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053B1 -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 Google Patents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053B1
KR102563053B1 KR1020230012476A KR20230012476A KR102563053B1 KR 102563053 B1 KR102563053 B1 KR 102563053B1 KR 1020230012476 A KR1020230012476 A KR 1020230012476A KR 20230012476 A KR20230012476 A KR 20230012476A KR 102563053 B1 KR102563053 B1 KR 102563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ail
power tool
pow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2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덕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빌
Priority to KR1020230012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2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가 개시된다. 상기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는, 드릴 또는 드라이버 비트가 장착되고, 배터리 장착부가 구비된 전동공구; 및 상기 전동공구의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동공구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전력 케이블이 접속되는 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전동공구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전동공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암 커넥터에 접속되는 수 커넥터가 구비된 전력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DETACHABLE BATTERY POWERED POWER TOOLS USING MULTIPLE POWER SUPPLY METHODS}
본 발명은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 환경이나 작업자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터리를 본체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본체로부터 배터리를 분리시켜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용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작업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전식 전동공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 또는 드라이버 비트를 고정하는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와 연결된 모터를 내측에 구비하고, 손잡이가 외측에 구비된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300)의 손잡이의 일측말단에 구비되고, 충전식 배터리(400)의 배터리 터미널(410)이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될수 있는 배터리 클립(310)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300) 및 상기 배터리 클립(310)에 삽입될 수 있는 배터리 터미널(410)을 포함하는 충전식 배터리(40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충전식 전동공구는 크게 작업자가 파지하고 작업하는 본체와 본체에 체결되는 충전식 배터리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충전식 전동공구는 전원공급부(3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400)의 용양이 작은 경우에는 사용시간이 짧아 작업자가 원하는 작업량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충전식 배터리(400)의 용량을 고용량화하여, 충전식 전동공구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충전식 배터리(400)의 용량을 고용량화 하는 경우에는 공구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져 작업자가 장시간 작업시에는 공구의 무게에 의해 피로도가 가중되어지게 되고, 이로인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충전식 전동공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본체로부터 충전식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충전식 전동공구(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0-0004327)'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충전식 전동공구는 전동공구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가 스파이럴케이블을 통해 더미배터리를 통해 전동공구의 전원공급부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동공구를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 충전식 배터리를 고용량화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충전식 배터리의 무게가 전동공구에 반영되지 않도록 하는 충전식 전동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충전식 전동공구는 오직 본체와 충전식 배터리가 스파이럴케이블 방식의 전력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충전식 전동공구는 본체와 배터리가 분리된 채 전력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해야 함에 따라 작업 환경에 따라 전력 케이블이 작업에 방해가 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게가 있다. 또한, 본체에 배터리가 직접 장착되는 방식의 경우 배터리 무게에 따른 피로도 증가의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업자의 선호도에 따라 기존 방식을 선호하는 경향도 있다.
따라서,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를 사용함에 있어 본체에 배터리를 직접 장착하는 방식과 본체로부터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로 사용하는 방식 모두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0-0004327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 환경이나 작업자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터리를 본체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본체로부터 배터리를 분리시켜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용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작업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는, 드릴 또는 드라이버 비트가 장착되고, 배터리 장착부가 구비된 전동공구; 및 상기 전동공구의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동공구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전력 케이블이 접속되는 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전동공구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전동공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암 커넥터에 접속되는 수 커넥터가 구비된 전력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전력 케이블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부는, 상기 전력 케이블을 당겨서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하여 사용한 후 다시 한 번 당기면 상기 전력 케이블이 자동으로 권취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암 커넥터는,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접속단자가 구비된 단자부재, 상기 단자부재 상부를 덮는 상부부재, 및 상기 단자부재 하부를 덮는 하부부재를 포함하여 종단면이 'ㅁ'자 형상을 하는 조립체; 및 상기 배터리 장착부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종단면이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립체가 삽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 커넥터는, 단부에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조립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부재의 접속단자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는, 상기 단자부재 양측에 축결합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부 공간의 크기가 상기 조립체의 외주면 크기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상기 조립체가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억지끼움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에 상기 조립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걸림되도록 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단자부재에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가 체결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단자부재에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가 체결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단자부재 양측의 상하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된 제1고정핀; 및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핀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전력 케이블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일부에 체결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레일부상에서 제공된 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하우징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하우징이 앞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하우징이 사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3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이 각각 마주보게 형성되어 'ㅁ'자 형태의 레일을 구성하여 외곽에 배치되고, 또 다른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이 교차되어 '+'자 형태의 레일을 구성하여 'ㅁ'자 형태의 레일 내부에 연결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3레일이 'ㅁ'자 형태의 레일 모서리 4곳에 사선으로 교차되게 'X' 형태의 레일을 구성하여 'ㅁ'자 형태의 레일과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는, 작업 환경이나 작업자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터리를 본체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본체로부터 배터리를 분리시켜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용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작업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고정핀이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레일부가 구비된 배터리 장착부의 요부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레일부 저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는, 작업 환경이나 작업자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터리를 본체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본체로부터 배터리를 분리시켜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용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작업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는, 크게 전동공구(10) 및 배터리(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전동공구(10)는 기본적으로, 드릴 또는 드라이버 비트가 장착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드릴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 하부에는 충전 가능한 착탈식 배터리(20)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20)는 상기 전동공구(10)의 상기 배터리 장착부(11)에 장착되어 상기 전동공구(10)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전력 공급원이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11)는 상기 배터리(20)로부터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전력 케이블(30)이 접속되는 암 커넥터(100)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20)는 상기 전동공구(10)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전동공구(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암 커넥터(100)에 접속되는 수 커넥터(200)가 구비된 전력 케이블(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에 있어 충전식 배터리를 직접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거나, 전동공구(10)로부터 배터리(20)를 분리시켜 이격된 상태에서 유선의 전력 케이블(30)를 통해 배터리(20)의 전원을 전동공구(10)로 공급하여 전동공구(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배터리(20)는 상기 전력 케이블(30)이 필요 이상으로 길게 늘어짐으로써 작업에 전동공구(10)를 사용하여 작업 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필요로하는 길이만큼만 인출되고 나머지는 배터리(20) 내부에 권취시키기 위한 상기 전력 케이블(30)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취부(21)는 전력 케이블(30)를 권취하기 위한 자동 회전 가능한 롤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터리(20) 내부에 내장되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전력 케이블(30)이 롤(미부호)에 권취되거나 롤에 권취된 전력 케이블(30)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권취부(21)는 상기 전력 케이블(30)을 당겨서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하여 사용한 후 다시 한 번 당기면 상기 전력 케이블(30)이 자동으로 롤에 권취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터리(20)에 설치된 상기 전력 케이블(30)을 상기 전동공구(10)에 접속하여 연결하기 위한 암 커넥터(100) 및 수 커넥터(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암 커넥터(100)는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접속단자(121)가 구비된 단자부재(120), 상기 단자부재(120) 상부를 덮는 상부부재(130), 및 상기 단자부재(120) 하부를 덮는 하부부재(140)를 포함하여 조립 시 종단면이 'ㅁ'자 형상을 하는 조립체(110) 및 상기 배터리 장착부(11)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종단면이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립체(110)가 삽입되는 하우징(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 커넥터(200)는 단부에 접속단자(210)가 구비되고, 상기 조립체(1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부재(120)의 접속단자(121)에 접속될 수 있다.
즉, 상기 암 커넥터(100)는 기본적으로, 상기 단자부재(120), 상기 상부부재(130) 및 상기 하부부재(140)가 조립된 조립체(110)로 이루어지고 상호간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체(11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8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조립체(110)는 분리되지 않고 체결된 상태로서 종단면이 'ㅁ'자 형상이 되며, 내부 공간으로 상기 수 커넥터(200)가 삽입되어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80)은 상기 배터리 장착부(11) 일측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조립체(110)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의 크기가 상기 조립체(110)의 외주면 크기('ㅁ'자 형상 부분)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상기 조립체(110)가 상기 하우징(180) 내부 공간에 억지끼움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 커넥터(100)는 상기 하우징(180) 내부공간에 상기 조립체(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체(110)가 상기 하우징(18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걸림되도록 하는 스토퍼(150a, 150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150a, 150b)는 상기 하우징(180) 내부 일측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50a)와 상기 스토퍼(150a)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조립체(110)의 외부 일측에 적어도 한 곳에 스토퍼(150b)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80) 내부에 상기 조립체(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80) 측 스토퍼(150a)에 상기 조립체(110) 측 스토퍼(150b)가 걸림됨에 따라 상기 조립체(110)는 상기 하우징(18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여 분리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립체(110)는 상기 단자부재(120)에 상기 상부부재(130) 및 상기 하부부재(140)가 체결된 상태로 종단면이 'ㅁ'자 형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자성체(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60)는 상기 단자부재(120)와 상기 상부부재(130), 상기 단자부재(120)와 상기 하부부재(140)가 상호간 맏닿는 위치의 내부에 내장되는 자성을 가지는 구성으로, 상기 조립체(110)는 상기 자성체(160)를 통해 자력 이하의 힘이 작용할 경우에는 자성체(160)에 의해 상호간 맏닿은 상태로 고정되고, 자력 이상의 힘으로 분리하려는 힘이 발생하면 상기 단자부재(120), 상기 상부부재(130) 및 상기 하부부재(140)가 상호간 맏닿아 접한 상태에서 분리된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자가 전동공구(10)를 사용하면서 작업 구조물에 전력 케이블(30)이 걸리거나 작업자의 손에 걸리게 될 경우, 작업자는 순간적으로 전동공구(10)를 놓치게 되는 일이 발생하여 전동공구(10)가 바닥으로 낙하하면서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거나 전동공구(10)가 낙하하면서 작업자를 향하게 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 케이블(30) 단부에 설치된 수 커넥터(200)가 상기 암 커넥터(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수 커넥터(200)가 상기 암 커넥터(100)에 체결되어 접속단자(121, 210)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작업상황이 발생할 경우, 1차적으로 상기 수 커넥터(200)가 당겨지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하우징(180)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조립체(110)가 상기 하우징(180)으로부터 인출되고, 2차적으로 상기 조립체(110)의 각각의 구성이 분리됨에 따라 상기 수 커넥터(200)는 상기 조립체(110)로부터 체결이 해제되어 분리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어, 작업자는 손에 전동공구(10)를 그대로 파지한 상태가 되고 단지 전력 케이블(30)만 분리 제거된 상태가 됨으로써 전동공구(10)의 낙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상부부재(130) 및 상기 하부부재(140)는 상기 단자부재(120) 양측에 축결합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단자부재(120) 양측면에는 회전축(미부호)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부재(130) 및 상기 하부부재(140) 양측으로 상기 단자부재(120)의 양측면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축홀(미부호)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회전부(131, 1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부재(130) 및 상기 하부부재(140)는 상기 단자부재(120)에 축결합되어 체결되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어, 상기 상부부재(130) 및 상기 하부부재(140)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일측이 벌어지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80)으로부터 상기 조립체(110)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상기 스토퍼(150a, 150b)에 의해 걸림된 상태에서도 상기 회전부(131, 141)에 의해 상기 상부부재(130) 및 상기 하부부재(140)는 일측이 벌어진 상태가 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수 커넥터(200)는 체결이 해제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고정핀이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립체(110)는 상기 단자부재(120)에 상기 상부부재(130) 및 상기 하부부재(140)가 체결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핀(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70)은 상기 상부부재(130) 및 상기 하부부재(140)가 상기 단자부재(1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쉽게 벌어지면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핀(170)은 상기 단자부재(120) 양측의 상하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된 제1고정핀(171) 및 상기 상부부재(130) 및 상기 하부부재(140)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핀(171)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핀(17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핀(171)에 상기 제2고정핀(172)이 걸림됨에 따라 상기 단자부재(120)로부터 상기 상부부재(130) 및 상기 하부부재(14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레일부가 구비된 배터리 장착부의 요부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레일부 저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11)는 상기 전력 케이블(3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18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80)은 상기 레일부(300)에 체결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3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레일부(300)상에서 제공된 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전동공구(10)를 움직이면서 방향 및 위치를 변경하여 작업 시 상기 전력 케이블(30)은 여러 방향 및 위치를 이동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레일부(300)를 통해 전력 케이블(30)과 연결되어 체결된 하우징(180)이 상기 레일부(300)의 여러 경로를 타고 이동할 수 있어 작업자는 전동공구(10)를 이동하면서 작업하더라도 전력 케이블(30)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레일부(300)는 다양한 방향 및 위치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8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레일(310), 상기 하우징(180)이 앞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레일(320) 및 상기 하우징(180)이 사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3레일(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일부(300)는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제2레일(320)이 각각 마주보게 형성되어 'ㅁ'자 형태의 레일을 구성하여 외곽에 배치되고, 또 다른 상기 제1레일(310)과 상기 제2레일(320)이 교차되어 '+'자 형태의 레일을 구성하여 'ㅁ'자 형태의 레일 내부에 연결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3레일(330)이 'ㅁ'자 형태의 레일 모서리 4곳에 사선으로 교차되게 'X' 형태의 레일을 구성하여 'ㅁ'자 형태의 레일과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레일부(300)는 상기 제1레일(310), 상기 제2레일(320) 및 상기 제3레일(330)을 구성함으로써 좌우, 앞뒤 및 사선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80)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는, 작업 환경이나 작업자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터리를 본체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본체로부터 배터리를 분리시켜 전력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용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작업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전동공구 11: 배터리 장착부
20: 배터리 21: 권취부
30: 전력 케이블 100: 암 커넥터
110: 조립체 120: 단자부재
121: 접속단자 130: 상부부재
131: 회전부 140: 하부부재
141: 회전부 150a, 150b: 스토퍼
160: 자성체 170: 고정핀
171: 제1고정핀 172: 제2고정핀
180: 하우징 200: 수 커넥터
210: 접속단자 300: 레일부
310: 제1레일 320: 제2레일
330: 제3레일

Claims (15)

  1. 드릴 또는 드라이버 비트가 장착되고, 배터리 장착부가 구비된 전동공구; 및
    상기 전동공구의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동공구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전력 케이블이 접속되는 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전동공구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전동공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암 커넥터에 접속되는 수 커넥터가 구비된 전력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전력 케이블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전력 케이블을 당겨서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하여 사용한 후 다시 한 번 당기면 상기 전력 케이블이 자동으로 권취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 커넥터는,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접속단자가 구비된 단자부재, 상기 단자부재 상부를 덮는 상부부재, 및 상기 단자부재 하부를 덮는 하부부재를 포함하여 종단면이 'ㅁ'자 형상을 하는 조립체; 및
    상기 배터리 장착부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종단면이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립체가 삽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 커넥터는,
    단부에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조립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부재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는,
    상기 단자부재 양측에 축결합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 공간의 크기가 상기 조립체의 외주면 크기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상기 조립체가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억지끼움되면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에 상기 조립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걸림되도록 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단자부재에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가 체결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단자부재에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가 체결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단자부재 양측의 상하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된 제1고정핀; 및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핀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는,
    상기 전력 케이블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레일부에 체결되어 상기 전력 케이블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레일부상에서 제공된 경로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하우징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하우징이 앞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하우징이 사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3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이 각각 마주보게 형성되어 'ㅁ'자 형태의 레일을 구성하여 외곽에 배치되고, 또 다른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이 교차되어 '+'자 형태의 레일을 구성하여 'ㅁ'자 형태의 레일 내부에 연결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3레일이 'ㅁ'자 형태의 레일 모서리 4곳에 사선으로 교차되게 'X' 형태의 레일을 구성하여 'ㅁ'자 형태의 레일과 연결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KR1020230012476A 2023-01-31 2023-01-31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KR102563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476A KR102563053B1 (ko) 2023-01-31 2023-01-31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476A KR102563053B1 (ko) 2023-01-31 2023-01-31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053B1 true KR102563053B1 (ko) 2023-08-04

Family

ID=8756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476A KR102563053B1 (ko) 2023-01-31 2023-01-31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0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8203A (ja) * 2002-09-09 2004-04-02 Tokyo Ubaguruma:Kk 手持ち電動工具
KR20100004327U (ko) 2008-10-17 2010-04-27 주식회사 아임삭 충전식 전동공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8203A (ja) * 2002-09-09 2004-04-02 Tokyo Ubaguruma:Kk 手持ち電動工具
KR20100004327U (ko) 2008-10-17 2010-04-27 주식회사 아임삭 충전식 전동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4014693B4 (de) Batterieführungsnutstruktur für elektrische Werkzeuge
EP0359543B1 (en) Flexible extension shaft for a screwdriver
DE4100453C2 (de) Batteriebetriebenes Handwerkzeug mit veränderbarem Schwerpunkt
US20170021490A1 (en) Dual axis hook assembly for a power tool
DE29618127U1 (de) Elektrisches Poliergerät
US20170239801A1 (en) Angle tool
US9205548B2 (en) Impacting tool
KR102563053B1 (ko) 복합 전원공급 방식을 사용하는 배터리 분리형 전동공구
CN212398223U (zh) 集尘器和动力工具系统
US20200316766A1 (en) Power tool
US20180142447A1 (en) Modular ground engagement tooling system
JP6045374B2 (ja) 動力工具
JP6942515B2 (ja) 電気機器
US20220250166A1 (en) Tool part attachment assembly, tool part connector and tool assembly
JP5593847B2 (ja) チャック
US11772254B2 (en) Power tool and hook
KR20100004327U (ko) 충전식 전동공구
KR20200023114A (ko) 융합형 타이어 수리툴과 이를 이용한 타이어 수리장치
CN204019433U (zh) 螺丝批
JP2015009948A (ja) バッテリ式荷役車両
CN212169065U (zh) 工作刀头可伸缩手持工具
US11485009B2 (en) Extendable wrench
JPWO2021132198A1 (ja) 電動モビリティ
CN214879932U (zh) 一种方便进行充电的叉车
JP6833191B2 (ja) 運搬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