)의 응축수 수집실(72)은,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싱(22)의 측면을 향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응축수 수집실(72)에 배치된 응축수 트레이(74)는, 응축수 수집실(72)의 측면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응축수 트레이(74)는, 필요에 따라 응축수 수집실(72)로부터 인출하여 수집된 응축수를 제거 처리할 수 있다.
한편, 공조본체(10)에는, 공조부(20)의 응축수 수집실(72)에 배치된 응축수 트레이(74)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응축수 트레이 인출부(90)를 포함한다.
응축수 트레이 인출부(90)는, 공조부(20)의 응축수 수집실(72)과 대응되는 응축수 트레이 인출구(92)와, 응축수 트레이 인출구(92)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도어(94)를 구비한다.
응축수 트레이 인출구(92)는, 공조부(20)를 공조본체(10)의 내부공간(10a)에 장착했을 시에, 공조부(20)의 응축수 수집실(72)과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응축수 트레이 인출구(92)는, 공조본체(10)의 외부에서 공조부(20)에 설치된 응축수 수집부(70)의 응축수 트레이(74)를 인출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공조본체(10)로부터 공조부(20)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공조부(20)의 응축수 트레이(74)를 탈거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공조본체(10)로부터 공조부(20)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응축수 트레이(74)에 수집된 응축수를 손쉽게 제거 처리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형 공조장치는, 공기도입구(80)와 폐열배출구(25) 사이 부분에 설치되는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100)들을 더 구비한다.
배플 플레이트(100)는,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에 설치된 후면커버(40)측의 공기도입구(80)와 폐열배출구(25)의 사이부분에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배플 플레이트(100)는, 공기도입구(80)와 폐열배출구(25)를 서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폐열배출구(25)로부터 배출된 폐열이 공기도입구(80)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로써, 폐열배출구(25)로부터 배출된 폐열이, 공기도입구(80)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공기도입구(80)측으로의 폐열 유입으로 인한 냉방용 열교환기(22d)와 난방용 열교환기(22b)의 냉,난방 성능저하와, 그로 인한 실내의 냉,난방 저하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배플 플레이트(100)는,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40)의 폐열배출구(25)와 공조본체(10) 양쪽측면의 공기도입구(80) 사이부분에도 설치된다.
이러한 배플 플레이트(100)는, 폐열배출구(25)로부터 배출된 폐열이, 공조본체(10)의 양쪽 공기도입구(80)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공기도입구(80)측으로의 폐열 유입으로 인한 냉방용 열교환기(22d)와 난방용 열교환기(22b)의 냉,난방 성능저하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를 이용하여 공조부(20)를 탈,장착하는 구조이므로, 공조부(20)의 분리 및 장착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공조부(20)에 설치된 응축수 트레이(74)를 공조본체(10)의 외측에서도 인출할 수 있으므로, 공조본체(10)로부터 공조부(20)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응축수 트레이(74)에 수집된 응축수를 손쉽게 제거 처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또한, 응축수 수집부(70)의 위치 개선을 통해 폐열유로(24)와 공기도입구(80)를 차단하고, 배플 플레이트(100)를 이용하여 폐열배출구(25)와 공기도입구(80)를 차단하는 구조이므로, 폐열유로(24)와 폐열배출구(25)측의 폐열이 공기도입구(80)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폐열유로(24)와 폐열배출구(25)측의 폐열이 공기도입구(80)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공기도입구(80)측으로의 폐열 유입으로 인한 냉,난방 저하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조본체 10a: 내부공간
22: 공조케이싱(Casing) 22a: 압축기
22b: 난방용 열교환기 22c: 팽창밸브(Valve)
22d: 냉방용 열교환기 22e: 송풍팬(Fan)
22f: 개폐도어(Door) 24: 폐열유로
25: 폐열배출구 28: 격벽
28a: 호퍼형 응축수 받이 28b: 배수구멍
30: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Tray)
32: 공조부 수납실 40: 후면커버(Cover)
50: 구동부 52: 랙기어(Rack Gear)
54: 피니언기어(Pinion Gear) 55: 구동모터(Motor)
60: 원격제어 단말기 62: 무선통신부
64: 제어부 70: 응축수 수집부
72: 응축수 수집실 74: 응축수 트레이
80: 공기도입구 90: 응축수 트레이 인출부
92: 응축수 트레이 인출구 94: 개폐도어
100: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

Claims (10)

  1. 이동이 가능한 공조본체(10)와, 상기 공조본체(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냉,온풍을 발생시켜 송풍하는 공조부(20)를 포함하는 이동형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20)를 수납할 수 있는 공조부 수납실(32)을 가지며, 상기 공조본체(10)에 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공조부 수납실(32)에 상기 공조부(20)를 수납한 후 상기 공조본체(10)에 장착하거나 또는 상기 공조본체(10)에 장착된 상기 공조부(20)를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는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를 포함하고;
    상기 공조부(20)의 냉방용 열교환기(22d)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부(20)에 설치되는 응축수 트레이(74)와;
    상기 공조부(20)의 응축수 트레이(74)를 상기 공조본체(10)의 외부에서 인출할 수 있는 응축수 트레이 인출부(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조부(20)는,
    상기 응축수 트레이(74)가 배치되는 응축수 수집실(72)을 구비하되, 상기 응축수 수집실(72)은 외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응축수 트레이 인출부(90)는,
    상기 공조부(20)의 응축수 수집실(72) 개방부와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공조본체(10)에 형성되는 응축수 트레이 인출구(92)와, 상기 응축수 트레이 인출구(92)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도어(94)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수 트레이 인출구(92)는, 상기 공조부(20)를 상기 공조본체(10)에 장착했을 시에, 상기 공조부(20)의 응축수 수집실(72)과 정렬되어 상기 응축수 수집실(72)의 응축수 트레이(74)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본체(10)는, 후측이 개방되어 있는 내부공간(10a)을 구비하고;
    상기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는,
    상기 공조본체(10)의 내부공간(10a)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출위치(X)와 상기 내부공간(10a)에 수용되는 수용위치(Y) 사이에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인출위치(X)로 이동할 시에 상기 내부공간(10a)의 후측 개방부를 개방하고, 상기 수용위치(Y)로 이동할 시에 상기 내부공간(10a)의 후측 개방부를 밀폐하는 후면커버(40)를 일체로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를 상기 인출위치(X)와 수용위치(Y) 사이에서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의 설치되는 랙기어(Rack Gear)(52)와;
    상기 랙기어(52)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공조본체(10)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Pinion Gear)(54)와;
    상기 피니언기어(54)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55) 및;
    상기 구동모터(55)를 정,역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조본체(10)에 설치되는 인출 및 수납버튼(56, 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5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 단말기(60)와;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60)로부터 무선 송출된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본체(10)에 설치되는 무선통신부(62)와;
    상기 무선통신부(62)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60)의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60)는, 스마트 폰이며,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구동부(5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공조장치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20)는,
    냉방모드 시에 난방용 열교환기(40b)측에서 발생된 폐온풍을 방출하는 폐열유로(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폐열유로(24)는, 격벽(28)을 사이에 두고 냉방용 열교환기(40d)의 중력방향 하측부분에 배열되며;
    상기 격벽(28)에는,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22d)의 표면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받은 후, 배수구멍(28b)을 통해 중력방향 하측의 상기 폐열유로(24)측으로 배출시키는 호퍼(Hopper)형 응축수 받이(28a)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수집실(72)과 상기 응축수 트레이(74)는,
    상기 호퍼형 응축수 받이(28a)와 상기 폐열유로(24)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폐열유로(24)와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22d)측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조장치.
  9. 제 1항, 제 2항, 제 5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본체(10)는,
    상기 공조부(20)에 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는 공기도입구(80)와, 상기 공조부(20)에서 방출되는 폐열을 배출시킬 수 있는 폐열배출구(25) 및;
    상기 공기도입구(80)와 폐열배출구(25)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폐열배출구(25)에서 배출된 폐열의 상기 공기도입구(80)측으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도입구(80)는,
    상기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에 설치된 상기 후면커버(40)와, 상기 공조본체(10)의 양쪽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폐열배출구(25)는,
    상기 서랍식 공조부 수납트레이(30)의 후면커버(40)에 형성되며;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는,
    상기 공기도입구(80)와 폐열배출구(25)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후면커버(40)와 상기 공조본체(10)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공조장치.
KR1020170018653A 2016-05-23 2017-02-10 이동형 공조장치 KR102565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653A KR102565581B1 (ko) 2017-02-10 2017-02-10 이동형 공조장치
US15/780,603 US10704790B2 (en) 2016-05-23 2017-05-19 Moveable air conditioner
CN201780004264.6A CN108291729B (zh) 2016-05-23 2017-05-19 可移动空调机
PCT/KR2017/005258 WO2017204500A1 (ko) 2016-05-23 2017-05-19 이동형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653A KR102565581B1 (ko) 2017-02-10 2017-02-10 이동형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185A KR20180093185A (ko) 2018-08-21
KR102565581B1 true KR102565581B1 (ko) 2023-08-11

Family

ID=6345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653A KR102565581B1 (ko) 2016-05-23 2017-02-10 이동형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5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671B1 (ko) * 2019-03-05 2020-02-11 배용한 포터블 냉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206B1 (ko) * 2010-10-07 2017-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KR101588126B1 (ko) * 2014-07-09 2016-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185A (ko)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91729B (zh) 可移动空调机
US8230696B2 (en) Device equipped with cooling mechanism
KR101811206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20120034446A (ko) 공기조화시스템
KR102487212B1 (ko) 공기처리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CN107178949B (zh) 冰箱
KR101565387B1 (ko) 냉장고
KR102565581B1 (ko) 이동형 공조장치
DE202014104787U1 (de) Integriertes Kühl-/Klimaaggregat
CN203464581U (zh) 一种对开门风冷加湿冰箱的风道
CN105444278A (zh) 机电装置及其维护方法
KR100737448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10340A (ko) 냉장고
KR101519142B1 (ko) 냉장고
KR101460716B1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CN101266066B (zh) 空调机
CN220934204U (zh) 一种辅助冷却装置及储能集装箱
CN217653970U (zh) 一种户外柜一体化新风空调机
KR20040007011A (ko) 공기조화기
US20240019141A1 (en) Ventilation apparatus
US20240019140A1 (en) Ventilation apparatus
KR100592835B1 (ko) 공기 조화기
CN217330336U (zh) 冰箱
CN219934448U (zh) 一种电子元器件快速烘干装置
KR200379772Y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