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331B1 - 구조물 촬영용 단계적 거리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 촬영용 단계적 거리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331B1
KR102564331B1 KR1020230014261A KR20230014261A KR102564331B1 KR 102564331 B1 KR102564331 B1 KR 102564331B1 KR 1020230014261 A KR1020230014261 A KR 1020230014261A KR 20230014261 A KR20230014261 A KR 20230014261A KR 102564331 B1 KR102564331 B1 KR 102564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tch
distance
groov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근
정원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Priority to KR102023001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의 진단 및 점검시 수행되는 촬영에 있어서 스마트폰(10)과 피사체간 거리를 일정하게 조정하여 유지하는 촬영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10)이 결합되는 케이스(20)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지지판(30) 및 확장판(40)을 설치하여, 지지판(30)상 결합 위치가 조정되는 확장판(40) 선단이 피사체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촬영함으로써 촬영 거리가 일정하게 조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구조물 촬영시 촬영 거리를 정확하게 조정 및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촬영된 영상내 피사체의 치수에 대한 정확한 사후 파악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구조물 촬영용 단계적 거리 조정 장치{MULTISTAGE SPACER FOR STRUCTURE PHOTOGRAPHY}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의 진단 및 점검시 수행되는 촬영에 있어서 스마트폰(10)과 피사체간 거리를 일정하게 조정하여 유지하는 촬영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10)이 결합되는 케이스(20)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지지판(30) 및 확장판(40)을 설치하여, 지지판(30)상 결합 위치가 조정되는 확장판(40) 선단이 피사체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촬영함으로써 촬영 거리가 일정하게 조정되는 것이다.
구조물에 대한 촬영은 안전 진단 및 점검 등에 있어서 점검원의 육안 검사와 함께 최우선 수행되는 기초 작업으로서, 피검체에 형성된 변형 및 열화 상태는 물론, 균열 또는 표층부 박리, 박락 등 외관상 확인될 수 있는 다양한 현상을 파악하고 기록함에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 기술의 발전으로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가 소형화 및 경량화됨에 따라 구조물 촬영에 있어서도 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적극 활용되고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2157308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2157308호를 비롯한 종래의 구조물 촬영용 장비는 고소(高所) 구조물 등에 대한 근접 촬영의 용이성에 주안점이 두어진 것으로,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소형화 및 경량화가 곤란한 단점을 가진다.
특히, 카메라의 촬영 거리 즉, 카메라의 대물 렌즈와 피사체간 거리를 사후는 물론 사전에도 전혀 파악할 수 없는 바, 촬영된 사진상 피사체의 실제 치수를 확인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치수가 표시된 별도의 표척을 준비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점검원 이외의 작업자가 표척을 피사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사진에 표척이 포함되도록 촬영하는 방식이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피사체의 실제 치수 확인이 요구되는 구조물 촬영 작업은 최소 2인 이상의 인원이 수행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1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표척을 피사체 표면에 접착한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는 방식도 적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촬영전 표척의 부착 및 촬영후 부착된 표척의 제거 작업이 필요하여 작업 시간이 지연될 뿐 아니라, 표척의 착탈 과정에서 피사체가 손상되는 심각한 문제가 불가피하였다.
특히, 사전 수립된 계획 및 일정에 따라 다수의 인원이 동원되어 각종 계기 및 탐사 장비를 활용하거나 시료를 채취하여 수행되는 정밀 점검과 달리, 외관 점검은 단독 점검원에 의하여 일상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는 바, 외관 점검의 핵심 기록 수단인 촬영 장비의 소형화, 경량화 및 조작과 휴대 편의성 확보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조작법이 친숙한 통상의 스마트폰(10)을 외관 점검용 촬영장비로 활용하면서도 촬영 거리를 단계적으로 조정 및 유지하여 촬영된 영상내 피사체의 치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 구조물 촬영용 거리 조정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10)에 결합되는 케이스(20)에는 개구부(21)가 절개 형성되어 스마트폰(10)의 카메라(15)가 개구부(21)를 통하여 노출되고, 개구부(21) 양측의 케이스(20) 표면에는 피사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판(30)이 각각 접합되되, 지지판(30) 내부에는 지지판(30)의 중심선과 평행한 활동장공(31)이 절개 형성되고, 지지판(30)에는 장주형 판체인 확장판(40)이 결합되되, 확장판(40)의 케이스(20)측 후단부에는 상호 이격된 후위축(42) 및 전위축(41)이 형성되어, 이들 후위축(42) 및 전위축(41)이 상기 활동장공(31)에 자유롭게 활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지지판(30)의 측면에는 일단이 지지판(30)과 힌지 결합되고 타 단부의 측면에는 포착홈(51)이 요입 형성된 포착판(50)이 설치되어, 확장판(40)의 전위축(41) 또는 후위축(42)이 포착판(50)의 포착홈(51)에 결합됨에 따라 확장판(40)이 지지판(3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촬영용 거리 조정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착판(50)의 포착홈(51)은 포착판(5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포착판(50)의 힌지축과 포착홈(51)간 거리는 확장판(40)의 전위축(41)과 후위축(42)간 거리와 일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촬영용 거리 조정 장치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구조물 촬영시 촬영 거리를 정확하게 조정 및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촬영된 영상내 피사체의 치수에 대한 정확한 사후 파악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의 촬영 거리 조정 및 유지는 고가의 촬영 및 측거 장비나 2인 이상 다수의 점검원 동원 없이도, 통상의 스마트폰(10) 및 단독 점검원에 의하여 극히 용이하게 수행이 가능한 바, 구조물 외관 조사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가 사용법을 숙지하고 있는 스마트폰(10)을 일체의 개조 없이 활용할 수 있는 바, 점검원의 편의를 증대함은 물론, 장비 구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장비 동원을 최소화한 일상 점검에서도 치수 획득 구조물 촬영을 수시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 안전진단 또는 유지보수 작업의 품질 및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확장판 후퇴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부분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방식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 장착상태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사용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스마트폰(10)에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이들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이 스마트폰(10)에 장착되어 피검체인 콘크리트 벽체를 촬영하는 상태를 본 발명의 사용자인 점검원 시점에서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도 1의 역방향 시점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폰(10)이 결합되는 케이스(20)와, 케이스(20)에서 스마트폰(10) 카메라(15)의 전방 즉, 피사체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지지판(30) 및 확장판(40) 등으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는 스마트폰(10)을 제외한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스마트폰(10)이 결합되는 케이스(20)는 통상의 스마트폰(10)용 케이스(20)에서와 같이, 카메라(15)가 장착된 스마트폰(10)의 배면 및 측면은 피복하되 입출력장치인 터치스크린은 노출되는 일면 개방형 함체(函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케이스(20)에는 개구부(21)가 절개 형성되어, 케이스(20)에 스마트폰(10)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2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0) 배면부의 주(主) 카메라(15)가 개구부(21)를 통하여 피사체측으로 노출되고, 도 1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0) 전면(前面)의 터치스크린 전체가 외부로 완전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 및 화면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개구부(21) 양측의 케이스(20) 표면에는 피사체측으로 돌출되는 판체인 지지판(30)이 각각 접합되는데, 여기서 지지판(30)은 케이스(20)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평면상 외측으로 확대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접합되어, 개구부(21) 양측의 지지판(30) 한쌍이 평면상 V자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판(30)의 V자형 돌출은 카메라(15)의 화각(畵角)을 고려하여 본 발명 구성이 피사체 또는 피사체내 주요 부위를 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15)에 의한 촬영시 지지판(30)이 화각 외측에 위치하거나 화각 경계선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지지판(30) 및 후술할 확장판(40) 등의 본 발명 구성이 촬영된 영상에서 배제되거나 영상 외곽부에 일부만 표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구조물 안전진단 등의 업무에 있어서 피검체인 피사체를 스마트폰(10)으로 촬영함에 있어서, 스마트폰(10)의 카메라(15)와 피사체 표면간 거리인 촬영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된 영상의 배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로써 영상내 피사체의 실제 치수를 사후에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도 1에서와 같이 케이스(20)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양측 확장판(40)의 말단을 피사체 표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촬영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확장판(40)을 비롯한 본 발명 구성이 촬영 영상을 과도하게 잠식하지 않도록 평면상 V자형 확대 구조를 부여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순히 장주형 판체 또는 봉체가 스마트폰(10)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확장판(40)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 뿐 아니라 도 4에서와 같이 확장판(40)이 후방으로 후퇴되어, 지지판(30) 및 확장판(40) 조합체의 전체 연장이 축소된 상태로도 조정될 수 있는 바, 전술한 촬영 거리를 확장판(40)이 돌출된 상대적 장거리와 확장판(40)이 후퇴된 상대적 단거리로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즉, 구조물 표면의 표층부 또는 도장면의 박리, 박락 등 피검체의 촬영 필요 영역이 상대적으로 광범위한 경우 확장판(40)을 전방 돌출시켜 촬영거리를 확대함으로써 촬영 배율을 축소하고, 미세 균열 또는 변형 등 상대적으로 촬영 필요 영역이 협소하고 세밀한 치수 획득이 필요한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확장판(40)을 후퇴시켜 촬영 거리를 단축한 상태에서 접사 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지지판(30) 및 확장판(40) 조정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은 결합 구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관련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구부(21) 양측의 케이스(20) 표면에 각각 접합되어 평면상 외측 확대 경사를 이루며 피사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판(30)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그 중심선과 평행한 활동장공(31)이 지지판(30) 내부에 절개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판(30)에는 장주형 판체인 확장판(40)이 결합되는데, 확장판(40)의 케이스(20)측 후단부에는 상호 이격된 한쌍의 돌출 축으로서 후위축(42) 및 전위축(41)이 형성되어, 이들 후위축(42) 및 전위축(41)이 상기 지지판(30)의 활동장공(31)에 자유롭게 횔동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지지판(30)과 확장판(40)이 결합된 상태에서 확장판(40)의 불필요한 회전이 억제됨과 동시에, 확장판(40)이 자신의 축방향이자 이와 평행한 지지판(30)의 축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결국 지지판(30) 및 확장판(40) 조합체의 전체 연장이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판(30)은 한쌍의 판체가 평면상 중첩되어 구성되는데, 한쌍의 지지판(30) 판체 사이에 확장판(40)이 샌드위치 형태로 결합되되, 전위축(41) 및 후위축(42)이 확장판(40)의 양면에서 동시에 돌출되고, 이들 확장판(40)의 양면에서 각각 돌출된 전위축(41) 및 후위축(42)이 양측 지지판(30)의 활동장공(31)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확장판(40)의 지지판(30) 이탈이 억제되며, 이러한 결합 상태에서도 전위축(41) 및 후위축(42)의 활동장공(31)내 자유로운 활동(sliding)은 보장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지지판(30)의 측면에는 일단이 지지판(30)과 힌지 결합되고 타 단부의 측면에는 포착홈(51)이 요입 형성된 포착판(50)이 설치되는데, 전위축(41) 및 후위축(42)의 직경과 상기 활동장공(31) 및 포착홈(51)의 폭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확장판(40)의 전위축(41) 또는 후위축(42)이 포착판(50)의 포착홈(51)에 결합됨에 따라 확장판(40)이 지지판(30)에 고정된다.
즉, 도 6의 좌단에서와 같이 후위축(42)이 활동장공(31)의 케이스(20)측 후단에 위치한 상태는 확장판(40)이 최대한 후퇴한 상태로서 촬영 거리가 최단거리로 조정되고, 동 도면의 우단에서와 같이 전위축(41)이 활동장공(31)의 케이스(20) 타측 말단에 위치한 상태는 확장판(40)이 최대한 전진한 상태로서 촬영 거리가 최장거리로 조정되는 것이다.
특히,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확장판(40) 전진 상태의 단계별 조절은 포착홈(51)을 포착판(50) 양측에 형성하고, 전위축(41) 및 후위축(42)간 거리와 포착판(50)의 치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단일 포착판(50)만으로도 총 5단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포착판(50)의 포착홈(51)을 포착판(5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하되, 포착판(50)의 힌지축과 포착홈(51)간 거리는 확장판(40)의 전위축(41)과 후위축(42)간 거리와 일치하도록 본 발명을 제작하는 것으로, 도 5에서와 같이 포착판(50)과 무관하게 확장판(40)을 최대한 후퇴시켜 촬영 거리를 최단거리로 조정하는 제1단계로부터, 포착판(50)의 포착홈(51)이 케이스(20)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위축(41)이 포착홈(51)에 결합되는 제2단계, 동일한 포착판(50) 자세에서 후위축(42)이 포착홈(51)에 결합되는 제3단계, 포착판(50)을 180도 회전시켜 포착판(50)의 포착홈(51)이 케이스(20) 타측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전위축(41)이 포착홈(51)에 결합되는 제4단계 및 최대 촬영 거리 설정 상태로서 포착홈(51)에 후위축(42)이 결합되는 제5단계로 촬영 거리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확장판(40)이 최대한 후퇴된 상태에서는 확장판(40)을 피사체에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확장판(40)을 압입 후퇴시키는 힘에 지지판(30)의 활동장공(31) 말단이 저항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추가 포착판(50) 구성 없이 도 6의 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은 걸림턱(39)을 형성하는 조치만으로 충분한 지지가 가능하다.
한편, 도 7은 확장판(40) 및 지지판(30)에 의한 촬영 거리 조정에 있어서, 일층 정확하고 안정적인 거리 유지가 가능하도록 확장판(40) 및 지지판(30) 등을 1조 추가한 실시예로서, 이 경우 추가되는 확장판(40) 및 지지판(30)은 카메라(15) 하측의 케이스(20) 표면에 설치하는 것이 휴대성 및 사용 편의성에 있어서 유리하다.
10 : 스마트폰
15 : 카메라
20 : 케이스
21 : 개구부
30 : 지지판
31 : 활동장공
39 : 걸림턱
40 : 확장판
41 : 전위축
42 : 후위축
50 : 포착판
51 : 포착홈

Claims (1)

  1. 구조물 촬영용 거리 조정 장치로서, 스마트폰(10)에 결합되는 케이스(20)에는 개구부(21)가 절개 형성되어 스마트폰(10)의 카메라(15)가 개구부(21)를 통하여 노출되고, 개구부(21) 양측의 케이스(20) 표면에는 피사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판(30)이 각각 접합되되, 지지판(30) 내부에는 지지판(30)의 중심선과 평행한 활동장공(31)이 절개 형성되고, 지지판(30)에는 장주형 판체인 확장판(40)이 결합되되, 확장판(40)의 케이스(20)측 후단부에는 상호 이격된 후위축(42) 및 전위축(41)이 형성되어, 이들 후위축(42) 및 전위축(41)이 상기 활동장공(31)에 자유롭게 활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지지판(30)의 측면에는 일단이 지지판(30)과 힌지 결합되고 타 단부의 측면에는 포착홈(51)이 요입 형성된 포착판(50)이 설치되어, 확장판(40)의 전위축(41) 또는 후위축(42)이 포착판(50)의 포착홈(51)에 결합됨에 따라 확장판(40)이 지지판(30)에 고정되는 구조물 촬영용 거리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착판(50)의 포착홈(51)은 포착판(5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포착판(50)의 힌지축과 포착홈(51)간 거리는 확장판(40)의 전위축(41)과 후위축(42)간 거리와 일치하며, 활동장공(31)의 말단에는 걸림턱(39)이 형성되어,
    확장판(40)을 최대한 후퇴시켜 촬영 거리를 최단거리로 조정하는 제1단계로부터, 포착판(50)의 포착홈(51)이 케이스(20)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위축(41)이 포착홈(51)에 결합되는 제2단계, 동일판 포착판(50) 자세에서 후위축(42)이 포착홈(51)에 결합되는 제3단계, 포착판(50)을 180도 회전시켜 포착판(50)의 포착홈(51)이 케이스(20) 타측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전위축(41)이 포착홈(51)에 결합되는 제4단계 및 최대 촬영 거리 설정 상태로서 포착홈(51)에 후위축(42)이 결합되는 제5단계로 촬영 거리가 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촬영용 단계적 거리 조정 장치.
KR1020230014261A 2022-08-29 2023-02-02 구조물 촬영용 단계적 거리 조정 장치 KR102564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261A KR102564331B1 (ko) 2022-08-29 2023-02-02 구조물 촬영용 단계적 거리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084A KR102523879B1 (ko) 2022-08-29 2022-08-29 구조물 촬영용 거리 조정 장치
KR1020230014261A KR102564331B1 (ko) 2022-08-29 2023-02-02 구조물 촬영용 단계적 거리 조정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084A Division KR102523879B1 (ko) 2022-08-29 2022-08-29 구조물 촬영용 거리 조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331B1 true KR102564331B1 (ko) 2023-08-07

Family

ID=861437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084A KR102523879B1 (ko) 2022-08-29 2022-08-29 구조물 촬영용 거리 조정 장치
KR1020230014261A KR102564331B1 (ko) 2022-08-29 2023-02-02 구조물 촬영용 단계적 거리 조정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084A KR102523879B1 (ko) 2022-08-29 2022-08-29 구조물 촬영용 거리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38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333Y1 (ko) * 2000-07-14 2000-12-01 은성전자주식회사 관체와 관체의 신축조절장치
KR101876887B1 (ko) * 2017-04-12 2018-07-10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스마트폰을 이용한 균열 측정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282B1 (ko) * 2014-06-23 2014-09-12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정착대를 이용한 스마트폰 결합형 구조물 균열 측정장치
KR102267372B1 (ko) * 2020-08-27 2021-06-21 (주)장맥엔지니어링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표시장치
KR102330583B1 (ko) * 2021-05-03 2021-12-01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균열정보의 계측이 용이한 시설물의 안전진단 균열측정장치
KR102419839B1 (ko) * 2021-07-14 2022-07-12 경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333Y1 (ko) * 2000-07-14 2000-12-01 은성전자주식회사 관체와 관체의 신축조절장치
KR101876887B1 (ko) * 2017-04-12 2018-07-10 (주)지구환경전문가그룹 스마트폰을 이용한 균열 측정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879B1 (ko)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6500B1 (en) Phase difference detection device, imaging apparatus, phase difference detection method
US7231143B2 (en) Manual focus device and autofocus camera
JP6782909B2 (ja) 撮影器具及びパノラマ撮影装置
JP2008051957A (ja) 撮像光学系の光軸調整方法、及びレンズ装置
KR102564331B1 (ko) 구조물 촬영용 단계적 거리 조정 장치
TWI658319B (zh) 成像鏡頭、相機模組、電子裝置及用於製造成像鏡頭的外部調整治具
KR102475383B1 (ko) 구조물 촬영용 거리 설정 장치
JP4838368B2 (ja) ステレオ撮影装置
KR102549110B1 (ko) 촬영 거리 조절형 구조물 촬영용 표척 표시장치
JP2006178097A (ja) パノラマ撮像装置
KR200489889Y1 (ko)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
JP5534870B2 (ja) 音源推定用画像の作成装置
DE102009040530A1 (de) Vorrichtung zur Positionierung und Kalibrierung von mindestens zwei Kameras mit einem halbdurchlässigen Spiegel zur plastischen Bildaufnahme
DE202020001221U1 (de) Panorama-Thermokamera
KR100788786B1 (ko) 간격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카메라 장치
US6873794B2 (en) Coupled rangefinder/parallax 4×5 camera
JP3085615U (ja) 撮影用双眼鏡
JP3934463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損壊写真撮影装置
KR102456561B1 (ko) 촬영거리 설정형 구조물 촬영 장치
JP2011257714A (ja) 防振制御装置、撮像装置、及び防振制御方法
WO2021244550A1 (zh) 自动聚焦装置和聚焦方法
JP4648778B2 (ja) 鏡筒駆動機構
RU38234U1 (ru) Штатив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бъем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US20200400935A1 (en) Telescopes and other optical instruments with visually accessible optical components
KR20240049119A (ko) 구조물 진단용 실측형 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