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159B1 -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159B1
KR102563159B1 KR1020230014180A KR20230014180A KR102563159B1 KR 102563159 B1 KR102563159 B1 KR 102563159B1 KR 1020230014180 A KR1020230014180 A KR 1020230014180A KR 20230014180 A KR20230014180 A KR 20230014180A KR 102563159 B1 KR102563159 B1 KR 102563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weight
lower body
upper body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4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섭
Original Assignee
이홍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섭 filed Critical 이홍섭
Priority to KR1020230014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6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solid or vice versa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앵커 설치를 위한 바닥 천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닥에 배치되는 결합부재의 통공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하부바디; 상기 하부바디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바디; 및 상기 상부바디 및 상기 하부바디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ANCHOR JIG AND ANCHOR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앵커 설치를 위한 바닥 천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앵커란 레일과 같은 설치물을 튼튼히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바닥 등에 정착시키기 위한 보조 장치이다.
상기한 앵커는 상기한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바닥에 매설되어 고정되고 노출된 부분이 일반적으로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한 설치물에 직접 연결되거나 설치물이 고정되는 브래킷 등에 나사 결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바닥과 상기 설치물을 고정시킨다.
상기한 앵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바닥을 드릴과 같은 공구로 파서 천공홈을 형성시키고, 상기한 천공홈에 앵커를 삽입하여 시공한다(등록특허 제10-0896490호(이하 종래기술) 참조).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상기 드릴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드릴을 기울여서 사용할 경우 천공홈이 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지 못하고, 그러할 경우 앵커를 기울여 삽입하여야 해서 상기한 설치물을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바닥에 용이하게 설치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천공을 다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앵커가 삽입되는 천공홈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사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범용성이 우수한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바닥에 배치되는 결합부재의 통공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하부바디; 상기 하부바디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바디; 및 상기 상부바디 및 상기 하부바디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바디의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보다 작은 폭을 갖는 삽입공이 형성된 폭조절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바디는 그 외폭이 상기 하부바디의 외폭보다 크고, 상기 하부바디는 외면에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앵커 지그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에 배치되는 결합부재의 통공에 상기 하부바디를 삽입하여 끼우는 단계(S10); 상기 가이드공에 드릴을 삽입하여 바닥을 천공하는 단계(S20); 및 상기 (S20) 단계에서 형성된 바닥 홈에 앵커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앵커가 삽입되는 천공홈(설치홈)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재사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범용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결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앵커 지그가 결합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설치 단계 이후 앵커가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결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앵커 지그가 결합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지그(J)는 앵커(A) 설치를 위한 바닥 파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장치(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지그(J))는 하부바디(1), 상부바디(2) 및 가이드공(3)을 포함한다.
하부바디(1)는 바닥에 배치되는 결합부재(P)의 통공(P1)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한 앵커(A)는 바닥에 일부분(하부)이 매설되는 것으로, 그 노출된 부분(상부)이 상기한 결합부재(P)의 통공(P1)을 관통할 수 있다(후술하는 도 5 참조).
이때 상기한 앵커(A)에서 통공(P1)을 관통하여 결합부재(P)의 상부로 노출되는 부분(상부)에, 레일과 같은 설치물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결합부재(P)는 앵커(A)와 연결되어 앵커(A)와 상기한 설치물을 연결시킴으로서 상기한 설치물이 바닥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결합부재(P)는 예시적으로 판재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통공(P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하부바디(1)는 상기 결합부재(P1)의 통공(P1)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한 통공(P1)은 나사산이 구비(통공(P1)을 형성하는 결합부재(P)의 두께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너트공일 수 있으며, 상기한 하부바디(1)의 외면(외주면)에는 상기 너트공과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바디(2)는 상기 하부바디(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부바디(2)는 상기한 하부바디(1) 상부에 구비되어, 본 장치가 결합부재(P)의 통공(P1)에 끼워질 때 정단면도 또는 측단면도 상에서 봤을 때 상기 결합부재(P)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측(상부, 상단, 상면 등)은 도 3을 기준으로 상측(상부, 상단, 상면 등)을 의미하고, 하측(하부, 하단, 하면 등)은 도 3을 기준으로 하측(하부, 하단, 하면 등)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상부바디(2)는 상기 하부바디(1)의 상부에 연결되어 결합부재(P)보다 상측에 배치되므로, 작업자는 상부바디(2)를 파지하여 하부바디(1)를 상기 통공(P1)에 삽입시키거나 삽입된 하부바디(1)를 통공(P1)에서 빠지게 하여 본 장치와 결합부재(P)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가이드공(3)은 상기 상부바디(2) 및 상기 하부바디(1) 내측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한 가이드공(3)은 상기 상부바디(2)의 상부와 상기 하부바디(1)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가이드공(3)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상기한 가이드공(3)은 상기한 상부바디(2)와 하부바디(1)를 관통하도록 드릴과 같은 공구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가이드공(3)을 포함함으로써, 상기한 결합부재(P)에 결합된 하부바디(1)와 상부바디(2) 내측으로 삽입되는 드릴의 직진성을 확보하여, 드릴에 의해 파여지는 바닥의 천공홈의 직진(수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천공홈(앵커(A)가 삽입되는 설치홈)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장치의 하부바디(1)가 상기한 통공(P1)에 삽입되어 끼워지기 때문에 결합부재(P)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 사용 후에 본 장치는 결합부재(P)와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장치의 재사용이 용이하여, 바닥 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본 장치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바디(1)가 나사산이 구비되어 결합부재(P)와 나사 체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장치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결합부재(P)와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결합부재(P)와 분리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바디(2)의 외폭(외경)은 하부바디(1)의 외폭(외경)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한 하부바디(1)가 통공(P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한 상부바디(2)의 하부가 결합부재(P)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하여 본 장치가 결합부재(P)와 결합된 상태에서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부가할 수 있기 때문에 천공 과정을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효과를 위해 상기한 하부바디(1)의 높이(상하 방향 길이)는 상기한 결합부재(P)의 높이(상하 방향 길이)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상기 상부바디(2)의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3)과 연통되며 상기 가이드공(3)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삽입공(41)이 형성된 폭조절바디(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폭이란 도 3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 길이를 의미한다.
예시적으로 상기한 가이드공(3)을 형성하는 상부바디(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한 폭조절바디(4)의 하부 외주에는 상기 상부바디(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폭조절바디(4)는 그 하부가 상기한 삽입공(41)에 삽입되어 상부바디(2)와 나사 체결됨으로서 상부바디(2)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공(41)은 상기한 가이드공(3)보다 그 폭이 작아 보다 작은 드릴을 직진성(수직이 되도록 함)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는 보다 다양한 크기를 갖는 드릴을 사용하여도 천공홈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설치 단계 이후 앵커가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시공방법(이하 ‘본 방법’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방법은 상술한 본 장치를 이용한 앵커(A) 시공 방법으로, 상술한 본 장치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므로,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방법(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시공방법) 앵커 지그 설치 단계(S10), 천공 단계(S20) 및 앵커 설치 단계(S30)를 포함한다.
앵커 지그 설치 단계(S10)는 시공 장소 바닥에 배치되는 결합부재(P)의 통공(P1)에 상기 하부바디(1)를 삽입하여 끼우는 단계이다.
상기 (S10) 단계에서 본 장치와 결합부재(P)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천공 단계(S20)는 상기 가이드공(3)에 드릴을 삽입하여 바닥을 천공하는(파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폭조절바디(4)를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러할 경우 상기한 드릴은 삽입공(41) 및 가이드공(3)을 관통한 상태로 바닥을 팔 수 있다.
앵커 설치 단계(S30)는 상기 (S20) 단계에서 형성된 바닥 홈(천공홈)에 앵커(A)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도 5 참조)이다.
본 방법은 상기 본 장치와 결합부재(P)의 결합을 해제하는 단계(이하 해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해체 단계는 상기한 하부바디(1)를 통공(P1)에서 빼내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해체 단계는 상기 (S30)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의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장치는 상부바디(2)의 외면에 도포되는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상기 상부바디(2)의 외면에 도포되고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후술하는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 대비)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우레탄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바디(2)에 방수성을 부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완충재(G1); 상기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 대비, 폴리프로필렌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완충재(G1)를 감싸는 내피재(G2); 라텍스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를 감싸되 섬유상이고,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는 외피재(G3); 테트라데케인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와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재(G4); 알루미늄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포스트(G5);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포스트(G5) 각각의 외측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다수의 결합부재(G6);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 및 폴리에틸렌이민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양이온성 물질(G8);을 포함한다.
기능성첨가재(G)의 상기한 폴리프로필렌, 라텍스, 테트라데케인, 알루미늄,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피-스티렌술포닉산, 폴리에틸렌이민 등의 중량부는 상기한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를 기준으로 서술하기로 한다.
제1완충재(G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을 포함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내피재(G2)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폴리우레탄 폼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다공질이어서 기능성첨가재(G)에서 완충성과 방음성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한 폴리우레탄 폼은 0.1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한 완충성 및 방음성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으며,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후술하는 내피재(G2)를 터지게 하여 내피재(G2)에서 유출될 위험이 있다.
상기한 내피재(G2)는 후술하는 외피재(G3)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감싸는 것이다.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충분히 감싸지 못해 제1완충재(G1)가 소실될 우려가 있고,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은 필름 형태로 제조되어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감싼 상태로 열융착 등에 의한 방법 등에 의해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감쌀 수 있다. 즉, 제1완충재(G1)는 내피재(G2)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피재(G3)는 라텍스 0.1 중량부를 포함하여 신축 가능한 재질이며, 상기한 내피재(G2)(내피재(G2) 및 후술하는 제2완충재(G4))를 감싸되 섬유상일 수 있다. 상기한 외피재(G3)는 상기한 방수재(GS)와 혼합된다.
상기한 외피재(G3)가 섬유상이어서 기능성첨가재(G)에 강인성을 부가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외피재(G3)와 내피재(G2)의 사이에는 제2완충재(G4)가 배치되는데, 따라서 외피재(G3)는 상기한 제2완충재(G4)를 감쌀 수 있으며, 라텍스가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한 제2완충재(G4)를 충분히 감싸지 못하여 제2완충재(G4)가 소실될 위험이 있고,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자체 중량을 지나치게 증가시켜 기능성첨가재(G)의 분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제2완충재(G4)는 테트라데케인(Tetradecane)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와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된다.
테트라데케인은 융점이 약 4~6℃인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이다.
상변화물질은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Phase)이 변할 때, 온도의 변화 없이 잠열(Latent heat)의 형태로 외부 요인 없이 능동적으로 열을 저장·방출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상변화가 일어날 때 온도변화 없이 출입하는 열인 잠열(Latent heat)은, 상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온도변화를 보이며 출입하는 열인 현열(Sensible heat)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열량을 갖는다. 이 특징을 이용해서 높은 양의 열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유지 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상기한 융점을 변화시키기 위해 테트라데케인 이외에 운데칸(Undecane), 도데칸(Dodecane), 트리데칸(Tridecane), 펜타데칸(Pentadecane), 헥사데칸(Hexadecane), 헵타데칸(Heptadecane), 옥타데칸(Octadecane), 노나데칸(Nonadecane) 및 에이코산(Eicosane), 트라이아콘테인(Triacontane)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완충재(G4)의 융점은 상온인 1~30℃ 범위 내에서 조절 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고상 상태로 상기 내피재(G2)를 감쌀 수 있고, 상기한 외피재(G3)에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한 라텍스는 시트 상에서 고상의 제2완충재(G4)를 감싼 상태로 접착제 또는 융착(열융착)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한 제2완충재(G4)를 감쌀 수 있다.
상기한 제1완충재(G1)는 온도가 변화됨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는데, 특히 기공에 수용되는 공기의 부피 또한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상기한 제1완충재(G1)가 수축되는 경우 충격을 완화 시키는 완충 효과가 저감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제2완충재(G4)가 상기한 제1완충재(G1)에 잠열을 공급하여 제2완충재(G4)가 열수축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2완충재(G4)의 완충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완충재(G4)가 외부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상기한 제1완충재(G1)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팽창되어 내피재(G2)에서 손상시키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융점이 4~6℃어서 방수재(GS)가 0℃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결로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방수재(GS)가 열팽창 되거나 열수축되는 것을 억제하여 방수재(GS)가 우글쭈글해지거나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제1완충재(G1)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한 제1완충재(G1)는 단열 성능이 있기 때문에 제2완충재(G4)가 제1완충재(G1)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한 방수재(GS)와 제2완충재(G4)의 열 교환을 방해하여 상술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트라데케인 0.2 중량부를 포함하는데,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완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0.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한 외피재(G3) 내측에 배치되기 어렵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은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측 단부(도 x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피-스티렌술포닉산을 포함 할 수 있는데, 더하여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은 피-스티렌술포닉산과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혼합(1:19 비율)하고 UV 경화된 것일 수 있다.
피-스티렌술포닉산은 0.1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음전하가 충분하지 않으며, 0.1 중량부가 초과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양이온성 물질(G8)은 외피재(G3)의 양측 단부 중 다른 한측 단부(도 x에서 우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양이온성 물질(G8)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은 에틸렌이민을 중합한 폴리머로 현존하는 소재 중 양이온 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한 양이온성 물질(G8) 및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각각은 폴리에틸렌(PE) 필름 또는 라텍스 등에 쌓여진 상태로 상기한 외피재(G3)와 열융착 되거나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포스트(G5)는 알루미늄 0.1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외피재(G3)의 외측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알루미늄은 가벼운 금속이어서 사용된 것으로 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능성첨가재(G)가 지나치게 무거워져 분산성이 저하되며,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그 길이나 폭이 지나치게 감소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시적으로 포스트(G5)는 내측 단부가 공지된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한 외피재(G3) 외측에 부착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으로 상기한 외피재(G3)는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한 포스트(G5)의 내측단부가 상기한 끼움홈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다수의 결합부재(G6) 각각은 다수의 포스트(G5) 각각의 외측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은 기능성첨가재(G)의 중심측을 의미하고 외측은 상기 중심측에서 방사상 방향 측을 의미할 수 있다.
방수재(GS)에 기능성첨가재(G)의 단위체(GU)가 다수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한 단위체(GU)는 방수재(GS)에서 교반 시에 전단력에 의해 이웃하는 단위체(GU)가 분리되어 방수재(GS), 기능성첨가재(G) 및 기타 첨가재들의 교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혼합 후 또는 방수재(GS)가 상부바디(2)에 도포되는 과정 또는 상부바디(2)에 도포된 이후 이웃하는 단위체(GU)은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 및 양이온성 물질(G8) 간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호 가까워지게 되고, 이웃하는 단위체(GU) 중 어느 하나(이하 제1단위체)의 상기한 결합부재(G6)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를 포함함으로 탄성 변형(압축변형)되어 이웃하는 단위체(GU) 중 다른 하나(이하 제2단위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결합부재(G6)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제1단위체의 결합부재(G6)가 제2단위체의 결합부재(G6) 사이를 통과하게 된 경우 제1단위체의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가 제2단위체의 양이온성 물질(G8)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 있고, 상기한 제1단위체의 결합부재(G6)는 탄성 복원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원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제1단위체의 결합부재(G6)의 내측단과 제2단위체 결합부재(G6)들의 내측단이 상호 지지되어 걸어지게 되어(걸림 결합) 제1단위체와 제2단위체가 상호 분리되는 것이 억제되어 이웃하는 단위체(GU)들이 상호 결합되고 이웃하는 단위체(GU)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방수재(GS)가 열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억제하고 방수재(GS)에 강인성을 부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앵커 지그: J
하부바디: 1 상부바디: 2
가이드공: 3 폭조절바디: 4
삽입공: 41
결합부재: P 통공: P1
앵커: A

Claims (4)

  1. 바닥에 배치되는 결합부재의 통공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하부바디;
    상기 하부바디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바디; 및
    상기 상부바디 및 상기 하부바디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공;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바디의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보다 작은 폭을 갖는 삽입공이 형성된 폭조절바디;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바디는 그 외폭이 상기 하부바디의 외폭보다 크고,
    상기 하부바디는 외면에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바디 외면에 도포되는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재(GS)는 상기 상부바디 외면에 도포되고,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완충재(G1);
    상기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 대비, 폴리프로필렌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완충재(G1)를 감싸는 내피재(G2);
    라텍스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를 감싸되 섬유상이고,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는 외피재(G3);
    테트라데케인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와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재(G4);
    알루미늄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포스트(G5);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포스트(G5) 각각의 외측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다수의 결합부재(G6);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 및
    폴리에틸렌이민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양이온성 물질(G8);
    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재(GS)는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지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기재된 앵커 지그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에 배치되는 결합부재의 통공에 상기 하부바디를 삽입하여 끼우는 단계(S10);
    상기 가이드공에 드릴을 삽입하여 바닥을 천공하는 단계(S20); 및
    상기 (S20) 단계에서 형성된 바닥 홈에 앵커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S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시공방법.
KR1020230014180A 2023-02-02 2023-02-02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 KR102563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180A KR102563159B1 (ko) 2023-02-02 2023-02-02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180A KR102563159B1 (ko) 2023-02-02 2023-02-02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159B1 true KR102563159B1 (ko) 2023-08-02

Family

ID=8756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180A KR102563159B1 (ko) 2023-02-02 2023-02-02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1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01B1 (ko) * 2007-02-01 2008-05-29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받침
KR20080072114A (ko) * 2007-02-01 2008-08-06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그라운드 앵커의 정착체용 웨지 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01B1 (ko) * 2007-02-01 2008-05-29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받침
KR20080072114A (ko) * 2007-02-01 2008-08-06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그라운드 앵커의 정착체용 웨지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3273A1 (en) Fire-resistant reinforcement structure, fire-resistant reinforcement architectural member, fire-resistant reinforcement method for architectural member
CA2955218C (en) Rapid pier
US20100129705A1 (en) Accumulator
KR102563159B1 (ko) 앵커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방법
JP3213990U (ja) 橋梁補強構造体
CN105696722A (zh) 一种位移放大的金属剪切型消能器
US10559742B1 (en) Mounting pad and method for deterring theft and securing air conditioning units against high winds
Hiemenz et al. Seismic response of civil structures utilizing semi-active MR and ER bracing systems
KR101388416B1 (ko) 브레이스형 댐퍼
KR101457059B1 (ko) 점탄성체를 이용한 전단벽체의 제진공법
CN113550530B (zh) 一种高强度架空地板及其安装方法
KR102667778B1 (ko) 파일 설치 방법
CN112900250B (zh) 一种桥梁隔震支座及其安装方法
JP2006009477A (ja) 既存建物の中間免震構造
KR102667774B1 (ko) 소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재 가공방법
CN108560785A (zh) 抗爆幕墙支撑系统及其施工方法
KR102560335B1 (ko) 동작성이 개선된 vcm 액츄에이터
CN205421586U (zh) 一种位移放大的金属剪切型消能器
CN216665181U (zh) 一种装配式的减震结构及可恢复功能的剪力墙
KR102008663B1 (ko) 지진격리장치를 이용한 물탱크
JP7432230B2 (ja) 耐火部材、及び耐火構造の施工方法
KR101689463B1 (ko) 멀티 조인트 제진장치
KR102630358B1 (ko) 레일 클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일 이송장치
CH707096B1 (de) Geräteträger.
KR102033054B1 (ko) 벽체형 마찰 댐퍼를 이용하여 제진 및 접합부 보강이 가능한 제진 기둥 설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