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348B1 - 부품용 포장시스템 - Google Patents

부품용 포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348B1
KR102562348B1 KR1020230033898A KR20230033898A KR102562348B1 KR 102562348 B1 KR102562348 B1 KR 102562348B1 KR 1020230033898 A KR1020230033898 A KR 1020230033898A KR 20230033898 A KR20230033898 A KR 20230033898A KR 102562348 B1 KR102562348 B1 KR 102562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packaging
flat plate
longitudinal direction
packag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멕
Priority to KR102023003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24Partitions inserted
    • B65D5/48026Squaring or like elements, e.g. honeycomb element,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 B65D5/48038Strips cross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81/027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double-wa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적재율 및 보관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평판부의 일면측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돌출부가 돌출된 자동차용 부품을 포장하기 위한 부품용 포장시스템에 있어서, 일면 및 타면 사이 간격이 상기 돌출부의 돌출높이를 초과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지탄성체로 구비되되, 상기 평판부의 일면과 대향되는 면에 상기 돌출부가 끼움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쌍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블록; 한쌍의 상기 평판부의 일면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각 상기 돌출부가 각 상기 끼움홈에 삽입된 한쌍의 상기 가이드블록이 상기 평판부의 폭방향 양측으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준비되는 포장조립체의 길이방향 양단이 상하로 배치되어 직립 수납되도록 복수개의 구획벽이 교차 결합된 격자형으로 형성된 각 수용셀이 상하측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이너박스; 상기 이너박스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판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수용셀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상기 이너박스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플레이트; 및 상하로 적층된 복수개의 상기 이너박스의 외곽을 감싸되 개구된 상하측에 덮개부가 결합되는 아웃박스를 포함하는 부품용 포장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품용 포장시스템{packing system for components}
본 발명은 부품용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율 및 보관성이 개선되는 부품용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부품은 각각의 부품을 제조하여 납품하거나 납품받아 자동차 조립공장에서 조립되기 때문에 각각의 부품을 제조하는 업체에서 포장하여 조립공장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자동차 부품 중 주요부품은 금속제로 성형되어 그 가공부분이 부식되거나 산화되지 않도록 자동차 생산을 위해 조립하기 전에 면밀하고 안전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여기서, 금속제의 부식 원인으로는 공기 중의 수분(습기)이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며 저에너지영역(음극) 사이에서 전자가 이동하는 도체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전기화학적 과정은 녹, 부식 혹은 얼룩 등의 산화과정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금속제의 산화과정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방청유나 방청액 등을 금속에 도포하여 방청처리 하는데, 이러한 방청처리는 부품의 조립 전 세정작업이 요구되며, 세정 후 환경오염의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자동차회사에서 취급하는 자동차 부품은 자동차의 생산계획 및 판매계획에 따라 소비자가 요구하는 시기에 맞춰 적기납품을 하기 위해 대량 생산이 불가피하며, 대량으로 생산된 자동차 부품을 안전하게 보관해야 하나 제품의 포장이 안정적이지 못한 경우 장시간 보관시 제품 품질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자동차의 차체 또는 내장재를 구성하는 다양한 판형 부품 중 평판의 일측에 돌출구조를 포함하는 'T'자형 부품의 경우, 상기의 돌출구조로 인해 포장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의 "T'자형 부품은 상기 평판의 가로폭 및 상기 돌출구조의 높이로 인해 포장박스의 부피가 상기 돌출구조만큼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돌출구조를 중심으로 상기 부품의 평판이 시소 회동됨으로 인하여 상기 포장박스 내에서 요동됨으로 인하여 손상이 발생하며, 동일 공간에 적재된 다른 포장 상자에 상기 부품의 요동이 전달되면서 다른 부품의 파손까지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부품이 상기 포장박스 안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다수의 지지구조를 요구하므로 하나의 부품 포장에 과도한 포장부재가 요구되어 경제성 및 이를 폐기시 심각한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2343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재율 및 보관성이 개선되는 부품용 포장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평판부의 일면측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돌출부가 돌출된 자동차용 부품을 포장하기 위한 부품용 포장시스템에 있어서, 일면 및 타면 사이 간격이 상기 돌출부의 돌출높이를 초과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지탄성체로 구비되되, 상기 평판부의 일면과 대향되는 면에 상기 돌출부가 끼움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쌍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블록; 한쌍의 상기 평판부의 일면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각 상기 돌출부가 각 상기 끼움홈에 삽입된 한쌍의 상기 가이드블록이 상기 평판부의 폭방향 양측으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준비되는 포장조립체의 길이방향 양단이 상하로 배치되어 직립 수납되도록 복수개의 구획벽이 교차 결합된 격자형으로 형성된 각 수용셀이 상하측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이너박스; 상기 이너박스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판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수용셀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상기 이너박스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플레이트; 및 상하로 적층된 복수개의 상기 이너박스의 외곽을 감싸되 개구된 상하측에 덮개부가 결합되는 아웃박스를 포함하는 부품용 포장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너박스의 높이는 상기 포장조립체의 길이에 대응되며, 상기 포장조립체의 단폭에 대한 상기 수용셀의 단폭이 1.1 내지 1.5 범위의 길이비율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블록의 일면 및 타면이 각 상기 평판부의 일면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끼움홈의 개구측 단부에는 상기 평판부 및 상기 돌출부가 연결된 연결부의 기본 윤곽에 대응되는 형상의 확장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너박스의 외곽 외측과 상기 이너박스의 외곽을 감싸는 상기 아웃박스의 측벽부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단부가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접촉 지지되는 연장단부가 상기 이너박스의 외곽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포장조립체가 내부에 밀봉 수용되어 상기 수용셀에 수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방청라이너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수용셀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형 부품의 길이와 대응되는 높이와 포장조립체가 컴팩트하게 수용될 수 있는 단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하로 적층된 포장조립체가 소정의 면적으로 중첩되도록 하여 상측에서 가해지는 압력/하중만으로도 직립 상태가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적층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이너박스의 외곽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단부를 통해 이너박스의 외곽과 아웃박스의 내면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종이재질로 구비되는 포장재의 내구성 및 지지강도가 더욱 보강될 수 있으며, 단열성 및 내습성까지 개선하여 내부에 수납되는 부품 또는 가이드블록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셋째, 한쌍의 가이드블록이 평판부의 일면에 돌출된 돌출부에 조립되어 각 대향측 평판부의 일면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한 공간에 돌출구조를 갖는 부품이 쌍으로 수납 가능하므로 적재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으며, 가이드블록의 탄성을 통해 한쌍의 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이 흡수되어 부품의 파손이 방지되므로 보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을 이용하여 포장되는 부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에서 포장조립체의 조립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의 일부분에 대한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A-B방향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의 일부분에 대한 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은 특히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평판 부재의 일면측으로 소정의 돌출높이로 돌출된 돌출구조를 갖는 'T'자형의 부품을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은 자동차용 부품인 사이드 케이스 등의 부품을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의 사이드 케이스를 자동차 제조공장으로 납품시 적재율 및 보관효율이 향상되도록 제공되는 포장시스템인 것이다. 물론, 상기의 자동차용 사이드 케이스뿐만 아니라 단면 형상이 'T'자형인 부품이라면 본 발명의 포장시스템을 적용하여 포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부품용 포장시스템과 포장시스템은 동일한 의미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부호로 설명 및 도시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부품이 자동차용 사이드 케이스인 것을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을 이용하여 포장되는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포장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포장되는 부품(1)은 평판부(2) 및 돌출부(3)를 포함한다.
상기 평판부(2)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전체적인 윤곽이 직사각형 형태이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평판부(2)가 연장된 길이(d1)는 가로폭(d2)보다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는 상기 평판부(2)의 일면(2a)측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3)는 기설정된 돌출높이(d3)로 돌출되며, 상기 부품(1)의 용도 및 대향 부품(1)과의 결합/조립관계가 고려된 형상으로 가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3)의 돌출높이(d3)는 상기 평판부(2)의 일면(2a)부터 상기 돌출부(3)의 단부까지의 높이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품(1)은 기본적인 단면 형상이 'T'자형인 구조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돌출부(3)는 상기 평판부(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폭방향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품(1)은 상기 돌출부(3)가 상기 평판부(2)의 일면(2a)측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돌출되되 상기 평판부(2)의 폭방향 양단 중 일단측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3)를 기준으로 상기 평판부(2)의 폭방향 일단측 사이 간격이 상기 돌출부(3)를 기준으로 상기 평판부(2)의 폭방향 타단측 사이 간격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부품(1)은 상기 평판부(2)의 일면에 상기 돌출부(3)가 돌출되고 타면이 실질적으로 평탄면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부품(1)은 상기 돌출부(3)의 돌출구조로 인하여 포장공간의 단면적이 상기 평판부(2)의 가로폭(d2) 및 상기 돌출부(3)의 돌출높이(d3)에 대응하는 면적 이상으로 요구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3)가 상기 평판부(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질러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평판부(2)가 상기 돌출부(3)를 중심으로 시소 회동됨으로 인하여 상기 포장공간 내에서 요동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상기 포장시스템(100)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에서 포장조립체의 조립예시도이다. 이때, 도 2는 후술되는 덮개부(42)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내부가 외측으로 드러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100)은 가이드블록(10), 이너박스(30), 구획플레이트(44) 및 아웃박스(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블록(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블록형의 수지탄성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블록(10)은 폴리에틸렌 스펀지 또는 폼(foam)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블록(10)은 소정의 쿠션감 및 탄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10)은 일면(11) 및 타면(12) 사이 간격(도 7의 d12)이 상기 돌출부(3)의 돌출높이(d3)를 초과하며, 상기 평판부(2)의 일면과의 대향면에 끼움홈(13)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13)은 상기 가이드블록(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함몰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블록(10)은 단면 형상이 "U"자와 유사한 형태인 탄성블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13)은 상기 돌출부(3)가 끼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끼움홈(13)의 깊이는 상기 돌출부(3)의 돌출높이(d3) 이상이고 폭(d14)은 상기 돌출부(3)의 두께 이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13)에 상기 돌출부(3)가 삽입되면 상기 끼움홈(13)의 양측 내면에 상기 돌출부(3)의 양측 내면이 밀착되거나 억지 끼움된다. 이를 통해, 상기 끼움홈(13)에 상기 돌출부(3)가 끼움되기만 하면 상기 가이드블록(10)이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상기 부품(1)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홈(13)의 깊이는 상기 돌출부(3)의 돌출높이(d3)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13)에 상기 돌출부(3)가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블록(10)의 일면(11)이 상기 가이드블록(10)이 조립된 상기 평판부(2)의 일면(2a)에 실질적으로 면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10)은 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쌍의 상기 가이드블록(10)은 한쌍의 상기 부품(1A,1B)의 각 상기 돌출부(3)에 조립된다. 그리고, 한쌍의 상기 평판부(2)의 일면(2a)이 상호 마주보게 대향 배치되면, 각 상기 돌출부(3)에 조립된 한쌍의 가이드블록(10)이 상기 평판부(2)의 폭방향 양측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포장조립체(5)로 준비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일측 부품(1A)과 타측 부품(1B)은 배치 위치를 기준으로 임의로 구분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포장조립체(5)는 후술되는 상기 이너박스(30)의 각 수용셀(33)에 수납되기 위한 구조로 세트화된 유닛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한쌍의 상기 평판부(2)가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한쌍의 상기 가이드블록(10)이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포장조립체(5)는 전체적인 단면 윤곽이 사각 형태 또는 'ㅍ'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돌출부(3)에 상기 가이드블록(10)이 결합되므로 상기 일측 부품(1A)에 돌출된 상기 돌출부(3)가 상기 타측 부품(1B)의 상기 평판부(2) 일면측으로 배치되더라도 각 상기 부품(1A,1B)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두개의 상기 부품(1A,1B))을 하나의 컴팩트한 공간에 수납하더라도 각 상기 부품(1A,1B)간의 접촉, 충돌로 인한 긁힘 또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이너박스(30)는 복수개의 구획벽(31,32)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격자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것으로, 각 상기 구획벽(31,32)이 교차 결합되어 형성된 각 상기 수용셀(33)에 상기 포장조립체(5)가 수납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상기 구획벽(31,32) 중 양측방향으로 배열되는 구획벽(31,이하 제1구획벽)은 하측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조립홈(미도시)이 이격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벽(31)과 직교하도록 배열되는 구획벽(32, 이하 제2구획벽)은 상측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조립홈(미도시)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획벽(31)과 상기 제2구획벽)이 상기 조립홈(미도시)을 통해 교차 결합됨에 따라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상기 구획벽(31,32)은 종이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더욱이 골판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구획벽(31,32)이 교차 결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수용셀(33)에 상기 포장조립체(5)가 각각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박스(30)에 형성된 각 상기 수용셀(33)의 장폭 및 단폭이 상기 포장조립체(5)의 기본단면적보다 소정의 여유간극을 두고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박스(30)의 높이(도 5의 d31)는 상기 포장조립체의 길이(d5)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상기 수용셀(33)에 상기 포장조립체(5)가 세워져 수납되면 상기 포장조립체(5)의 길이방향 양단이 상하로 배치되어 직립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부품이 하나의 박스에 개별 포장됨에 따라 부품 수만큼의 포장재가 요구되던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은 종이판지를 교차 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다수개의 상기 부품(1)이 정렬 수납될 수 있는 포장시스템(100)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복수개의 박스를 개별 제작 후 전후 및 좌우로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번거롭고 복잡한 공정이 실질적으로 생략되므로 포장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박스가 개별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 또는 진동시 정렬구조가 흐트러지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소되므로 적층 및 보관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이너박스(30)의 각 상기 수용셀(33)은 상하로 개구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너박스(30)는 상기 포장조립체(5)가 직립 수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격자형의 셀간격이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이너박스(30)는 각 수용셀(33)이 상기 부품(1)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으로 기능함과 동시에 상측에 배치되는 중량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격자형 보강구조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셀(33)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판형 부품의 길이와 대응되는 높이와 상기 포장조립체(5)가 컴팩트하게 수용될 수 있는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로 적층된 상기 포장조립체(5)가 소정의 면적으로 중첩되도록 하여 상측에서 가해지는 압력/하중만으로도 직립 상태가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적층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포장조립체(5) 자체가 상기 포장시스템(100)의 하중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기둥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박스(30)와 상기 아웃박스(40)를 구성하는 포장재가 종이재질로 형성되더라도 금속의 중량물로 구비되는 부품의 중력방향 하중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포장시스템(100)의 제조원가 절감을 통한 경제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면서도, 상기 포장시스템(100)의 경량화를 통한 포장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포장조립체(5)가 직립으로 수납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이너박스(30)의 각 구획벽(31,32)에 상기 포장조립체(5)의 하중이 전체적으로 중력방향으로 가해지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포장조립체(5)의 하중에 의한 상기 구획벽(31,32)의 휨, 찢어짐 등의 문제를 해소되므로 상기 이너박스(30)가 종이재질로 형성되더라도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너박스(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이너박스(30)는 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박스(30)의 개구된 상하부는 수평 평판구조를 통해 커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세히, 상기 구획플레이트(44)는 복수개의 상기 이너박스(30) 사이에 적층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너박스(30)의 전체적인 단면적에 대응하는 판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플레이트(44)도 상기 이너박스(30)와 마찬가지로 종이재질, 바람직하게 골판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박스(30)와 상기 구획플레이트(44)는 상하방향으로 교번 배치되는 샌드위치 형태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박스(30)는 실질적으로 수직벽들만 존재하므로 배치방향에 제한이 없다. 따라서, 상기 포장시스템(100)을 이용한 포장공정시 상기 이너박스(30)의 상하 배치방향을 확인 및 정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포장시스템(100)을 이용한 포장공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상기 이너박스(30) 사이에 상기 구획플레이트(44)가 배치되므로 상하로 적층된 상기 포장조립체(5)는 상호 중첩되면서도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포장조립체(5)로 세트화된 상기 부품(1)간의 직접 접촉이 방지되어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박스(30)와 상기 구획플레이트(44)가 상측으로 교번 배치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각 상기 수용셀(33)의 6면이 실질적으로 차폐된 박스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박스(30)는 복수개의 상기 수용셀(33)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더라도 각 상기 수용셀(33)에 상기 부품(1)의 개별 포장이 용이하다.
더욱이, 상측에 배치된 상기 이너박스(30)와 이에 수납된 상기 부품(1)을 상기 아웃박스(40)에서 꺼내더라도 하측에 배치된 상기 이너박스(30)의 상면은 상기 구획플레이트(44)를 통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아웃박스(40)는 상기 이너박스(30)의 외곽,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적층된 복수개의 상기 이너박스(30)의 외곽을 감싸는 복수개의 측벽부(41)와, 상기 측벽부(41)의 개구된 상하측에 결합되는 덮개부(42,4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측벽부(41)는 상기 이너박스(30)의 각 측면측을 커버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부(41)는 4개소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측벽부(41)의 가로폭은 상기 이너박스(30)의 각 측면측 가로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되, 높이가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이너박스(30)의 높이(d31) 및 적층단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42,43)는 상기 측벽부(41)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판지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부가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아웃박스(40)는 상기 덮개부(42,43)의 연장부 내측에 상기 측벽부(41)의 상하단측 테두리가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아웃박스(40)는 상기 측벽부(41)와 상기 덮개부(42,43)가 별도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42,43) 및 상기 이너박스(30)는 실질적으로 단일 규격 또는 최소개수의 규격으로 제조되되 상기 측벽부(41)의 높이를 상기 이너박스(30)의 적층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하여 호환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장시스템(100)을 상기 부품(1)이 적재되는 공간 사이즈에 맞게 다양한 규격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 및 적재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포장시스템(100)은 방청라이너(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청라이너(20)는 방청비닐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포장조립체(5)가 밀봉 수용되는 수용공간(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방청비닐은 기화성 방청제(volatile corrosion inhibitor,VCI)와 폴리올레핀 수지(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를 혼합한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방청비닐은 상기 수지에 혼합된 상기 기화성 방청제가 증발하여 상기 부품(1)의 표면을 피복함으로써 상기 부품(1)이 방청 처리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방청비닐로 제조된 상기 방청라이너(20)는 내부에 수용되는 철 또는 비철금속 재질 상기 부품(1)이 상기 포장시스템(100)에 포장된 상태로 장기간 보관시에도 부식 및 변색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방청라이너(20)에 상기 부품(1)이 수용되는 것만으로도 방청 피복이 형성되므로 별도의 방청유 등의 도포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부품(1)의 포장과정에 방청유를 도포하는 등의 번거로운 공정이 생략되어 간소화되므로 작업편의성 및 신속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방청라이너(20)에 상기 포장조립체(5)가 수용되면 상기 방청라이너(20)의 개구가 열융착되어 밀봉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방청라이너(20)의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방청라이너(20)의 내부에 습기 등이 침투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차단하므로 상기 부품(1)의 보관기간 중 발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부식 또는 변색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방청라이너(20)의 내부에 방습제(미도시)를 더 투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밀봉된 상기 방청라이너(20)의 내부에 잔존하는 습기가 상기 방습제(미도시)를 통해 실질적으로 제거됨으로써 상기 부품(1)의 부식 및 변색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의 일부분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B방향 단면도이다. 이때, 도 6에서 원호형의 화살표는 후술되는 상기 포장시스템(5)의 회동방향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너박스(30)의 높이(d31)는 상기 포장조립체(5)의 길이(d5)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너박스(30)는 상하가 개구된 형태이므로 상기 이너박스(3)의 높이(d31)는 실질적으로 상기 수용셀(33)의 높이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부호로 설명 및 도시한다.
그리고, 각 상기 수용셀(33)의 높이(d31)와 상기 포장조립체(5)의 길이(d5)가 대응된다 함은 각 상기 수용셀(33)의 높이(d31)와 상기 포장조립체(5)의 길이(d5)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기 수용셀(33)의 높이(d31)가 상기 포장조립체(5)의 길이(d5)에 소정의 여유간격을 포함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수용셀(33)의 높이(d31)는 상기 포장조립체(5)의 수직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기 포장조립체(5)의 대각선길이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각 상기 수용셀(33)의 단면적은 상기 포장조립체(5)의 단면적을 초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장조립체(5)가 상기 이너박스(30)의 각 상기 수용셀(33)에 수납되면, 상기 포장조립체(5)의 길이방향 양단은 상기 수용셀(33)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수평 평판구조의 대향내면에 접촉되거나 근접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 평판구조는 한쌍의 상기 덮개부(42,43), 하나의 상기 덮개부(43)와 하나의 상기 구획플레이트(44), 한쌍의 상기 구획플레이트(44)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포장조립체(5)는 상기 수용셀(33)에 수납된 상태에서 그의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수평 평판구조의 대향 내면에 접촉 또는 근접 배치됨에 따라 유동이 구속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포장조립체(5)가 각 상기 수용셀(33) 내에서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도 직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장시스템(100)은 상기 아웃박스(40)의 내부에 상기 이너박스(30), 상기 구획플레이트(44) 및 상기 방청라이너(20)에 밀봉 수용된 상기 포장조립체(5)가 수납되고 상기 덮개부(42,43)를 통해 커버된 후 고정밴드(45)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45)는 상기 포장시스템(100)의 상하측, 즉 상하로 배치된 상기 덮개부(42,43)를 동시에 감싸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박스(40)를 감싸 고정되는 상기 고정밴드(45)의 가압력 및 상기 구획플레이트(44)를 기준으로 상측에 적층된 상기 포장조립체(5)의 하중에 의해 각 상기 포장조립체(5)의 길이방향 양단이 한쌍의 상기 수평 평판구조의 대향내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포장시스템(100)은 각 상기 수용셀(33)에 수납된 상기 포장조립체(5)의 하중 및 상기 고정밴드(45)의 가압력 등을 통해 상기 포장조립체(5)의 상하면이 상기 수평 평판구조에 가압되어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포장시스템(10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포장조립체(5)가 상기 수용공간(21) 내에서 과도하게 유동되거나 쓰러지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수용셀(33)의 단면적은 상기 포장조립체(5)의 기본단면적을 초과하므로 상기 포장조립체(5)를 상기 수용셀(33)에 수납하는 작업자의 손 또는 작업기구가 인입 가능한 여유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장조립체(5)가 주변구조에 간섭되지 않고 각 상기 수용셀(33)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청라이너(20)가 상기 이너박스(30)의 내벽에 긁히거나 찢겨 훼손되는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방청라이너(20)를 통한 방청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장조립체(5)의 단폭(d6)에 대한 상기 수용셀(33)의 단폭(d32)이 1.1 내지 1.5 범위의 길이비율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조립체(5)의 단폭(d6)은 한쌍의 상기 평판부(2)의 외면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이너박스(30)의 높이(d31)가 상기 포장조립체(5)의 높이(d5)보다 소정의 여유간격을 포함하여 길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포장조립체(5)가 상기 수용셀(33)의 내측에서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조립체(5)에 외부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포장조립체(5)의 회동방향 반대측 모서리(5a)가 상기 포장조립체(5)의 무게중심라인(c1)을 기준으로 회동방향측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긴 제품이 수직으로 배치되더라도 상기 부품(1)의 직립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수용셀(33)의 단폭(d32)이 상기 포장조립체(5)의 단폭(d6)에 대하여 1.5 길이비율 미만으로 형성되므로 상하로 적층된 상기 포장조립체(5)가 실질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측에 배치된 상기 포장조립체(5)가 상기 구획플레이트(44)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된 상기 포장조립체(5)를 가압하여 직립 상태를 구속하면서도, 상측에 배치된 상기 포장조립체(5)의 하중에 의해 상기 구획플레이트(44)가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셀(33)의 단폭(d32)이 상기 포장조립체(5)의 단폭(d6)에 대하여 1.1 길이비율 미만이면, 상기 수용셀(33)의 단폭(d32)이 과도하게 협소하여 상기 포장조립체(5)를 상기 수용셀(33)에 용이하게 수납하기 어렵다. 반면, 상기 수용셀(33)의 단폭(d32)이 상기 포장조립체(5)의 단폭(d6)에 대하여 1.5 길이비율을 초과하면, 외부 진동 또는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포장조립체(5)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질 수 있으며, 상기 구획플레이트(44)의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포장조립체(5) 간의 중첩간격이 좁아져 안정적인 적층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상기 포장조립체(5)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면서도 상하로 적층시 중첩영역이 확보되도록 상기 수용셀(33)의 단폭(d32)은 대한 상기 포장조립체(5)의 단폭(d6)에 대하여 1.1 내지 1.5 범위의 길이비율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이너박스(30)의 길이 및 각 상기 수용셀(33)의 단면적이 길이방향으로 직립 수납되며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부품(1)의 직립 및 중첩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범위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이너박스(30)와 상기 아웃박스(40)의 구성이 종이재질로 형성되더라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셀(33)의 장폭은 상기 포장조립체(5) 장폭,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판부(2)의 가로폭(d2)에 대하여 1.2 내지 1.5 길이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장조립체(5)가 상기 수용셀(33)에 직립 수납시 상하로 적층된 상기 포장조립체(5)가 중첩될 수 있는 영역이 확보되므로 상기 포장조립체(5)의 직립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조립체(5)가 회동되기 용이한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수용셀(33)의 단폭보다 장폭에 여유간격을 더 확보함으로써 상기 포장조립체(5)를 상기 수용셀(33)에 용이하게 직립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작업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포장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포장재가 상측으로 들어올려 분리 가능한 구조이며, 들어올릴때 상기 포장조립체(5)의 하중이 실질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작업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용 포장시스템의 일부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끼움홈(13)의 개구측 단부에는 상기 평판부(2) 및 상기 돌출부(3)가 연결된 연결부(4)의 기본 윤곽에 대응하는 형상의 확장부(1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4)의 기본 윤곽이라 함은 상기 연결부에 함몰 또는 관통구조가 배제된 윤곽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부(4)에 홀 또는 홈 구조가 가공되기 전의 윤곽이 상기 기본 윤곽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4)는 상기 평판부(2)와 상기 돌출부(3)가 직교 연결된 구조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상기 돌출부(3)로부터 상기 평판부(2)의 내면(2a)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13)의 개구측 단부에 형성된 상기 확장부(14)는 상기 연결부(4)의 부피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더욱이 상기 확장부(14)는 상기 연결부(4)의 기본 윤곽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블록(10)은 상기 끼움홈(13)이 상기 돌출부(3)와 상기 연결부(4)의 기본 윤곽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압출금형을 통해 인발 가공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록(10)이 상기 부품(1)의 길이에 대응하여 절단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부(14)가 상기 연결부(4)의 기본 윤곽에 형합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연결부(4)에 관통 또는 함몰구조가 형성되더라도 상기 연결부(4)의 외면에 상기 확장부(14)가 면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부품(1)의 돌출구조가 상기 가이드블록(10)을 통해 전체적으로 감싸여 보호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4)가 상기 확장부(14)에 형합 수용되므로 상기 가이드블록(10)의 일면(11)은 상기 일측 부품(1A)의 평판부(2) 일면(2a)에 면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록(10)의 타면(12)은 상기 타측 부품(1B)의 평탄부(2) 일면(2a)에 면접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한쌍의 상기 가이드블록(10)이 양측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블록(10)의 일면(11) 및 타면(12)이 한쌍의 상기 평판부(2)의 일면(2a)에 각각 면접촉되도록 지지된다. 이를 통해, 한쌍의 상기 부품(1A,1B)은 상기 가이드블록(10)을 통해 실질적으로 수평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하나의 상기 수용셀(33)에 두개의 상기 부품(1A,1B)이 수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동일공간 대비 적재율이 실질적으로 2배로 증가하므로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수용셀(33)은 상기 부품(1)의 가로폭, 상기 평판부(2)의 두께, 상기 가이드블록(10)의 일면(11) 및 타면(12) 사이 간격에 포장작업시 여유간격이 고려된 최소한의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위면적당 상기 수용셀(33)이 최대한으로 형성되도록 컴팩트화 하여 동일공간 내에 적재율이 최대화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록(10)의 일면(11) 및 타면(12)이 한쌍의 상기 평판부(2)의 일면(2a)에 면접촉되므로 상기 포장조립체(5)에 단폭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가이드블록(10)의 일면(11) 및 타면(12) 사이 간격(d12)만큼의 완충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일측 부품(1A)의 돌출부(3)의 단부가 상기 타측 부품(1B)의 평판부(2)의 일면(2a)에 접촉 또는 타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하나의 수용셀에 두개의 부품(1A,1B)이 수납되더라도 파손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블록(10)이 한쌍의 상기 부품(1A,1B)의 각 상기 평탄부(2)를 평행하게 정렬시키는 지지체로서의 기능, 상기 돌출부(3)를 감싸 보호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상기 포장조립체(5)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완충하는 다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부품(1A,1B)을 대량 포장하기 위한 포장재의 종류 및 개수가 간소화되어 경제성이 향상되면서도 상기 부품(1)을 보관시 공간활용성 및 적재율이 현저히 향상된 포장시스템(100)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박스(30)의 외곽 외측으로 연장단부(34,35)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박스(40)의 각 상기 측벽부(41) 내면에 상기 연장단부(34,35)가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측벽부(41), 상기 이너박스(30)의 각 상기 구획벽(31,32) 및 상기 연장단부(34,35) 사이에 완충공간(3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단부(34,35)는 상기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는 구획벽(31)과 상기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구획벽(32)이 상호 교차 조립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박스(40)와 상기 이너박스(30)를 구성하는 골판지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더라도 상기 연장단부(34,35)의 돌출간격만큼 이격되어 보강된 완충구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포장시스템(100)은 경량이면서도 상기 부품(1A,1B)의 하중 및 적층구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확보함으로써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아웃박스(40)와 상기 이너박스(30)가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완충공간(36)을 통해 상기 포장시스템(100)의 단열성 및 내습성이 더 개선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방청라이너(20)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내부에 수납되는 상기 부품(1) 또는 상기 가이드블록(10)이 열 또는 습기로 인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함에 따라 상기 부품(1)의 장기 보관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블록(10)의 타면(12)의 폭방향 양측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블록(10)의 타면(12)측은 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장조립체(5)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부드러운 쿠션감을 통해 흡수하여 상기 부품(1)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블록(10)의 압축 변형 또는 훼손을 방지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홈(13)은 상기 가이드블록(10)의 일면(11)에 길이방향 중앙부를 따라 함몰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록(10)은 한쌍의 격벽부 사이에 상기 끼움홈(13)이 형성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블록(10)의 길이방향 양단에 한쌍으로 구비된 상기 격벽부의 대향측면 사이가 상기 끼움홈(1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부의 두께는 상기 평판부(2)를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 및 상기 돌출부(3)의 일면측 사이 간격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3)의 일면측은 상기 평판부(2)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중심과 인접한 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한쌍의 상기 가이드블록(10)이 양측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더라도 한쌍의 상기 평판부(2)의 길이방향 양단이 수직으로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포장조립체(5)는 장폭이 실질적으로 상기 평판부(2)의 가로폭(d2)에 대응되고 단폭이 한쌍의 상기 평판부(2)의 두께 및 상기 가이드블록(10)의 일면(11) 및 타면(12) 사이 간격(d12)에 대응되어 컴팩트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부품 2: 평판부
3: 돌출부 5: 포장조립체
10: 가이드블록 13: 끼움홈
20: 방청라이너 30: 이너박스
40: 아웃박스 42,43: 덮개부
44: 구획플레이트 100: 부품용 포장시스템

Claims (5)

  1.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평판부의 일면측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돌출부가 돌출된 자동차용 부품을 포장하기 위한 부품용 포장시스템에 있어서,
    일면 및 타면 사이 간격이 상기 돌출부의 돌출높이를 초과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지탄성체로 구비되되, 상기 평판부의 일면과 대향되는 면에 상기 돌출부가 끼움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쌍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블록;
    한쌍의 상기 평판부의 일면이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각 상기 돌출부가 각 상기 끼움홈에 삽입된 한쌍의 상기 가이드블록이 상기 평판부의 폭방향 양측으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준비되는 포장조립체의 길이방향 양단이 상하로 배치되어 직립 수납되도록 복수개의 구획벽이 교차 결합된 격자형으로 형성된 각 수용셀이 상하측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이너박스;
    상기 이너박스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판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수용셀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상기 이너박스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플레이트; 및
    상하로 적층된 복수개의 상기 이너박스의 외곽을 감싸되 개구된 상하측에 덮개부가 결합되는 아웃박스를 포함하는 부품용 포장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박스의 높이는 상기 포장조립체의 길이에 대응되며,
    상기 포장조립체의 단폭에 대한 상기 수용셀의 단폭이 1.1 내지 1.5 범위의 길이비율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용 포장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의 일면 및 타면이 각 상기 평판부의 일면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끼움홈의 개구측 단부에는 상기 평판부 및 상기 돌출부가 연결된 연결부의 기본 윤곽에 대응되는 형상의 확장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용 포장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박스의 외곽 외측과 상기 이너박스의 외곽을 감싸는 상기 아웃박스의 측벽부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단부가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접촉 지지되는 연장단부가 상기 이너박스의 외곽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용 포장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조립체가 내부에 밀봉 수용되어 상기 수용셀에 수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방청라이너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용 포장시스템.
KR1020230033898A 2023-03-15 2023-03-15 부품용 포장시스템 KR102562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898A KR102562348B1 (ko) 2023-03-15 2023-03-15 부품용 포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898A KR102562348B1 (ko) 2023-03-15 2023-03-15 부품용 포장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348B1 true KR102562348B1 (ko) 2023-08-01

Family

ID=8756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898A KR102562348B1 (ko) 2023-03-15 2023-03-15 부품용 포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3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1858A1 (en) * 2006-04-26 2007-11-01 Questar, Inc. Shipping container for solid hazardous material
KR101023439B1 (ko) 2008-11-14 2011-03-24 주식회사 대유팩 중량물 운송용 포장조립체 및 그의 포장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1858A1 (en) * 2006-04-26 2007-11-01 Questar, Inc. Shipping container for solid hazardous material
KR101023439B1 (ko) 2008-11-14 2011-03-24 주식회사 대유팩 중량물 운송용 포장조립체 및 그의 포장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7500B2 (ja) 梱包体
EP2123572A1 (en) Damping body for packaging and package body
JP6028937B2 (ja) 矩形状薄板パネルの搬送ユニット
JP3755580B2 (ja) 容器の梱包体及び容器の緩衝体
US8439197B2 (en) Damping body for packaging and package body
KR102562348B1 (ko) 부품용 포장시스템
KR101192112B1 (ko) 완충부를 가지는 간지조립체 및 이를 내장하는 포장용 박스
JP5721576B2 (ja) 梱包体及び緩衝体
JP3343744B2 (ja) 緩衝包装材組立体
WO2021235104A1 (ja) 鉛蓄電池用の緩衝体、及び、鉛蓄電池の梱包構造
JP2011051648A (ja) 太陽電池パネル用梱包材
KR101705788B1 (ko) 대형 배터리 포장용 내장재
CN210823231U (zh) 一种锂电池运输瓦楞纸箱
CN213677827U (zh) 一种汽车制动盘重型包装箱
JPH0825581B2 (ja) 碍子の梱包容器
CN217321580U (zh) 一种汽车电池盒包装结构
US20070181453A1 (en) Cartridge accommodating case
KR20220085343A (ko) 전지 셀 운반용 내부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한 전지 셀 운반용 트레이
JP2011051643A (ja) 太陽電池パネル用梱包材
JP4636065B2 (ja) 梱包箱
KR102147096B1 (ko) 배터리 포장용 절첩 케이스
KR200464052Y1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CN218113405U (zh) 运输包装箱和电池包
US20070151896A1 (en) Packing member for packing wafer container
CN218288467U (zh) 一种用于动力转向机总成的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