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152B1 - 공기 청정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152B1
KR102565152B1 KR1020210029705A KR20210029705A KR102565152B1 KR 102565152 B1 KR102565152 B1 KR 102565152B1 KR 1020210029705 A KR1020210029705 A KR 1020210029705A KR 20210029705 A KR20210029705 A KR 20210029705A KR 102565152 B1 KR102565152 B1 KR 102565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ver plate
blowing
ventilation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3094A (ko
Inventor
백복현
김민아
Original Assignee
백복현
김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복현, 김민아 filed Critical 백복현
Publication of KR20210113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파트 및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 및 상기 제2 파트는 각각, 개방홀이 형성되고, 고정 대상물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외기를 정화하여 실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개방홀의 어느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환기 모듈; 및 상기 개방홀의 다른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 장치{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미세먼지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공기 청정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공기 청정 장치에 필터로서 주로 사용되는 헤파 필터는 초미세먼지와 같은 고상의 이물질은 포집할 수 있지만, 실내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는 포집할 수 없다. 이에, 헤파 필터를 이용해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의 공기 청정 장치만으로는 실내에서 발생한 유해가스를 제거할 수 없는 바, 실내 공기를 인체에 무해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과 함께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환기 작업이 필요하다. 그런데, 외부 환경에 따라, 환기 시 공급되는 실외 공기에는 다량의 초미세먼지, 기타 이물질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는 바, 환기로 인해 실내 공기가 오히려 오염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실외 공기를 필터를 이용해 정화하여 실내 공간에 공급하도록 마련된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창문은 다양한 규격을 갖는 바, 종래의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는 적용 가능한 창문의 종류가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는 조립 구조가 복잡하여, 공기 정청 장치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창문에 적용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는,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파트 및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 및 상기 제2 파트는 각각, 개방홀이 형성되고, 고정 대상물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외기를 정화하여 실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개방홀의 어느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환기 모듈; 및 상기 개방홀의 다른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공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공기 청정 장치를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파트들로 구성하므로, 공기 청정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창문, 출입구 등의 크게에 맞춰 상기 한 쌍의 파트들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공기 청정 장치의 크기를 조절한 후, 공기 청정 장치를 창문, 출입구 등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창문, 출입구 등에 적용 가능한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결합핀을 이용해 송풍 부재를 원터치로 공기 청정 장치에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고, 연결 부재를 이용해 송풍 부재의 구동 모터를 원터치로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할 수 있도록, 모듈화된 환기 모듈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전문 설치 기사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용이하게 설치 및 유지 보수할 수 있는 편의성 및 경제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청정 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환기 모듈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플레이트에 제1 환기홀 및 제1 결합홀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버 플레이트와 송풍 부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결합핀의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환기 모듈의 후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환기 모듈에 있어서, 필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환기 모듈의 정면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브라켓과 단자 탭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단자들의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청정 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1)는, 실내 공기(이하, '내기'라고 함)의 환기를 위해 외부의 공기(이하, '외기'라고 함)를 정화하여 실내에 공급하는 환기형 공기 청정 장치로서, 창문, 출입구 등 설치 시설의 공기 유동 통로에 설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창문에 설치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공기 청정 장치(1)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1)는, 제1 파트(2) 및 제2 파트(3) 등 서로 동일 또는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 한 쌍의 파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파트(2) 및 제2 파트(3)는 각각, 중심부에 개방홀(12)이 개방 형성되고, 창틀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10)과, 외기를 정화하여 실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지지 프레임(10)의 개방홀(12)의 어느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지지 프레임(10)에 설치되는 환기 모듈(20)과,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마련되며, 상기 개방홀(12)의 어느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분을 커버하도록 지지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커버 부재(3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상기 개방홀(1)의 어느 일부분을 제1 개방홀(12a)이라고 명명하고, 상기 개방홀의 나머지 일부분을 제2 개방홀(12b)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지지 프레임(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 청정 장치(1)를 설치하고자 하는 창문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 지지 프레임(10)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부재(30)는 제2 개방홀(12b)을 커버하도록 제2 개방홀(12b)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커버 부재(3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커버 부재(30)는 투명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파트(2)와 제2 파트(3) 중 어느 하나는, 제1 파트(2)와 제2 파트(3) 중 다른 하나에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트(3)는 제1 파트(2)에 창문의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파트(2)는 창틀의 상부에 고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제2 파트(3)는 창틀의 하부에 고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공기 청정 장치(1)를 한 쌍의 파트들(2, 3)로 구성함에 따라, 공기 청정 장치(1)를 설치하고자 하는 창문의 높이에 맞춰 제2 파트(3)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공기 청정 장치(1)의 높이를 조절한 후, 공기 청정 장치(1)를 창문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 청정 장치(1)는, 다양한 규격의 창문에 설치 가능한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기 청정 장치(1)는 창문의 일부를 개방한 후 창문의 개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설치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환기 모듈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플레이트에 제1 환기홀 및 제1 결합홀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버 플레이트와 송풍 부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결합핀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환기 모듈(20)은, 상기 제1 개방홀(12a)을 커버하도록 지지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21)와, 외기를 외부에서 실내 공간을 향해 송풍 가능하도록 커버 플레이트(21)에 결합되는 송풍 부재(23) 등을 가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개방홀(12a)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에, 커버 플레이트(21)는 제1 개방홀(12a)을 커버 가능하도록 제1 개방홀(12a)과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1)는 실외 공간과 실내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천공된 제1 환기홀(21a)과, 커버 플레이트(21)와 송풍 부재(23)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핀(25)을 삽입 가능하도록 천공된 제1 결합홀(21b) 등을 가질 수 있다.
제1 환기홀(21a)은 후술할 송풍 부재(23)의 제2 환기홀(23c)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천공되는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환기홀(21a)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커버 플레이트(21)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환기홀(21a)이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홀(21b)은 후술할 결합핀(25)과 동일하거나 결합핀(25)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큰 직경을 갖도록 천공된다. 이러한 제1 결합홀(21b)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의 제1 환기홀(21a)의 외주부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홀(21b)이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부재(23)는, 커버 플레이트(21)에 결합되는 하우징(23a)과, 외기를 실내 공간으로 공급하는 송풍팬(23b)과, 송풍팬(23b)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미도시) 등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23a)은, 송풍팬(23b)을 내부에 설치 가능하도록 천공되는 제2 환기홀(23c)과, 결합핀(25)을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천공되는 제2 결합홀들(23d) 등을 가질 수 있다.
제2 환기홀(23c)은 제1 환기홀(21a)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결합홀들(23d)은 각각, 제2 환기홀(23c)이 제1 환기홀들(21a) 중 어느 하나와 합치되도록 하우징(23a)이 배치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환기홀(21a)의 외주부에 형성된 제1 결합홀들(21b) 중 어느 하나와 각각 합치될 수 있도록 천공된다. 또한, 제2 결합홀들(23d)은 각각, 결합핀(25)과 동일하거나 결합핀(25)에 비해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큰 직경을 갖도록 천공된다.
이러한 하우징(23a)은 결합핀(25)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21)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3a)은 결합핀(25)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21)의 정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플레이트(21)의 정면이란, 커버 플레이트(21)의 양면 중 실내 공간을 향하는 면을 말한다.
결합핀(25)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25)은 일측 단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 탄성편들(25a)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편들(25a)은 결합핀(25)의 일측 단부를 절개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3a)과 커버 플레이트(21)의 결합 시에는, 제2 환기홀(23c) 및 제2 결합홀들(23d)이 제1 환기홀(21a) 및 제1 결합홀들(21b)과 합치되도록 하우징(23a)을 배치한 상태에서 탄성편들(25a)을 탄성 변경시킨 결합핀(25)을 서로 합치된 제2 결합홀(23d) 및 제1 결합홀(21b)에 삽입한다. 그러면, 하우징(23a)은 탄성 복원된 탄성편들(25a)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21)에 결합될 수 있다.
송풍팬(23b)은 제2 환기홀(23c)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구동 모터는 송풍팬(23b)과 축 결합되도록 제2 환기홀(23c)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러면, 구동 모터의 구동 시, 송풍팬(23b)은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외기를 송풍하여 실내 공간에 공급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환기 모듈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환기 모듈에 있어서, 필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환기 모듈(20)은 송풍팬(23b)에 의해 공급되는 외기를 정화하도록 커버 플레이트(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27)를 더 가질 수 있다.
필터(27)는 하우징(23a)이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21)의 일면과 반대되는 커버 플레이트(21)의 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3a)이 커버 플레이트(21)의 전면에 결합되는 경우에, 필터(27)는 제1 환기홀들(21a)을 커버하도록 커버 플레이트(21)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필터(27)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필터(27)가 커버 플레이트(21)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27)로서 사용 가능한 필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필터(27)는 헤파 필터일 수 있다.
이러한 필터(27)는 환기를 위해 실내 공간에 공급되는 외기 중에 포함된 초미세먼지, 기타 이물질을 정화하여, 환기 시 외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내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환기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브라켓과 단자 탭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단자들의 부분 확대도이다.
환기 모듈(20)은 송풍 부재(23)와 외부의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연결 부재(29)를 더 가질 수 있다.
연결 부재(29)는 송풍 부재들(23) 사이 간격에 위치하도록 커버 플레이트(21)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부재들(23)이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설치된 경우에, 상기 다수의 열 중 서로 짝을 이루는 한 쌍의 열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29)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풍 부재들(23)이 다수의 행을 이루도록 설치된 경우에, 상기 다수의 행 중 서로 짝을 이루는 한 쌍의 행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29)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29)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 부재(29)는, 상기 한 쌍의 열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커버 플레이트(21)의 정면에 결합되는 브라켓(29a)과, 브라켓(29a)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반대 극성을 갖는 제1 버스바(29b) 및 제2 버스바(29c)와, 버스바들(29b, 29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브라켓(29a)에 고정되는 단자 탭(29d) 등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29a)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9a)은 상부가 개방된 'ㄷ' 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29a)은 단자 탭(29d)을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9a)은 후술할 단자 탭(29d)의 후크들(29j) 중 어느 하나를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양측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후크홈들(29e)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29a)은 제1 버스바(29b) 및 제2 버스바(29c)를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9a)은 양측 내주면에 각각 버스바들(29b, 29c) 중 어느 하나를 삽입 가능하도록 브라켓(29a)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홈들(29f)을 가질 수 있다.
제1 버스바(29b) 및 제2 버스바(29c)는 송풍 부재(23)의 구동 모터와 외부의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1 버스바(29b)는 삽입홈들(29f)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며, 도선(미도시)에 의해 전원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버스바(29b)는 일부분이 삽입홈(29f)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갖는다.
제2 버스바(29c)는 삽입홈들(29f) 나머지 하나에 삽입되며, 도선(미도시)에 의해 전원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버스바(29c)는 일부분이 삽입홈(29f)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미리 정해진 크기를 갖는다.
단자 탭(29d)은 송풍 부재(23)의 구동 모터와 버스바들(29b, 29c)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탭(29d)은, 브라켓(29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탭 본체(29g)와, 제1 버스바(29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탭 본체(29g)에 고정되는 양극 단자(29h)와, 제2 버스바(29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탭 본체(29g)에 고정되는 음극 단자(29i)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자 탭(29d)은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한 쌍의 열에 속한 송풍 부재(23)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단자 탭들(29d)이 브라켓(29a)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자 탭들(29d)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열에 속한 송풍 부재들(23) 중 어느 하나의 구동 모터를 버스바들(29b, 29c)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탭 본체(29g)는, 브라켓(29a)의 후크홈들(29e) 중 어느 하나에 각각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후크들(29j)과, 탭 본체(29g)와 브라켓(29a) 사이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기준 간격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탭 본체(29g)의 하면에 브라켓(29a)의 바닥면을 향해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29k)와, 양극 단자(29h)의 하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탭 본체(29g)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 홀더(29l)와, 음극 단자(29i)의 하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탭 본체(29g)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홀더(29m)와, 양극 단자(29h)의 상단부를 삽입할 수 있록 탭 본체(29g)에 천공되는 제1 단자홀(29n)과, 음극 단자(29i)의 상단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탭 본체(29g)에 천공되는 제2 단자홀(29o) 등을 가질 수 있다.
양극 단자(29h)는 하단부는, 제1 홀더(29l)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제1 홀더(29l)에 고정되되, 탭 본체(29g)가 브라켓(29a)에 결합될 때 제1 버스바(29b)에 접촉되도록 제1 홀더(29l)에 고정된다.
양극 단자(29h)의 상단부는 탭 본체(29g)의 상측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제1 단자홀(29n)에 삽입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양극 단자(29h)의 상단부에는 제1 고정홈(29p)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한 쌍의 열에 속한 송풍 부재들(23) 중 어느 하나의 구동 모터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선(미도시)을 제1 고정홈(29p)에 끼우거나 감아주는 방식 등을 통해 제1 고정홈(29p)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어느 하나의 송풍 부재(23)의 구동 모터의 양극과 외부 전원의 양극은, 도선, 양극 단자(29h) 및 제1 버스바(29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극 단자(29i)는 하단부는, 제2 홀더(29m)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제2 홀더(29m)에 고정되되, 탭 본체(29g)가 브라켓(29a)에 결합될 때 제2 버스바(29c)에 접촉되도록 제2 홀더(29m)에 고정된다.
음극 단자(29i)의 상단부는 탭 본체(29g)의 상측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제2 단자홀(29o)에 삽입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음극 단자(29i)의 상단부에는 제2 고정홈(29q)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한 쌍의 열에 속한 송풍 부재들(23) 중 어느 하나의 구동 모터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선(미도시)을 제2 고정홈(29q)에 끼우거나 감아주는 방식 등을 통해 제2 고정홈(29q)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어느 하나의 송풍 부재(23)의 구동 모터의 음극과 외부 전원의 음극은, 도선, 음극 단자(29i) 및 제2 버스바(29c)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공기 청정 장치(1)는, 결합핀(25)을 이용해 송풍 부재(23)를 원터치로 공기 청정 장치(1)에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고, 연결 부재(29)를 이용해 송풍 부재(23)의 구동 모터를 원터치로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할 수 있도록, 모듈화된 환기 모듈(20)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공기 청정 장치(1)는, 전문 설치 기사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용이하게 설치 및 유지 보수할 수 있는 편의성 및 경제성을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공기 청정 장치
2 : 제1 파트
3 : 제2 파트
10 : 지지 프레임
12 : 개방홀
12a : 제1 개방홀
12b : 제2 개방홀
20 : 환기 모듈
21 : 커버 플레이트
21a : 제1 환기홀
21b : 제1 결합홀
23 : 송풍 부재
23a : 하우징
23b : 송풍팬
23c : 제2 환기홀
23d : 제2 결합홀
25 : 결합핀
25a : 탄성편
27 : 필터
29 : 연결 부재
29a : 브라켓
29b : 제1 버스바
29c : 제2 버스바
29d : 단자 탭
29e : 후크홈
29f : 삽입홈
29g : 탭 본체
29h : 양극 단자
29i : 음극 단자
29j : 후크
29k : 스토퍼
29l : 제1 홀더
29m : 제2 홀더
29n : 제1 단자홀
29o : 제2 단자홀
29p : 제1 고정홈
29q : 제2 고정홈
30 : 커버 부재

Claims (12)

  1. 미리 정해진 부분에 개방 형성되는 개방홀을 구비하고, 창틀에 고정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및
    실외 공간과 실내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 환기홀을 갖고, 상기 개방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실외 공간의 외기를 상기 제1 환기홀을 통해 상기 실내 공간을 향해 송풍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송풍 부재와, 상기 외기를 정화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를 구비하는 환기 모듈을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 부재는, 상기 제1 환기홀과 합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 환기홀을 갖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2 환기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외기를 상기 실내 공간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을 갖고,
    상기 환기 모듈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버스바와, 상기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송풍팬과 상기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탭을 갖는 연결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버스바가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갖고,
    상기 단자 탭은, 상기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탭 본체와, 상기 탭 본체가 상기 브라켓에 결합될 때, 일측 단부가 상기 삽입홈의 외부로 노출된 버스바의 일부분과 접촉되도록 상기 탭 본체에 결합되는 단자를 갖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환기홀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홀을 더 갖고,
    상기 하우징은 제1 결합홀과 합치되도록 상기 제2 환기홀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홀을 더 갖고,
    상기 송풍 부재는, 서로 합치된 제1 결합홀과 제2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결합핀을 더 구비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은, 결합핀이 서로 합치된 제1 결합홀과 제2 결합홀에 삽입될 때 탄성 변형되도록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탄성편들을 갖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일측 단부와 반대되는 타측 단부가 상기 탭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탭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탭 본체 중 어느 하나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홈을 갖고,
    상기 브라켓과 상기 탭 본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후크홈과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를 갖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탭 본체는,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홈에 결합될 때 상기 탭 본체와 상기 브라켓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갖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10. 미리 정해진 부분에 개방 형성되는 개방홀을 구비하고, 창틀에 고정 가능하게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및
    실외 공간과 실내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 환기홀을 갖고, 상기 개방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실외 공간의 외기를 상기 제1 환기홀을 통해 상기 실내 공간을 향해 송풍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송풍 부재와, 상기 외기를 정화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를 구비하는 환기 모듈을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 부재는, 상기 제1 환기홀과 합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 환기홀을 갖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제2 환기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외기를 상기 실내 공간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을 갖고,
    상기 환기 모듈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버스바와, 상기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송풍팬과 상기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탭을 갖는 연결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송풍 부재가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 부재는, 서로 짝을 이루는 송풍 부재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단자 탭은, 상기 서로 짝을 이루는 송풍 부재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210029705A 2020-03-05 2021-03-05 공기 청정 장치 KR102565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613 2020-03-05
KR20200027613 2020-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094A KR20210113094A (ko) 2021-09-15
KR102565152B1 true KR102565152B1 (ko) 2023-08-10

Family

ID=7779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705A KR102565152B1 (ko) 2020-03-05 2021-03-05 공기 청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1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4264A (ja) * 2003-10-09 2005-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振動吸収機能付きシャッター及びシャッター付き換気装置
JP2018129927A (ja) * 2017-02-08 2018-08-16 株式会社ケーヒン 空調用ブロアモータユニット
KR101962940B1 (ko) * 2018-10-08 2019-03-27 강정수 환기장치
KR101993561B1 (ko) 2018-11-29 2019-06-26 조진숙 창문형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368Y1 (ko) * 2009-03-25 2012-02-15 최구락 창틀고정용 환기장치
KR20170001623U (ko) * 2015-10-30 2017-05-11 임대호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KR20190000821U (ko) * 2019-03-12 2019-04-01 임명일 이동식 베란다 환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4264A (ja) * 2003-10-09 2005-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振動吸収機能付きシャッター及びシャッター付き換気装置
JP2018129927A (ja) * 2017-02-08 2018-08-16 株式会社ケーヒン 空調用ブロアモータユニット
KR101962940B1 (ko) * 2018-10-08 2019-03-27 강정수 환기장치
KR101993561B1 (ko) 2018-11-29 2019-06-26 조진숙 창문형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094A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048573B (zh) 壁挂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1972597B1 (ko) 창호용 조립식 환기 장치
CN213930652U (zh) 一种功能多样的led吸顶灯
KR102565152B1 (ko) 공기 청정 장치
CN210490195U (zh) 一种散热除湿配电柜
CN212319916U (zh) 空气处理装置、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12128963A (zh) 一种空调过滤网及空调
CN204051299U (zh) 一种空气过滤网组件
CN207815498U (zh) 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215761195U (zh) 一种玻璃视窗连接件
CN210638117U (zh) 新风空调室内机
KR101842443B1 (ko) 자연공기의 과학 급기모듈
CN208817622U (zh) 一种墙壁嵌入式空气净化器
CN205842860U (zh) 一种壁挂式空调器室内机
CN110553314A (zh) 壁挂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214620040U (zh) 一种空调过滤网用防尘拆卸装置
JPH02284654A (ja) 空気清浄装置
CN219177944U (zh) 中框组件和空调器
KR200264574Y1 (ko) 분리가능한 환기팬
CN213577906U (zh) 一种穿墙式的墙式新风机
KR20130141022A (ko) 공기 조화기
CN217681252U (zh) 一种外门框及应用其的空调箱检修门
CN218661281U (zh) 一种车载空调用过滤装置
CN219367772U (zh) 用于空调室内机的骨架和壁挂式空调室内机
CN109339683A (zh) 电动伸缩门的副框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