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528B1 -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528B1
KR102562528B1 KR1020220001272A KR20220001272A KR102562528B1 KR 102562528 B1 KR102562528 B1 KR 102562528B1 KR 1020220001272 A KR1020220001272 A KR 1020220001272A KR 20220001272 A KR20220001272 A KR 20220001272A KR 102562528 B1 KR102562528 B1 KR 102562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vehicle
unit
display
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5804A (ko
Inventor
송병문
Original Assignee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528B1/ko
Publication of KR20230105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7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multi-purpose displays, e.g. camera image and navigation or video on same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디지털운행기록장치 및 자가진단장치는 물론 블랙박스 및 하이패스 기능을 일체로 모듈화하면서 기능별 정보를 복합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차량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일괄적으로 취득함을 제공하도록, 차량 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 상단부에 설치하여 차량 후방의 움직임을 볼 수 있게 구성하는 룸미러에 있어서, 차량에 부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차량의 전면상황을 촬영 가능하게 내장하는 카메라모듈 및 하이패스 정보를 수신 가능하게 내장하는 하이패스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지지대모듈부와; 상기 지지대모듈부의 일단에 결합 설치하고, 내부에 내장하되 상기 카메라모듈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외부 충격에 의한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유닛 및 SD카드를 연결 구동하는 블랙박스모듈과, 내부에 장착하되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디지털 운행 기록을 수집하며 모바일기기에 연동하여 운전자가 확인 가능하게 구성하는 DTG모듈과, 내부에 장착하되 상기 DTG모듈에 통신 연결되어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면서 차량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OBD모듈과, 상기 하이패스모듈 및 상기 블랙박스모듈, 상기 DTG모듈, 상기 OBD모듈을 서로 연동 가능하게 접속 연결하며 외부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메인보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본체모듈부와; 상기 본체모듈부 상에 설치하여 차량의 후방을 확인 가능하되 상기 메인보드모듈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면서 기능별 설정 조작 가능하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Smart Display Multifunctional Room Mirror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디지털운행기록장치 및 자가진단장치는 물론 블랙박스 및 하이패스 기능을 일체로 모듈화하면서 기능별 정보를 복합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차량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일괄적으로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는 현대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운송수단이고, 점차 그 보급 대수가 확산되어 이제는 거의 대부분의 세대가 보유할 정도로 평범한 교통수단이다.
일반적으로 룸미러는 자동차 내부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차량 내부의 상황을 고개를 돌리지 않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부속 장치로서, 모든 자동차에 필수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는 운행 도중에 크고 작은 사고를 겪을 수 있고, 사고 발생시에 사고의 원인에 대하여 사고 당사자들 간의 주장이 상이하여 자주 시비가 붙기도 하는데, 이러한 차량 사고의 원인을 분명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자동차 블랙박스를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운행 및 사고 발생시 사고 당시 상황 정보를 영상과 음성으로 촬영 및 기록하여 당시 정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한편, 톨게이트 통행료 결제 시스템을 하이패스(hi-pass) 시스템이라고 부르는데, 운전자가 하이패스 카드를 단말기에 삽입한 채로 톨게이트의 하이패스 안테나를 지나게 되면 결제정보가 단말기에 기록되는 방식이다. 즉, 하이패스를 이용하려면 하이패스용 전자카드와 카드를 읽는 단말기, 하이패스 안테나가 설치된 차로가 필요하다. 이러한, 하이패스 단말기는 통신 방법과 전원방식에 따라 구분하며, 무선 주파수(RF) 방식과 적외선(IR) 방식으로 구분하는바, RF방식은 통신거리가 멀기 때문에 차량 내 부착시 위치가 자유로운 반면, IR방식은 통신 거리가 짧고 적외선이 방향에 영향을 받음으로 반드시 차량 앞유리에 부착해야만 한다. 또한, 전원방식의 차이로 구분하면 차량 전원방식과 배터리 내장방식으로 구분하는바, 차량전원방식은 방전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나 설치시 벌거로움이 요구되고, 배터리 내장방식은 차량 내부가 깔끔하게 유지될 수 있는 반면에 방전의 염려가 있기 때문에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IR방식이 RF방식보다 전력소모가 낮으므로 IR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블랙박스 및 하이패스 단말기는 고가의 전용 장치를 차량의 전면에 설치하고,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차량의 전원 잭에 아답터를 연결하여 유선으로 블랙박스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배선이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 판넬 내부로 배선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고가의 비용발생과 전원 배선으로 인한 번거로움 및 그 작업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830649호(2008.05.13.)에는 자동차의 전방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11)와, 상기 자동차의 양측방을 촬영하기 위한 제2,3카메라와, 상기 자동차 내부 또는 후방을 촬영하는 제4카메라가 일체로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전방으로부터 입사되는 적외선 영상을 감지하는 적외선영상검지부; 상기 자동차의 전방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발생기; 상기 본체의 미러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3,4카메라 및 적외선영상검지부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2,3,4카메라, 적외선영상검지부 및 디스플레이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영상검지부는, 상기 본체에 전방측을 향하여 설치되는 대물렌즈와, 그 대물렌즈를 경유하여 입사되는 광이 조사되는 광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룸미러에 블랙박스를 일체화하여 장착이 매우 용이하고 주행중인 일반 자동차에도 장착할 수 있는 룸미러 블랙박스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23461호(2014.10.22.)에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룸미러에 있어서, 차량용 룸미러의 형태로 구성되는 본체는 상기 본체의 전면 상중단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을 보여주는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의 하단 좌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실내상황과 차량의 후방상황을 촬영하는 후면카메라와와 상기 본체의 상황들을 문자 또는 기호로 표시해주는 LCD와 상기 LCD를 보면서 본체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패널로 이루어진 전면부와; 상기 본체의 후면 상단 양편으로 설치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전지와 상기 태양광전지의 하단에 양쪽으로 구비되어 차량 내외부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의 하단에 구비되어 블랙박스의 GPS용과 하이패스의 근거리전용통신용으로 사용하는 안테나와 상기 본체의 후면 좌측 하단에 위치하여 차량의 전면상황을 녹화하는 전면카메라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전지를 통해서 전기를 충전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후면부와; 상기 본체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전자카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하이패스카드슬롯으로 구성된 우측면부와; 상기 본체의 좌측면 상단에 설치되는 메모리카드슬롯과 하단에 설치된 연결단자로 구성된 좌측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구입 및 설치비용 등이 절감되며 운전자가 차량에 없는 상황에서의 사고 기록을 얻을 수 있는 블랙박스와 하이패스를 결합한 차량용 룸미러를 공지하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블랙박스 및 하이패스 단말기와 같은 차량운영에 필요한 장비를 일체화하였을 뿐, 차량상태에 대한 진단이나 운행기록을 수집하기 위한 디지털 운행 기록 모듈을 별도로 장착해야만 하기 때문에 차량의 전면부가 복잡해지며 설치에 번거로움을 초래하고, 별도의 장치 개발 및 설계가 요구되어 과도한 비용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모두 룸미러 본체에 카메라를 비롯한 모든 기술구성들이 장착되기 때문에 본체의 구조가 복잡하면서 제품의 부피가 커지고, 룸미러 자체적인 디스플레이가 불가능하거나 매우 한정적으로 출력되어 해당 정보 전달효율이 미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830649호 (2008.05.13.)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3461호 (2014.10.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룸미러 본체와 함께 지지대 측에 이분하여 차량의 디지털운행기록장치 및 자가진단장치는 물론 블랙박스 및 하이패스 기능을 일체로 모듈화하면서 기능별 정보를 복합적으로 디스플레이하게 구성하므로 차량 내 콤팩트하게 설치가 용이하면서 운행자의 부가적인 설치비용을 최소화하고, 룸미러의 다기능화를 도모함은 물론 다양한 세분화된 정보의 디스플레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는 차량 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 상단부에 설치하여 차량 후방의 움직임을 볼 수 있게 구성하는 룸미러에 있어서, 차량에 부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차량의 전면상황을 촬영 가능하게 내장하는 카메라모듈 및 하이패스 정보를 수신 가능하게 내장하는 하이패스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지지대모듈부와; 상기 지지대모듈부의 일단에 결합 설치하고, 내부에 내장하되 상기 카메라모듈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외부 충격에 의한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유닛 및 SD카드를 연결 구동하는 블랙박스모듈과, 내부에 장착하되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디지털 운행 기록을 수집하며 모바일기기에 연동하여 운전자가 확인 가능하게 구성하는 DTG모듈과, 내부에 장착하되 상기 DTG모듈에 통신 연결되어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면서 차량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OBD모듈과, 상기 하이패스모듈 및 상기 블랙박스모듈, 상기 DTG모듈, 상기 OBD모듈을 서로 연동 가능하게 접속 연결하며 외부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메인보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본체모듈부와; 상기 본체모듈부 상에 설치하여 차량의 후방을 확인 가능하되 상기 메인보드모듈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면서 기능별 설정 조작 가능하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이패스모듈에는, 하이패스 통과시에만 제한적으로 자동 작동할 수 있는 자동 웨이크업 기능을 구성한다.
상기 블랙박스모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 상에 복수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1~4뷰 중 선택 설정하여 영상을 구현하게 구성한다.
상기 OBD모듈에는, 차량의 점검항목별 정보를 터치 설정하여 확인하도록 아이콘표시부와, 상기 아이콘표시부의 점검항목별로 상세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상세정보표시부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보드모듈에서는, 상기 하이패스모듈의 하이패스 인식에 따른 잔액조회 및 사용기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 상에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고, 상기 하이패스모듈에 의한 하이패스 기능의 사용중지 여부를 설정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는, 해상도 1920×380을 갖는 7색 구현 가능한 IPS터치패널로 구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에는, 블랙박스 및 하이패스, DTG차량기록, OBD차량진단으로 구분된 메인설정목록을 일측에 나열하여 선택 가능하게 표기하는 메인설정부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모듈부에는, 차량의 주행거리에 따라 요금을 계산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에 택시미터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택시미터기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에 의하면 지지대모듈부 및 본체모듈부에 디지털운행기록장치 및 자가진단장치, 블랙박스, 하이패스 기능을 모듈화하여 이분 장착하면서 디스플레이모듈부에 기능별 정보를 일괄적으로 설정 확인할 수 있는 복합적인 기능을 탑재토록 구성하므로, 콤팩트한 장치의 일원화로 설치작업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면서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룸미러 자체의 다기능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기능별 다양하게 세분화한 정보의 디스플레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하이패스모듈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블랙박스모듈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OBD모듈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택시미터기모듈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본 발명은 차량 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 상단부에 설치하여 차량 후방의 움직임을 볼 수 있게 구성하는 룸미러에 있어서, 차량에 부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차량의 전면상황을 촬영 가능하게 내장하는 카메라모듈 및 하이패스 정보를 수신 가능하게 내장하는 하이패스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지지대모듈부와; 상기 지지대모듈부의 일단에 결합 설치하고, 내부에 내장하되 상기 카메라모듈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외부 충격에 의한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유닛 및 SD카드를 연결 구동하는 블랙박스모듈과, 내부에 장착하되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디지털 운행 기록을 수집하며 모바일기기에 연동하여 운전자가 확인 가능하게 구성하는 DTG모듈과, 내부에 장착하되 상기 DTG모듈에 통신 연결되어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면서 차량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OBD모듈과, 상기 하이패스모듈 및 상기 블랙박스모듈, 상기 DTG모듈, 상기 OBD모듈을 서로 연동 가능하게 접속 연결하며 외부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메인보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본체모듈부와; 상기 본체모듈부 상에 설치하여 차량의 후방을 확인 가능하되 상기 메인보드모듈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면서 기능별 설정 조작 가능하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 상단부에 설치하여 차량 후방의 움직임을 볼 수 있게 구성하는 룸미러에 있어서, 지지대모듈부(10)와, 본체모듈부(20)와, 디스플레이모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모듈부(10)는 기본적으로 상기 본체모듈부(20)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로 조합된 본 발명의 구성들을 지지하되, 차량 내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인 차량 내부의 전방 상단부 중간 지점에 부착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지지대모듈부(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유리 벽면에 대응하여 부착 가능하게 구비하는 지지브라켓(11)과, 상기 지지브라켓(11)의 일측에 연결 결합하여 돌출 형성하며 상기 본체모듈부(20)를 끼움 결합 가능하게 구성하는 지지대(13)를 구성한다.
상기 지지브라켓(11)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장착 가능한 공간을 구비하여 카메라모듈(15) 및 하이패스모듈(17)을 내장토록 설치 고정한다.
상기 카메라모듈(15)은 상기 지지대모듈부(10) 중 상기 지지브라켓(11) 내 내장하고, 차량의 전면상황 즉 차량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촬영하게 구성한다.
상기에서 카메라모듈(15)은 상기 본체모듈부(20) 중에서 하기 블랙박스모듈(23)에 연동하여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블랙박스모듈(23)에 적용되는 복수 개의 채널 카메라 중에서 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1채널 카메라에 상기 카메라모듈(15)을 적용한다.
상기 카메라모듈(15)은 볼록 광각렌즈를 사용하여 130~140°의 화각을 갖게 구성하므로, 촬영 사각지대를 좁혀 주변 모든 상황을 촬영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하이패스모듈(17)은 기본적으로 통행료결제를 자동으로 실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이패스모듈(17)은 상기 지지대모듈부(10)의 지지브라켓(11) 상에 하이패스 정보를 수신 가능하게 내장한다.
상기 하이패스모듈(17)에는 톨게이트마다 설치된 안테나와의 근거리 전용 통신(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DSRC)이 가능한 통신안테나를 내장한다.
상기 하이패스모듈(17)에는 하이패스 통과시에만 제한적으로 자동 작동할 수 있는 자동 웨이크업(wake-up) 기능을 탑재한다. 즉, 상기 하이패스모듈(17)은 톨게이트마다 설치된 안테나와의 근거리 통신이 인식될 때만 자동 작동하게 구성한다.
상기 하이패스모듈(17)에서의 인식에 따른 하이패스의 구동은 상기 본체모듈부(20) 중에서 하기 메인보드모듈(29)을 통해 통합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본체모듈부(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모듈부(10) 중 상기 지지대(13)의 일단에 결합 설치한다.
상기 본체모듈부(20)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 개의 모듈이 장착 가능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케이스(2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케이스(21) 내 블랙박스모듈(23) 및 DTG모듈(25), OBD모듈(27), 메인보드모듈(29)을 포함하는 구성들을 수용하여 장착 고정한다.
상기 본체모듈부(20)에는 상기 메인보드모듈(29)에 연결하여 외부에 음성신호(예를 들면, 알림음이나 메시지 등)를 출력하는 오디오 엠프(amp)와 함께 스피커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모듈부(20)에는 복수 개의 USB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메인보드모듈(29) 등에 별도의 주변장치들을 접속 연결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블랙박스모듈(23)에 대응하여 SD카드를 삽입 가능한 SD삽입단자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본체모듈부(20)에는 상기 본체케이스(21)의 한쪽 측부에 노출되게 창작하고, 외부에서 하이패스 카드를 삽입 가능하게 구비하는 카드슬롯(22)을 구성한다.
상기 블랙박스모듈(23)은 상기 본체케이스(21)의 내부에 내장하되 기본적으로 상기 카메라모듈(15)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에 영상출력 가능하게 처리한다.
상기 블랙박스모듈(23)에는 복수 개의 카메라를 연결 적용하여 다채널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블랙박스모듈(23)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15)에 의한 전방 영상은 물론 후방 및 좌우 측방의 영상을 각각 구분하여 획득 가능한 구조로 구성한다.
상기 블랙박스모듈(23)에는 외부 충격에 의한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유닛 및 상기 SD삽입단자에 끼움 결합한 SD카드를 연결 구동하게 구성한다.
상기 블랙박스모듈(23)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에 해당 기능별로 실행 가능한 아이콘 형태의 선택목록을 출력한다. 즉, 상기 블랙박스모듈(23)에는 기본적인 기능인 녹화 및 녹음, 재생, SD카드, 녹화설정을 위한 선택목록을 표시하며,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 상에 표시할 영상 뷰 형태의 선택을 위한 목록을 표시하도록 출력한다.
상기 블랙박스모듈(23)의 녹화설정 목록에서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녹화 및 주차녹화 상태 및 여부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전력 설정 및 사용중지시간을 표시하며, 동작감지 민감도를 구분하여 설정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블랙박스모듈(23)에서는 도 6의 (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 뷰 형태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 상에 복수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1~4뷰 중 선택 설정하여 영상을 구현하게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블랙박스모듈(23)에서 1뷰로 선택 설정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15)에 의한 1채널 영상인 차량의 전방 영상만을 표시하게 구현하고, 상기 블랙박스모듈(23)에서 2뷰로 선택 설정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15)을 영상을 포함한 후방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2채널 영상까지 전/후방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게 구현하며, 상기 블랙박스모듈(23)에서 4뷰로 선택 설정하는 경우 전/후방 및 좌우 양쪽 측방 영상을 포함한 4채널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게 구현한다.
상기 DTG모듈(25)은 상기 본체모듈부(20)의 본체케이스(21) 내부에 장착하고, 차량의 전반적인 디지털 운행 기록을 수집하며, 모바일기기에 연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를 통한 정보확인은 물론 모바일기기를 통해 운전자가 차량 운행기록을 항시 확인 가능하게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DTG모듈(25)에서는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디지털 운행 기록을 수집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DTG모듈(25)에서는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에서 차량의 속도 및 RPM, 브레이크 조작에 따른 운행기록을 서로 구분하여 운행정보를 수집하고, GPS모듈로부터 차량 위치에 대한 추적정보 및 가속도센서로부터 외력에 따른 충격 감지 정보를 취득하여 수집 저장하므로 환경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DTG모듈(25)에서는 차량의 운행정보 및 환경정보를 서로 구분 기록하여 저장하되, 최소 6개월까지의 기록을 저장하며, 정보 데이터의 경우 1초 단위의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고, 이벤트시 전후 10초간 0.01초 단위로 10~20회의 기록을 저장한다.
상기 DTG모듈(25)에서는 내부 저장된 차량의 운행정보 및 환경정보 등 수집정보를 운전자에 의해 중단 및 종료 등이 불가능하게 조작방지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DTG모듈(25)에서는 운행정보 및 환경정보 등의 수집된 정보 데이터를 모바일기기에 전송하므로, 데이터의 실시간 수집체계 및 사용자 모바일기기에 디스플레이 표출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DTG모듈(25)에는 무선통신망(예를 들면,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으로 모바일기기와 연동하여 데이터 정보를 표출 및 전송한다.
상기 DTG모듈(25)에서는 차량의 검사결과 등 검사 이력을 통합관리하는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차량 운행기록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관리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OBD모듈(27)은 상기 본체모듈부(20)의 본체케이스(21) 내부에 장착하고, 차량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OBD모듈(27)에서는 상기 DTG모듈(25)에 통신 연결되어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면서 차량의 이상 유무를 진단한다.
상기 OBD모듈(27)에는 차량의 점검항목별 정보를 터치 설정하여 확인하도록 아이콘표시부(27a)와, 상기 아이콘표시부(27a)의 점검항목별로 상세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상세정보표시부(27b)를 구성한다.
상기 OBD모듈(27)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아이콘표시부(27a)에 기본상태 및 기타상태, 소모품관리, 운행정보, 안전운전, 에코드라이브, 업데이트, 월간리포트로 점검항목을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에 표시토록 구성한다.
상기 OBD모듈(27)에서 기본상태 기능에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세정보표시부(27b)를 통하여 브레이크 및 엔진오일, 배터리, 엔진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표시한다.
예를 들면, 차량의 브레이크 상태를 체크하여 양호 여부를 표시하며, 엔진오일의 교체 필요 여부를 표시하고, 배터리 수명에 대한 정보 및 엔진상태를 체크하여 양호 여부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OBD모듈(27)에서 기타상태 기능에는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세정보표시부(27b)를 통하여 평균연비 및 남은 유량, 냉각수 온도, 미션오일 온도, 흡기온도, 배기온도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표시한다.
상기 OBD모듈(27)에서 소모품관리 기능에는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세정보표시부(27b)를 통하여 차량에 교체 수명을 갖는 모든 소모품의 교체 및 수명 정보를 표시한다. 즉, 상기 OBD모듈(27)에서는 엔진오일 교체 및 트랜스미션 오일 등의 교체에 남아있는 킬로수를 상세히 표시하며, 배터리 및 부동액 등의 수명 및 교체에 남아있는 기간을 상세히 표시한다.
상기 OBD모듈(27)에서 운행정보 기능에는 도 7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세정보표시부(27b)를 통하여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차량의 누적 운행거리 및 운행기간, 공회전 비율, 최고속도기록 등의 정보를 상세히 수치화하여 표시한다.
상기 OBD모듈(27)에서 안전운전 기능에는 도 7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세정보표시부(27b)를 통하여 안전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차량의 급가감속 비율 및 심야운행 비율, 동요도 비율 등의 정보와 함께 이를 토대로 한 안전운전을 점수화하여 표시한다.
상기 OBD모듈(27)에서 에코드라이브 기능에는 도 7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세정보표시부(27b)를 통하여 차량 운행시 연료소비를 줄이면서 친환경적인 운전습관을 도모할 수 있는 에코드라이브에 필요한 정보를 제어 가능하게 표시한다. 예를 들면, EMS모드 및 공회전제한, 액티브에코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나타냄과 동시에 각 정보목록의 설정을 온오프 제어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OBD모듈(27)에서 월간리포트 기능에는 도 7의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세정보표시부(27b)를 통하여 최근 정기 점검일 및 누적 주행거리, 최근 점검 항목 등을 리포트 형태로 표시한다.
상기 메인보드모듈(29)은 상기 하이패스모듈(17) 및 상기 블랙박스모듈(23), 상기 DTG모듈(25), 상기 OBD모듈(27)을 서로 연동 가능하게 접속 연결한다.
상기 메인보드모듈(29)에서는 상기 하이패스모듈(17) 및 상기 블랙박스모듈(23), 상기 DTG모듈(25), 상기 OBD모듈(27)로부터 구분된 입력신호를 받아 외부에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를 향한 기능별 정보 출력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메인보드모듈(29)에서는 상기 하이패스모듈(17)의 하이패스 인식신호에 따른 정보를 처리하되, 기본적으로 상기 카드슬롯(22)과 연계하여 통행료를 지불 처리하게 제어 실행한다.
상기 메인보드모듈(29)에서는 도 5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이패스모듈(17)의 하이패스 인식에 따른 잔액조회 및 사용기록을 선택 설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 상에 구분된 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표시한다.
상기 메인보드모듈(29)에서는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이패스모듈(17)에 의한 하이패스 기능의 사용중지 여부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는 상기 본체모듈부(20) 상에 설치하고, 차량의 후방을 확인 가능한 구조로서, 일반적인 반사경으로서의 거울기능과 함께 다양한 정보를 화면 출력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일괄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는 상기 메인보드모듈(29)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면서 기능별 설정 조작 가능하게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는, 해상도 1920×380을 갖는 7색 구현 가능한 IPS터치패널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랙박스 및 하이패스, DTG차량기록, OBD차량진단으로 구분된 메인설정목록을 일측에 나열하여 선택 가능하게 표기하는 메인설정부(35)를 구성한다. 즉, 상기 메인설정부(35)에서 표기된 메인설정목록을 선택하여 개개의 기능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모듈부(20)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에 택시미터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택시미터기모듈(4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택시미터기모듈(40)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의 메인설정부(35)에 메인설정목록으로 구분 표기한다.
상기 택시미터기모듈(40)에서는 차량의 주행거리에 따라 요금을 계산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30) 상에 주행거리와 함께 차량 운행에 따라 계산된 요금을 실시간으로 표시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에 의하면, 지지대모듈부 및 본체모듈부에 디지털운행기록장치 및 자가진단장치, 블랙박스, 하이패스 기능을 모듈화하여 이분 장착하면서 디스플레이모듈부에 기능별 정보를 일괄적으로 설정 확인할 수 있는 복합적인 기능을 탑재토록 구성하므로, 콤팩트한 장치의 일원화로 설치작업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면서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룸미러 자체의 다기능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기능별 다양하게 세분화한 정보의 디스플레이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지지대모듈부 11 : 지지대브라켓
13 : 지지대 15 : 카메라모듈
17 : 하이패스모듈 20 : 본체모듈부
21 : 본체케이스 22 : 카드슬롯
23 : 블랙박스모듈 25 : DTG모듈
27 : OBD모듈 27a : 아이콘표시부
27b : 상세정보표시부 29 : 메인보드모듈
30 : 디스플레이모듈부 35 : 메인설정부
40 : 택시미터기모듈

Claims (8)

  1. 차량 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 상단부에 설치하여 차량 후방의 움직임을 볼 수 있게 구성하는 룸미러에 있어서,
    차량에 부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차량의 전면상황을 촬영 가능하게 내장하는 카메라모듈 및 하이패스 정보를 수신 가능하게 내장하는 하이패스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지지대모듈부와;
    상기 지지대모듈부의 일단에 결합 설치하고, 내부에 내장하되 상기 카메라모듈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외부 충격에 의한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유닛 및 SD카드를 연결 구동하는 블랙박스모듈과, 내부에 장착하되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디지털 운행 기록을 수집하며 모바일기기에 연동하여 운전자가 확인 가능하게 구성하는 DTG모듈과, 내부에 장착하되 상기 DTG모듈에 통신 연결되어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면서 차량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OBD모듈과, 상기 하이패스모듈 및 상기 블랙박스모듈, 상기 DTG모듈, 상기 OBD모듈을 서로 연동 가능하게 접속 연결하며 외부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메인보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본체모듈부와;
    상기 본체모듈부 상에 설치하여 차량의 후방을 확인 가능하되 상기 메인보드모듈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면서 기능별 설정 조작 가능하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패스모듈에는, 하이패스 통과시에만 제한적으로 자동 작동할 수 있는 자동 웨이크업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모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 상에 복수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1~4뷰 중 선택 설정하여 영상을 구현하게 이루어지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OBD모듈에는, 차량의 점검항목별 정보를 터치 설정하여 확인하도록 아이콘표시부와, 상기 아이콘표시부의 점검항목별로 상세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상세정보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모듈에서는, 상기 하이패스모듈의 하이패스 인식에 따른 잔액조회 및 사용기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 상에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고, 상기 하이패스모듈에 의한 하이패스 기능의 사용중지 여부를 설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는, 해상도 1920×380을 갖는 7색 구현 가능한 IPS터치패널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에는, 블랙박스 및 하이패스, DTG차량기록, OBD차량진단으로 구분된 메인설정목록을 일측에 나열하여 선택 가능하게 표기하는 메인설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부에는, 차량의 주행거리에 따라 요금을 계산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부에 택시미터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택시미터기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KR1020220001272A 2022-01-05 2022-01-05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KR102562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72A KR102562528B1 (ko) 2022-01-05 2022-01-05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272A KR102562528B1 (ko) 2022-01-05 2022-01-05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804A KR20230105804A (ko) 2023-07-12
KR102562528B1 true KR102562528B1 (ko) 2023-08-02

Family

ID=8716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272A KR102562528B1 (ko) 2022-01-05 2022-01-05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5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612A (ja) 2001-05-15 2002-11-27 Murakami Corp アンテナ内蔵ルームミラー
KR101524794B1 (ko) 2014-12-22 2015-06-02 주식회사 텍포러스 룸미러 지지대 장착형 차량용 블랙박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649B1 (ko) 2007-02-02 2008-05-20 정종찬 룸미러 블랙박스
KR101257353B1 (ko) * 2010-10-29 2013-04-23 (주)미르테크놀로지 자동차 ecu 또는 자동차의 외부 시그널을 이용한 4 채널 블랙박스 장치 및 방법
KR20150108961A (ko) * 2014-03-18 2015-10-01 박창수 터치 스크린 정보 디스플레이 겸용 차량용 룸미러
KR20140123461A (ko) 2014-09-05 2014-10-22 남진우 블랙박스와 하이패스를 결합한 차량용 룸미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612A (ja) 2001-05-15 2002-11-27 Murakami Corp アンテナ内蔵ルームミラー
KR101524794B1 (ko) 2014-12-22 2015-06-02 주식회사 텍포러스 룸미러 지지대 장착형 차량용 블랙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804A (ko)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36920B (zh) 驾驶记录仪
KR100936014B1 (ko)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JP4494983B2 (ja) ポータブル型車両番号認識装置およびポータブル型車両番号認識装置による車両番号認識方法
US20110080481A1 (en) Automobile Rear View Mirror Assembly for Housing a Camera System and a Retractable Universal Mount
US20070147660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JP2011228957A (ja) カメラユニット取付方法及びカメラユニット
KR20070092484A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CN102233850A (zh) 全景及行车记录之行车辅助装置
KR20140123461A (ko) 블랙박스와 하이패스를 결합한 차량용 룸미러
WO2005090124A1 (de) Bildverarbeitungssystem für kraftfahrzeuge
CN101570161A (zh) 一种带电子影音记录器的车内后视镜
EP2580744B1 (en) Telematic appliance for vehicles
KR102562528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복합 룸미러 장치
CN106379243A (zh) 可显示电子图像的后视镜系统及具有该后视镜系统的汽车
CN206067634U (zh) 一种带etc设备的多功能汽车后视镜
JP6793934B2 (ja) アダプタ
KR102596107B1 (ko) 디지털운행기록장치와 모바일운행기록장치와 차량진단장치와 블랙박스 및 하이패스 기능을 내장한 일체형 복합 룸미러 장치
CN109727335A (zh) 带有电子标签的行车记录仪
CN205644677U (zh) 带电子标签的汽车后视镜
KR20100079496A (ko) 다기능 차량용 정보단말기
CN205942822U (zh) 一种汽车行车记录仪
CA2705507A1 (en) Vehicle management device
KR101730391B1 (ko) 네트워크 통신 일체형 차량정보 통합 처리 장치
CN205809936U (zh) 一种车辆智能驾驶系统
CN208819271U (zh) 一种行车记录仪与obu(etc)组合式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