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375B1 - 전압제어발진기 - Google Patents

전압제어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375B1
KR102565375B1 KR1020210079190A KR20210079190A KR102565375B1 KR 102565375 B1 KR102565375 B1 KR 102565375B1 KR 1020210079190 A KR1020210079190 A KR 1020210079190A KR 20210079190 A KR20210079190 A KR 20210079190A KR 102565375 B1 KR102565375 B1 KR 102565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scillator
oscillation
bias
controlled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9144A (ko
Inventor
백동현
김광섭
이정윤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9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37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 H03B5/1275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having further means for varying a parameter in dependence on the frequency
    • H03B5/129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having further means for varying a parameter in dependence on the frequency the parameter being a bias voltage or a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06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transistors for amplification
    • H03B5/12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transistors for amplification the amplifier comprising a pair of transistors, wherein an output terminal of each being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other, e.g. a cross coupled pair
    • H03B5/1215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transistors for amplification the amplifier comprising a pair of transistors, wherein an output terminal of each being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other, e.g. a cross coupled pair the current source or degeneration circuit being in common to both transistors of the pair, e.g. a cross-coupled long-tailed pai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2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the amplifier comprising one or more field 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37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 H03B5/126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switched elements
    • H03B5/1265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generator the means comprising switched elements switch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oscillators covered by H03B
    • H03B2200/006Functional aspects of oscillators
    • H03B2200/0088Reduction of noise
    • H03B2200/009Reduction of phase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제어발진기에 관한 것으로, 전압제어발진기는 입력 전압에 따라 제어되는 발진주파수로 발진하는 발진기; 및 상기 제1 전압에서 미리 설정된 조정전압 만큼씩 다운시켜 상기 발진기가 발진하지 않는 최초 전압을 찾고, 상기 최초 전압에 미리 설정된 제2 전압을 더한 값을 최적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상기 발진기에 제공하여 발진을 유지하도록 하는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압제어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본 발명은 전압제어발진기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 적응 바이어스 기법을 적용하여 위상 잡음을 최소화한 전압 제어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파수 합성기가 필요한 통신시스템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 (VCO)가 주로 사용됩니다. 출력 주파수가 높은 VCO는 주로 5G 통신 시스템이나 센서 시스템에 사용된다.
전압 제어 발진기는 전압을 변화시켜 원하는 주파수의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도 1은 종래의 VCO로서, 제어 전압 VC의 입력을 수신하고 중앙 탭 인덕터 L 및 버랙터 Cvar로 출력 주파수를 결정한다.
도 1a는 B 급 VCO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b는 C 급 VCO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a)는 두 개의 NMOS를 차 동적으로 교차 결합하는 구조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에 개시된 B 급 VCO에서, 코어 트랜지스터 NMOS의 게이트 바이어스 전압 VB는 독립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DC를 차단하기 위해 코어에 커패시터를 추가한 구조이다.
도 1의 (c)는 센터 탭 바이어스를 채택한 C 급 VCO이다. 여기서도 바이어스 전압 VB는 독립적으로 제공된다.
VCO는 파형의 영점 교차점에서 위상 노이즈가 발생하므로, C급 VCO는 교차 결합된 NMOS의 게이트 바이어스를 줄이고 드레인에 흐르는 전류를 펄스 형태로 제공하여 제로 교차점을 통과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위상 잡음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C급 VCO는 코어 트랜지스터 NMOS의 게이트 바이어스가 낮아지면 트랜스 컨덕턴스가 영향을 받고 VCO가 작동을 시작하지 못하는 시동 문제를 갖는다. 또한, C급 VCO는 주파수 튜닝 범위를 넓게 설계하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최적의 바이어스 전압을 찾아 위상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전압제어발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제어발진기는, 입력 전압에 따라 제어되는 발진주파수로 발진하는 발진기; 및 상기 제1 전압에서 미리 설정된 조정전압 만큼씩 다운시켜 상기 발진기가 발진하지 않는 최초 전압을 찾고, 상기 최초 전압에 미리 설정된 제2 전압을 더한 값을 최적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상기 발진기에 제공하여 발진을 유지하도록 하는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압은 전원전압의 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압은 5mV 이상 50 mV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진기는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변하는 주파수를 갖는 제1 및 제2 출력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부; 제1, 제2, 제3 차동 인덕터를 포함하고, 제3 차동 인덕터의 중앙 탭을 통해 상기 최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받는 삼중 결합 변압기; 및 상기 발진부와 소스가 연결되고, 상기 제3 인덕터와 게이트가 연결된 2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능동소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진기는 상기 발진부와 제1 차동 인덕터 사이에 병렬에 연결되어 출력 주파수 튜닝 범위를 확장하는 커패시터 뱅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는, 상기 발진기와 연결되어 발진 여부를 검출하는 발진 감지부; 미리 설정된 최대 코드에서 코드를 하나씩 낮추면서 디지털 코드를 발생하는 디지털 코드 생성기; 및 발생된 디지털 코드에 따라 전압을 출력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는, 상기 발진 감지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코드 생성기가 코드를 생성하여 게이트 바이어스를 찾기 위한 A 모드와 전원전압의 반을 게이트 바이어스로 입력하는 B 모드를 전환시키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는, 최대 코드에서 미리 설정된 최대 전압을 출력하고, 코드가 낮아짐에 따라 상기 조정전압을 차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C-class 전압 제어 발진기에 있어 자동으로 위상 잡음을 최소화하고 시동실패를 방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압 발진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제어발진기의 발진기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진기의 삼중 결합 변압기의 3차원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위상 노이즈 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제어발진기의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제어 발진기(10)는 발진기(100)와,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진기(100)는 입력 전압에 따라 제어되는 발진주파수로 발진하며, 후술되는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200)로부터 최적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받아 발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최적 바이어스 전압이란 발진이 유지될 수 있는 가능한 작은 전압을 의미한다.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200)는 상기 제1 전압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조정전압 만큼씩 다운시켜 발진하지 않는 최초 전압을 찾고, 상기 최초 전압에 미리 설정된 제2 전압을 더한 값을 최적 바이어스 전압으로 설정한다.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200)는 설정된 최적 바이어스 전압을 상기 발진기(1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전압은 제1 전압은 전원전압의 반이고, 제2 전압은 제1 조정전압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한다.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200)는 디지털 방식으로 제어되며, 시동 실패를 방지하고 최적의 위상 노이즈로 게이트 바이어스(VB) 전압을 출력하여 발진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200)는 발진 감지부(OD), 디지털 코드 생성기(DCG),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 및 모드 선택부(VMS)를 포함할 수 있다.
발진 감지부(OD)는 발진기(100)로부터 출력을 입력받아 발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발진 감지부(OD)는 감지 결과를 나타내는 VDET 를 출력한다.
발진 감지부(OD)는 디지털 코드 생성기(DCG) 및 모드 선택부(VMS)에 연결된다.
모드 선택부(VMS)는 발진 감지부(OD)의 출력 VDET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는 트리거 역할을 한다. 여기서 모드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 에서 게이트 바이어스를 찾는 A 모드와 전원전압(VDD) / 2 (예컨대 500mV)를 입력하는 모드 B를 포함한다.
디지털 코드 생성기(DCG)는 최고 코드에서 최저 코드로 코드를 하나씩 낮춘다. 예를 들어 최고 코드는 31이고 최저 코드는 0일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는 디지털 코드 생성기(DCG)의 코드에 맞는 전압을 출력한다. 각 코드는 약 5mv 차이를 가질 수 있고, 최고 코드 31은 405mV, 최저 코드 0은 250mV 일 수 있다. 이때의 수치는 회로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일 예 일뿐이므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의 출력은 모드 선택부(VMS)에 입력되어, 모드 선택부를 통해 출력되는 바이어스 전압 VB가 최소 진동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계속된다. 발진기(100)가 발진할 수 있는 조건을 갖는 최소 전압 즉 최적 바이어스 전압 VB을 찾으면 발진 검출기(OD)에서 종료 신호를 출력하고 미리 설정된 제2 전압(예를 들어,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된 15mV)를 VB에 추가하여 최적의 위상 노이즈 지점을 찾는다. 이때 디지털 코드 생성기(DCG)는 트리거 신호 VDET가 HIGH 일 때마다 코드를 변경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제어발진기의 발진기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진기의 삼중 결합 변압기의 3차원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발진기(100)는 발진부(110), 3비트 커패시터 뱅크(120), 삼중 결합 변압기(130) 및 능동 소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진부(110)는 2개의 가변용량 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변하는 주파수를 갖는 제1 및 제2 출력 클럭 신호를 출력한다.
제1 가변용량 다이오드는 입력 전압(Vc)와 노드 1(ND1) 사이에 연결되고, 제2 가변용량 다이오드는 입력 전압(Vc)와 노드 2(ND2) 사이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 가변용량 다이오드 및 제2 가변용량 다이오드는 버랙터(veractor)로 구성될 수 있다.
발진부(110)는 입력 전압에 따라 출력 주파수의 기울기(Kvco)를 결정한다. 그러나, Leeson의 규칙에서도 알 수 있듯이, 출력 주파수의 기울기(Kvco)는 위상 노이즈와 반비례 관계를 갖지만, 출력 주파수의 기울기(Kvco)가 작을수록 VCO의 튜닝 범위는 좁아지게 된다.
3비트 커패시터 뱅크(120)는 노드 1(ND1)와 노드 2(ND2) 사이에 연결된다. 3비트 커패시터 뱅크(120)는 VCO 출력 주파수 튜닝 범위를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3비트 커패시터 뱅크(120)의 커패시터는 크기가 두 배가되고 각 단계에 스위치가 하나씩 있는 3 단계로 적층된다. 커패시터의 사이즈는 레이아웃을 포함한 데이터로 목표 주파수를 모델링하여 결정된다.
능동 소자부(140)는 2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2개의 트랜지스터는 NMOS 트랜지스터이고,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소스는 발진부(110)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후술되는 삼중 결압 변압기(130)의 제3 인덕터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접지될 수 있다.
삼중 결합 변압기(130)는 두 개의 중앙 탭이 있는 3 개의 차동 인덕터 (L1, L2 및 L3)를 포함한다. 제1 인덕터(L1)는 발진부(110)와 능동소자부(140)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1 인덕터(L1)는 중앙 탭을 통해 공급 전압 VDD이 인가된다.
제3 인덕터(L3)는 능동소자부(140)의 제1 트랜지스터와 제2 트랜지스터의 각각의 게이트와 연결된다. 제3 인덕터(L3)는 중앙 탭을 통해 최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즉 최적 바이어스 전압은 능동소자부(140)의 제1 트랜지스터와 제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인덕터(L2)는 제1 인덕터(L1)와 제3 인덕터(L3)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인덕터(L2)는 출력 버퍼와 연결될 수 있다.
삼중 결합 변압기(130)의 3 개의 차동 인덕터 (L1, L2 및 L3)는 서로 자기적으로 결합된다.
제1 인덕터(L1)와 제2 인덕터(L2) 사이의 결합 계수를 K12라 하고, 제2 인덕터(L2)와 제3 인덕터(L3) 사이의 결합 계수를 K23라 하고, 제1 인덕터(L1)와 제3 인덕터(L3) 사이의 결합 계수를 K13라 하면, 전압제어 발진기의 파라미터 값은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 1]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위상 노이즈 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진이 시작되는 최저 발진 조건에서 바이어스가 약 15mV 더 증가할 때 최적의 위상 잡음 성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게이트 바이어스가 증가하면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발진 진폭도 증가한다. 게이트 바이어스가 최소 발진점에서 15mV까지 증가할 때까지 발진 진폭은 열잡음이 증가하는 속도보다 덜 가파르게 증가하므로 위상 잡음 성능이 낮은 최저점이 된다.
여기서 최저 발진 조건은 C급 전압제어발진기가 발진을 시작하기 위해 약간의 최소 게이트 바이어스 전압이 필요하며 이 최소 바이어스 전압을 의미하고, 위상 노이즈까지 고려한 최소 바이어스 보다 약간 더 높은 게이트 바이어스를 최적 바이어스라고 한다. 즉, 최적 바이어스는 위상 노이즈를 최소화하면서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0에서,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가 동작을 시작하면 코드는 31로 설정한다. 단계 S11에서, 코드 31에 따라 게이트 바이어스(VB)는 VDD / 2로 설정되어 모드 B를 수행한다. 단계 S12 및 S13에서, 다음 코드를 하나 낮추고 코드값에 따른 게이트 바이어스를 설정하여 모드 C를 수행한다.
단계 S14에서, 발진 감지부는 발진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발진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11로 되돌아가서 코드를 다시 하나 낮추고 코드값에 따른 게이트 바이어스를 설정하고, 단계 S14의 결과 발진이 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단계 S15로 진행한다.
단계 S15에서, 발진이 되지 않았을 때의 전압(즉 최소 바이어스 전압)에 약 15mV(제2 전압)을 추가하여 최적 바이어스 전압을 구하고 종료한다.
즉,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는 B 모드와 C 모드를 반복적으로 동작하고 C 코드를 하나씩 낮추고 C 코드 값에 따라 VB 값을 설정하여 발진점(최소 바이어스)을 찾습니다. 그 이후 위상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약간의 전압(약 15mV)을 추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제어발진기의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의 (a)에서 x축은 시간(초)을 나타내고, 좌측 Y측은 출력전압(V) 우측 Y측은 주파수(Hz)를 나타내고, 도 8의 (b)에서 x축은 시간(초)을 나타내고, Y측은 바이어스 전압을 나타낸다. 또한 도 8의 (c)에서 x축은 시간(초)을 나타내고, Y측은 발진 감지부(OD)의 출력값을 나타내고, 도 8의 (d)에서 x축은 시간(초)을 나타내고, Y측은 디지털 코드 생성기(DCG)의 코드값을 나타낸다.
도 8의 (a)를 통해 전압제어발진기가 진동하는지 여부와 출력전압의 첨두치 전압을 확인할 수 있다. 전압제어발진기의 주파수는 최적의 위상 노이즈 지점을 찾을 때 변경되지 않는다. 이들 그래프를 통해 발진기의 동작 상태, 코드를 하나씩 내렸을 때의 바이어스 전압, 위상 잡음의 성능이 최소가 되는 바이어스 전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제어발진기는 비동기 방식으로 외부 클럭의 제어가 없다. 또한 전압제어발진기가 최소 바이어스 전압을 찾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200 nm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제어발진기는 적응적으로 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위상 잡음을 최소화하고 시동실패를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제어발진기는 커패시터 뱅크를 채용하여 더 확장된 주파수 튜닝 범위를 갖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압 제어 발진기
100 : 발진기
110 : 발진부
120 : 3비트 커패시터 뱅크
130 : 삼중 결합 변압기
140 : 능동 소자부
200 :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

Claims (8)

  1. 입력 전압에 따라 제어되는 발진주파수로 발진하는 발진기; 및
    제1 전압에서 미리 설정된 조정전압 만큼씩 다운시켜 상기 발진기가 발진하지 않는 최초 전압을 찾고, 상기 최초 전압에 미리 설정된 제2 전압을 더한 값을 최적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상기 발진기에 제공하여 발진을 유지하도록 하는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는,
    발진기와 연결되어 발진 여부를 검출하는 발진 감지부;
    미리 설정된 최대 코드에서 코드를 하나씩 낮추면서 디지털 코드를 발생하는 디지털 코드 생성기; 및
    발생된 디지털 코드에 따라 전압을 출력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를 포함하며,
    상기 최적 바이어스 전압은 게이트 바이어스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발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은 전원전압의 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발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은 5mV 이상 50 mV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발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변하는 주파수를 갖는 제1 및 제2 출력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부;
    제1, 제2, 제3 차동 인덕터를 포함하고, 제1 차동 인덕터의 중앙 탭을 통해 전원전압을 인가받고, 제3 차동 인덕터의 중앙 탭을 통해 상기 최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받는 삼중 결합 변압기; 및
    상기 발진부와 소스가 연결되고, 상기 제3 차동 인덕터와 게이트가 연결된 2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능동소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발진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
    발진부와 제1 차동 인덕터 사이에 병렬에 연결되어 출력 주파수 튜닝 범위를 확장하는 커패시터 뱅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발진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바이어스 제어기는,
    상기 발진 감지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코드 생성기가 코드를 생성하여 게이트 바이어스를 찾기 위한 A 모드와 전원전압의 반을 게이트 바이어스로 입력하는 B 모드를 전환시키는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발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는, 상기 최대 코드에서 미리 설정된 최대 전압을 출력하고, 코드가 낮아짐에 따라 상기 조정전압을 차감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발진기.

KR1020210079190A 2021-06-18 2021-06-18 전압제어발진기 KR102565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190A KR102565375B1 (ko) 2021-06-18 2021-06-18 전압제어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190A KR102565375B1 (ko) 2021-06-18 2021-06-18 전압제어발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144A KR20220169144A (ko) 2022-12-27
KR102565375B1 true KR102565375B1 (ko) 2023-08-09

Family

ID=8456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190A KR102565375B1 (ko) 2021-06-18 2021-06-18 전압제어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3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711B1 (ko) 2015-12-10 2017-02-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압 제어 발진기 및 그를 포함하는 위상 동기 루프
KR101959789B1 (ko) 2017-10-20 2019-03-20 국방과학연구소 주파수합성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783A (ko) * 2007-10-01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코드로 제어하는 디지털 위상 동기 루프 회로 및 그제어 방법
KR101750450B1 (ko) * 2010-06-16 2017-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압 제어 발진기
KR102335966B1 (ko) * 2019-10-22 2021-12-03 조규필 위상잠금루프 회로를 이용한 다중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다중 전압제어발진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711B1 (ko) 2015-12-10 2017-02-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압 제어 발진기 및 그를 포함하는 위상 동기 루프
KR101959789B1 (ko) 2017-10-20 2019-03-20 국방과학연구소 주파수합성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M., Cho, S. and Park, C. (2015), 30-GHz CMOS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using drain-gate coupled transform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parasitic components. Microw. Opt. Technol. Lett., 57:*
W. Deng, K. Okada and A. Matsuzawa, "Class-C VCO With Amplitude Feedback Loop for Robust Start-Up and Enhanced Oscillation Swing," in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vol. 48, no. 2, pp. 429-44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144A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6883B2 (en) Feedback loop for LC VCO
US5561398A (en) LC-tuned voltage controlled ring oscillator
US6680655B2 (en) Automatic gain control for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KR100877688B1 (ko) 선형적인 가변 커패시턴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lc 공진 회로
US7375596B2 (en) Quadratur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9425735B2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US7256660B2 (en) CMOS LC-tank oscillator
US20060220754A1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KR20060048020A (ko) 가변 용량 기능의 온 오프 스위치를 가지는 가변 용량회로, 및 이 가변 용량 회로를 사용한 전압 제어 발진기
JP2010504676A (ja) 電圧制御発振器
JP7056346B2 (ja) 4相発振器、fsk変調器及び光モジュール
KR100938086B1 (ko) 발진기
US5422605A (en) Low-noise push-pull crystal oscillator
EP1938448B1 (en) An oscillator circuit
KR20080112813A (ko) 능동 인덕터를 이용한 전압제어 발진기
KR102565375B1 (ko) 전압제어발진기
JPH10284937A (ja) 発振器共振回路内の寄生発振モードを回避する回路
JP2015095900A (ja) 発振器バッファ及び発振器バッファを較正する方法
US11750199B2 (en) Quadrature oscillator circuitry and circuitry comprising the same
KR100549223B1 (ko) 전류궤환형 전압제어발진기
US20170201213A1 (en) Variable frequency oscillator having wide tuning range and low phase noise
KR101951553B1 (ko) 전류 재사용 전압제어발진기
KR20030054196A (ko) 넓은 주파수 조정 범위를 갖는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위상동기 루프 회로
EP2081291A1 (en) Biasing circuit and method for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WO2007036849A1 (en) Varactor-less oscillator with enhanced tuning cap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