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935B1 - 수납 가능한 선풍기 - Google Patents

수납 가능한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935B1
KR102564935B1 KR1020217004106A KR20217004106A KR102564935B1 KR 102564935 B1 KR102564935 B1 KR 102564935B1 KR 1020217004106 A KR1020217004106 A KR 1020217004106A KR 20217004106 A KR20217004106 A KR 20217004106A KR 102564935 B1 KR102564935 B1 KR 102564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support
base
rod
retrac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8834A (ko
Inventor
융 창 린
주이 핀 시
페이시옹 리
펭 장
요우빙 쳉
얀핑 왕
지안웨이 후앙
Original Assignee
에어메이트 일렉트릭컬(쉔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2456928.4U external-priority patent/CN217440321U/zh
Application filed by 에어메이트 일렉트릭컬(쉔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어메이트 일렉트릭컬(쉔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58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1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2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han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26Mounting or removal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46Mounting or removal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 제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수납 가능한 선풍기는 착탈식으로 연결된 선풍기 헤드, 지지대,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는 제 1 수용홈과 제 2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는 사용 상태와 보관 상태를 가지며;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가 사용 상태인 경우, 상기 선풍기 헤드, 지지대 및 베이스는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가 수납 상태인 경우, 상기 선풍기 헤드는 상기 제 1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 2 수용홈에 수용된다. 선풍기 헤드, 지지대, 베이스는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쉽게 분리가 가능하며, 선풍기 헤드와 지지대를 베이스에 수납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은 나사, 너트 등 고정부재를 제거하지 않아도 되거나 또는 더 적은 고정부재를 사용하기에, 수납 과정이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며, 수납후에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Description

수납 가능한 선풍기
본 출원은 2020 년 10 월 29 일에 중국국가지식재산권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 번호가 202022456928.4, 발명명칭이 “수납 가능한 선풍기”인 중국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 인용의 형태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가전 제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선풍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전 제품으로, 사용률이 비교적 높지만 대부분 여름에 사용되며 다른 계절에는 보관해야 하는 바, 전통적인 선풍기는 모양이 불규칙하고 계절이 변할 때 보관하기가 어려우며 실내 공간을 비교적 많이 차지한다; 기존의 선풍기는 수납시 대부분 외부 커버에 싸서 구석에 설치하거나 선풍기를 여러 부분으로 분해하여 상자에 넣어 보관하며,일반적으로 많은 나사와 너트를 제거해야 베이스, 서포트 암, 선풍기 바디를 분리할 수 있으며, 수납 과정이 번거롭고 복잡하며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따라서, 기존 기술의 선풍기는 사람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다.
본 출원은 기존 기술에 따른 선풍기의 수납 과정이 번거롭고 복잡하며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납이 편리한 선풍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착탈식으로 연결된 선풍기 헤드, 지지대, 베이스를 포함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를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에는 제 1 수용홈과 제 2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는 사용 상태와 보관 상태를 가지며;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가 사용 상태인 경우, 상기 선풍기 헤드, 지지대 및 베이스는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가 수납 상태인 경우, 상기 선풍기 헤드는 상기 제 1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 2 수용홈에 수용되며;
더 나아가,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상기 선풍기 헤드는 메쉬 커버와 상기 메쉬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고정홀이 구비되며;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가 사용 상태인 경우, 상기 지지대의 양단은 각각 상기 연결부와 상기 고정홀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가 수납 상태인 경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수용홈에 고정된다.
또한,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상기 고정홀과 상기 제 1 수용홈은 상기 베이스의 동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수용홈은 상기 베이스의 상반되는 일측에 구비된다.
또한,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상기 지지대는 텔레스코픽 로드이다.
또한,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상기 수납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는 수축 상태이다.
또한,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상기 지지대의 상기 선풍기 헤드와 연결되는 제 1 단부에는 제 1 가압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가압판에는 제 1 블록과 제 1 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선풍기 헤드에는 상기 제 1 블록과 맞물리는 제 1 클램핑부가 구비되고; 및/또는 상기 지지대의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는 제 2 단부에는 제 2 가압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가압판에는 제 2 블록과 제 2 버튼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제 2 블록과 맞물리는 제 2 클램핑부가 구비된다.
또한,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상기 제 1 블록의 상기 지지대의 제 2단부와 멀어지는 일단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쐐기면이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제 2 블록의 상기 지지대의 제 1단부와 멀어지는 일단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쐐기면이 형성된다.
또한,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상기 선풍기 헤드에는 제 1 잠금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제 2 잠금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 상태에서, 상기 제 1 잠금 부재와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서로 매칭되어 잠금된다.
또한,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상기 제 1 잠금 부재는 잠금 레버이고, 상기 잠금 레버의 표면은 그 반경 방향을 따라 정적 차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잠금홀이며, 상기 잠금홀의 내벽에는 동적 차단부가 구비되고,상기 동적 차단부는 탄성력의 작용하에 상기 잠금홀 내부로 이동한다.
또한,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상기 제 1 수용홈의 내부에는 제 3 잠금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 3 잠금 부재는 매칭되어 잠금된다.
또한,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호 연결된 제 1 로드와 제 2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로드는 상기 제 2 로드의 내부에 끼움 설치되며, 상기 제 1 로드의 외벽에는 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 1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로드에는 제어 어셈블리, 리미트 홀과 포지셔닝 핀이 구비되며, 상기 포지셔닝 핀은 상기 리미트 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어셈블리는 상기 포지셔닝 핀이 상기 제 1 요홈과 리미트 홀에 클램핑되는 잠금 상태에 처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포지셔닝 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상기 제 2 로드는 제 1 벽 및 제 2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벽과 상기 제 1 로드는 끼움 결함되며, 상기 제어 어셈블리는 슬라이더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 1 벽과 제 2 벽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 2 벽을 향하는 일측에는 제 2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리미트 홀과 상기 제 1요홈이 마주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포지셔닝 핀을 상기 리미트 홀과 제 1요홈 내부에 제한시킨다.
기존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수납 가능한 선풍기를 제공하며, 선풍기 헤드, 지지대, 베이스는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쉽게 분리가 가능하며, 선풍기 헤드와 지지대를 베이스에 수납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은 나사, 너트 등 고정부재를 제거하지 않아도 되거나 또는 더 적은 고정부재를 사용하기에, 수납 과정이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며, 수납후에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면은 본 출원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의 기타 특징, 목적 및 장점이 더 분명해지도록 한다. 본 출원의 개략적인 실시예의 도면 및 설명은 본 출원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며, 본 출원에 대한 부적절한 제한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의 사용 상태에서의 구조 참조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의 분해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의 선풍기 헤드의 구조 참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D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베이스의 상부면 구조의 참조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베이스의 바닥면 구조의 참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선풍기 헤드와 베이스의 수납 과정의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선풍기 헤드와 베이스가 수납 상태인 경우의 구조 참고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지지대와 베이스가 수납 상태인 경우의 구조 참고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가 사용 상태인 경우의 구조 참고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지지대가 신축 상태인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E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지지대가 신축 상태인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F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G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지지대가 신축 상태인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6의 C-C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G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텔레스코픽 로드 중 하나의 포지셔닝 구조의 특정 구현예에서 미잠금 상태의 구조 참조도이다.
도 2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텔레스코픽 로드 중 하나의 포지셔닝 구조의 특정 구현예에서 잠금 상태의 구조 참조도이다.
당업자들이 본 출원의 방안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 일 뿐이며,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작업이 필요없는 전제하에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기타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청구 범위 및 전술한 도면에서 “제1”, “제 2”등 용어는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정된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는 데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된 데이터는 여기에 설명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을 위해 적절한 상황에서 호환 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포함” 및 “구비” 및 이들의 어떠한 변형은 비 배타적인 포함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의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가 반드시 명확하게 나열된 단계 또는 유닛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았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장비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이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상”, “하”, “내”, “중”, “외”, “전”, “후”등 용어로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를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용어는 주로 본 출원 및 그 실시예를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표시된 장치, 요소 또는 구성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거나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용어 중 일부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 외에 다른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이라는 용어는 어떤 경우에 특정 의존 관계 또는 연결 관계를 나타 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들에게 있어서, 본 출원에서 특정 상황에 따라 이들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연결”, “고정” 등 용어는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연결”은 고정 연결, 분리 가능한 연결 또는 통합 구조 일 수 있으며;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 일 수 있거나; 직접 연결 또는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 연결 또는 두 장치, 구성 요소 또는 구성 요소 간의 내부 연통을 의미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있어서, 특정 상황에 따라 본 출원에서 언급된 상술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와 실시예의 특징은 충돌이 없는 경우 서로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 1-21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는 선풍기 헤드(1), 지지대(2) 및 베이스(3)를 포함하고, 선풍기 헤드(1), 지지대(2) 및 베이스(3)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3)에는 제 1 수용홈(301)과 제 2 수용홈(302)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는 사용 상태와 수납 상태를 갖는다. 사용 상태는 선풍기의 각 부분이 조립된 후, 작업 또는 송풍 준비를 할 때의 상태로,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가 사용 상태인 경우, 선풍기 헤드(1), 지지대(2) 및 베이스(3)는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수납 상태는 선풍기의 각 부분이 정리되어 수닙되는 상태이며,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가 수납 상태인 경우, 상기 선풍기 헤드(1)는 상기 제 1 수용홈(301)내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대(2)는 상기 제 2 수용홈(302)에 수용된다.
상기 실시예의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선풍기 헤드(1), 지지대(2) 및 베이스(3)는 분해의 편의를 위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선풍기 헤드(1) 및 지지대(2)는 베이스(3)에 수납될 수 있으며, 해당 과정은 나사, 너트 등 고정부재를 제거하지 않고도 완성될 수 있으며, 수납 과정이 간단하고 빠르며 수납 후에 차지하는 공간이 적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수용홈(301)은 상기 베이스(3)의 일측에설치되고, 상기 제 2 수용홈(302)은 상기 베이스(3)의 반대되는 일측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5-7에서, 제 1 수용홈(301)은 베이스(3)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 2 수용홈(302)은 베이스(3)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선풍기 헤드(1)와 지지대(2)는 각각 베이스(3)의 양측에 수용 될 수 있어, 베이스(3)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며, 선풍기 헤드(1)와 지지대(2) 사이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에서, 선풍기 헤드(1),지지대(2) 및 베이스(3)의 분리 가능한 연결의 특정 구현예는 바람직하게는 조작이 간단하고 신속하며 구현하기 쉬운 플러그-인 연결이다. 구체적으로,도 11-17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지지대(2)의 양단에는 각각 제 1 플러그부(218)와 제 2 플러그부(21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풍기 헤드(1)는 메쉬 커버(101)와 상기 메쉬 커버(1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102)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3)에는 고정홀(303)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가 사용 상태인 경우, 상기 지지대(2)의 양단은 상기 연결부(102)와 상기 고정홀(303)에 각각 연결되며, 여기서, 지지대(2)의 제 1 플러그부(218)와 연결부는 플러그-인 결합되고, 지지대(2)의 제 2 플러그부(219)는 고정홀(303)과 플러그-인 결합되며;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가 수납 상태인 경우, 상기 연결부(102)는 상기 제 1 수용홈(301) 내에 고정되고, 제 1 수용홈(301)의 형상은 연결 단부의 윤곽과 일치하다.
지지대(2)의 양단과 선풍기 헤드(1) 및 베이스(3)사이의 연결 안정성을 실현하고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지대(2)의 양단에 상응한 구조재를 설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도 15 및 16에 도시 된 바와 같이,지지대(2)가 상기 선풍기 헤드(1)에 연결되는 제 1 단부, 즉, 제 1 플러그부(218)에는 제 1 가압판(201)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가압판(201)에는 제 1 블록(202) 및 제 1 버튼(203)이 설치되며, 상기 선풍기 헤드(1)에는 상기 제 1 블록(202)과 맞물리는 제 1 클램핑부가 설치되고, 제 1 버튼(203)을 누르면 제 1 가압판(201)이 제 1 클램핑부를 구동하여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변위 과정에서 변위 방향과 반대되는 작용력이 발생하며, 제 1 버튼(203)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제 1 가압판(201)과 제 1 버튼(203)은 해당 작용력의 작용하에 리셋되며, 여기서 해당 작용력의 발생은 제 1 가압판(201)과 지지대(2) 사이에 설치된 제 4 탄성 부재(220)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제 1 가압판(201)은 지지대(2)와 일체로 연결된 캔틸레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제 1 가압판(201) 자체의 변형에 의해 해당 작용력이 발생된다. 사용 시, 지지대(2)의 단부에 있는 제 1 버튼(203)을 눌러 제 1 가압판(201)과 제 1 블록(202)이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한 후, 지지대(2) 단부의 제 1 플러그부(218)를 선풍기 헤드(1)의 연결부(102)에 삽입하며, 제 1 버튼(203)을 해제한 후, 제 1 가압판(201)과 제 1 블록(202)은 역방향으로 리셋되고, 제 1 블록(202)은 선풍기 헤드(1)의 연결부(102)에 설치된 제 1 클램핑부와 매칭되어 결합됨으로써 선풍기 헤드(1)와 지지대(2)의 장착 고정을 실현한다. 선풍기 헤드(1)와 지지대(2)를 분리하려는 경우, 지지대(2)의 단부에 위치한 제 1 버튼(203)을 눌러 제 1 가압판(201)과 제 1 블록(202)이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제 1 블록(202)과 제 1 클램핑부가 분리되게 하며, 지지대(2) 단부에 위치한 제 1 플러그부(218)를 선풍기 헤드(1)의 연결부(102) 밖으로 이동시키고 제 1 버튼(203)을 해제하면, 제 1 가압판(201)과 제 1 블록(202)을 역으로 리셋하여 선풍기 헤드(1)와 지지대(2)의 분리를 실현한다.
이와 유사하게, 도 15 및 17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의 상기 베이스(3)에 연결되기 위한 제 2 단부, 즉 제 1 플러그부(219)에는 제 2 가압판(204)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가압판(204)에는 제 2 블록(205)과 제 2 버튼(206)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3)의 고정홀(303)에는 상기 제 2 블록(205)과 맞물리는 제 2 클램핑부가 설치되며, 제 2 버튼(206)을 누르면 제 2 가압판(204)이 제 2 클램핑부를 구동하여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변위 과정에서 변위 방향과 반대되는 작용력이 발생하며, 제 2 버튼(206)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제 2 가압판(204)과 제 2 버튼(206)은 해당 작용력의 작용하에 리셋되며, 여기서 해당 작용력의 발생은 제 2 가압판(204)과 지지대(2) 사이에 설치된 제 5 탄성 부재(221)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제 2 가압판(204)은 지지대(2)와 일체로 연결된 캔틸레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제 2 가압판(204) 자체의 변형에 의해 해당 작용력이 발생된다. 사용 시, 지지대(2)의 단부에 있는 제 2 버튼(206)을 눌러 제 2 가압판(204)과 제 2 블록(205)이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한 후, 지지대(2) 단부의 제 2 플러그부(219)를 베이스(3)의 고정홀(303)에 삽입하며, 제 2 버튼(206)을 해제한 후, 제 2 가압판(204)과 제 2 블록(205)은 역방향으로 리셋되고, 제 2 블록(205)은 베이스(3)의 고정홀(303) 내에 설치된 제 2 클램핑부와 매칭되어 결합됨으로써, 베이스(3)와 지지대(2)의 장착 고정을 실현한다. 베이스(3)와 지지대(2)를 분리하려는 경우, 지지대(2)의 단부에 위치한 제 2 버튼(206)을 눌러 제 2 가압판(204)과 제 2 블록(205)이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제 2 블록(205)과 제 2 클램핑부가 분리되게 하며, 지지대(2) 단부에 위치한 제 2 플러그부(219)를 베이스(3)의 고정홀(303) 밖으로 이동시키고 제 2 버튼(206)을 해제하면, 제 2 가압판(204)과 제 2 블록(205)을 역으로 리셋하여 베이스(3)와 지지대(2)의 분리를 실현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보다 편리하고 빠른 장착 작업을 실현하기 위해,도 16 및 17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블록(202)의 상기 지지대(2) 제 2 단부(제 2 플러그부(219))와 멀어지는 일단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쐐기면이 형성되고, 해당 쐐기면을 구비함으로써, 지지대(2)의 제 1 플러그부(218)를 선풍기 헤드(1)의 연결부(102)에 삽입할 때, 제 1 버튼(203)을 다시 누를 필요가 없으며, 삽입 과정에서 연결부(102)와 제 1 블록(202)의 쐐기면은 상호 간섭하여 제 1 블록(202)과 제 1 가압판(201)이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삽입 동작을 완료한다. 제대로 삽입된 후, 제 1 블록(202)의 쐐기면은 연결부(102)과의 접촉이 분리되며, 제 1 블록은 역방향으로 변위되어 제 1 클램핑부와의 클램핑 연결을 실현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 2 블록(205)의 상기 지지대(2) 제 1 단부(제 1 플러그부(218))와 멀어지는 일단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쐐기면이 형성되고, 해당 쐐기면을 구비함으로써, 지지대(2)의 제 2 플러그부(219)를 베이스(3)의 고정홀(303)에 삽입할 때, 제 2 버튼(206)을 다시 누를 필요가 없으며, 삽입 과정에서 고정홀(303)의 내벽과 제 2 블록(205)의 쐐기면은 상호 간섭하여 제 2 블록(205)과 제 2 가압판(204)이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삽입 동작을 완료한다. 제대로 삽입된 후, 제 2 블록(205)의 쐐기면은 고정홀(303)의 내벽과의 접촉이 분리되며, 제 2 블록(205)은 역방향으로 변위되어 제 2 클램핑부와의 클램핑 연결을 실현한다. 제 1 블록(202)과 제 2 블록(205)에 쐐기면을 설치함으로써 선풍기 조립 시 가압 등 기타 조작이 필요없이 각 구조재 간의 고정 연결을 실현할 수 있으며, 분리할 경우에는 가압 동작만으로 각 구조재 간의 분리를 완성할 수 있어, 원 터치 작동을 실현할 수 있다.
선풍기 헤드(1)가 베이스(3)의 제 1 수용홈(301)에 수납 될 때, 선풍기 헤드(1)의 연결부(102)를 메쉬 커버(101)에 잘 맞게 회전시켜야 하며, 이어서 연결부(102)를 제 1 수용홈(301)에 설치시켜 선풍기 헤드(1)의 수납을 완성한다. 그러나,이 경우에 메쉬 커버(101)는 연결부(102)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이는 선풍기 헤드(1)와 베이스(3)의 전체 구조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3, 4 및 7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선풍기 헤드(1)에는 제 1 잠금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3)에는 제 2 잠금 부재가 설치된다. 도 8과 같이 수납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잠금 부재와 제 2 잠금 부재가 서로 맞물려 잠금되며, 구체적으로 제 1 잠금 부재는 메쉬 커버(101)에 설치된다. 제 1 잠금 부재와 제 2 잠금 부재의 매칭을 통해 선풍기 헤드(1)와 베이스(3)의 추가적인 위치 제한을 실현할 수 있고, 메쉬 커버(101)가 베이스(3)에 대하여 이동하여 불안정한 수납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잠금 부재는 잠금 레버(103)이고, 상기 잠금 레버(103)의 표면에는 반경 방향을 따라 정적 차단부(104)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상기 베이스(3)에 설치된 잠금홀(311)이며, 상기 잠금홀(311)의 내벽에는 동적 차단부(304)가 설치되고, 상기 동적 차단부(304)는 탄성력의 작용하에, 상기 잠금홀(311)내로 진입하며, 잠금 레버(103)가 잠금홀(311)로 삽입되는 과정에 정적 차단부(104)는 동적 차단부(304)를 밀어 그 하단에 삽입되게 하며, 차단부가 탄성력의 작용으로 리셋되면 동적 차단부(304)와 정적 차단부(104)의 클램핑 연결이 실현되어, 잠금 레버(103)와 잠금홀(311) 사이의 잠금을 실현하며, 잠금 레버(103)을 잠금홀(311) 외부로 이동시키려는 경우, 외력을 이용하여 잠금 레버(103)를 이동하면 되기에, 외력을 통해 정적 차단부(104)를 동적 차단부(304)를 압박하게 함으로써, 잠금 레버(103)와 잠금홀(311)의 분리를 실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동적 차단부(304)는 베이스(3)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306)를 회전시켜 제 4 버튼(307)에 연결되고, 제 4 버튼(307)은 베이스(3)의 측면에 위치하며, 제 4 버튼(307)과 베이스(3) 사이에는 제 1 탄성 부재(308)가 설치되고, 제 4 버튼(307)을 눌러 제 1 탄성 부재(308)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함으로써 커넥팅 로드(306)가 회전하여 동적 차단부(304)가 잠금홀(311)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동적 차단부(304)와 정적 차단부(104) 사이의 위치 제한을 해제할 수 있으며, 제 4 버튼(307)을 해제하면, 제 1 탄성 부재(308)의 작용하에 제 4 버튼(307)의 리셋을 실현한다. 또한, 잠금홀(311) 바닥부에는 가압 블록(309)이 설치되며, 가압 블록(309)은 제 2 탄성 부재(310)를 통해 베이스(3)에 연결된다. 잠금 레버(103)가 잠금홀(311)에 장착되는 과정에 가압 블록(309)에 압력을 가하여 제 2 탄성 부재(310)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해야 하며, 제 4 버튼(307)을 눌러 잠금이 해제되면 제 2 탄성 부재(31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선풍기 헤드(1)가 자동으로 튕기게 하여 작동이 더욱 편리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7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수용홈(301)에는 제 3 잠금 부재(305)가 설치되고, 상기 수납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02)와 상기 제 3 잠금 부재(305)는 매칭되어 잠금됨으로써 베이스(3)와 연결부(102) 사이의 연결 강도를 실현한다. 제 3 잠금 부재(305)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고정척 구조이고, 탄성 고정척 구조의 내벽과 연결부(102)의 외부 윤곽은 상호 매칭되어, 탄성 고정척 구조를 제 1 수용홈(301)의 일 단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수납 시에는 연결부(102)의 일단을 먼저 탄성 고정척 구조에 삽입한 후, 다시 제 1 잠금 부재와 제 2 잠금 부재의 매칭 연결을 완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2)는 도 11-18에 도시 된 바와 같은 텔레스코픽 로드이다. 한편, 사용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선풍기의 높이는 텔레스코픽 로드에 의해 조절 될 수 있으며, 선풍기 헤드(1)는 사용자의 실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높이에서 작동 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수납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2)는 도 18에 도시된 수축 상태와 같으면 지지대(2)의 수납이 더 편리하며, 도 9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베이스(3)에 설치된 제 2 수용홈(302)과 수축 상태에서의 지지대(2)의 윤곽은 서로 일치하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인 지지대(2)의 구조는 기존 기술에 의한 다양한 유형의 텔레스코픽 로드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으면 된다. 선택적으로, 도 21 및 2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는 서로 연결된 제 1로드(207) 및 제 2로드(208)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로드(207)는 상기 제 2로드(208) 내부에 씌움 설치되며, 상기 제 1로드(207) 외벽은 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 1 요홈(209)이 형성되고, 상기 제 2로드(208)에는 제어 요소, 리미트 홀(210)과 포지셔닝 핀(211)이 설치되며, 상기 포지셔닝 핀(211)은 상기 리미트 홀(210)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요소는 상기 포지셔닝 핀(211)이 상기 제 1 요홈(209)과 리미트 홀(210)에 동시에 클램핑 연결된 잠금 상태를 유지 하도록 제한하며, 상기 제어 요소는 상기 포지셔닝 핀(21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 2로드(208)는 제 1 벽(212) 및 제 2 벽(213)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벽(213)과 상기 제 1 로드(207)는 씌움 연결되며, 상기 제어 요소는 슬라이더(214)와 제 3 탄성 부재(216)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214)는 상기 제 1 벽(212)과 제 2 벽(213)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214)의 상기 제 2 벽(213)을 향하는 일측에는 제 2 홈(215)이 형성되며, 상기 리미트 홀(210)과 상기 제 1 요홈(209)가 정면으로 마주할 때, 상기 제 3 탄성 부재(216)의 탄성력의 작용하에, 상기 슬라이더(214)는 상기 포지셔닝 핀(211)의 위치를 상기 리미트 홀(210)과 제 1 요홈(209) 내로 제한시킨다. 사용시에는 슬라이더(214)를 밀어 제 3 탄성 부재(216)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여 제 1 벽(212)과 제 2 벽(213) 사이에 형성된 장착홈(226)내에서 슬라이딩하며, 극한 위치에 도달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14) 위의 제 2 요홈(215)가 제 2 벽(213)의 리미트 홀(210)과 정확히 정력되게 하며, 이때 제 1로드(207)를 이동시키면 제 1로드(207)의 외벽은 포지셔닝 핀(211)을 밀어 슬라이더(214)의 제 2 요홈(215) 내로 이동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제 1로드(207)와 제 2로드(208)의 잠금을 실현할 수 없으며; 제 1로드(207)의 제 1 홈(209) 중 어느 하나가 리미트 홀(210)과 정면으로 마주할 때, 포지셔닝 핀(211)은 동시에 리미트 홀(210)과 제 1 요홈(209)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슬라이더(214)에 대한 푸시가 해제되고, 슬라이더(214)는 제 3 탄성 부재(216)의 작용에 의해 리셋된다. 이때 슬라이더(214)의 바닥면과 포지셔닝 핀(211)은 서로 접촉하고 포지셔닝 핀(211)이 제 1 요홈(209)에서 완전히 탈출할 수 없기에, 포지셔닝 핀(211)에 의해 제 1로드(207) 및 제 2로드(208)의 잠금을 실현한다; 잠금을 해제하려는 경우, 슬라이더(214)를 밀어서 제 2 요홈(215)이 리미트 홀(210)과 정면으로 마주하게 하면 되며, 이때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로드(208)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제 1로드(207)를 이동하면 포지셔닝 핀(211)이 제 1 요홈(209)에서 탈출하여 제 2 요홈(215)내로 이동하게 된다. 위의 동작 과정을 실현하기 위해, 슬라이더(214)의 두께와 포지셔닝 핀(211)의 직경의 합은 제 1 벽(212)의 내벽과 제 2 벽(213)의 내벽 사이의 거리보다 커야 하며, 슬라이더(214)와 제 1 벽(212)이 밀착될 때, 제 1 요홈(209)의 홈 바닥과 제 2 벽(213)의 내벽 사이의 거리는 포지셔닝 핀(211)의 직경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슬라이더(214)의 이동을 더 편리하게 구현하기 위해, 제 2로드(208)에 제 3 버튼(217)을 설치할 수 있으며, 제 3 버튼(217)과 슬라이더(214) 사이는 경사면 슬라이딩 형태로 맞춤 결합되며, 제 3 버튼(217)을 누르면 슬라이더(214)를 이동시킬 수 있고, 제 3 버튼(217)이 해제 된 후, 제 3 탄성 부재(216)는 슬라이더(214)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3 버튼(217)을 리셋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텔레스코픽 로드의 길이 조절을 보다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텔레스코픽 로드는 잠금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작동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도면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는 서로 연결된 제 1로드(207)와 제 2로드(208)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로드(207)는 상기 제 2로드(208) 내부에 씌움 설치되며, 상기 제 2로드(208)의 로드 벽에는 포지셔닝 홈(222)이 구비되어, 상기 제 1로드(207)의 로드 벽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수용홈(223)이 형성되며, 수용홈(223) 내부에는 볼(224) 및 제 6 탄성 부재(225)가 구비되고, 상기 제 6 탄성 부재(225)는 볼(224)과 수용홈(223)의 홈 바닥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6 탄성 부재(225)는 볼(224)을 제 2로드(208)의 내벽 또는 포지셔닝 홈(222) 내로 가압하고, 상기 포지셔닝 홈(222)의 직경은 볼(224)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수납 가능한 선풍기는 또한 다른 필요한 구성 요소 또는 구조를 포함 할 수 있으며, 상응한 설치 위치 및 연결 관계는 종래 기술에서 연관된 장치 구조를 참조 할 수 있으며, 구조와 연관되지 않은 연결 관계, 작동 및 작업 원리는 당업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므로,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예는 점진적 또는 병렬적으로 설명되었으며, 각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고, 각 실시예 간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서로 참조 할 수 있다.
이상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일 뿐이며, 당업자들은 본 발명을 이해하거나 구현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은 당업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며, 여기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는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전제하에 다른 실시예에서 구현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원리와 신규성 특징에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해야 한다.
1:선풍기 헤드101:메쉬 커버 102:연결부 103:잠금 레버
104:정적 차단부 2:지지대 201: 제 1 가압판
202: 제 1 블록 203: 제 1 버튼 204: 제 2 가압판
205: 제 2 블록 206: 제 2 버튼 207:제 1 로드
208: 제 1 로드209: 제 1 요홈 210: 리미트 홀
211: 포지셔닝 핀 212: 제 1 벽 213: 제 2 벽
214: 슬라이더 215: 제 2 요홈 216: 제 3 탄성 부재
217: 제 3 버튼 218: 제 1 플러그부 219: 제 2 플러그부
220: 제 4 탄성 부재 221: 제 5 탄성 부재
222: 포지셔닝 홀 223: 수용홈224: 볼
225: 제 6 탄성 부재 226: 장착홈3: 베이스
301: 제 1 수용홈 302: 제 2 수용홈303: 고정홀
304: 동적 차단부 305: 제 3 잠금 부재 306: 커넥팅 로드
307: 제 4 버튼 308: 제 1 탄성 부재 309: 가압 블록
310: 제 2 탄성 부재 311: 잠금홀

Claims (12)

  1. 착탈식으로 연결된 선풍기 헤드(1), 지지대(2)와 베이스(3)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3)에는 제 1 수용홈(301)과 제 2 수용홈(302)이 구비되고, 수납 가능한 선풍기는 사용 상태와 보관 상태를 가지며;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가 사용 상태인 경우, 상기 선풍기 헤드(1), 지지대(2)와 베이스(3)는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가 수납 상태인 경우, 상기 선풍기 헤드(1)는 상기 제 1 수용홈(301)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대(2)는 상기 제 2 수용홈(302)에 수용되고,
    상기 선풍기 헤드(1)는 메쉬 커버(101)와 상기 메쉬 커버(1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102)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3)에는 고정홀(303)이 구비되며;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가 사용 상태인 경우, 상기 지지대(2)의 양단은 각각 상기 연결부(102)와 상기 고정홀(303)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 가능한 선풍기가 수납 상태인 경우, 상기 연결부(102)는 상기 제 1 수용홈(30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303)과 상기 제 1 수용홈(301)은 상기 베이스(3)의 동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수용홈(302)은 상기 베이스(3)의 상반되는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는 텔레스코픽 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2)는 수축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의 상기 선풍기 헤드(1)와 연결되는 제 1 단부에는 제 1 가압판(201)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가압판(201)에는 제 1 블록(202)과 제 1 버튼(203)이 설치되며, 상기 선풍기 헤드(1)에는 상기 제 1 블록(202)과 맞물리는 제 1 클램핑부가 구비되는 것;
    상기 지지대(2)의 상기 베이스(3)와 연결되는 제 2 단부에는 제 2 가압판(204)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가압판(204)에는 제 2 블록(205)과 제 2 버튼(206)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3)에는 상기 제 2 블록(205)과 맞물리는 제 2 클램핑부가 구비되는 것; 또는
    이들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록(202)의 상기 지지대(2)의 제 2단부와 멀어지는 일단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쐐기면이 형성되는 것;
    상기 제 2 블록(205)의 상기 지지대(2)의 제 1단부와 멀어지는 일단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쐐기면이 형성되는 것; 또는
    이들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풍기 헤드(1)에는 제 1 잠금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3)에는 제 2 잠금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 상태에서, 상기 제 1 잠금 부재와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서로 매칭되어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잠금 부재는 잠금 레버(103)이고, 상기 잠금 레버(103)의 표면은 그 반경 방향을 따라 정적 차단부(104)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상기 베이스(3)에 설치된 잠금홀(311)이며, 상기 잠금홀(311)의 내벽에는 동적 차단부(304)가 구비되고,상기 동적 차단부(304)는 탄성력의 작용하에 상기 잠금홀(311)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홈(301)의 내부에는 제 3 잠금 부재(305)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102)와 상기 제 3 잠금 부재(305)는 매칭되어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는 상호 연결된 제 1 로드(207)와 제 2 로드(208)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로드(207)는 상기 제 2 로드(208)의 내부에 끼움 설치되며, 상기 제 1 로드(207)의 외벽에는 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 1 요홈(209)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로드(208)에는 제어 어셈블리, 리미트 홀(210)과 포지셔닝 핀(211)이 구비되며, 상기 포지셔닝 핀(211)은 상기 리미트 홀 (210)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어셈블리는 상기 포지셔닝 핀(211)이 상기 제 1 요홈(209)과 리미트 홀(210)에 클램핑되는 잠금 상태에 처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포지셔닝 핀(21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로드(208)는 제 1 벽(212) 및 제 2 벽(213)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벽(213)과 상기 제 1 로드(207)는 끼움 결함되며, 상기 제어 어셈블리는 슬라이더(214) 및 제 3 탄성 부재(216)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214)는 상기 제 1 벽(212)과 제 2 벽(213)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214)가 상기 제 2 벽(213)을 향하는 일측에는 제 2 요홈(215)이 형성되며, 상기 리미트 홀(210)과 상기 제 1 요홈(209)이 마주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216)의 탄성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14)는 상기 포지셔닝 핀(211)을 상기 리미트 홀(210)과 제 1 요홈(209) 내부에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 가능한 선풍기.
KR1020217004106A 2020-10-29 2020-11-10 수납 가능한 선풍기 KR102564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2456928.4U CN217440321U (zh) 2020-10-29 2020-10-29 可收纳风扇
CN202022456928.4 2020-10-29
PCT/CN2020/127654 WO2022088237A1 (zh) 2020-10-29 2020-11-10 可收纳风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834A KR20220058834A (ko) 2022-05-10
KR102564935B1 true KR102564935B1 (ko) 2023-08-08

Family

ID=7503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106A KR102564935B1 (ko) 2020-10-29 2020-11-10 수납 가능한 선풍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67200B2 (ko)
EP (1) EP4227540A4 (ko)
JP (1) JP7342107B2 (ko)
KR (1) KR102564935B1 (ko)
CN (1) CN112567138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13112A (zh) * 2010-05-10 2010-08-25 沈盘根 伸缩管
CN104389820A (zh) * 2014-11-04 2015-03-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立柱连接结构及电风扇
CN207728587U (zh) * 2017-12-24 2018-08-14 江南大学 一种收纳式落地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1494U (ja) * 1982-06-14 1983-12-20 株式会社東芝 扇風機の高さ調節装置
JPS63158255U (ko) * 1987-04-02 1988-10-17
JPH0436787Y2 (ko) * 1988-12-27 1992-08-31
US6139270A (en) * 1999-02-24 2000-10-31 Liao; Chin-I Electric fan
KR20100124454A (ko) 2009-05-19 2010-11-29 이순 선풍기
CN201723537U (zh) * 2010-06-13 2011-01-26 马卫宏 伸缩杆
CN104514733B (zh) * 2013-09-26 2017-0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落地扇
JP5739038B1 (ja) 2013-11-11 2015-06-24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扇風機
CN204239295U (zh) * 2014-11-18 2015-04-01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风扇
CN106015041A (zh) 2016-06-17 2016-10-12 杭州飞鱼工业设计有限公司 立式电风扇
US11162513B2 (en) * 2018-12-20 2021-11-02 Zhejiang Joyo Electric Appliance Technology Co,. Ltd. Adjustable stand fan
WO2020151102A1 (zh) 2019-01-25 2020-07-30 深圳市全天拍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风扇
CN110486600B (zh) * 2019-01-25 2020-11-24 深圳叠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伸缩和收纳功能的折叠装置及其折叠风扇
CN110285085A (zh) * 2019-07-12 2019-09-27 中山市春凯电器有限公司 一种折叠收纳式筒扇
CN210509656U (zh) 2019-08-06 2020-05-12 东莞市格尚电器有限公司 可折叠便携式风扇
CN210565256U (zh) 2019-09-11 2020-05-19 宋胜强 折叠式摇头风扇
CN210949218U (zh) 2019-11-22 2020-07-07 佛山市沃尼思通环境电器有限公司 一种可折叠风扇
JP3225783U (ja) * 2020-01-22 2020-04-02 株式会社住本製作所 ポータブル扇風機
US11378100B2 (en) * 2020-11-30 2022-07-05 E. Mishan & Sons, Inc. Oscillating portable fan with removable gril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13112A (zh) * 2010-05-10 2010-08-25 沈盘根 伸缩管
CN104389820A (zh) * 2014-11-04 2015-03-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立柱连接结构及电风扇
CN207728587U (zh) * 2017-12-24 2018-08-14 江南大学 一种收纳式落地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27540A1 (en) 2023-08-16
KR20220058834A (ko) 2022-05-10
JP2023503727A (ja) 2023-02-01
EP4227540A4 (en) 2024-02-21
JP7342107B2 (ja) 2023-09-11
US20230392614A1 (en) 2023-12-07
US11867200B2 (en) 2024-01-09
CN112567138B (zh) 2022-12-06
CN112567138A (zh)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8840B2 (en) Folding chair and side table thereof
TWI508384B (zh) 行動電源
US20070295571A1 (en) Extensible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JP2023512601A (ja) 折り畳み継手及び折り畳みフレーム
KR102564935B1 (ko) 수납 가능한 선풍기
US20190035573A1 (en) Folding keyboard
KR20140127894A (ko) 레버식 커넥터
CN217440321U (zh) 可收纳风扇
JP7431547B2 (ja) 段差解消用スロープ装置
WO2019076174A1 (zh) 一种多功能推车
US20230417359A1 (en) Quick connection structure
US11857067B2 (en) Connecting device having retractable rods
US6802579B2 (en) Handle assembly having lock mechanism
CN219312789U (zh) 一种建筑工程用可折叠推车
CN211625449U (zh) 安装结构、安装壳体及取暖设备
CN218468709U (zh) 三脚架
CN215981797U (zh) 一种折叠支架
CN219261956U (zh) 一种折叠锁及包含其的可折叠围挡
CN216958645U (zh) 插座
CN221054714U (zh) 支撑脚架
JP3265277B2 (ja) 積重ね筐体の連結装置
CN218738147U (zh) 一种婴儿床架折叠结构
CN219811718U (zh) 一种应用于多国电源转换器的可折叠式插头机构
CN220275107U (zh) 锁扣结构、储物箱及拉杆
CN215706021U (zh) 一种车用挂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