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242B1 - 스마트팜시스템 및 스마트팜용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팜시스템 및 스마트팜용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242B1
KR102564242B1 KR1020220186245A KR20220186245A KR102564242B1 KR 102564242 B1 KR102564242 B1 KR 102564242B1 KR 1020220186245 A KR1020220186245 A KR 1020220186245A KR 20220186245 A KR20220186245 A KR 20220186245A KR 102564242 B1 KR102564242 B1 KR 102564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farm
update
information
firmwar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휘
Original Assignee
이동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휘 filed Critical 이동휘
Priority to KR1020220186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1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스마트팜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팜시스템은, 스마트팜의 기능을 구현하는 스마트팜장치 및 상기 스마트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팜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팜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팜시스템 및 스마트팜용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SMART FARM SYSTEM AND ONLINE UPDATE METHOD FOR SMART FARM}
본 실시예는 스마트팜시스템을 위한 온라인 업데이트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팜이란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축사 등에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 기술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하여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원격 및 자동으로 적정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농장을 의미한다.
스마트팜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치 및 센서 등이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및 센서에는 적절히 동작하기 위해서 펌웨어가 설치될 수 있다. 펌웨어는 몇몇의 경우에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다. 재배작물이 변경된 경우, 재배작물과 그에 따른 제어방식에 맞게 장치나 센서가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간경과로 장치나 센서의 성능이 고도화되거나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펌웨어가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다. 또한 장치나 센서의 보안 기능이 고도화되는 경우에도 펌웨어가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펌웨어 등의 업데이트는 장치나 센서를 수거하고,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장치나 센서를 다시 원래대로 설치하여 테스트를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작업자가 직접 장치나 센서를 수거하고 도로 갖다놓아야 하기 때문에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스마트팜시스템을 온라인 방식으로 업데이트하는 기술을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일 목적은,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스마트팜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팜시스템은, 스마트팜의 기능을 구현하는 스마트팜장치 및 상기 스마트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팜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팜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는, 상기 스마트팜장치의 MAC주소, 상기 MAC주소의 고유번호, 업데이트정보 및 상기 소프트웨어의 버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는, 암호화되어 상기 스마트팜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는, 시간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암호화되어 상기 스마트팜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스마트팜의 기능을 구현하는 스마트팜장치 및 상기 스마트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팜시스템에 의한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팜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가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팜장치가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로부터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팜용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팜장치로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스마트팜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장치 및 센서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온라인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시스템과 서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일 예시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스마트팜용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시스템과 서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예시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스마트팜용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시스템(100)은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OTA(over the air) 방식으로 펌웨어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팜시스템(100)은 제어장치(110), 스마트팜장치(120-1, 120-2) 및 다양한 센서(1-1, 1-2, 2-1, 2-2, ...)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110)는 스마트팜장치(120-1, 120-2)를 포함하는 스마트팜시스템(100)의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110)는 컴퓨팅장치가 될 수 있고, 일 예시로서 단일보드컴퓨터(SBC; single board computer)일 수 있다. 단일보드컴퓨터(SBC)는 하나의 회로판 위에 기억 장치, 인터페이스 타이밍, 논리들을 포함한 모든 구성 요소들을 갖춘 일종의 마이크로컴퓨팅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장치(110)는 스마트팜장치(120-1, 120-2) 및 이에 의하여 제어되는 센서(1-1, 1-2, 2-1, 2-2, ...)들에 대한 업데이트를 관장할 수 있다. 제어장치(110)가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미도시)로부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면,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스마트팜장치(120-1, 120-2) 및 센서(1-1, 1-2, 2-1, 2-2, ...)에 관한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는 스마트팜장치(120-1, 120-2)의 펌웨어의 업데이트 및/또는 센서(1-1, 1-2, 2-1, 2-2, ...)의 펌웨어의 업데이트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는 스마트팜장치(120-1, 120-2)의 MAC(media access control)주소, MAC주소의 고유번호, 업데이트정보 및 소프트웨어의 버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AC주소의 고유번호는 스마트팜장치(120-1, 120-2) 및/또는 센서(1-1, 1-2, 2-1, 2-2, ...)의 MAC주소에 대응하는 일련번호로 이해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스마트팜장치(120-1, 120-2) 또는 센서(1-1, 1-2, 2-1, 2-2, ...)를 위한 펌웨어(firmwar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버전정보는 펌웨어의 버전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업데이트정보는 업데이트데이터 자체인 협의적 개념을 의미하는 반면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는 업데이트에 필요한 일체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는 HEX데이터 또는 HEX파일의 형태로 서버로부터 스마트팜시스템(100)-제어장치(110) 또는 스마트팜장치(120-1, 120-2)-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암호화될 수 있다.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는 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시간정보가 포함된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 전체가 암호화될 수 있다. 또는 시간정보만이 암호화되고 암호화된 시간정보가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에 포함되어 스마트팜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암호화는 AES-256(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알고리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스마트팜장치(120-1, 120-2)는 스마트팜의 기능을 구현하는 세부 기기들로서 온도, 습도, 바람 등의 생육환경을 조정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팜장치(120-1, 120-2)는 미세 살수기, 스프링클러, 환기, 난방용 기기, 차광 커튼, 온수/난방수 조절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팜장치(120-1, 120-2)는 2개 이상의 다수가 포함되어 스마트팜시스템(100)을 구성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2개의 스마트팜장치(120-1, 120-2)를 예시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스마트팜장치(120-1, 120-2)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이 임베디드되어 스마트팜장치(120-1)의 구성 뿐만 아니라 각각에 연결된 센서(1-1, 1-2, 2-1, 2-2, ...)를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은 내부의 메모리에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여 실행시킴으로써 스마트팜장치(120-1, 120-2)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로드되는 프로그램에는 펌웨어(firmware)가 포함될 수 있다. 스마트팜장치(120-1, 120-2)가 통신부(미도시)가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은 펌웨어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센서(1-1, 1-2, 2-1, 2-2, ...)는 스마트팜장치(120-1, 120-2)의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스마트팜장치(120-1, 120-2)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 1-2, 2-1, 2-2, ...)는 온도, 습도, 풍향/풍속 등의 생육환경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래서 센서(1-1, 1-2, 2-1, 2-2, ...)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CO2, 수분센서, 양액농도센서, 산도센서, 풍향 및 풍속센서, 강우센서, 일사량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 1-2, 2-1, 2-2, ...)는 스마트팜장치(120-1, 120-2)로부터 제어를 받거나 제어장치(110)로부터 직접 제어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센서(1-1, 1-2, ...)는 스마트팜장치(120-1)로부터 제어를 받고, 센서(2-1, 2-2, ...)는 스마트팜장치(120-2)로부터 제어를 받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센서 또는 그 이상의 수많은 센서가 제어될 수 있다.
스마트팜장치(120-1, 120-2)에 포함된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은 센서(1-1, 1-2, 2-1, 2-2, ...)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스마트팜장치(120-1, 120-2)가 통신부(미도시)가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은 센서(1-1, 1-2, 2-1, 2-2, ...)를 위한 펌웨어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10)는 제어부(111) 및 통신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자체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제어장치(110)를 위한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스마트팜장치(120-1, 120-2)로 전달하여 스마트팜장치(120-1, 120-2)가 자체의 펌웨어 또는 센서(1-1, 1-2, 2-1, 2-2, ...)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2)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시스템과 서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일 예시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스마트팜용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시스템(100)은 스마트팜장치(120-1, 120-2)를 통해서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01 단계). 스마트팜장치(120-1, 120-2)의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은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서버(200)로부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팜시스템(100)은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S403 단계).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은 HEX형식의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스마트팜장치(120-1, 120-2)의 펌웨어 또는 센서(1-1, 1-2, 2-1, 2-2, ...)의 펌웨어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스마트팜장치(120-1, 120-2)에 의한 서버(200)로의 요청이 많아지지만, 제어장치(110)를 생략하여도 업데이트가 자동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업데이트 과정이 간단해질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시스템과 서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예시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스마트팜용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시스템(100)은 제어장치(110)를 통해서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601 단계). 제어장치(110)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서버(200)로부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팜시스템(100)은 내부적으로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으로 할당할 수 있는데, 제어장치(110)는 스마트팜장치(120-1, 120-2)로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603 단계)
스마트팜시스템(100)은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S605 단계).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은 HEX형식의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스마트팜장치(120-1, 120-2)의 펌웨어 또는 센서(1-1, 1-2, 2-1, 2-2, ...)의 펌웨어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110)가 중간에서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스마트팜장치(120-1, 120-2)로 전달하기 때문에 서버로의 요청이 줄어들고, 요청이 감소함에 따라 서버를 중심으로 하는 트래픽(traffice)이 안정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상의 양상들은 컴퓨터에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들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문맥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루틴들, 프로그램들, 오브젝트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하며, 이는 특정 태스크들 또는 특정 추상 데이터 타입들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상의 양상들은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되는 원격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형 컴퓨팅 환경들에서 또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들은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저장 매체들 모두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타입들의 하드웨어 로직 컴포넌트들은,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그램 특정 집적 회로들(ASIC, program-specific integrated circuit), 애플리케이션 특정 표준 제품들(ASSP, application-specific standard product), 시스템 온 칩 시스템들(SOC, system-on-a-chip system), 복합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들(CPLD,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등을 포함한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6)

  1.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스마트팜시스템에 있어서,
    센서;
    스마트팜장치; 및
    상기 스마트팜장치 및 상기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스마트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생육환경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스마트팜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스마트팜장치는, 상기 스마트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생육환경을 조정하고,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자체 펌웨어 및 상기 센서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스마트팜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스마트팜장치는,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상기 스마트팜장치의 펌웨어 또는 상기 센서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스마트팜장치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의 수신없이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상기 스마트팜장치의 펌웨어 또는 상기 센서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스마트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는, 상기 스마트팜장치의 MAC주소, 상기 MAC주소의 고유번호, 업데이트정보 및 상기 소프트웨어의 버전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는, 암호화되어 상기 스마트팜시스템으로 전송되는
    스마트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는, 시간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암호화되어 상기 스마트팜시스템으로 전송되는
    스마트팜시스템.
  5. 스마트팜의 기능을 구현하는 스마트팜장치 및 상기 스마트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팜시스템에 의한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팜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 중 어느 하나가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팜장치가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로부터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스마트팜장치 및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는, 스마트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생육환경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스마트팜장치로 전달하며,
    상기 스마트팜장치는, 상기 스마트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생육환경을 조정하고,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자체 펌웨어 및 상기 센서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상기 스마트팜장치의 펌웨어 또는 상기 센서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스마트팜장치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의 수신없이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통해 상기 스마트팜장치의 펌웨어 또는 상기 센서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스마트팜용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
  6. 삭제
KR1020220186245A 2022-12-27 2022-12-27 스마트팜시스템 및 스마트팜용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 KR102564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245A KR102564242B1 (ko) 2022-12-27 2022-12-27 스마트팜시스템 및 스마트팜용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245A KR102564242B1 (ko) 2022-12-27 2022-12-27 스마트팜시스템 및 스마트팜용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242B1 true KR102564242B1 (ko) 2023-08-09

Family

ID=87567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6245A KR102564242B1 (ko) 2022-12-27 2022-12-27 스마트팜시스템 및 스마트팜용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2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963A (ko) * 2004-09-30 2007-05-03 인텔 코오퍼레이션 네트워크를 통한 펌웨어의 셀프-모니터링 및 업데이팅
KR101083547B1 (ko) * 2010-08-16 2011-11-14 웹싱크 주식회사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473440B1 (ko) * 2022-01-12 2022-12-02 주식회사센트리온 스마트팜용 통합 센서 모듈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963A (ko) * 2004-09-30 2007-05-03 인텔 코오퍼레이션 네트워크를 통한 펌웨어의 셀프-모니터링 및 업데이팅
KR101083547B1 (ko) * 2010-08-16 2011-11-14 웹싱크 주식회사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473440B1 (ko) * 2022-01-12 2022-12-02 주식회사센트리온 스마트팜용 통합 센서 모듈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075B1 (ko)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Putjaika et al. A control system in an intelligent farming by using arduino technology
KR101696611B1 (ko) 온실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6952508B2 (ja) 環境制御装置、環境制御システム、環境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3664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rop growth
KR20190120023A (ko) 새싹 인삼 재배를 위한 아이씨티 기반의 스마트 팜 제어 시스템
CN111787064B (zh) 一种基于专家系统的物联网联动控制方法及系统
KR102564242B1 (ko) 스마트팜시스템 및 스마트팜용 온라인 업데이트 방법
JP2018164413A (ja) 農作物管理システム、遠隔操作装置及び農作物管理方法
WO2020195768A1 (ja) 農業ハウスの環境制御システム、ハウス制御装置
KR102554629B1 (ko) 작물의 생육 모델링을 이용한 생산 효율 최적화 장치 및 방법
KR20140143272A (ko) 시설재배 최적 생장 환경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Nugroho et al. Development of actuation framework for agricultural informatization supporting system
KR102272472B1 (ko) 복합 제어 스마트팜 시스템
KR20160056857A (ko) 원격제어가 용이한 양방향 능동형 시설재배구조물 제어 시스템
CN107691032A (zh) 一种基于云计算的无线农业大棚控制系统
US10788438B2 (en) Remote sensor system
CN107918424A (zh) 一种控制植物生长环境的方法及系统
KR20190123915A (ko) 복수의 환경 제어 장치 (또는 IoT 센서노드)의 가상화를 통한 통합 및 분산 제어를 위한 가상환경 제어장치 및 이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CN114190203B (zh) 一种物联网农业大棚温度控制装置与方法
Bunluewong Semi-Automated Mushroom Cultivation House using Internet of Things
KR102528822B1 (ko) 실시간 토양 분석을 통한 노지용 스마트팜 토양 관리장치
Belsare et al. Smart green house automation
Jaichandran et al. Automatic Hatching System by designing IoT-based Egg Incubator
KR102600416B1 (ko) 스마트카드 기반 사물 이력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