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328B1 -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328B1
KR102562328B1 KR1020197035394A KR20197035394A KR102562328B1 KR 102562328 B1 KR102562328 B1 KR 102562328B1 KR 1020197035394 A KR1020197035394 A KR 1020197035394A KR 20197035394 A KR20197035394 A KR 20197035394A KR 102562328 B1 KR102562328 B1 KR 102562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d resin
polyvinyl alcohol
bonding layer
pva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398A (ko
Inventor
사키미 이시마루
다이스케 하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28Stretching, elon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적층체를 제공한다. 적층체는 표면에 이접착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이접착층을 개재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에 적층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고, 이접착층의 수접촉각은 이접착층에 물을 적하한 직후에 70°이상이며, 적하로부터 30초가 경과함으로써 2°이상 감소한다.

Description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하고, 이 적층체를 연신, 염색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편광자를 얻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이와 같은 편광자의 제조 방법은, 예컨대 화상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는 박리 제거되지 않고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편광자에 보호 필름을 첩합(貼合)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편광자와의 적층체를 그대로 편광판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화상 표시 장치의 저비용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338329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편광자와의 적층체인 편광판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적층체, 이와 같은 적층체의 제조 방법,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편광판 및 이와 같은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표면에 이(易)접착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상기 이접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에 적층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고, 상기 이접착층의 수접촉각은 상기 이접착층에 물을 적하한 직후에 70°이상이며, 해당 적하로부터 30초가 경과함으로써 2°이상 감소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이접착층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상기 폴리올레핀계 성분과의 배합비가 10:90∼50:50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표면에 이접착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이접착층의 표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이접착층의 수접촉각은 상기 이접착층에 물을 적하한 직후에 70°이상이며, 해당 적하로부터 30초가 경과함으로써 2°이상 감소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적층체를 염색 및 연신함으로써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편광자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편광판이 제공된다. 이 편광판은 표면에 이접착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상기 이접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에 적층된 편광자를 갖고,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0㎛ 이하이며, 상기 이접착층의 수접촉각은 상기 이접착층에 물을 적하한 직후에 70°이상이고, 해당 적하로부터 30초가 경과함으로써 2°이상 감소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접촉각이 물을 적하한 직후에 70°이상이고, 적하로부터 30초가 경과함으로써 2°이상 감소하는 이접착층을 이용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적층체, 이와 같은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A. 적층체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적층체(100)는 표면에 이접착층(20)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10)와, 이접착층(20)을 개재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10)에 적층된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층(30)을 갖는다. 이접착층(20)의 수접촉각은 이접착층(20)에 물을 적하한 직후에 70°이상이고, 적하로부터 30초가 경과함으로써 2°이상 감소한다. 상기 수접촉각의 경시 변화(감소)는, 대표적으로는 이접착층에 물을 적하한 직후의 수접촉각(θ1)과, 적하로부터 30초 후의 수접촉각(θ2)을 측정하여 θ2에서 θ1을 빼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이접착층에 물을 적하한 직후의 수접촉각은, 대표적으로는 적하로부터 1초 후에 측정되는 수접촉각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이접착층(20)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포함한다. 이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과의 배합비는 바람직하게는 10:90∼50:50이다. 이에 의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적층체는 편광판의 제작에 이용될 수 있다.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D 항목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층체를 염색 및 연신함으로써 PVA계 수지층을 편광자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A-1.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이소프탈산, 시클로헥산환 등을 포함하는 지환식 디카복실산 또는 지환식의 디올 등을 포함하는 공중합 PET(PET-G), 그 외의 폴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공중합체나 블렌드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정질의(결정화하지 않은) PET 또는 공중합 PET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에 의하면, 미연신 상태에서는 비정질이고 고배율 연신에 적합한 우수한 연신성을 갖고, 연신, 가열에 의해 결정화함으로써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미연신 상태에서 PVA계 수지를 도포, 건조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를 이용함으로써, PVA계 수지층의 결정화를 억제하면서 연신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물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가소화와 수중 연신을 양호하게 수행하는 것을 고려하면, 12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를 이용함으로써, 후술하는 PVA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건조할 때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가 변형(예컨대, 요철이나 처짐, 주름 등의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층체의 연신을 바람직한 온도(예컨대, 60℃∼70℃ 정도)에서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PVA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건조할 때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가 변형하지 않으면 60℃보다 낮은 유리 전이 온도이어도 된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JIS K 7121에 준하여 구해지는 값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는 흡수율이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상이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는 물을 흡수하고, 물이 가소제적인 역할을 하여 가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중 연신에서 연신 응력을 대폭으로 저하시킬 수 있어, 연신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흡수율은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를 이용함으로써, 제조 시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치수 안정성이 현저하게 저하하여, 얻어지는 적층체의 외관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중 연신 시에 파단하거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로부터 PVA계 수지층이 박리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율은 JIS K 7209에 준하여 구해지는 값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200㎛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표면에는 미리 표면 개질 처리(예컨대, 코로나 처리 등)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하면,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2. 이접착층
상기와 같이 이접착층의 수접촉각은 물을 적하한 직후에 70°이상이고, 적하로부터 30초가 경과함으로써 2°이상 감소한다. 물을 적하한 직후의 이접착층의 수접촉각은 바람직하게는 75°∼85°이다. 적하로부터 30초가 경과하는 것에 의한 수접촉각의 경시 변화는 바람직하게는 -2°(2°감소)∼-5°(5°감소)이다. 물을 적하한 직후의 이접착층의 수접촉각이 70°이상이고, 또한 적하로부터 30초가 경과하는 것에 의한 수접촉각의 경시 변화(감소)가 2°이상인 것에 의해, 이접착층상에 PVA계 수지층을 형성한 경우에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이 PVA계 수지층에 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접촉각의 경시 변화가 -2°∼-5°인 것에 의해, 이접착층 상에 PVA계 수지의 도포층을 형성하였을 때에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10체적%∼34체적% 정도가 PVA계 수지의 도포층에 용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접착층은 실질적으로 후술하는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만으로 형성되는 층 이어도 되고,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과 후술하는 PVA계 수지층이 혼합(상용을 포함)한 층 또는 영역이어도 된다. 이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우수한 밀착성을 얻을 수 있다. 이접착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0㎚∼3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2000㎚이다. 이접착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충분한 밀착성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이접착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후술하는 PVA계 수지 도포층의 형성 시에 들뜸이 발생하거나 얻어지는 도포막에 불균일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외관이 우수한 적층체를 얻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는 이접착층은, 예컨대 적층체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접착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접착층의 수접촉각 및 수접촉각의 경시 변화가 상기 범위 내의 각도가 될 수 있고, 그 결과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서는, 상기 적층체를 염색 및 연신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PVA계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들 수 있다. 변성 폴리비닐알코올로서는, 예컨대 아세토아세틸기, 카복실산기, 아크릴기 및/또는 우레탄기로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로서는, 하기 화학식(I)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적어도 갖는 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화학식 I]
상기 화학식(I)에서, l+m+n에 대한 n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10%이다.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1000∼1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1200∼5000이다.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의 비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97몰% 이상이다.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의 4중량% 수용액의 pH는 바람직하게는 3.5∼5.5이다. 또한, 평균 중합도 및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성분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주성분인 올레핀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등의 탄소수 2∼6의 올레핀계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1-부텐 등의 탄소수 2∼4의 올레핀계 탄화수소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이 이용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올레핀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95중량%이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카르복실기 및/또는 그 무수물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물에 분산할 수 있고, 이접착층이 양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복실산 및 그 무수물, 불포화 디카복실산의 하프 에스테르, 하프 아미드를 들 수 있다. 이들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말레산, 이타콘산, 무수이타콘산, 푸마르산, 크로톤산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분자량은, 예컨대 5000∼80000이다.
이접착층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과의 배합비(전자:후자(고형분))는 바람직하게는 10:90∼5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80∼50:50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이 지나치게 많으면 밀착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PVA계 수지층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로부터 박리할 때에 필요한 박리력이 저하하여 충분한 밀착성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이 지나치게 적으면, 얻어지는 적층체의 외관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접착층의 형성 시에 도포막이 백탁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외관이 우수한 적층체를 얻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A-3. PVA계 수지층
상기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PVA계 수지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가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초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PVA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적으로 85몰%∼100몰%, 바람직하게는 95.0몰%∼99.95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0몰%∼99.93몰%이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누화도의 PVA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비누화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겔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PVA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평균 중합도는 통상적으로 1000∼1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1200∼4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4300이다. 또한,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PVA계 수지층의 두께는 대표적으로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한편, PVA계 수지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B.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적층체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적층체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표면에 이접착층을 형성하는 것과, 이접착층의 표면에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B-1. 이접착층의 형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표면에 이접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표면에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이접착층을 형성한다.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과의 배합비(전자:후자(고형분))는 바람직하게는 10:90∼5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80∼50:50이다.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계이다.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유기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예컨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10중량%이다.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에 첨가제를 배합하여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예컨대 옥사졸린, 붕산, 트리메틸올멜라민 등의 메틸올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에서의 첨가물의 배합량은 목적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가교제의 배합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1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5중량부이다.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롤 코트법, 스핀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딥 코트법, 다이 코트법, 커튼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콤마 코트법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후, 도포막은 건조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예컨대 50℃ 이상이다.
B-2. PVA계 수지층의 형성
이접착층의 표면에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에 형성된 이접착층의 표면에 PVA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PVA계 수지층을 형성한다.
PVA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PVA계 수지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이다. 용매로서는, 예컨대 물,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각종 글리콜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류,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등의 아민류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도포액의 PVA계 수지 농도는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20중량부이다. 이와 같은 수지 농도이면 균일한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포액에 첨가제를 배합하여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가소제,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이나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컨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얻어지는 PVA계 수지층의 균일성이나 염색성, 연신성을 보다 가일층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이접착 성분을 들 수 있다. 이접착 성분을 이용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로부터 PVA계 수지층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를 억제하여 후술하는 염색, 수중 연신을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접착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 등의 변성 PVA가 이용된다.
도포액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상기 이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방법과 동일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도포 후, 도포막은 건조될 수 있다. 이 경우의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이접착층에 표면 처리(예컨대, 코로나 처리 등)를 실시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 편광판
본 발명의 편광판은 표면에 이접착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이접착층을 개재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에 적층된 편광자를 갖는다. 편광자의 두께는 10㎛ 이하이다. 이접착층에 대해서는 상기 A-2 항목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이접착층의 형성 방법은 상기 B-1 항목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의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편광판은 편광자의 이접착층과는 반대측에 보호 필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C-1. 편광자
편광자는 실질적으로는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PVA계 수지층이다. 편광자의 두께는 상기와 같이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7.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한편, 편광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얻어지는 편광자의 광학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780㎚ 중 어느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2.0% 이상이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9.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5% 이상이다.
상기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PVA계 수지에 대해서는, 상기 A-3 항목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C-2. 보호 필름
편광판은 상기와 같이 편광자의 이접착층과는 반대측에 보호 필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100㎛이다.
D. 편광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A 항목에서 설명한 적층체를 염색 및 연신함으로써 PVA계 수지층을 편광자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 적층체에 염색 처리, 연신 처리, 불용화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처리는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순서, 처리 타이밍, 처리 횟수 등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D-1. 공중 연신 처리
공중 보조 연신의 연신 방법은 고정단 연신(예컨대, 텐터 연신기를 이용하여 연신하는 방법)이어도 되고, 자유단 연신(예컨대, 원주 속도가 상이한 롤 사이에 적층체를 통과시켜 1축 연신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공중 연신 처리는 상기 적층체를 그의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열 롤 사이의 원주 속도 차에 의해 연신하는 열 롤 연신 공정을 포함한다. 공중 연신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존(zone) 연신 공정과 열 롤 연신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존 연신 공정과 열 롤 연신 공정의 순서는 한정되지 않고, 존 연신 공정이 먼저 수행되어도 되고, 열 롤 연신 공정이 먼저 수행되어도 된다. 존 연신 공정은 생략되어도 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존 연신 공정 및 열 롤 연신 공정이 이 순서대로 수행된다.
적층체의 연신 온도는 수지 기재의 형성 재료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공중 연신 처리에서의 연신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수지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지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Tg)+1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Tg+15℃ 이상이다. 한편, 적층체의 연신 온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70℃이다. 이와 같은 온도에서 연신함으로써, PVA계 수지의 결정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는 것을 억제하고, 당해 결정화에 의한 문제(예컨대, 연신에 의한 PVA계 수지층의 배향을 방해)를 억제할 수 있다.
적층체의 연신 배율은 수지 기재의 형성 재료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공중 연신 처리에서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5배 이상 3.0배 이하이다.
D-2. 불용화 처리
상기 불용화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붕산 수용액에 PVA계 수지층을 침지함으로써 수행한다. 불용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PVA계 수지층에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당해 붕산 수용액의 농도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4중량부이다. 불용화욕(붕산 수용액)의 액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50℃이다. 바람직하게는 불용화 처리는 수중 연신이나 염색 처리 전에 수행한다.
D-3. 염색 처리
상기 염색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PVA계 수지층을 이색성 물질로 염색함으로써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PVA계 수지층에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킴으로써 수행한다. 당해 흡착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염색액에 PVA계 수지층(적층체)을 침지시키는 방법, PVA계 수지층에 당해 염색액을 도공하는 방법, 당해 염색액을 PVA계 수지층에 분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색액에 적층체를 침지시키는 방법이다. 이색성 물질이 양호하게 흡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이색성 물질로서는 예컨대 요오드, 유기 염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색성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요오드이다.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염색액은 바람직하게는 요오드 수용액이다. 요오드의 배합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5중량부∼5.0중량부이다. 요오드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요오드 수용액에 요오드화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로서는 예컨대 요오드화 칼륨, 요오드화 리튬, 요오드화 나트륨, 요오드화 아연, 요오드화 알루미늄, 요오드화 납, 요오드화 구리, 요오드화 바륨, 요오드화 칼슘, 요오드화 주석, 요오드화 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요오드화 칼륨이다. 요오드화물의 배합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중량부∼15중량부이다.
염색액의 염색 시의 액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40℃이다. 염색액에 PVA계 수지층을 침지시키는 경우, 침지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0초∼300초이다. 이와 같은 조건이면 PVA계 수지층에 충분히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염색 조건(농도, 액체 온도, 침지 시간)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자의 편광도 또는 단체 투과율이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얻어지는 편광자의 편광도가 99.98% 이상이 되도록 침지 시간을 설정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얻어지는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이 40% 정도가 되도록 침지 시간을 설정한다.
D-4. 가교 처리
상기 가교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붕산 수용액에 PVA계 수지층(적층체)을 침지함으로써 수행한다. 가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PVA계 수지층에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당해 붕산 수용액의 농도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5중량부이다. 또한, 상기 염색 처리 후에 가교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또한 요오드화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을 배합함으로써 PVA계 수지층에 흡착시킨 요오드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요오드화물의 배합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5중량부이다. 요오드화물의 구체예는 상술한 바와 같다. 가교욕(붕산 수용액)의 액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60℃이다. 바람직하게는, 가교 처리는 수중 연신 처리 전에 수행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공중 연신 처리, 염색 처리 및 가교 처리를 이 순서로 수행한다.
D-5. 수중 연신 처리
수중 연신 처리에서의 연신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단 연신(예컨대, 텐터 연신기를 이용하는 방법)이어도 되고, 자유단 연신(예컨대, 원주 속도가 상이한 롤 사이에 적층체를 통하여 1축 연신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동시 2축 연신(예컨대, 동시 2축 연신기를 이용하는 방법)이어도 되고, 순차 2축 연신이어도 된다. 적층체의 연신은 1단계로 수행하여도 되고, 다단계로 수행하여도 된다. 다단계로 수행하는 경우, 적층체의 연신 배율(최대 연신 배율)은 각 단계의 연신 배율의 곱이다.
적층체의 연신 방향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장척상인 적층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층체를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고, 그 반송 방향(MD)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장척상인 적층체의 폭 방향으로 연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층체를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고, 그 반송 방향(MD)과 직교하는 방향(TD)이다.
적층체의 연신 온도는 수지 기재의 형성 재료, 연신 방식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연신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85℃, 보다 바람직하게는 50℃∼85℃이다. 이와 같은 온도이면, PVA계 수지층의 용해를 억제하면서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PVA계 수지층의 형성과의 관계에서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이 경우, 연신 온도가 40℃를 하회하면, 물에 의한 수지 기재의 가소화를 고려하여도 양호하게 연신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연신욕의 온도가 고온이 될수록 PVA계 수지층의 용해성이 높아져서 우수한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수중 연신은 바람직하게는 붕산 수용액 중에 적층체를 침지하여 수행한다(붕산 수중 연신). 연신욕으로서 붕산 수용액을 이용함으로써, PVA계 수지층에 연신 시에 걸리는 장력을 견디는 강성과, 물에 용해되지 않는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붕산은 수용액 중에서 테트라히드록시붕산 음이온을 생성하여 PVA계 수지와 수소 결합에 의해 가교할 수 있다. 그 결과, PVA계 수지층에 강성과 내수성을 부여하여 양호하게 연신할 수 있고, 우수한 광학 특성(예컨대, 편광도)을 갖는 편광자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붕산 수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용매인 물에 붕산 및/또는 붕산염을 용해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붕산 농도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10중량부이다. 붕산 농도를 1중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PVA계 수지층의 용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보다 고특성의 편광자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붕산 또는 붕산염 이외에, 붕사 등의 붕소 화합물,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을 용매에 용해하여 얻어진 수용액도 이용할 수 있다.
염색 처리에 의해 미리 PVA계 수지층에 이색성 물질(대표적으로는, 요오드)이 흡착되어 있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신욕(붕산 수용액)에 요오드화물을 배합한다. 요오드화물을 배합함으로써, PVA계 수지층에 흡착시킨 요오드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요오드화물로서는, 예컨대 요오드화 칼륨, 요오드화 리튬, 요오드화 나트륨, 요오드화 아연, 요오드화 알루미늄, 요오드화 납, 요오드화 구리, 요오드화 바륨, 요오드화 칼슘, 요오드화 주석, 요오드화 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요오드화 칼륨이다. 요오드화물의 농도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5중량부∼1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8중량부이다.
적층체의 연신 배율(최대 연신 배율)은 적층체의 원래 길이에 대하여 대표적으로는 4.0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5.0배 이상이다. 이와 같이 높은 연신 배율은, 예컨대 수중 연신 방식(붕산 수중 연신)을 채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최대 연신 배율"이란 적층체가 파단하기 직전의 연신 배율을 말하고, 별도로 적층체가 파단하는 연신 배율을 확인하여, 그 값보다도 0.2 낮은 값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중 연신 처리는 염색 처리 후에 수행한다.
D-6. 세정 처리
상기 세정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요오드화 칼륨 수용액에 PVA계 수지층을 침지시킴으로써 수행한다.
D-7. 건조 처리
건조 처리에서의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100℃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특성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두께
디지털마이크로미터(안리츠사 제조, 제품명 "KC-351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수접촉각
이접착층의 수접촉각에 대하여 쿄와계면과학주식회사 제조의 자동 접촉각계(DM500)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FAMAS(접촉각 측정 애드 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용 물은 초순수를 이용하고, 액적은 0.5㎕로 하였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표면에 이접착층을 형성한 후, 이접착층에 물을 적하하고나서 1초 경과 후의 수접촉각(θ1)과, 적하로부터 30초 후의 수접촉각(θ2 )을 측정하여, 30초 경과에 의한 수접촉각의 경시 변화(θ2-θ1)를 산출하였다.
<실시예 1>
1. 적층체의 제작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로서, 장척상이고 흡수율 0.75%, Tg 75℃의 비정질의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IPA 공중합 PET) 필름(두께:100㎛)을 이용하였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이 코로나 처리면에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일본합성화학공업사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200", 중합도 1200, 비누화도 99.0몰% 이상,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의 4.0% 수용액과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유니티카사 제조, 상품명 "애로베이스 SE1030N", 고형분 농도 22%)와 순수를 혼합한 혼합액(고형분 농도 4.0%)을 건조 후의 두께가 2000㎚가 되도록 도포하고, 60℃에서 3분간 건조하여 이접착층을 형성하였다. 여기에서, 혼합액에서의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와 변성 폴리올레핀과의 고형분 배합 비는 50:50이었다.
이어서, 이접착층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이 코로나 처리면에 폴리비닐알코올(중합도 4200, 비누화도 99.2몰%) 및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중합도 1200,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 비누화도 99.0몰% 이상, 일본합성화학공업사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200")를 9:1의 비로 포함하는 수용액을 25℃에서 도포 및 건조하여 두께 11㎛의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2. 편광판의 제작
얻어진 적층체를 120℃의 오븐 내에서 원주 속도가 상이한 롤 사이에서 종방향(길이 방향)으로 2.0배로 자유단 1축 연신하였다(공중 보조 연신).
이어서, 적층체를 액체 온도 30℃의 불용화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켰다(불용화 처리).
이어서, 액체 온도 30℃의 염색욕에, 얻어지는 편광판이 소정의 투과율이 되도록 요오드 농도, 침지 시간을 조정하면서 침지시켰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를 0.2중량부 배합하고, 요오드화 칼륨을 1.0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요오드 수용액에 60초간 침지시켰다(염색 처리).
이어서, 액체 온도 30℃의 가교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3중량부 배합하고, 붕산을 3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켰다(가교 처리).
그 후, 적층체를 액체 온도 70℃의 붕산 수용액(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중량부 배합하고, 요오드화 칼륨을 5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에 침지시키면서 원주 속도가 상이한 롤 사이에서 종방향(길이 방향)으로 총 연신 배율이 5.5배가 되도록 1축 연신을 수행하였다(수중 연신).
그 후, 적층체를 액체 온도 30℃의 세정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4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에 침지시켰다(세정 처리).
이렇게 하여 두께 30㎛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편측에 두께 5㎛의 편광자가 형성된 편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2>
혼합액에서의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와 변성 폴리올레핀과의 고형분 배합비를 30:7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3>
혼합액에서의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와 변성 폴리올레핀과의 고형분 배합비를 20:8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실시예 4>
혼합액에서의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와 변성 폴리올레핀과의 고형분 배합비를 10:9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1>
이접착층의 형성 시에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고세파이머 Z200)의 4.0% 수용액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2>
혼합액에서의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와 변성 폴리올레핀과의 고형분 배합비를 90:1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3>
혼합액에서의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와 변성 폴리올레핀과의 고형분 배합비를 70:3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4>
이접착층의 형성 시에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수성 분산체(유니티카사 제조, 상품명 "애로베이스 SE1030N", 고형분 농도 22%)와 순수를 혼합한 혼합액(고형분 농도 4.0%)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PVA 박리력 및 기재 박리력을 측정함으로써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정리한다. PVA 박리력 및 기재 박리력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PVA 박리력)
유리판에, 얻어진 편광판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면 측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첩합하고, 편광자 면에 보강용 폴리이미드 테이프(닛토덴코(주) 제조, 폴리이미드 점착 테이프 No. 360A)를 첩합하여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측정용 샘플의 편광자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의 사이에 커터 나이프로 칼집을 내고, 편광자 및 보강용 폴리이미드 테이프를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면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세우고, 박리 속도 3000㎜/min으로 박리할 때에 필요한 힘(N/15㎜)을 각도 자재 타입 점착·피막 박리 해석 장치 "VPA-2"(쿄와계면화학주식회사 제조)에 의해 측정하였다.
(기재 박리력)
유리판에, 얻어진 편광판을 편광자면 측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첩합하여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측정용 샘플의 편광자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의 사이에 커터 나이프로 칼집을 내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를 편광자면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세우고, 박리 속도 3000mm/min으로 박리할 때에 필요한 힘(N/15mm)을 상기 "VPA-2"에 의해 측정하였다.
[표 1]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물을 적하한 직후의 이접착층의 수접촉각이 70°이상이고, 또한 적하로부터 30초가 경과함으로써 이접착층의 수접촉각이 2°이상 감소하는 실시예 1∼4의 편광판은, 편광자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편광판의 제작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10: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
20: 이접착층
30: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
100: 적층체

Claims (6)

  1. 표면에 이접착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상기 이접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에 적층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고,
    상기 이접착층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포함하고,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과의 배합비는 10:90∼50:50이고,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은 아세토아세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고,
    상기 이접착층의 수접촉각은 상기 이접착층에 물을 적하한 직후에 70°이상이며, 상기 적하로부터 30초가 경과함으로써 2°이상 감소하는 적층체.
  2. 삭제
  3. 삭제
  4.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의 표면에 이접착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이접착층의 표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이접착층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포함하고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과의 배합비는 10:90∼50:50이고,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은 아세토아세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고,
    상기 이접착층의 수접촉각은 상기 이접착층에 물을 적하한 직후에 70°이상이며, 상기 적하로부터 30초가 경과함으로써 2°이상 감소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염색 및 연신함으로써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편광자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6. 표면에 이접착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와, 상기 이접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기재에 적층된 편광자를 갖고,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0㎛ 이하이며,
    상기 이접착층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을 포함하고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과 폴리올레핀계 성분과의 배합비는 10:90∼50:50이고,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성분은 아세토아세틸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고,
    상기 이접착층의 수접촉각은 상기 이접착층에 물을 적하한 직후에 70°이상 이고, 상기 적하로부터 30초가 경과함으로써 2°이상 감소하는 편광판.
KR1020197035394A 2017-06-13 2018-06-07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2562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16007 2017-06-13
JPJP-P-2017-116007 2017-06-13
PCT/JP2018/021827 WO2018230429A1 (ja) 2017-06-13 2018-06-07 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398A KR20200017398A (ko) 2020-02-18
KR102562328B1 true KR102562328B1 (ko) 2023-08-02

Family

ID=6466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394A KR102562328B1 (ko) 2017-06-13 2018-06-07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21953B2 (ko)
KR (1) KR102562328B1 (ko)
CN (1) CN110741291A (ko)
TW (1) TWI771430B (ko)
WO (1) WO20182304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43B1 (ko) * 2019-01-07 2019-12-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편광자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편광판
JP2022038978A (ja) * 2020-08-27 2022-03-1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偏光板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6022A (ja) * 2009-01-30 2010-08-12 Nippon Zeon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1132403A (ja) * 2009-12-25 2011-07-07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偏光板用接着剤、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2013109152A (ja) * 2011-11-21 2013-06-06 Nitto Denko Corp 偏光板の製造方法
WO2014091894A1 (ja) * 2012-12-13 2014-06-1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9944B2 (ja) 1999-06-01 2009-06-17 株式会社サンリッツ 偏光板の製造方法
JP5011444B2 (ja) * 2010-09-03 2012-08-2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285853B1 (ko) * 2010-12-23 2013-07-1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편광판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6545454B2 (ja) * 2014-12-09 2019-07-17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の製造に用いられる粘着シート
JP6667218B2 (ja) * 2015-06-16 2020-03-18 三菱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8119049A (ja) * 2017-01-25 2018-08-02 住友化学株式会社 水性エマルション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6022A (ja) * 2009-01-30 2010-08-12 Nippon Zeon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1132403A (ja) * 2009-12-25 2011-07-07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偏光板用接着剤、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2013109152A (ja) * 2011-11-21 2013-06-06 Nitto Denko Corp 偏光板の製造方法
WO2014091894A1 (ja) * 2012-12-13 2014-06-1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41291A (zh) 2020-01-31
TW201902713A (zh) 2019-01-16
WO2018230429A1 (ja) 2018-12-20
TWI771430B (zh) 2022-07-21
KR20200017398A (ko) 2020-02-18
JPWO2018230429A1 (ja) 2020-03-19
JP6921953B2 (ja)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345B1 (ko) 광학 적층체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방법
KR102219988B1 (ko) 편광판
KR102562326B1 (ko)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191636B1 (ko) 편광판
KR102562328B1 (ko) 적층체, 적층체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2129192B1 (ko)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WO2019069757A1 (ja) 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102640210B1 (ko)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20200064078A (ko)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