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967B1 - Dual screen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ual screen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967B1
KR102563967B1 KR1020160126320A KR20160126320A KR102563967B1 KR 102563967 B1 KR102563967 B1 KR 102563967B1 KR 1020160126320 A KR1020160126320 A KR 1020160126320A KR 20160126320 A KR20160126320 A KR 20160126320A KR 102563967 B1 KR102563967 B1 KR 102563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rail
rear cover
dispos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6130A (en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6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967B1/en
Publication of KR2018003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1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9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는 외부의 모니터 없이 원 화상을 구현하는 1개의 표시 장치만을 이용하여 듀얼 스크린 방식으로 영상을 표현하는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는 제 1 화상을 표시하는 제 1 표시 패널, 제 1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제 2 표시 패널, 및 제 2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된 후면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는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 2 표시 패널을 이용하여 듀얼 스크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예는 별도의 외부 모니터 등을 이용하지 않고 하나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듀얼 스크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in a dual screen method using only one display device that implements an original image without an external monitor.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panel displaying a first image, a second display panel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and displaying a second image, and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It includes a rear cover disposed on.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 dual screen mode by using a second display panel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sliding.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al screen mode can be implemented using one display device without using a separate external monitor.

Description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DUAL SCREEN DISPLAY DEVICE}Dual screen display device {DUAL SCREEN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 예는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정보화 사회에서 시각 정보를 영상 또는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분야에서 관련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소들이 마련된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의 외곽에 배치되어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 화소들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 화소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게이트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를 포함한다.In the information society, many related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in the field of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as an image or image.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having a display area provided with pixels displaying an image and a non-display area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area and not displaying an image, a gate driver supplying a gate signal to the pixels, and a data voltage to the pixels. It includes a data driver to supply and a timing controller to supply signals for controlling the gate driver and the data driver.

또한, 2가지의 영상 또는 화상을 동시에 표현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의 개수가 2개인 듀얼 스크린(Dual Screen) 방식의 표시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는 2가지의 독립적인 영상 또는 연관된 연상을 2개의 표시 패널에 동시에 표시하여 2가지의 영상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화면을 확장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다 큰 표시 패널에 영상을 표현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simultaneously display two types of images or images, a dual screen type display device having two display panels is used. The dual screen display device simultaneously displays two independent images or related associations on two display panels so that the two images can be viewed simultaneously. In the case of expanding the screen and expressing it, the image was expressed on a larger display panel.

기존의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는 외부의 모니터 등 별도의 표시 장치에 DVI, DP, HDMI 등의 포트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2가지의 영상을 동시에 표현하였다. 이에 따라, 듀얼 스크린 영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원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장치와 외부의 모니터, 2개의 표시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Existing dual-screen display devices express two images at the same time by connecting cables to ports such as DVI, DP, and HDMI to a separate display device such as an external monitor. Accordingly, in order to express a dual screen image, two display devices, a display device implementing an original image and an external monitor, must be provided separately.

본 발명의 일 예는 외부의 모니터 없이 원 화상을 구현하는 1개의 표시 장치만을 이용하여 듀얼 스크린 방식으로 영상을 표현하는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in a dual screen method using only one display device that implements an original image without an external monitor.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는 제 1 화상을 표시하는 제 1 표시 패널, 제 1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제 2 표시 패널, 및 제 2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된 후면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후면 커버의 정면에는 제 2 표시 패널을 이동시키는 후면 커버 레일이 배치되고, 후면 커버 레일의 양 측 끝단에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 2 표시 패널은 제 1 표시 패널의 상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 2 화상을 외부로 노출시킨다.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panel displaying a first image, a second display panel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and displaying a second image, and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It includes a rear cover disposed on. A rear cover rail for moving the second display panel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ar cover rail stoppers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rear cover rail. The second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o the upper side, left side, or right side of the first display panel to expose the second image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는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 2 표시 패널을 이용하여 듀얼 스크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예는 별도의 외부 모니터 등을 이용하지 않고 하나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듀얼 스크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모니터 등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보다 간편하게 듀얼 스크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 dual screen mode by using a second display panel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sliding.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al screen mode can be implemented using one display device without using a separate external monitor.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use a cable to connect to an external monitor, the dual screen mode can be implemented more conven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에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가 제 1 화상만 표현하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에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가 제 1 화상의 상측에 제 2 화상을 표현하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에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가 제 1 화상의 우측에 제 2 화상을 표현하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 1 표시 패널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소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 2 표시 패널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후면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동 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이동 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I-I`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가 제 1 화상과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가 제 1 화상과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only a first imag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second image is displayed above a first image in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second image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a first image in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display pan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pix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view of a second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a rear cov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of a mov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of a mov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II′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
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are displayed in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일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example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hape, size, ratio, angle, number,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detail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When 'includes', 'has', 'consists',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is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In the case where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cluding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on top of', 'on top of', 'at the bottom of', 'next to', etc. Or, unless 'directly' is used,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arts.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mmediately' or 'directly' when a temporal precedence relationship is described in terms of 'after', 'following', 'next to', 'before', etc. It can also include non-continuous cases unless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수평 축 방향", "제2 수평 축 방향" 및 "수직 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First horizontal axis direction", "second horizontal axis direction", and "vertical axis direc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only as a geometric relationship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is vertical, and the rang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ction functionally It can mean having a wider direction than within.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means not only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respectively, but also two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It may mean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one or more.

본 발명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entire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is possible, and each example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can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에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가 제 1 화상(DA1)만 표현하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에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가 제 1 화상(DA1)의 상측에 제 2 화상(DA2)을 표현하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에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가 제 1 화상(DA1)의 우측에 제 2 화상(DA2)을 표현하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only a first image DA1.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second image DA2 is displayed above a first image DA1 in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second image DA2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a first image DA1 in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는 제 1 표시 패널(100), 제 2 표시 패널(200), 및 후면 커버(back cover)(300)를 포함한다.1 to 3 ,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panel 100, a second display panel 200, and a back cover 300. .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는 자발광이 가능한 표시 장치로, 백라이트가 없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 표시 패널(100) 또는 제 2 표시 패널(200)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 제 1 표시 패널(100)과 제 2 표시 패널(200)을 하나의 표시 장치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제 1 표시 패널(100)과 제 2 표시 패널(200)을 중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self-emission and is characterized by a structure without a backlight.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a separate backlight for supplying light to the first display panel 100 or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and thus the first display panel 100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Two display panels 200 may be included in one display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overlap the first display panel 100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

제 1 표시 패널(100)은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다. 제 1 표시 패널(100)은 제 1 화상(DA1)을 표시한다. 제 1 화상(DA1)은 항상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화상이다. 제 1 화상(DA1)은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가 턴-온(turn-on) 된 경우 항상 화상을 표시한다.The first display panel 10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dual screen display device. The first display panel 100 displays a first image DA1. The first image DA1 is an image that is always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The first image DA1 always displays an image when the dual screen display device is turned on.

제 2 표시 패널(200)은 제 1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표시 패널(200)은 제 1 표시 패널(100)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 2 표시 패널(200)의 전면이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한다. 제 2 표시 패널(200)은 제 2 화상(DA2)을 표시한다. 제 2 화상(DA2)은 필요에 따라 듀얼 스크린 모드로 구동할 때에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화상이다. 제 2 화상(DA2)은 제 2 표시 패널(200)이 제 1 표시 패널(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는 경우에 화상을 표시한다.The second display panel 20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 Preferably,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display panel 100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dual screen display device is within a range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is not damaged by friction. to minimize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displays the second image DA2. The second image DA2 is an image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when driving in the dual screen mode as needed. The second image DA2 is displayed when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and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후면 커버(300)는 제 2 표시 패널(200)의 배면에 배치된다. 후면 커버(300)는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의 후면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후면 커버(300)는 제 2 표시 패널(200)이 제 1 표시 패널(100)의 상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후면 커버(300)는 후면 커버 레일(rail)(310)과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stopper)(320)를 포함한다.The rear cover 30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 The rear cover 300 protects the rear surface of the dual screen display device from external impact. Also, the rear cover 300 allows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to move upward, left, or right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 To this end, the rear cover 300 includes a rear cover rail 310 and a rear cover rail stopper 320 .

후면 커버 레일(310)은 후면 커버(300)의 정면에 배치된다. 후면 커버 레일(310)은 제 2 표시 패널(200)을 상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후면 커버 레일(310)은 싱글 스크린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제 2 표시 패널(200)을 제 1 표시 패널(100) 배면에 배치시켜 제 2 화상(DA2)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다가, 듀얼 스크린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제 2 화상(DA2)을 외부로 노출시킨다.The rear cover rail 31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cover 300 . The rear cover rail 310 moves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upward, left, or right. Accordingly, when the rear cover rail 310 is driven in the single screen mode,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so that the second image DA2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 In the case of driving in the dual screen mode, the second image DA2 is exposed to the outside.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320)는 후면 커버 레일(310)의 상측, 좌측, 및 우측 끝단에 배치된다.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320)는 후면 커버 레일(310)보다 마찰력이 크거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거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320)는 후면 커버 레일(310)에 의해 제 2 표시 패널(200)이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rear cover rail stopper 320 is disposed at the upp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cover rail 310 . The rear cover rail stopper 320 has greater frictional force than the rear cover rail 310, has an inclined surface, or has a protrusion. The rear cover rail stopper 320 prevents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from leaving the dual screen display device by the rear cover rail 310 .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경우는 싱글 스크린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제 2 표시 패널(200)이 제 1 표시 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 2 화상(DA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FIG. 1 shows a case of driving in a single screen mode,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 Accordingly, the second image DA2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반면, 도 2의 경우는 듀얼 스크린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제 2 표시 패널(200)이 제 1 표시 패널(100)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 2 화상(DA2)이 제 1 화상(DA1)의 상측에서 외부로 노출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se of FIG. 2 shows a case of driving in a dual screen mode,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moves above the first display panel 100 . Accordingly, the second image DA2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above the first image DA1.

또한, 도 3의 경우는 듀얼 스크린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제 2 표시 패널(200)이 제 1 표시 패널(100)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 2 화상(DA2)이 제 1 화상(DA1)의 우측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와 동일한 원리로 제 2 화상(DA2)이 제 1 화상(DA1)의 좌측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3 shows a case of driving in the dual screen mode,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moves to the right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 Accordingly, the second image DA2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right side of the first image DA1.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cond image DA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left side of the first image DA1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이와 같이, 제 2 표시 패널(200)은 제 1 표시 패널(100)의 상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 2 화상(DA2)을 외부로 노출킴으로서 듀얼 스크린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모니터 등 표시 패널을 갖는 외부의 장비가 없이도 듀얼 스크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듀얼 스크린 모드로 구동하기 위해 외부의 모니터 등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등이 불필요하다. 또한, 제 1 화상(DA1)과 제 2 화상(DA2)이 인접하여 있으므로, 기존의 듀얼 스크린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보다 소비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can be driven in the dual screen mode by moving to the upper, left, or right side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to expose the second image DA2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dual screen mode can be implemented without external equipment having a display panel such as a separate monitor. In addition, cables for connecting to external monitors are not required to operate in dual screen mode. In addition, since the first image DA1 and the second image DA2 are adjacent to each other, space consumption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of driving in the conventional dual screen mod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 1 표시 패널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소를 나타낸 회로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display pan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pix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 1 표시 패널부는 제 1 표시 패널(100), 게이트 구동부(110), 데이터 구동부(120), 소스 드라이브 IC(Source Drive Integrated Circuit, SD-IC)(121)들,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 T-CON)(130), 스캔 구동부(미도시), 센싱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제 1 표시 패널(100)이 포함된 제 1 표시 패널부만을 설명하였으나, 제 1 표시 패널(100)과 제 2 표시 패널(200)은 배치되는 위치만 상이할 뿐, 화상을 구현하는 원리 및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하므로, 제 2 표시 패널(200)이 포함된 제 2 표시 패널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 the first display panel unit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panel 100, a gate driver 110, a data driver 120, a source drive integrated circuit (IC), SD-IC) 121, a timing controller (T-CON) 130, a scan driver (not shown), and a sensing driver (not shown). Although only the first display panel portion including the first display panel 100 has been described in FIGS. 4 and 5 , only the positions of the first display panel 100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are different, and the image Since the principle of implementing the image and the components for implementing the image are the same, a description of the second display panel portion including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will be omitted.

제 1 표시 패널(100)은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의 주변에 마련된 비표시영역을 포함한다. 표시영역은 화소(P)들이 마련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표시 패널(100)에는 게이트 라인들(GL1~GLp, p는 2 이상의 양의 정수), 데이터 라인들(DL1~DLq, q는 2 이상의 양의 정수) 및 센싱 라인들(SL1~SLq)이 마련된다. 데이터 라인들(DL1~DLq) 및 센싱 라인들(SL1~SLq)은 게이트 라인들(GL1~GLp)과 교차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q)과 센싱 라인들(SL1~SLq)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화소(P)들이 마련되는 하부기판과 봉지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provided around the display area. The display area is an area where the pixels P are provided to display an image. Gate lines GL1 to GLp (where p is a positive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data lines DL1 to DLq (where q is a positive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and sensing lines SL1 to SLq are provided in the display panel 100 . do. The data lines DL1 to DLq and the sensing lines SL1 to SLq may cross the gate lines GL1 to GLp. The data lines DL1 to DLq and the sensing lines SL1 to SLq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 lower substrate on which the pixels P are provided and an upper substrate performing a sealing function.

화소(P)들 각각은 게이트 라인들(GL1~GLp) 중 어느 하나, 데이터 라인들(DL1~DLq) 중 어느 하나 및 센싱 라인들(SE1~SEm)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를 이용하지 않고 자발광이 가능한 화소(P)들을 갖는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화소(P)의 구조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Each of the pixels P may be connected to one of the gate lines GL1 to GLp, one of the data lines DL1 to DLq, and one of the sensing lines SE1 to SEm. Sinc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having pixels P capable of self-emission without using a backlight, the following describe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pixel P. A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화소(P)들 각각은 도 5와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전류를 공급하는 화소 구동부(P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j(j는 1≤j≤q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데이터 라인(DLj), 제j 센싱 라인(SLj), 제k(k는 1≤k≤p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스캔 라인(Sk), 및 제k 센싱 신호 라인(SSk)에 접속된 화소(P)만을 도시하였다.Each of the pixels P may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a pixel driver PD supplying current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s shown in FIG. 5 . In FIG. 5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jth data line DLj (j is a positive integer satisfying 1≤j≤q), the jth sensing line SLj, and the kth (k represents 1≤k≤p). Satisfied positive integer) scan line Sk, and only the pixels P connected to the k th sensing signal line SSk are shown.

도 5를 참조하면, 화소(P)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제j 센싱라인(SLj)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화소 구동부(PD)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pixel P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a pixel driver (PD) supplying current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the j th sensing line (SLj).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발광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접속되고, 캐소드 전극은 고전위전압보다 낮은 저전위전압이 공급되는 저전위전압라인(ELVSSL)에 접속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current supplied through the driving transistor (DT). The anode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ay be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the cathode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the low potential voltage line ELVSSL to which a low potential voltage lower than the high potential voltage is suppli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 전극(anode electrode),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발광층(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캐소드 전극(cathode electrode)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유기발광층으로 이동되며, 유기발광층에서 정공과 전자가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ay include an anode electrode, a hole transpor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a cathode electrode. there i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holes and electrons are mov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rough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respectively, and holes and electrons combine with each othe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o emit light.

화소 구동부(PD)는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DT), 스캔 라인(Sk)의 스캔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1 트랜지스터(ST1), 센싱 신호 라인(SSk)의 센싱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2 트랜지스터(ST2) 및 커패시터(capacitor)(C)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구동부(PD)는 표시 모드에서 화소(P)에 접속된 스캔 라인(Sk)으로부터 스캔 신호가 공급될 때 화소(P)에 접속된 데이터 라인(DLj)의 데이터 전압(VDATA)을 공급받고,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른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공급한다. 화소 구동부(PD)는 센싱 모드에서 화소(P)에 접속된 스캔 라인(Sk)으로부터 스캔 신호가 공급될 때 화소(P)에 접속된 데이터 라인(DLj)의 센싱 전압을 공급받고,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를 화소(P)에 접속된 센싱 라인(SLj)으로 흘린다.The pixel driver PD includes a driving transistor DT, a first transistor ST1 controlled by a scan signal of a scan line Sk, and a second transistor ST1 controlled by a sensing signal of a sensing signal line SSk. A transistor ST2 and a capacitor C may be included. The pixel driver PD receives the data voltage VDATA of the data line DLj connected to the pixel P when a scan signal is supplied from the scan line Sk connected to the pixel P in display mode, The current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ccording to the data voltage VDATA is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pixel driver PD receives the sensing voltage of the data line DLj connected to the pixel P when a scan signal is supplied from the scan line Sk connected to the pixel P in the sensing mode, and the driving transistor ( The current of DT is passed through the sensing line SLj connected to the pixel P.

구동 트랜지스터(DT)는 고전위전압라인(ELVDDL)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이에 마련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의 전압 차에 따라 고전위전압라인(ELVDDL)으로부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흐르는 전류를 조정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은 제1 트랜지스터(ST1)의 제1 전극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고전위전압이 공급되는 고전위전압라인(ELVDDL)에 접속될 수 있다.The driving transistor DT is provided between the high potential voltage line ELVDDL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driving transistor DT adjusts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high potential voltage line ELVDDL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ccor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ST1, the sourc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the drain electrode has a high potential to which a high potential voltage is supplied. It may be connected to the voltage line ELVDDL.

제1 트랜지스터(ST1)는 제k 스캔 라인(Sk)의 제k 스캔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j 데이터 라인(DLj)의 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한다.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제k 스캔 라인(Sk)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며, 제2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Lj)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ST1)는 스캔 트랜지스터로 통칭될 수 있다.The first transistor ST1 is turned on by the k th scan signal of the k th scan line Sk to supply the voltage of the j th data line DLj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The gate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T1 is connected to the kth scan line Sk, the first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the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jth data line DLj. It can be. The first transistor ST1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can transistor.

제2 트랜지스터(ST2)는 제k 센싱 신호 라인(SSk)의 제k 센싱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j 센싱 라인(SLj)을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접속시킨다. 제2 트랜지스터(ST2)의 게이트 전극은 제k 센싱 신호 라인(SSk)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제j 센싱 라인(SLj)에 접속되며, 제2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ST2)는 센싱 트랜지스터로 통칭될 수 있다.The second transistor ST2 is turned on by the k th sensing signal of the k th sensing signal line SSk to connect the j th sensing line SLj to the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The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ST2 is connected to the kth sensing signal line SSk, the first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jth sensing line SLj, and the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can be connected. The second transistor ST2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ensing transistor.

커패시터(C)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마련된다. 커패시터(C)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압과 소스 전압 간의 차전압을 저장한다.The capacitor C is provid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The capacitor C stores a difference voltage between the gate voltage and the source voltag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도 5에서는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ST1, ST2)이 N 타입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으로 형성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ST1, ST2)은 P 타입 MOSFET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전극은 소스 전극일 수 있고 제2 전극은 드레인 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제1 전극은 드레인 전극일 수 있고 제2 전극은 소스 전극일 수 있다.In FIG. 5 ,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ST1 and ST2 have been mainly described as being formed of N-type MOSFETs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s),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y are not limited thereto.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ST1 and ST2 may be formed of a P-type MOSFET. Also, the first electrode may be a sourc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drain electrode,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y are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first electrode may be the drain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the source electrode.

표시 모드에서, 제k 스캔 라인(Sk)에 스캔 신호가 공급될 때 제j 데이터 라인(DLj)의 데이터 전압(VDATA)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되고, 제k 센싱 신호 라인(SSk)에 센싱 신호가 공급될 때 제j 센싱라인(SEj)의 초기화 전압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표시 모드에서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과 소스 전극의 전압 간의 전압 차에 따라 흐르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공급되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에 따라 발광한다. 이때, 데이터 전압(VDATA)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문턱 전압과 전자 이동도를 보상한 전압이므로,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문턱 전압과 전자 이동도에 의존하지 않는다.In the display mode, when a scan signal is supplied to the kth scan line Sk, the data voltage VDATA of the jth data line DLj is su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the kth sensing signal line ( When a sensing signal is supplied to SSk, the initialization voltage of the jth sensing line SEj is supplied to the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Due to this, the current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flowing accor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and the voltage of the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in the display mode is su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t this time, since the data voltage VDATA is a voltage obtained by compensating for the threshold voltage and electron mobility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the current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does not depend on the threshold voltage and electron mobility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

센싱 모드에서, 제k 스캔 라인(Sk)에 스캔 신호가 공급될 때 제j 데이터 라인의 센싱 전압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되고, 제k 센싱 신호 라인(SSk)에 센싱 신호가 공급될 때 제j 센싱 라인(SLj)의 초기화 전압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공급된다. 또한, 제k 센싱 신호 라인(SSk)에 센싱 신호가 공급될 때 제2 트랜지스터(ST2)가 턴-온되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과 소스 전극의 전압 간의 전압 차에 따라 흐르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가 제j 센싱 라인(SLj)으로 흐르도록 한다.In the sensing mode, when a scan signal is supplied to the kth scan line Sk, the sensing voltage of the jth data line is su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the sensing signal is supplied to the kth sensing signal line SSk. When supplied, the initialization voltage of the j th sensing line SLj is supplied to the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In addition, when a sensing signal is supplied to the kth sensing signal line SSk, the second transistor ST2 is turned on and driven according to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and the voltage of the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The current of the transistor DT is allowed to flow through the jth sensing line SLj.

게이트 구동부(120)는 타이밍 컨트롤러(130)로부터 게이트 제어신호(GCS)를 공급받고, 게이트 제어신호(GCS)에 따라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하여 게이트 라인들(GL1~GLp)에 공급한다.The gate driver 120 receives the gate control signal GCS from the timing controller 130, generates gate signals according to the gate control signal GCS, and supplies them to the gate lines GL1 to GLp.

데이터 구동부(120)는 도 3과 같이 복수의 소스 드라이브 IC(12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브 IC(121)들 각각은 연성필름(150)들 각각에 실장될 수 있다. 연성필름(150)들 각각은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으로 마련될 수 있다. 칩 온 필름은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베이스 필름과 베이스 필름 상에 마련된 복수의 도전성 리드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필름(150)들 각각은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연성필름(150)들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하부기판(101)과 제어 인쇄회로보드(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140)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연성필름(150)들 각각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lim, ACF)을 이용하여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하부기판(101) 상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스 드라이브 IC(121)들은 데이터 라인들(DL1~DLq)에 연결될 수 있다.The data driver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urce drive ICs 121 as shown in FIG. 3 . Each of the source drive ICs 121 may be mounted on each of the flexible films 150 . Each of the flexible films 150 may be provided as a chip on film (COF). The chip-on-film may include a base film such as polyimide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lead wires provided on the base film. Each of the flexible films 150 may be bent or bent. Each of the flexible films 15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bstrate 101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140 . In particular, each of the flexible films 150 may be attached on the lower substrate 101 in a Tape Automated Bonding (TAB) method us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and thereby the source drive IC 121 ) may be connected to the data lines DL1 to DLq.

제어 인쇄회로보드(140)는 연성필름(150)들에 부착될 수 있다. 제어 인쇄회로보드(140)는 도 3과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130)를 실장할 수 있으며, 제어 인쇄회로보드(140) 상에는 타이밍 컨트롤러(130)와 연상필름(150) 상에 실장된 소스 드라이브 IC(121)를 연결하는 신호 배선들(SENL1~SENL5)이 배치된다.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40 may be attached to the flexible films 150 .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40 may mount the timing controller 130 as shown in FIG. 3, an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40, the timing controller 130 and the source drive IC mounted on the associative film 150 ( 121) are disposed.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외부의 시스템 보드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TS)를 공급받는다. 타이밍 컨트롤러(130)의 입력단에는 타이밍 신호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가 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입력된다. 타이밍 신호(TS)는 수직 동기 신호(Vertical sync signal, Vsync), 수평 동기 신호(Horizontal sync signal, 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signal, DE), 및 도트 클럭(Dot clock, DCLK)을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데이터 구동부(120)로부터 센싱 데이터(SEN)를 공급받는다.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센싱 데이터(SEN)에 기초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를 보상한다.The timing controller 130 receives digital video data DATA and a timing signal TS from an external system board. Timing signals and digital video data DATA are input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timing controller 130 according to a set protocol. The timing signal TS includes a vertical sync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 signal (Hsync), a data enable signal (DE), and a dot clock (DCLK). include The timing controller 130 receives sensing data SEN from the data driver 120 . The timing controller 130 compensates the digital video data DATA based on the sensing data SEN.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게이트 구동부(110), 데이터 구동부(120), 스캔 구동부 및 센싱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신호들은 게이트 구동부(11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CS), 데이터 구동부(1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 스캔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스캔 타이밍 제어신호 및 센싱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타이밍 제어신호를 포함한다.The timing controller 130 generates timing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operation timings of the gate driver 110, the data driver 120, the scan driver, and the sensing driver. The timing control signals include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GC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gate driver 110,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DC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er 120, and an operation timing of the scan driver. It includes a scan ti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d a sensing ti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sensing driver.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모드 신호에 따라 표시 모드와 센싱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데이터 구동부(120), 스캔 구동부 및 센싱 구동부를 동작시킨다. 표시 모드는 표시 패널(100)의 화소(P)들이 화상을 표시하는 모드이고, 센싱 모드는 표시 패널(100)의 화소(P)들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를 센싱하는 모드이다. 표시 모드와 센싱 모드 각각에서 화소(P)들 각각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의 파형과 센싱 신호의 파형이 변경되는 경우, 표시 모드와 센싱 모드 각각에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 스캔 타이밍 제어신호 및 센싱 타이밍 제어신호 역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표시 모드와 센싱 모드 중 어느 모드인지에 따라 해당하는 모드에 대응하여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 스캔 타이밍 제어신호 및 센싱 타이밍 제어신호를 생성한다.The timing controller 130 operates the data driver 120, the scan driver, and the sensing driver in one of a display mode and a sensing mode according to a mode signal. The display mode is a mode in which the pixels P of the display panel 100 display an image, and the sensing mode is a mode in which a current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of each of the pixels P of the display panel 100 is sensed. When the waveform of the scan signal and the sensing signal supplied to each of the pixels P in the display mode and the sensing mode are changed,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CS, the scan timing control signal and the The sensing timing control signal may also be changed. Accordingly, the timing controller 130 generates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DCS), a scan timing control signal, and a sensing tim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mode depending on which mode is selected from among the display mode and the sensing mode.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CS)를 게이트 구동부(110)로 출력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보상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120)로 출력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스캔 타이밍 제어신호를 스캔 구동부로 출력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센싱 타이밍 제어신호를 센싱 구동부로 출력한다.The timing controller 130 outputs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GCS to the gate driver 110 . The timing controller 130 outputs the compensated digital video data and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CS to the data driver 120 . The timing controller 130 outputs the scan timing control signal to the scan driver. The timing controller 130 outputs the sensing timing control signal to the sensing driver.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데이터 구동부(120), 스캔 구동부 및 센싱 구동부를 표시 모드와 센싱 모드 중에 어느 모드로 구동할지에 따라 해당 모드를 구동하기 위한 모드 신호를 생성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30)는 모드 신호에 따라 표시 모드와 센싱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데이터 구동부(120), 스캔 구동부 및 센싱 구동부를 동작시킨다.In addition, the timing controller 130 generates a mode signal for driving the data driver 120, the scan driver, and the sensing driver according to which mode among the display mode and the sensing mode is to be driven. The timing controller 130 operates the data driver 120, the scan driver, and the sensing driver in one of a display mode and a sensing mode according to a mode signa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 2 표시 패널(200)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 2 표시 패널(200)은 표시 패널 레일(210)과 표시 패널 레일 스탑퍼(220)를 포함한다.6 is a rear view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rail 210 and a display panel rail stopper 220 .

표시 패널 레일(210)은 제 2 표시 패널(200)의 배면에 배치된다. 표시 패널 레일(210)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교차하여 배치된다. X축 방향은 가로 방향, 또는 게이트 라인 방향이라고 정의될 수 있으며, Y축 방향은 서로 방향, 또는 데이터 라인 방향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배치되므로, 표시 패널 레일(210)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패널 레일(210)은 제 2 표시 패널(200)의 배면의 중앙에서 하측,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표시 패널 레일(210)은 'ㅜ'자 형태로 배치된다.The display panel rail 21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 The display panel rails 210 ar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may be defined as a horizontal direction or a gate line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may be defined as a mutual direction or a data lin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are disposed while crossing each other vertically, the display panel rail 210 is disposed while vertically crossing each other. Preferably, the display panel rails 210 extend downward,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 In this case, the display panel rail 210 is disposed in a 'TT' shape.

표시 패널 레일(210)은 제 2 표시 패널(200)이 후면 커버(300) 상에서 슬라이딩(sliding)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경로(path)이다. 제 2 표시 패널(200)은 표시 패널 레일(210)이 형성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 레일(210)이 'ㅜ'자 형태로 배치된 경우, 제 2 표시 패널(200)은 후면 커버(300) 상에서 상측, 좌측, 및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 패널 레일(210)은 제 2 표시 패널(200)의 배면에 홈을 파서 형성하거나, 후면 커버(300)와 맞물리는 요철 구조, 또는 바퀴가 갈 수 있는 레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rail 210 is a path through which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can move while sliding on the rear cover 300 .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may move on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panel rail 210 is formed.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panel rails 210 are disposed in a 'TT' shape,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may move while sliding upward, left, and right on the rear cover 300 . To this end, the display panel rail 210 may be formed by digging a groove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may have a concave-convex structure that engages with the rear cover 300,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ail on which wheels can go. .

표시 패널 레일 스탑퍼(220)는 표시 패널 레일(210)의 하측, 좌측, 및 우측 끝단에 배치된다. 표시 패널 레일 스탑퍼(220)는 표시 패널 레일(210)보다 마찰력이 크거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거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 레일 스탑퍼(220)는 표시 패널 레일(210)에 의해 제 2 표시 패널(200)이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display panel rail stoppers 220 are disposed at low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splay panel rail 210 . The display panel rail stopper 220 has greater frictional force than the display panel rail 210 , has an inclined surface, or has a protrusion. The display panel rail stopper 220 prevents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from leaving the dual screen display device by the display panel rail 210 .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는 제 2 표시 패널(200)의 배면에 표시 패널 레일(210)과 표시 패널 레일 스탑퍼(2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 표시 패널(200)이 후면 커버(300)를 이탈하지 않으면서도, 표시 패널 레일(210)에 의해 정해진 경로에 따라 제 2 표시 패널(2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panel rail 210 and a display panel rail stopper 220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 Accordingly,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can be moved along a path determined by the display panel rail 210 without leaving the rear cover 300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후면 커버(300)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후면 커버(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면 커버 레일(310)과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320)를 포함한다. 이 중,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320)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을 결부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후면 커버(300)는 이동 부재(330)를 포함한다.7 is a front view of a rear cover 30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ar cover 30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ear cover rail 310 and the rear cover rail stopper 320 . Among them, the description of the rear cover rail stopper 32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S. 1 to 3,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rear cover 30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member 330.

후면 커버 레일(310)은 제 2 표시 패널(200)이 후면 커버(300) 상에서 슬라이딩(sliding)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경로(path)이다. 제 2 표시 패널(200)은 후면 커버 레일(310)이 형성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커버 레일(310)이 후면 커버(300)의 정면의 중앙에서 상측,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되어 'ㅗ'자 형태로 배치된 경우, 제 2 표시 패널(200)은 후면 커버(300) 상에서 상측, 좌측, 및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면 커버 레일(310)은 후면 커버(300)의 정면에 홈을 파서 형성하거나, 제 2 표시 패널(200)과 맞물리는 요철 구조, 또는 바퀴가 갈 수 있는 레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cover rail 310 is a path through which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can move while sliding on the rear cover 300 .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may move on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r cover rail 310 is formed. For example, when the rear cover rail 310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side of the rear cover 300 to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and is disposed in a 'ㅗ' shape,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is the rear cover. It can move while sliding up, left, and right on the 300. To this end, the rear cover rail 310 may be formed by digging a groove in the front of the rear cover 300, or may have a concave-convex structure that engages with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ail on which wheels can go. .

바람직하게는, 후면 커버 레일(310)은 표시 패널 레일(210)과 대응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즉, 도 6 및 도 7과 같이, 표시 패널 레일(210)이 제 2 표시 패널(200)의 배면의 중앙에서 하측,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된 경우 경우, 후면 커버 레일(310) 역시 후면 커버(300)의 정면의 중앙에서 상측,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된다.Preferably, the rear cover rail 310 is dispo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anel rail 210 . That is, as shown in FIGS. 6 and 7 , when the display panel rail 210 extends downward,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the rear cover rail 310 is also the rear cover. It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of 300 upward, left, and right.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이 대응하는 형태로 배치된 경우, 제 2 표시 패널(200)을 이동시킬 때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로 슬라이딩시키는 힘이 분산된다. 또한, 레일의 구조에 따라 양 쪽에서 맞물리는 구조로 설계된 레일도 있는데, 이러한 레일 구조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이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야만 제 2 표시 패널(200)이 후면 커버(30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이 대응하는 형태로 배치된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제 2 표시 패널(200)을 후면 커버(300)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are disposed in a corresponding manner, a force sliding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when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is moved it is distributed Also,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rail, some rails are designed to be interlocked on both sides. In order to apply this rail structure,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must be in corresponding positions so that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 can move on the rear cover 300. That is, when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are disposed in a corresponding shape,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can be moved more stably on the rear cover 300 .

이동 부재(330)는 후면 커버(300)의 정면에 배치된다. 이동 부재(330)는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을 따라 움직인다. 즉, 도 6 및 도 7과 같이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이 정중앙에서 교차하는 십자가 형태로 배치된 경우, 이동 부재(330) 역시 정중앙에서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으로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moving member 33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cover 300 . The moving member 330 moves along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 6 and 7 , when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are arranged in a cross shape intersecting at the center, the movable member 330 also moves upward, downward, left, and right at the center. As a result,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may be moved along a path formed thereon.

이동 부재(330)는 제 2 표시 패널(220)이 후면 커버(300) 상에서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더욱 안정화한다. 이동 부재(330) 없이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 만으로 제 2 표시 패널(200)의 이동 경로는 가이드하는 경우, 제 2 표시 패널(200)과 후면 커버(300) 간의 이탈이나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이동 부재(330)가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 경로 상을 이동하면서 제 2 표시 패널(200)과 후면 커버(300) 간의 이탈이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moving member 330 further stabilizes the movement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20 along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on the rear cover 300 . When the movement path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is guided only by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without the moving member 330, separation between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and the rear cover 300 or slippage may occur. On the other hand, while the movable member 330 moves along the path between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separation or slipping between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and the rear cover 300 may be preven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동 부재(330)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동 부재(330)는 연결부(331), 머리부(332), 및 꼬리부(333)를 포함한다.8 is an exemplary view of a moving member 33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member 33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part 331, a head part 332, and a tail part 333.

연결부(331)는 머리부(332)와 꼬리부(333)의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부(331)는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 사이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연결부(331)는 제 2 표시 패널(200)과 후면 커버(3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331 is disposed between the head part 332 and the tail part 333. The connection part 331 connects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 Accordingly, the connection unit 331 may connect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and the rear cover 300 .

머리부(332)는 표시 패널 레일(210)과 접촉한다. 머리부(332)는 표시 패널 레일(210)과 맞물려서 표시 패널 레일(210)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머리부(332)는 표시 패널 레일(210)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이에 따라, 머리부(332)는 표시 패널 레일(210)에 맞물리거나, 표시 패널 레일(210)의 요철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머리부(332)는 레일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형성되어 있거나, 마찰력이 작아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머리부(332)는 표시 패널 레일(210) 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The head 332 contacts the display panel rail 210 . The head part 332 is engaged with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moves along the path on which the display panel rail 210 is formed. The head portion 332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display panel rail 210 . Accordingly, the head portion 332 may be engaged with the display panel rail 210 or may be coupled with irregularities of the display panel rail 210 . In addition, the head 332 is formed with wheels to be able to move on the rail, or is formed to be easily moved due to low frictional force. Accordingly, the head part 332 can move while sliding on the display panel rail 210 .

꼬리부(333)는 후면 커버 레일(310)과 접촉한다. 꼬리부(333)는 후면 커버 레일(310)과 맞물려서 후면 커버 레일(310)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꼬리부(333)는 후면 커버 레일(310)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이에 따라, 꼬리부(333)는 후면 커버 레일(310)에 맞물리거나, 후면 커버 레일(310)의 요철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꼬리부(333)는 레일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형성되어 있거나, 마찰력이 작아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꼬리부(333)는 후면 커버 레일(310) 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The tail portion 333 contacts the rear cover rail 310 . The tail part 333 engages with the rear cover rail 310 and moves along the path on which the rear cover rail 310 is formed. The tail portion 333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rear cover rail 310 . Accordingly, the tail portion 333 may be engaged with the rear cover rail 310 or may be combined with irregularities of the rear cover rail 310 . In addition, the tail portion 333 is formed with wheels to be able to move on the rail, or is formed to be easily moved due to low frictional force. Accordingly, the tail portion 333 can move while sliding on the rear cover rail 310 .

상술한 설명에서는 머리부(332)가 표시 패널 레일(210)과 접촉하고, 꼬리부(333)가 후면 커버 레일(310)과 접촉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머리부(332)가 후면 커버 레일(310)과 접촉하고, 꼬리부(333)가 표시 패널 레일(210)과 접촉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in which the head portion 332 contacts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tail portion 333 contacts the rear cover rail 310 has been exemplif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ead portion 332 is in contact with the rear cover rail 310. It may contact the rear cover rail 310 and the tail portion 333 may contact the display panel rail 210 .

이 때, 이동 부재(33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연결부(331)는 소정의 길이만큼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는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331)가 소정의 길이만큼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것이 가능한 경우, 제 2 표시 패널(200)과 후면 커버(300) 사이의 간격도 소정의 길이만큼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어, 제 2 표시 패널(200)을 유연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보다 자연스럽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한, 머리부(332)와 꼬리부(333)가 탄성을 갖는 경우,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에 접촉한 다음, 보다 용이하게 레일과 맞물릴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ving member 3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portion 331 is an elastic body that can be lengthened or shortened by a predetermined length. When the connecting portion 331 can be lengthened or shorten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and the rear cover 300 can also be lengthened or shortened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second display The panel 200 can be moved flexibly and can be slid more naturally. In addition, when the head portion 332 and the tail portion 333 have elasticity, they may contact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and then engage with the rail more easily.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이동 부재(340)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이동 부재(340)는 탄성 부재(341), 제 1 볼(342) 및 제 2 볼(343)을 포함한다.9 is an exemplary view of a moving member 34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member 34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astic member 341, a first ball 342 and a second ball 343.

탄성 부재(341)는 제 1 볼(342)과 제 2 볼(343)을 연결한다. 탄성 부재(341)는 제 1 볼(342)과 제 2 볼(34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탄성 부재(341)는 이동 부재(340)를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 상에서 이동시키려는 경우, 제 1 볼(342)과 제 2 볼(343)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제 1 볼(342)과 제 2 볼(343)이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 상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되, 제 1 볼(342)과 제 2 볼(343)에 압력을 주지 않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elastic member 341 connects the first ball 342 and the second ball 343. The elastic member 341 ma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all 342 and the second ball 343 . The elastic member 341 reduce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all 342 and the second ball 343 when moving the moving member 340 on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 Accordingly, while the first ball 342 and the second ball 343 maintain contact on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the first ball 342 and the second ball ( 343) so that it can move while sliding without applying pressure.

탄성 부재(341)는 이동 부재(340)를 제 1 볼(342)과 제 2 볼(343)을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 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려는 경우, 제 1 볼(342)과 제 2 볼(343)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341)는 제 1 볼(342)과 제 2 볼(343)을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 쪽으로 밀착시켜,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 상의 특정한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압력을 가할 수 있다. 탄성 부재(341)는 용수철 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elastic member 341 is to fix the first ball 342 and the second ball 343 of the moving member 340 to specific positions on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the first ball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342) and the second ball (343). Accordingly, the elastic member 341 brings the first ball 342 and the second ball 343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so that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Pressure may be applied so as not to move at a specific position on 310. The elastic member 341 may be formed of a spring or an elastic body that can replace it.

제 1 볼(342)은 표시 패널 레일(210)과 접촉한다. 제 1 볼(342)은 표시 패널 레일(210)과 맞물려서 표시 패널 레일(210)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제 1 볼(342)은 표시 패널 레일(210)의 폭과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 1 볼(342)은 표시 패널 레일(210)에 맞물리거나, 표시 패널 레일(210)의 요철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1 볼(342)은 레일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형성되어 있거나, 마찰력이 작아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볼(342)은 표시 패널 레일(210) 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ball 342 contacts the display panel rail 210 . The first ball 342 is engaged with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moves along the path on which the display panel rail 210 is formed. The first ball 342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display panel rail 210 . Accordingly, the first ball 342 may engage with the display panel rail 210 or may engage with the unevenness of the display panel rail 210 . In addition, the first ball 342 is formed with wheels to be able to move on the rail, or is formed to be easily moved due to low frictional force. Accordingly, the first ball 342 can move while sliding on the display panel rail 210 .

제 2 볼(343)은 후면 커버 레일(310)과 접촉한다. 제 2 볼(343)은 후면 커버 레일(310)과 맞물려서 후면 커버 레일(310)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제 2 볼(343)은 후면 커버 레일(310)의 폭과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 2 볼(343)은 후면 커버 레일(310)에 맞물리거나, 후면 커버 레일(310)의 요철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볼(343)은 레일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형성되어 있거나, 마찰력이 작아 이동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2 볼(343)은 후면 커버 레일(310) 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ball 343 contacts the rear cover rail 310 . The second ball 343 engages with the rear cover rail 310 and moves along the path on which the rear cover rail 310 is formed. The second ball 343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ear cover rail 310 . Accordingly, the second ball 343 may be engaged with the rear cover rail 310 or may be combined with irregularities of the rear cover rail 310 . In addition, the second ball 343 is formed with wheels to be able to move on the rail, or is formed to be easily moved due to low frictional force. Accordingly, the second ball 343 can move while sliding on the rear cover rail 310 .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 1 볼(342)이 표시 패널 레일(210)과 접촉하고, 제 2 볼(343)이 후면 커버 레일(310)과 접촉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볼(342)이 후면 커버 레일(310)과 접촉하고, 제 2 볼(333)이 표시 패널 레일(210)과 접촉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first ball 342 contacts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second ball 343 contacts the rear cover rail 310 has been exemplif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ball ( 342 may contact the rear cover rail 310 and the second ball 333 may contact the display panel rail 210 .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이동 부재(340)는 탄성 부재(341)를 이용하여 제 1 볼(342)과 제 2 볼(34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볼(342)과 제 2 볼(343) 사이의 거리 조절이 가능한 경우, 제 2 표시 패널(200)과 후면 커버(300) 사이의 간격도 조절 수 있어, 제 2 표시 패널(200)을 유연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보다 자연스럽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볼(342)과 제 2 볼(343)이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야 할 경우에는 탄성 부재(341)를 신장시켜서 제 1 볼(342)과 제 2 볼(343)을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에 밀착시킬 수도 있다. The moving member 34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all 342 and the second ball 343 using the elastic member 341 .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all 342 and the second ball 343 can be adjuste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and the rear cover 300 can also be adjusted, so that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can be adjusted. It can move flexibly and slide more naturally. In addition, when the first ball 342 and the second ball 343 need to be fixed without moving, the first ball 342 and the second ball 343 are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rail by extending the elastic member 341.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may be closely attached.

도 10은 도 1의 I-I` 단면도이다. 제 1 화상(DA1)만 표시하는 경우는 도 1을 결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표시 패널(100), 제 2 표시 패널(200), 및 후면 커버(300)가 중첩된 상태에 있다. 도 10에서는 제 2 표시 패널(200)과 후면 커버(300)에 대한 설명을 중점적으로 하기 위해, 제 1 표시 패널(100)은 도시하지 않았다.10 is a II′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 When only the first image DA1 is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first display panel 100 ,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 and the rear cover 300 are overlapped. In FIG. 10 , the first display panel 100 is not shown in order to focus o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and the rear cover 300 .

제 2 표시 패널(200)의 배면에는 표시 패널 레일(210)이 형성되고, 후면 커버(300)의 전면에는 후면 커버 레일(310)이 형성된다. 또한, 표시 패널 레일(210)의 양 측 끝단에 표시 패널 레일 스탑퍼(220)가 형성되고, 후면 커버 레일(310)의 양 측 끝단에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320)가 형성된다. 또한, 표시 패널 레일(210) 및 후면 커버 레일(310)이 교차하는 중앙부에는 이동 부재(330)가 마련된다. 이동 부재(330)는 표시 패널 레일(210) 및 후면 커버 레일(310)과 접촉한 상태이다.The display panel rail 21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 and the rear cover rail 31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over 300 . In addition, display panel rail stoppers 22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display panel rail 210 , and rear cover rail stoppers 32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ar cover rail 310 . In addition, a moving member 330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where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intersect. The moving member 330 is in contact with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

이 때, 싱글 스크린 모드에서 구동하는 경우에는 제 2 표시 패널(2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야 하므로, 이동 부재(330)가 표시 패널 레일(210) 및 후면 커버 레일(310)이 교차하는 중앙부에 이동하지 않고 자리를 유지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 레일(210) 및 후면 커버 레일(310)이 교차하는 중앙부에는 이동 부재(330)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should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driven in the single screen mode, the moving member 330 is located at the center where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intersect. You need to stay in place and not move. Accordingly, a fixing member fixing the movable member 330 may b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where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intersect.

고정 부재의 일 예로, 표시 패널 레일(210) 및 후면 커버 레일(310)이 교차하는 중앙부의 표면을 마찰력을 큰 물질로 형성하거나,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중앙부에서의 이동 부재의 슬라이딩을 용이하지 않게 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fixing member, the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intersect is formed of a material with high frictional force or fine irregularities are formed to prevent easy sliding of the movable member in the central portion. can do.

고정 부재의 다른 예로, 이동 부재(330)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을 후면 커버 레일(310)의 중앙부에 형성하거나, 표시 패널 레일(210) 및 후면 커버 레일(310)이 교차하는 중앙부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이동 부재(330)가 가능한 중앙부에서 위치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member, a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movable member 330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cover rail 310 or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intersect is concave. It can be formed so that the movable member 330 i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as much as possible.

고정 부재의 또 다른 예로, 이동 부재(33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는, 고정 수단으로서 표시 패널 레일(210) 및 후면 커버 레일(310)이 교차하는 중앙부에 자석을 배치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member, when the moving member 33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 magnet may be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where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intersect as a fixing means.

이러한 다양한 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표시 패널 레일(210) 및 후면 커버 레일(310)이 교차하는 중앙부에 이동 부재(330)를 고정시켜, 싱글 스크린 모드에서 이동 부재(330)가 이동하여 제 2 표시 패널(2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By fixing the movable member 330 to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intersect the fixing member according to various examples, the movable member 330 moves in the single screen mode to display the second display. The panel 20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가 제 1 화상(DA1)과 제 2 화상(DA2)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가 제 1 화상(DA1)과 제 2 화상(DA2)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first image DA1 and a second image DA2, and FIG. 12 is a dual screen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device displays the first image DA1 and the second image DA2.

제 1 화상(DA1)만 표시하는 경우는 도 2 및 도 3을 결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 제 2 표시 패널(200)을 노출시키기 위해 제 1 표시 패널(100)과 제 2 표시 패널(200)이 중첩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 2 표시 패널(200)은 후면 커버(300) 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여, 후면 커버(300)를 벗어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제 2 표시 패널(200)과 후면 커버(300)에 대한 설명을 중점적으로 하기 위해, 제 1 표시 패널(100)은 도시하지 않았다.When only the first image DA1 is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the first display panel 100 and the second display panel ( 200) do not overlap. To this end,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moves while sliding on the rear cover 30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leaving the rear cover 300 . In FIGS. 11 and 12 , the first display panel 100 is not illustrated in order to focus o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and the rear cover 300 .

제 2 표시 패널(200)의 배면에는 표시 패널 레일(210)이 형성되고, 후면 커버(300)의 전면에는 후면 커버 레일(310)이 형성된다. 또한, 표시 패널 레일(210)의 양 측 끝단에 표시 패널 레일 스탑퍼(220)가 형성되고, 후면 커버 레일(310)의 양 측 끝단에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320)가 형성된다. 또한, 도 11에서는 표시 패널 레일(210) 및 후면 커버 레일(310)이 교차하는 중앙부에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이동 부재(330)가 마련되고, 도 12에서는 표시 패널 레일(210) 및 후면 커버 레일(310)이 교차하는 중앙부에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이동 부재(340)가 마련된다. 이동 부재(330, 340)는 표시 패널 레일(210) 및 후면 커버 레일(310)과 접촉한 상태이다.The display panel rail 21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 and the rear cover rail 31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over 300 . In addition, display panel rail stoppers 22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display panel rail 210 , and rear cover rail stoppers 32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ar cover rail 310 . In addition, in FIG. 11, the moving member 33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center where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intersect, and in FIG. 12,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intersect. A moving member 34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the center where the cover rails 310 intersect. The moving members 330 and 340 are in contact with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

제 2 표시 패널(200)은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을 이용하여 후면 커버(300)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여, 후면 커버(300) 상부에서 벗어나 외부로 노출된다. 이동 부재(330, 340)는 표시 패널 레일(210)과 후면 커버 레일(310)을 슬라이딩하여, 표시 패널 레일(210) 및 후면 커버 레일(310)의 일 측 끝단까지 이동한다. 이동 부재(330, 340)는 표시 패널 레일 스탑퍼(220) 및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320)와 접촉한다.The second display panel 200 moves while sliding on the rear cover 300 using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top of the rear cover 300. The moving members 330 and 340 slide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to move to one end of the display panel rail 210 and the rear cover rail 310 . The moving members 330 and 340 contact the display panel rail stopper 220 and the rear cover rail stopper 320 .

이때, 표시 패널 레일 스탑퍼(220) 및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320)는 이동 부재(330, 340)가 후면 커버(30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이동 부재(330, 340)의 길이는 표시 패널 레일 스탑퍼(220)와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320) 사이의 간격보다 길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 레일 스탑퍼(220) 및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320)는 이동 부재(330, 340)가 후면 커버(30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문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330, 34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 제 2 표시 패널(200)이 후면 커버(330)를 이탈하는 문제 또한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panel rail stopper 220 and the rear cover rail stopper 320 prevent the moving members 330 and 340 from leaving the rear cover 300 . To this end, the lengths of the moving members 330 and 340 are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panel rail stopper 220 and the rear cover rail stopper 320 . Accordingly, the display panel rail stopper 220 and the rear cover rail stopper 320 may serve as thresholds to prevent the moving members 330 and 340 from leaving the rear cover 300 . In addition, when the separation of the moving members 330 and 340 is prevented, the problem of separation of the second display panel 200 from the rear cover 330 can also be prevented.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는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 2 표시 패널을 이용하여 듀얼 스크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예는 별도의 외부 모니터 등을 이용하지 않고 하나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듀얼 스크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모니터 등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보다 간편하게 듀얼 스크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A dual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 dual screen mode by using a second display panel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sliding.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al screen mode can be implemented using one display device without using a separate external monitor.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use a cable to connect to an external monitor, the dual screen mode can be implemented more convenientl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 1 표시 패널 110: 게이트 구동부
120: 데이터 구동부 130: 타이밍 컨트롤러
200: 제 2 표시 패널 210: 표시 패널 레일
220: 표시 패널 레일 스탑퍼 300: 후면 커버
310: 후면 커버 레일 320: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
330, 340: 이동 부재 DA1, DA2: 제 1, 제 2 화상
P: 화소
100: first display panel 110: gate driver
120: data driver 130: timing controller
200: second display panel 210: display panel rail
220: display panel rail stopper 300: rear cover
310: rear cover rail 320: rear cover rail stopper
330, 340: Moving member DA1, DA2: 1st, 2nd image
P: pixel

Claims (8)

제 1 화상을 표시하는 제 1 표시 패널;
상기 제 1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제 2 표시 패널; 및
상기 제 2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된 후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 커버의 정면에는 상기 제 2 표시 패널을 이동시키는 후면 커버 레일이 배치되고, 상기 후면 커버 레일의 상측, 좌측, 및 우측 끝단에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표시 패널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상기 제 1 표시 패널과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상기 후면 커버 레일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싱글 스크린 모드 구동시, 상기 제1 표시 패널, 상기 제2 표시 패널, 및 상기 후면 커버는 중첩되게 배치되고,
듀얼 스크린 모드시, 상기 제 2 표시 패널만 상기 제 1 표시 패널의 상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화상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
a first display panel displaying a first image;
a second display panel disposed behind the first display panel to display a second image; and
a rear cover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A rear cover rail for moving the second display panel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cover, and rear cover rail stoppers are disposed at upp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cover rail,
the second display panel is movab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display panel and the rear cover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through the rear cover rail;
When driving in single screen mode, the first display panel, the second display panel, and the rear cover ar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dual screen mode, only the second display panel is moved above, left, or right of the first display panel to expose the second image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제 2 표시 패널의 배면의 중앙에서 하측,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된 표시 패널 레일이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 레일의 하측, 좌측, 및 우측 끝단에 표시 패널 레일 스탑퍼가 배치된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Display panel rails extending downward,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panel, and display panel rails are dispos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splay panel rails. Dual screen display unit with stopper plac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 레일은 상기 후면 커버의 정면의 중앙에서 상측,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 패널 레일과 대응하는 형태로 배치된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rear cover rail is dispos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anel rail by extending upward,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o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레일과 상기 후면 커버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패널의 이동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 레일 스탑퍼와 접촉하는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레일과 상기 후면 커버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mov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rail and the rear cover rai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display panel, the mov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display panel rail stopper moves along the display panel rail and the rear cover rai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레일 및 상기 후면 커버 레일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머리부와 꼬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패널 레일과 상기 후면 커버 레일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며, 탄성을 갖는 재질인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moving member moves while sliding the display panel rail and the rear cover rail using a head and a tail having widths corresponding to those of the display panel rail and the rear cover rail, and is a dual screen material having elasticity. display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레일과 상기 후면 커버 레일의 폭과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제 1 볼과 제 2 볼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패널 레일과 상기 후면 커버 레일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며, 상기 제 1 볼과 상기 제 2 볼은 탄성 부재로 연결된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moving member moves while sliding the display panel rail and the rear cover rail using a first ball and a second ball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display panel rail and the rear cover rail, and the first ball and the second ball are connected by an elastic memb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레일 및 상기 후면 커버 레일이 교차하는 중앙부에는 상기 이동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가 구비된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4,
A dual scre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moving member at a central portion where the display panel rail and the rear cover rail intersec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의 길이는 상기 표시 패널 레일 스탑퍼와 상기 후면 커버 레일 스탑퍼 사이의 간격보다 긴 듀얼 스크린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length of the moving member is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panel rail stopper and the rear cover rail stopper.
KR1020160126320A 2016-09-30 2016-09-30 Dual screen display device KR1025639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320A KR102563967B1 (en) 2016-09-30 2016-09-30 Dual screen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320A KR102563967B1 (en) 2016-09-30 2016-09-30 Dual screen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130A KR20180036130A (en) 2018-04-09
KR102563967B1 true KR102563967B1 (en) 2023-08-04

Family

ID=6197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320A KR102563967B1 (en) 2016-09-30 2016-09-30 Dual screen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96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784U (en) 2007-04-02 2007-06-21 トウヨウニッソ−工芸株式会社 Display device
KR200439470Y1 (en) 2007-02-21 2008-04-14 이종규 Unification Computer
KR101475490B1 (en) * 2007-10-05 201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Supporting device and dual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61Y1 (en) * 2009-12-22 2012-02-29 박정기 Portable Computer with a few of Moniter by using sliding par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470Y1 (en) 2007-02-21 2008-04-14 이종규 Unification Computer
JP3132784U (en) 2007-04-02 2007-06-21 トウヨウニッソ−工芸株式会社 Display device
KR101475490B1 (en) * 2007-10-05 201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Supporting device and dual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130A (en) 201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2346B2 (en) Double sided display
KR10257749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US989896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297192B2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464131B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1035506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6334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488256B1 (en) Tiled display
US20240088159A1 (e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830443B2 (en)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and display driving method having operation at a low driving frequency
KR10246334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10086039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09704B1 (en) Flexible film,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613421B1 (en) Chip on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563967B1 (en) Dual screen display device
US9229288B2 (en) Display panel in which two wiring lines of the same type have different thickness direction layouts
KR102625726B1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211361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230040819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driving method
KR102439155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20180067884A (en) Display panel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7870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2660242B1 (en)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KR102604732B1 (en)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51384B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