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330B1 -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330B1
KR102565330B1 KR1020210103354A KR20210103354A KR102565330B1 KR 102565330 B1 KR102565330 B1 KR 102565330B1 KR 1020210103354 A KR1020210103354 A KR 1020210103354A KR 20210103354 A KR20210103354 A KR 20210103354A KR 102565330 B1 KR102565330 B1 KR 102565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odule
tank
bracket
valv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1461A (ko
Inventor
황이
김태현
전은준
이민규
윤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210103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33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1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탱크의 내부에서 탱크와 결합된 브라켓; 및 탱크의 내부로 삽입되어 브라켓에 슬라이딩 되며 체결되어 탱크의 내부에 위치된 밸브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VALVE DEVICE ON TAN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밸브 모듈이 탱크 내부에 위치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연료, 냉각수 또는 요소수 등과 같은 다양한 유체를 저장하기 위하여 탱크가 장착되며, 탱크는 차량의 무게배분을 위해 차량의 하부에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차량의 하부에 장착된 탱크에는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공급하기 위해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종래의 탱크에는 밸브가 외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탱크에 관통된 관통홀을 형성하고 밸브를 융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밸브와 탱크 사이에서 누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탱크 외부에 위치된 밸브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4-0048630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탱크 내부에 브라켓을 설치하고 브라켓에 밸브 모듈을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장착시킴으로써 탱크 내부에 밸브를 배치하여 밸브의 배치 설계 자유도를 향상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밸브를 보호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는 차량용 탱크의 내부에서 탱크와 결합된 브라켓; 및 탱크의 내부로 삽입되어 브라켓에 슬라이딩 되며 체결되어 탱크의 내부에 위치된 밸브 모듈;을 포함한다.
밸브 모듈에는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체결부가 포함되고, 브라켓에는 체결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체결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레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밸브 모듈에는 체결부가 슬라이딩되는 방향과 반대측에서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단면적이 확장되는 걸림부가 더 포함되며, 브라켓에는 걸림부에 대응되도록 입구가 내부의 단면적보다 좁게 형성된 홈부가 더 포함되고, 체결부가 레일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된 이후 걸림부가 홈부에 억지 끼워 맞춤을 통해 결합되어 밸브 모듈을 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는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너비가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브라켓은 체결부의 너비에 대응되도록 너비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에는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며,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높이가 감소되도록 형성된 제1돌기가 포함되고, 제1돌기는 체결부가 슬라이딩 완료 후 브라켓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부의 체결 해제를 저지할 수 있다.
체결부에는 제1돌기와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방으로 돌출되며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높이가 감소되도록 형성된 1개 이상의 제2돌기가 더 포함되고, 브라켓에는 제2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돌기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더 포함되어 체결부가 레일부에 슬라이딩되면서 제2돌기가 삽입부에 삽입됨에 따라 밸브 모듈이 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
밸브 모듈에는 측면에 돌출되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부가 포함되고, 브라켓은 밸브 모듈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수직방향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리브부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된 연장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연장부에는 밸브 모듈의 하부에서 밸브 모듈 측으로 단지게 형성되어 밸브 모듈의 하부를 지지하는 단차부가 포함될 수 있다.
밸브 모듈에는 연장부와 접촉되는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부가 형성되고, 연장부에는 고정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며, 리브부가 연장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된 이후 고정부가 관통홀에 삽입되어 밸브 모듈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는 밸브 모듈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연장부에는 밸브 모듈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어 밸브 모듈의 슬라이딩을 저지하는 지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는 탱크의 내부 상면에 브라켓을 장착하고, 밸브 모듈을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결합시킴에 따라 탱크 외부에 장착된 종래의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와 대비하여 탱크의 내부에 밸브 모듈이 결합되어 밸브의 위치를 설정하는 자유도가 크게 향상되며, 밸브를 장착하기 위한 홀을 탱크에 형성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종래의 밸브 모듈과 탱크 장착부위 사이로 발생되는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밸브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탱크 밸브 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차량용 탱크 밸브 장치의 장착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탱크 밸브 장치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차량용 탱크 밸브 장치의 장착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탱크 밸브 장치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차량용 탱크 밸브 장치의 장착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6의 차량용 탱크 밸브 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탱크 밸브 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차량용 탱크 밸브 장치의 장착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탱크 밸브 장치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차량용 탱크 밸브 장치의 장착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탱크 밸브 장치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차량용 탱크 밸브 장치의 장착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6의 차량용 탱크 밸브 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탱크 밸브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차량에는 연료, 냉각수 또는 요소수를 저장하기 위해 탱크가 마련될 수 있으며, 탱크에는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 및 배출된 유체가 다시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된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밸브는 보통 탱크의 위치될 수 있으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탱크와 밸브가 연결된 부위가 파손되거나, 또는 밸브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밸브를 탱크 내부의 상면에 배치시키는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는 차량용 탱크의 내부에서 탱크와 결합된 브라켓(100); 및 탱크의 내부로 삽입되어 브라켓(100)에 슬라이딩 되며 체결되어 탱크의 내부에 위치된 밸브 모듈(200);을 포함한다.
밸브를 탱크 내부에서 상면에 결합시키기 위해 탱크의 내부 상면에는 브라켓(10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은 탱크와 동일한 재질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부에 돌출된 부분이 열에 의해 탱크의 상면에 융착되어 탱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융착 결합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에 의해 탱크 내부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밸브 모듈(200)은 브라켓(100)에 채결되어 탱크 내부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밸브 모듈(200)은 브라켓(100)과 슬라이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밸브 모듈(200)은 탱크의 상면 외부에 별도로 밸브를 융착시키지 않으며 밸브 모듈(200)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 모듈(200)이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탱크 내부에서 작업자가 브라켓(100)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수작업에 의해 브라켓(100)에 밸브 모듈(200)을 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밸브 모듈(200)에는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체결부(210)가 포함되고, 브라켓(100)에는 체결부(2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체결부(21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레일부(110)가 포함될 수 있다.
밸브 모듈(200)의 상측에는 체결부(210)가 상방으로 돌출된 이후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브라켓(100)에는 체결부(210)가 삽입되도록 체결부(210)에 대응되는 레일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210)는 연장된 방향으로 레일부(110)에 삽입되고 슬라이딩되어 밸브 모듈(200)과 브라켓(100)을 체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밸브 모듈(200)과 브라켓(100)이 탱크 내부에 위치되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밸브 모듈(200)과 브라켓(100)을 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밸브 모듈(200)에는 체결부(210)가 슬라이딩되는 방향과 반대측에서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단면적이 확장되는 걸림부(220)가 더 포함되며, 브라켓(100)에는 걸림부(220)에 대응되도록 입구가 내부의 단면적보다 좁게 형성된 홈부(120)가 더 포함되고, 체결부(210)가 레일부(110)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된 이후 걸림부(220)가 홈부(120)에 억지 끼워 맞춤을 통해 결합되어 밸브 모듈(200)을 브라켓(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밸브 모듈(200)의 상면에서 체결부(210)가 연장된 방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방향에서 교차된 방향으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걸림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부(220)가 브라켓(100)에 결림 결합되기 위해 브라켓(100)에는 걸림부(2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홈부(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부(220)는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부(210)가 레일부(110)에 슬라이딩 결합된 이후에 밸브 모듈(200)이 걸림부(220)가 홈부(120)에 체결됨으로써 밸브 모듈(200)이 브라켓(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체결부(210)는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너비가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레일부(110)는 체결부(210)의 너비에 대응되도록 너비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체결부(210)는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너비가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레일부(110)는 체결부(210)의 너비 형상에 따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부(210)는 레일부(11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고, 체결부(210)의 너비가 점차 좁아짐에 따라 슬라이딩이 저지되며 작업자가 레일부(110)와 체결부(210)가 시야에 보이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이 완료된 것을 감각을 통해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체결부(210)에는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되며,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높이가 감소되도록 형성된 제1돌기(230)가 포함되고, 제1돌기(230)는 체결부(210)가 슬라이딩 완료 후 브라켓(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부(210)의 체결 해제를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1돌기(230)는 체결부(210)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두께가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돌기(230)는 체결부(210)가 레일부(110)에 체결이 완료시 레일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레일부(110)의 외측에 걸림을 통해 체결부(210)와 레일부(110)의 슬라이딩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두께가 감소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체결시 슬라이딩이 쉽게 될 수 있으며, 체결된 이후에는 제1돌기(230)의 두께가 두꺼운 후단부가 레일부(110)의 외측에 결림에 따라 슬라이딩 결합 해제를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체결부(210)에는 제1돌기(230)와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방으로 돌출되며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높이가 감소되도록 형성된 1개 이상의 제2돌기(240)가 더 포함되고, 브라켓(100)에는 제2돌기(2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돌기(240)가 삽입되는 삽입부(130)가 더 포함되어 체결부(210)가 레일부(110)에 슬라이딩되면서 제2돌기(240)가 삽입부(130)에 삽입됨에 따라 밸브 모듈(200)이 브라켓(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결부(210)의 상측에는 제1돌기(230)와 체결부(210)가 슬라이딩되는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방으로 돌출되어 제2돌기(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돌기(240)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00)에는 제2돌기(24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며 관통된 삽입부(130)가 형성되고, 제2돌기(240)는 체결부(21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삽입부(130)에 각각 삽입되어 체결부(210)가 레일부(110)에 슬라이딩된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밸브 모듈(200)이 탱크 내부에서 브라켓(100)과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밸브 모듈(200)에는 측면에 돌출되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부(250)가 포함되고, 브라켓(100)은 밸브 모듈(200)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수직방향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리브부(250)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된 연장부(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브라켓(10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 연장부(140)가 형성되며, 연장부(140)는 밸브 모듈(200)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홈이 형성되고, 밸브 모듈(200)에는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측면에 돌출된 리브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밸브 모듈(200)은 리브부(250)가 연장부(14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며 슬라이딩되어 브라켓(100)과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밸브 모듈(200)은 탱크의 내부에서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연장부(140)에는 밸브 모듈(200)의 하부에서 밸브 모듈(200) 측으로 단지게 형성되어 밸브 모듈(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단차부(16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모듈(200)의 리브부(250)가 연장부(140)의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시 밸브 모듈(20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연장부(140)의 하부에서 밸브 모듈(200)의 하측에서 밸브 모듈(200)의 내측으로 만입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160)가 밸브 모듈(2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브부(250)가 홈에 삽입될 뿐만 아니라 밸브 모듈(200)의 하부가 단차부(160)에 지지됨에 의해 밸브 모듈(200)이 지지되는 하중이 분산되어 브라켓(100)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밸브 모듈(200)에는 연장부(140)와 접촉되는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부(260)가 형성되고, 연장부(140)에는 고정부(26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관통홀(141)이 형성되며, 리브부(250)가 연장부(14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된 이후 고정부(260)가 관통홀(141)에 삽입되어 밸브 모듈(200)이 고정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모듈(200)의 측면에는 돌출된 돌기 형상의 고정부(260)가 형성되고, 연장부(140)에는 고정부(26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관통홀(141)이 형성되어, 밸브 모듈(200)이 연장부(140)에 슬라이딩 결합시 고정부(260)가 관통홀(141)에 삽입되어 밸브 모듈(200)이 브라켓(100)에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100)에 슬라이딩 결합된 밸브 모듈(200)이 고정부(260)를 통해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부(260)는 밸브 모듈(200)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60)는 밸브 모듈(200)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두께가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밸브 모듈(200)이 슬라이딩시에는 쉽게 슬라이딩되며, 고정부(260)가 관통홀(141)에 삽입된 이후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관통홀(141)에 걸려 밸브 모듈(200)과 연장부(1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밸브 모듈(200)이 연장부(140)에 슬라이딩 결합된 이후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장부(140)에는 밸브 모듈(200)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어 밸브 모듈(200)의 슬라이딩을 저지하는 지지부(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연장부(140)는 밸브 모듈(200)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양측면에 한 쌍이 위치되어 밸브 모듈(200)이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연장부(140)의 밸브 모듈(200)이 슬라이딩되는 방향 단부가 연결된 지지부(1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저지부는 밸브 모듈(200)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 밸브 모듈(200)의 결합시 슬라이딩이 완료된 것을 감각으로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브라켓
110 : 레일부
120 : 홈부
130 : 삽입부
140 : 연장부
141 : 관통홀
150 : 지지부
160 : 단차부
200 : 밸브 모듈
210 : 체결부
220 : 걸림부
230 : 제1돌기
240 : 제2돌기
250 : 리브부
260 : 고정부

Claims (11)

  1. 차량용 탱크의 내부에서 탱크와 결합된 브라켓; 및
    탱크의 내부로 삽입되어 브라켓에 슬라이딩 되며 체결되어 탱크의 내부에 위치된 밸브 모듈;을 포함하며,
    밸브 모듈에는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체결부가 포함되며,
    브라켓에는 체결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체결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레일부가 포함되며,
    체결부에는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되고,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높이가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체결부가 슬라이딩 완료 후 브라켓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부의 체결 해제를 저지하는 제1돌기와, 제1돌기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며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높이가 감소되도록 형성된 1개 이상의 제2돌기가 포함되고,
    브라켓에는 제2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돌기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포함되어 체결부가 레일부에 슬라이딩되면서 제2돌기가 삽입부에 삽입됨에 따라 밸브 모듈이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밸브 모듈에는 체결부가 슬라이딩되는 방향과 반대측에서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단면적이 확장되는 걸림부가 더 포함되고,
    브라켓에는 걸림부에 대응되도록 입구가 내부의 단면적보다 좁게 형성된 홈부가 더 포함되고,
    체결부가 레일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된 이후 걸림부가 홈부에 억지 끼워 맞춤을 통해 결합되어 밸브 모듈을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체결부는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너비가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브라켓은 체결부의 너비에 대응되도록 너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5. 삭제
  6. 삭제
  7. 차량용 탱크의 내부에서 탱크와 결합된 브라켓; 및
    탱크의 내부로 삽입되어 브라켓에 슬라이딩 되며 체결되어 탱크의 내부에 위치된 밸브 모듈;을 포함하며,
    밸브 모듈에는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체결부가 포함되며,
    브라켓에는 체결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체결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레일부가 포함되며,
    밸브 모듈에는 측면에 돌출되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부가 포함되고,
    브라켓은 밸브 모듈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수직방향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리브부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된 연장부가 포함되며,
    연장부에는 밸브 모듈의 하부에서 밸브 모듈 측으로 단지게 형성되어 밸브 모듈의 하부를 지지하는 단차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밸브 모듈에는 연장부와 접촉되는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부가 형성되고,
    연장부에는 고정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며,
    리브부가 연장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된 이후 고정부가 관통홀에 삽입되어 밸브 모듈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고정부는 밸브 모듈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두께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연장부에는 밸브 모듈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어 밸브 모듈의 슬라이딩을 저지하는 지지부가 더 포함된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KR1020210103354A 2021-08-05 2021-08-05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KR102565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354A KR102565330B1 (ko) 2021-08-05 2021-08-05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354A KR102565330B1 (ko) 2021-08-05 2021-08-05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461A KR20230021461A (ko) 2023-02-14
KR102565330B1 true KR102565330B1 (ko) 2023-08-10

Family

ID=8522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354A KR102565330B1 (ko) 2021-08-05 2021-08-05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3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7267A (ja) 2003-10-27 2005-05-19 Piolax Inc インタンク用バルブの取付け構造
JP2008202635A (ja) 2007-02-16 2008-09-04 Piolax Inc リリーフバルブ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174B1 (ko) 2002-12-04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에 장착되는 리저버 컵의 체크밸브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7267A (ja) 2003-10-27 2005-05-19 Piolax Inc インタンク用バルブの取付け構造
JP2008202635A (ja) 2007-02-16 2008-09-04 Piolax Inc リリーフ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461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99641A1 (en) Fastenerless attachment system applied to vehicle engine cooling module components
AU2012201449B2 (en) Bracket and method for attaching heat exchanger
KR102565330B1 (ko)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US7857264B2 (en) Mounting assembly
CA2741308C (en) Vehicle front end assembly and method
KR101435665B1 (ko) 쿨링모듈
KR102565331B1 (ko)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WO2016005413A1 (en) An integrated bracket for automotive heat exchanger
JP4447149B2 (ja) 熱交換器のブラケット取付構造
EP3750681A1 (en) Reinforcing member
CA2590170C (en) Bracket for mounting heat exchanger
KR20130080127A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20150099968A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20110133981A (ko) 차량용 팬 쉬라우드의 마운팅 구조
KR101731299B1 (ko) 응축기
KR20170115895A (ko) 차량용 열교환기
CN213453955U (zh) 接水盘安装组件
CN108981176A (zh) 连接固定结构、水箱内胆组件及热水器
US11850917B2 (en) Snap fit heat exchanger bracket
KR101362359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CN213199401U (zh) 端部具有加强结构的暖风芯体散热组件
US11953212B1 (en) Hydronic apparatus support system
CN212158285U (zh) 一种型材散热器
KR100786701B1 (ko) 자동차용 파이프 결합구조
KR20230021463A (ko) 차량용 탱크의 밸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