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603B1 -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603B1
KR102563603B1 KR1020180151741A KR20180151741A KR102563603B1 KR 102563603 B1 KR102563603 B1 KR 102563603B1 KR 1020180151741 A KR1020180151741 A KR 1020180151741A KR 20180151741 A KR20180151741 A KR 20180151741A KR 102563603 B1 KR102563603 B1 KR 102563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tuator
assist arm
suspension system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358A (ko
Inventor
이해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1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6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60G3/26Means for maintaining substantially-constant wheel camber during suspension movement ; Means for controlling the variation of the wheel position during suspension movement
    • B60G3/265Means for maintaining substantially-constant wheel camber during suspension movement ; Means for controlling the variation of the wheel position during suspension movement with a strut cylinder contributing to the suspension geometry by being linked to the wheel support via an arti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60G7/003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adjustabl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 B60G2206/1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of adjustabl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4Steering, cornering
    • B60G2800/246Underste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차량 리어 서스펜션의 언더 스티어 특성, 즉 횡력 스티어 특성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횡력 스티어 특성의 조절을 통해 세밀한 튜닝 및 차량의 즉각적인 응답이 가능해지는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륜이 장착되는 캐리어와 차체 사이에 연결된 암류 부품을 포함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암류 부품 중 어시스트암의 일단부가 상기 차체에 결합되고, 전후진 동작하는 작동로드를 가지는 액추에이터가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며, 상기 어시스트암의 타단부가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로드에 연결되어, 작동로드의 전후진 동작에 의해 어시스트암의 타단부 위치가 전후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차량 리어 서스펜션의 언더 스티어 특성, 즉 횡력 스티어 특성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횡력 스티어 특성의 조절을 통해 세밀한 튜닝 및 차량의 즉각적인 응답이 가능해지는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suspension) 시스템(즉, 현가장치)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차체와 차륜 사이를 연결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서스펜션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 중 불규칙한 노면으로 인해 발생한 진동이나 충격 등의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은 운전자의 운전행위 및 노면의 굴곡으로 인해 발생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고,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 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차량의 선회, 제동, 구동시 조정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준다.
공지의 서스펜션 시스템 중,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AGCS) 시스템은,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리어 서스펜션의 지오메트리를 변경하고 결과적으로 선회시 롤 스티어(roll steer)량을 증대시켜 차량의 핸들링 성능을 대폭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특히,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은 차량 선회시 토우-아웃(toe-out) 경향이 나타나서 조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을 때 토우-인(toe-in)을 유도하여 차량 롤(roll) 발생시의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에 대해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5481, 공개특허공보 제2003-0017668호, 등록특허 제10-1446945호, 등록특허 제10-1294074호, 등록특허 제10-1776714호, 등록특허 제10-1795374호, 등록특허 10-1518884호, 등록특허 제10-1294068호 등을 통해 자세히 공개되어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4-링크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4-링크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횡력 스티어 발생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은 캐리어를 지시하며, 도면부호 2와 3, 4, 5는 서스펜션 링크를 구성하는 암(arm)류 부품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면부호 2는 트레일링암을, 도면부호 3은 어시스트암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4는 어퍼암을, 도면부호 5는 로어암을 나타낸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차량이 선회할 경우 등에서 타이어에 횡력이 발생하여 작용하면 토우-인 발생과 동시에 암류에 반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때 어시스트암(3)의 강성이 로어암(5)의 강성에 비해 작고 휠 센터(타이어 패치)에 가까우므로 변형이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도 1에 예시된 공지의 4-링크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경우, 횡력 스티어 관련 인자를 튜닝하기 위해 암류의 부시 특성치를 변경하거나, 어시스트암(3)과 로어암(5)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하여 휭력에 의한 차륜의 스티어 특성(횡력 스티어 특성)을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서스펜션 시스템의 세팅이 완료된 후에는 차량의 특성 변경이 어렵고, 부시의 특성 산포 및 그 형상에 따라 횡력 스티어의 튜닝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토우 변경이 가능한 기존의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AGCS) 시스템은 리어 서스펜션의 토우 특성을 변경하는 인자인 액추에이터의 정밀도에 따라 횡력 스티어 특성 대비 토우 특성이 크게 변경될 수 있을 뿐, 차량의 특성을 세밀하게 튜닝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차량 리어 서스펜션의 언더 스티어 특성, 즉 횡력 스티어 특성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횡력 스티어 특성의 조절을 통해 종래의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AGCS) 시스템이 구비한 토우 조절 장치에 비해 더욱 세밀한 튜닝 및 차량의 즉각적인 응답이 가능해지는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륜이 장착되는 캐리어와 차체 사이에 연결된 암류 부품을 포함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암류 부품 중 어시스트암의 일단부가 상기 차체에 결합되고, 전후진 동작하는 작동로드를 가지는 액추에이터가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며, 상기 어시스트암의 타단부가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로드에 연결되어, 작동로드의 전후진 동작에 의해 어시스트암의 타단부 위치가 전후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작동로드가 차체 전후방향으로 전후진 동작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작동로드에 의해 어시스트암의 타단부 위치가 차체 전후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시스트암의 타단부에 부시가 장착되고, 상기 부시가 액추에이터의 작동로드에 결합되어, 어시스트암의 타단부가 상기 부시를 매개로 하여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어시스트암의 타단부 또는 상기 부시를 작동로드상에서 지지하여 고정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작동로드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가 어시스트암의 타단부 또는 부시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작동로드의 끝단부에는 부시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차량 리어 서스펜션의 언더 스티어 특성, 즉 횡력 스티어 특성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횡력 스티어 특성의 조절을 통해 종래의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AGCS) 시스템이 구비한 토우 조절 장치에 비해 더욱 세밀한 튜닝 및 차량의 즉각적인 응답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4-링크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4-링크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횡력 스티어 발생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링크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상태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의 작동상태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차량의 후륜에 적용되는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서스펜션 시스템은 종래의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AGCS) 시스템을 개선한 것이며, 특히 종래의 4-링크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개선한 것으로,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차량 리어 서스펜션의 언더 스티어 특성, 즉 횡력 스티어 특성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횡력 스티어 특성의 조절을 통해 더욱 세밀한 튜닝 및 차량의 즉각적인 응답이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링크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상태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의 작동상태에 따른 서스펜션의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서스펜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면, 도 1에서 도면부호 1은 캐리어(carrier)를 지시하며, 도면부호 2와 3, 4, 5는 서스펜션 링크를 구성하는 암(arm)류의 부품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면부호 2는 트레일링암(trailing arm)을, 도면부호 3은 어시스트암(assist arm)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4는 어퍼암(upper arm)을, 도면부호 5는 로어암(lower arm)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캐리어와 암류 부품의 결합 관계 및 기능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액추에이터(2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 외에는, 공지의 4-링크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에서와 차이가 없다.
즉, 캐리어(1)에 제동장치(디스크 브레이크)(미도시)가 결합된 차륜(미도시)이 장착된다.
상기 캐리어(1)는 차륜(후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캐리어(1)는 어퍼암(4), 로어암(5), 어시스트암(3)을 통해 크로스 멤버(10)와 연결되고, 트레일링암(2)을 통해 차체 하부의 사이드 멤버(미도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트레일링암(2)은 일단부가 차체의 사이드 멤버에, 타단부가 캐리어(1)에 연결되어 장착된다.
또한, 트레일링암(2)은 캐리어(1)에서 전방으로 연결되어 캐리어의 전후방향 거동을 지지하고, 이를 위해 전단에는 탄성체로 제조된 부시(2a)가 결합되어 내외측 거동을 일부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트레일링암(2)은 타이어가 상하로 거동할 때 횡 변위를 흡수하면서 변형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트레일링암(2)과 캐리어(1)가 볼트에 의해 체결된 상태로 차체에 장착된다.
상기 어퍼암(4)과 로어암(5), 어시스트암(3)은 캐리어(1)에 작용하는 횡력을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이때 캐리어(1)의 상하방향 거동은 쇽업소버(6)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어퍼암(4)과 로어암(5), 어시스트암(3)은 차폭방향으로 배치된 크로스 멤버(10)와 캐리어(1) 사이를 연결하며, 로어암(5)에 쇽업소버(6)(및 스프링)가 장착된다.
한편, 종래의 리어 시스펜션 시스템에서는 어퍼암과 로어암, 어시스트암이 차체의 크로스 멤버와 캐리어 사이를 연결하도록 장착되는데, 이때 어퍼암과 로어암, 어시스트암이 모두 캐리어에 직접 결합된다(도 1 참조).
즉, 어퍼암과 로어암, 어시스트암의 각 일단부가 크로스 멤버의 정해진 각 위치에 직접 결합되고, 상기 어퍼암과 로어암, 어시스트암의 각 타단부가 캐리어의 정해진 각 위치에 직접 결합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에서는 어시스트암(3)과 캐리어(1) 사이에 액추에이터(20)가 개재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어퍼암(4)과 로어암(5)의 각 일단부가 크로스 멤버(10)의 정해진 각 위치에 직접 결합되고, 어퍼암(4)과 로어암(5)의 각 타단부는 캐리어(1)의 정해진 각 위치에 직접 결합된다.
다만, 어시스트암(3)의 경우, 그것의 일단부가 크로스 멤버(10)에 직접 결합되는 것은 동일하지만, 타단부는 액추에이터(20)의 구동부에 결합된다.
이때, 종래의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어시스트암의 타단부가 결합되던 부위인 캐리어(1)에서의 어시스트암 마운팅 부위(1a)에 상기 액추에이터(20)가 장착된다(도 4 참조).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액추에이터 본체(21)와 작동로드(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액추에이터 본체(21)는 고정요소로서 어시스트암(3)의 타단부가 결합되던 캐리어 내 부위,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1)에서의 어시스트암 마운팅 부위(1a)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작동로드(21)는 액추에이터(20)의 구동부가 되는 것으로서, 작동로드(21)에 상기 어시스트암(3)의 단부가 결합된다.
종래의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캐리어의 어시스트암 마운팅 부위에 결합되는 어시스트암의 단부에는 부시가 장착되고, 어시스트암의 단부가 이 부시를 매개로 캐리어의 어시스트암 마운팅 부위에 결합된다.
이를 응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어시스트암(3)의 단부가 부시(3a)를 매개로 하여 액추에이터(20)의 작동로드(22)에 결합될 수 있고, 어시스트암(3)의 반대쪽 단부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차체 부분인 크로스 멤버(10)에 결합된다.
여기서, 부시(3a)는 공지의 어시스트암용 부시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면상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아우터 파이프와 인너 파이프, 아우터 파이프와 이너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된 고무 재질의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인너 파이프의 내측으로 작동로드(22)가 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액추에이터(20)의 구동으로 작동로드(22)가 전후진 동작할 때, 전후진 동작하는 작동로드(22)와 함께 어시스트암(3)의 단부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로드(22)와 어시스트암(3)의 단부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액추에이터(20)는 차체를 기준으로 하여 차체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이때 작동로드(22)가 차체 전후방향으로 전후진 동작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작동로드(22)가 전후진 동작할 때, 작동로드(22)에 결합되어 있는 어시스트암(3)의 단부 또한 전후로 이동을 하게 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 본체(21)가 캐리어(1)에 일체로 고정되고, 액추에이터(20)에서 전후로 동작하는 작동로드(22)가 액추에이터 본체(21)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연장 배치됨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액추에이터 본체(21)에 근접한 위치의 작동로드(22)상에는 어시스트암(3)의 단부를 측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부(23)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지지부(23)에 어시스트암(3)의 단부 또는 이에 설치된 부시(3a)가 지지될 수 있게 작동로드(22)상에 상기 부시(3a)가 끼워져 결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23)는 작동로드(22)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부시(3a)가 작동로드(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작동로드의 끝단부에는 작동로드로부터 부시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용 너트(24)가 나사 체결되며, 이로써 액추에이터(20)의 작동로드(22)가 전후진할 때 부시(3a)를 매개로 결합된 어시스트암(3)의 단부 또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20)는 미도시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도록 구비되고, 이때 액추에이터(20)는 전동식 액추에이터가 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 본체에서 작동로드(21)가 전후진 동작하는 전동식 액추에이터의 구성은 공지된 것이 될 수 있고, 도면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전동식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본체(21)는 하우징과 모터, 너트 부재 및 스크류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액추에이터 본체(21)의 하우징에 모터가 내장되고, 이 모터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된다.
이때, 모터의 회전축에는 내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재가 일체로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외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부재가 상기 너트부재 내측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부재는 하우징 내에 전후 이동은 가능하지만 회전은 불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부재에 작동로드(22)가 일체로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모터가 구동하여 너트부재가 회전될 때 나사 결합된 스크류 부재가 하우징에서 전후로 이동되고, 이로써 작동로드(22)가 전후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액추에이터(20)는 통상의 유압 액추에이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압 액추에이터는 전후진 동작하는 피스톤 로드를 가지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 실린더에서 필요로 하는 유압을 생성 및 제어, 공급하는 유압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압 실린더에서 유압의 출입이 이루어지는 실린더 본체가 상기 액추에이터 본체(21)가 되며, 실린더 본체에서 유압에 의해 전후진 동작하는 피스톤 로드가 상기 작동로드(22)가 된다.
상기 유압 회로는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통상의 구성, 예를 들면 리저버, 펌프, 유압 라인, 밸브류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작동 메커니즘에 대해 다음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 좌측의 도면 (A)는 액추에이터(20)를 이용하여 어시스트암(3)의 단부를 최대한 후방으로 이동시킨 기본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우측의 도면 (B)는 액추에이터(20)를 이용하여 어시스트암(3)의 단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도 7에서 좌측의 도면 (A)는 도 6의 (A)와 같은 기본 위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우측의 도면 (B)는 도 6의 (B)와 같이 어시스트암(3)의 단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조정 안정성을 중시하는 경우라면, 어시스트암(3)의 단부를 도 6의 (A) 및 도 7의 (A)와 같은 기본 위치의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고, 이때 어시스트암(3)의 단부를 액추에이터(20)에 의해 가능한 한 후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의 선회시(코너링시) 타이어에 횡력이 작용하면, 도 7의 a와 b의 거리 관계에 의해 어시스트암(3)과 로어암(5)에 하중이 부여된다.
일반적으로 어시스트암(3)의 강성이 작으므로 어시스트암(3) 측에서 내측으로의 부시 변형이 더 크고, 이때 횡력 스티어 토우 c가 발생한다.
반면, 스포티(sporty)/어질리티(agility)를 중시하는 경우, 어시스트암(3)을 액추에이터(20)를 이용하여 도 6 및 도 7의 (B)에서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a' > a의 상태가 되어 어시스트암(3)으로 들어오는 하중이 줄어들고, 어시스트암(3)측의 변형이 작아진다.
결국, 횡력 스티어 토우 c'이 어시스트암 기본 위치에서의 c보다 작아지게 되며, 따라서 횡력 스티어 특성이 작아지게 되면 언더 스티어 경향이 작아지게 되므로 스포티/어질리티 성능이 좋아지게 된다.
반대로, 어시스트암(3)을 후방 이동시킬 경우 일반적인 공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에서는 어시스트암(3)의 단부(즉, 상기 어시스트암에서 캐리어에 의해 지지되는 단부임)와 캐리어(1) 사이에 액추에이터(20)가 설치되고, 이 액추에이터(20)의 구동에 의해 어시스트암(3)의 단부가 차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20)의 구동을 제어함에 따라 어시스트암(3)의 단부를 목표량만큼 전후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이며, 이렇게 어시스트암(3) 단부의 전후방향 이송 및 그 제어가 가능해짐에 따라 타이어에 횡력이 작용할 때 어시스트암(3)과 로어암(5)에 작용하는 축방향 하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어시스트암(3)과 로어암(5)에 작용하는 하중에서는 축방향 하중이 주요 인자이며, 따라서 어시스트암(3)의 단부를 전후로 이송하는 액추에이터의 용량 확보에 유리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에서는 어시스트암(3)과 로어암(5)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횡력 발생시 어시스트암(3)과 로어암(5)의 부시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횡력 스티어 특성(언더 스티어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차량의 별다른 부품 교체 없이 언더 스티어 특성을 튜닝할 수 있으며, 또한 공로 주행과 서킷 주행 시에도 차량의 특성을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차량 모드(컴포트, 노말, 스포츠) 등에서 스티어링, ECS(Electronic Controlled Suspension), 구동력 등에 연계된 차량 특성의 변경에 더하여, 횡력 스티어링 특성을 추가로 더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언더 스티어 및 민첩성 등의 차량 특성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기호 및 도로 조건(트랙, 공로) 등에 따라서 운전자가 차량 특성을 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되면서 재미 및 안정성을 확보한 차량 운전이 가능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캐리어 1a : 어시스트암 마운팅부
2 : 트레일링암 2a : 부시
3 : 어시스트암 3a : 부시
4 : 어퍼암 5 : 로어암
6: 쇽업소버 10 : 크로스 멤버
20 : 액추에이터 21 : 액추에이터 본체
22 : 작동로드 23 : 플랜지부
24 : 이탈방지용 너트

Claims (6)

  1. 차륜이 장착되는 캐리어와 차체 사이에 연결된 암류 부품을 포함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암류 부품 중 어시스트암의 일단부가 상기 차체에 결합되고,
    전후진 동작하는 작동로드를 가지는 액추에이터가 상기 캐리어에 장착되며,
    상기 어시스트암의 타단부가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로드에 연결되어, 작동로드의 전후진 동작에 의해 어시스트암의 타단부 위치가 전후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어시스트암의 타단부에 부시가 장착되고, 상기 부시가 액추에이터의 작동로드에 결합되어, 어시스트암의 타단부가 상기 부시를 매개로 하여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어시스트암의 타단부 또는 상기 부시를 작동로드상에서 지지하여 고정하는 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작동로드가 차체 전후방향으로 전후진 동작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작동로드에 의해 어시스트암의 타단부 위치가 차체 전후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작동로드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어시스트암의 타단부 또는 부시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작동로드의 끝단부에는 부시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
KR1020180151741A 2018-11-30 2018-11-30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 KR102563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741A KR102563603B1 (ko) 2018-11-30 2018-11-30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741A KR102563603B1 (ko) 2018-11-30 2018-11-30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358A KR20200065358A (ko) 2020-06-09
KR102563603B1 true KR102563603B1 (ko) 2023-08-03

Family

ID=7108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741A KR102563603B1 (ko) 2018-11-30 2018-11-30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60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9612A (ja) * 1990-02-15 1991-10-2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20050038692A (ko) * 2003-10-22 2005-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멀티링크 리어서스펜션
KR20070066010A (ko) * 2005-12-21 2007-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멀티링크 서스펜션
KR101428598B1 (ko) * 2009-10-07 2014-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압 엑츄에이터를 이용한 자동차의 멀티링크 서스팬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358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4160B2 (en) Suspension device
US4456282A (en) Independent rear wheel suspension with a toe angle controlling trailing arm
US7784806B2 (en)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for the rear wheels of motor vehicles
EP3218211B1 (en) Wheel suspension with centrally pivoted transverse leaf spring
US20130009350A1 (en) Semiactive Wheel Suspension
CN112313097A (zh) 具有调节后倾动态的主动阻尼的悬架
JP2010512272A (ja) 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
US20160297269A1 (en) Vehicle wheel suspension
US11524541B2 (en) Hydraulic suspension system for off-road vehicles
US4842295A (en) Vehicle wheel suspension
KR102563603B1 (ko) 차량의 서스펜션 시스템
EP1426203B1 (en) Suspension arrangement, steering linkage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variable wheel track
JP5057437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5787023B2 (ja) 車両懸架装置
JP2002046438A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44879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60057316A (ko) 자동차의 액티브 롤 컨트롤 시스템
JPH02283509A (ja) マクファーソンストラット型サスペンション
KR100412712B1 (ko) 듀얼 어퍼아암을 갖는 후륜 멀티 서스펜션
KR20080109965A (ko)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
KR20070102133A (ko) 차량용 위시본식 현가장치
JPH0761363A (ja) 後輪方向制御装置及び車両
KR100192420B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
KR101592360B1 (ko)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
WO2022164987A1 (en) Compact vehicle suspen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