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269B1 -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 - Google Patents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269B1
KR102562269B1 KR1020210067925A KR20210067925A KR102562269B1 KR 102562269 B1 KR102562269 B1 KR 102562269B1 KR 1020210067925 A KR1020210067925 A KR 1020210067925A KR 20210067925 A KR20210067925 A KR 20210067925A KR 102562269 B1 KR102562269 B1 KR 102562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data
line
wak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839A (ko
Inventor
양찬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067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269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52Determining velo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1/00Marking of navigation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393Trajectory determination or predictive tracking, e.g. Kalman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은, 인공위성 데이터로부터 관심영역 데이터를 추출하는 1단계;상기 관심영역 데이터로부터 후류 성분 선을 추출하고 표시하는 2단계;상기 2단계 데이터에 애지머스(Azimuth) 선을 표시하는 3단계;상기 3단계 데이터에서 레인지(range)방향의 속도성분을 구하는 4단계;및 상기 4단계 데이터에서 타겟선박의 속도를 구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의 타겟선박의 후류 성분 선을 추출하여 타겟 선박의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method for determining velocity using wake of ship}
본 발명은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공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의 타겟선박의 후류 성분 선을 추출하여 타겟 선박의 속도를 추정하는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 정해진 항로를 벗어나는 경우 좌초되거나 항만 시설과 충돌하여 인명 및 재산 손실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해상 교통 관제센터(Vessel Traffic Service Center)는 선박의 위치와 속도 및 침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관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선박은 기본적으로 선박자동식별장치(AIS: Auto Identification System)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위치와 운항 속도를 알리며, 이를 통해 선박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통신 범위의 한계, 혼잡도, 불법조업을 하는 선박의 의도적인 AIS 전원 off, AIS 고장 등의 이유로 AIS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이 경우, 선박의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육지와 가까운 해역에서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능동적인 선박 감시를 하고 있으나, 먼 바다에서는 실질적인 선박 감시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현재 항공기나 AIS 등을 이용한 방법이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그 한계가 뚜렷한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14431호
본 발명은 인공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의 타겟선박의 후류 성분 선을 추출하여 타겟 선박의 속도를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은, 인공위성 데이터로부터 관심영역 데이터를 추출하는 1단계;상기 관심영역 데이터로부터 후류 성분 선을 추출하고 표시하는 2단계;상기 2단계 데이터에 애지머스(Azimuth) 선을 표시하는 3단계;상기 3단계 데이터에서 레인지(range)방향의 속도성분을 구하는 4단계;및 상기 4단계 데이터에서 타겟선박의 속도를 구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2단계는, 상기 1단계 데이터에서 호프변환을 이용하여 후류 성분 선들을 추출하는 2-1단계;및 상기 2-1단계 데이터에서 호프역변환을 이용하여 후류 성분 선들 중 주선분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2-2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3단계에서 상기 애지머스(Azimuth) 선은 상기 타겟선박의 중심을 지나도록 표시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4단계의 레인지(range)방향의 속도성분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Figure 112021060922736-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21060922736-pat00002
: Azimuth shift distance,
Figure 112021060922736-pat00003
: 레인지(range)방향의 속도성분(radial velocity),
Figure 112021060922736-pat00004
: 인공위성 속도(Platform velocity),
Figure 112021060922736-pat00005
: 인공위성과 타켓선박사이의 거리이다.
여기서, 특히 상기 5단계는, 상기 애지머스 선을 중심으로 상기 주성분 좌우측에 동일 크기의 두 영역을 지정하고 각 영역의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상기 타겟선박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5-1단계;및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 및 상기 레인지(range)방향의 속도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선박의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의 타겟선박의 후류 성분 선을 추출하여 타겟 선박의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1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1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2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5-1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4단계 및 5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1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1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2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5-1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4단계 및 5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은, 먼저, 인공위성 데이터로부터 관심영역 데이터를 추출하는 1단계(S10)가 수행된다. 도 2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위성으로부터 레이더 수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공위성 데이터를 수신받아, 도 2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영역 데이터를 추출한다. 관심영역에는 타겟선박과 상기 타겟선박의 후류궤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의 오른쪽 도면을 참조하면, 선박과 같이 이동하는 물체는 애지머스 시프트(Azimuth shift) 현상이 나타난다. 애지머스 시프트 현상에 의해 도 2와 같이 타켓선박은 후류궤적상에 위치하지 않고, 후류궤적과 분리되어 보여진다.
이어서, 상기 관심영역 데이터로부터 후류 성분 선을 추출하고 표시하는 2단계(S20)가 수행된다. 상기 2단계는 상기 1단계 데이터에서 호프변환을 이용하여 후류 성분 선들을 추출하는 2-1단계(S21) 및 상기 2-1단계 데이터에서 호프역변환을 이용하여 후류 성분 선들 중 후류 주성분 선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2-2단계(S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류 성분들 선의 검출은 호프변환을 이용하나, 라돈(Radon)을 이용할 수 도 있고 그 방법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픽셀좌표계 또는 직교좌표계의 화면으로 제공된 1단계의 데이터를 에지정보가 포함된 바이너리 이미지를 만든 후 호프변환하여 나오는 결과물은 도 3과 같이 쎄타(θ)와 로우(ρ)로 표시되는 극좌표계로 변환되어 표시된다.
상기 2-2단계서는 호프역변환을 이용하여 쎄타(θ)와 로우(ρ)로 표시되는 극좌표계로 제공된 데이터를 픽셀좌표계 또는 직교좌표계로 변환하여 도 4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후류 주성분 선은 후류 성분선들 중 지배적이거나 지배적인 성분으로 예를들면, 가센 신호가 센 주파수 성분의 선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2단계 데이터에 애지머스(Azimuth) 선을 표시하는 3단계(S30)가 수행된다. 상기 애지머스 선은 타겟선박의 애지머스 방향으로 선을 그어 만들어지는 것으로, 도 5와 같이 상기 애지머스(Azimuth) 선은 상기 타겟선박의 중심을 지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후류 주성분 선은 반드시 애지머스 선과 교차한다.
이어서, 상기 3단계 데이터에서 레인지(range)방향의 속도성분을 구하는 4단계(S40)가 수행된다. 레인지 방향은 애지머스 방향과 90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본 발명의 도면들에서는 보다 쉽게 x축에 해당한다.
상기 4단계의 레인지(range)방향의 속도성분은 아래의 수학식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21060922736-pat00006
여기서,
Figure 112021060922736-pat00007
: Azimuth shift distance,
Figure 112021060922736-pat00008
: 레인지(range)방향의 속도성분(radial velocity),
Figure 112021060922736-pat00009
: 인공위성 속도(Platform velocity),
Figure 112021060922736-pat00010
: 인공위성과 타켓선박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상기 4단계에서는 레인지 방향의 속도성분, 그 속도의 크기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4단계 데이터에서 타겟선박의 속도를 구하는 5단계(S50)가 수행된다. 상기 5단계(S50)는 상기 애지머스 선을 중심으로 상기 후류 주성분 선 좌우측에 동일 크기의 두 영역을 지정하고 각 영역의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상기 타겟선박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5-1단계(S51) 및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 및 상기 레인지(range)방향의 속도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선박의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S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애지머스 선을 중심으로 상기 후류 주성분 선의 좌우측에 동일 크기의 두 영역(a, b)를 지정하여 각 영역의 표준편차를 계산한다. 표준편차가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상기 타겟선박이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6에서는 영역b가 영역a보다 큰 것으로 정의하면, 타겟선박의 이동방향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7의
Figure 112021060922736-pat00011
와 같이 타겟선박이 이동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5-2단계(S52)에서는 상기 4단계에서 구한 레인지방향의 속도성분(
Figure 112021060922736-pat00012
)과 5-1단계(S51)에서 판단된 타겟선박의 이동방향으로 실제 타겟선박의 속도(
Figure 112021060922736-pat00013
)를 추정할 수 있다. 도 7에서 레인지방향의 속도성분(
Figure 112021060922736-pat00014
)과 타겟선박의 이동방향의 각도를 추정할 수 있으므로, 타겟선박의 속도(
Figure 112021060922736-pat00015
)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은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시스템은 데이터 수신부(10), 데이터 추출부(20), 후류 성분 선 추출부(30) 및 속도추정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수신부(10)는 인공위성(1)으로부터 인공위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추출부(20)는 관심영역 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 후류 성분 선 추출부(30)는 상기 관심영역 데이터에서 후류 성분 선을 추출하고 표시한다. 상기 관심영역 데이터로부터 호프변환을 통해 후류 성분 선들을 추출하고 상기 후류 성분 선들을 다시 호프역변환하여 후류 주성분 선을 추출한다. 자세한 내용은 상기 S20단게의 설명을 참조한다.
상기 속도추정부(40)는 상기 2단계(S20)데이터 보다 구체적으로 2-2단계(S22) 데이터에 에지머스 선을 표시하고(S30), 레인지 방향의 속도성분을 구하고(S40) 타겟선박의 속도를 추정(S50)할 수 있다. 상기 속도추정부(40)는 상기 레인지 방향의 속도성분을 수학식1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속도추정부(40)는 레인지방향의 속도성분을 산출 후 타겟선박의 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S51)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 및 상기 산출된 레인지 방향의 속도성분을 이용하여 타겟선박의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인공위성 10 데이터 수신부
20 데이터 추출부 30 후류 성분 선 추출부
40 속도추정부

Claims (5)

  1. 인공위성 데이터로부터 관심영역 데이터를 추출하는 1단계;
    상기 관심영역 데이터로부터 후류 성분 선을 추출하고 표시하는 2단계;
    상기 2단계 데이터에 애지머스(Azimuth) 선을 표시하는 3단계;
    상기 3단계 데이터에서 레인지(range)방향의 속도성분을 구하는 4단계;및
    상기 4단계 데이터에서 타겟선박의 속도를 구하는 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단계는,
    상기 1단계 데이터에서 호프변환을 이용하여 후류 성분 선들을 추출하는 2-1단계;및
    상기 2-1단계 데이터에서 호프역변환을 이용하여 후류 성분 선들 중 후류 주성분 선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2-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2단계에서는 호프역변환을 이용하여 쎄타(θ)와 로우(ρ)로 표시되는 극좌표계로 제공된 데이터를 픽셀좌표계 또는 직교좌표계로 변환하고,
    상기 후류 주성분 선은 후류 성분선들 중 가장 신호가 센 주파수 성분의 선이고,
    상기 3단계에서 상기 애지머스(Azimuth) 선은 상기 타겟선박의 중심을 지나도록 표시하고,
    상기 애지머스 선은 타겟선박의 애지머스 방향으로 선을 그어 만들어지고, 상기 후류 주성분 선은 반드시 애지머스 선과 교차하고,
    상기 4단계의 레인지(range)방향의 속도성분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고,
    상기 5단계는,
    상기 애지머스 선을 중심으로 상기 후류 주성분 선 좌우측에 동일 크기의 두 영역을 지정하고 각 영역의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상기 타겟선박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5-1단계;및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 및 상기 레인지(range)방향의 속도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선박의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

    여기서,
    : Azimuth shift distance,
    : 레인지(range)방향의 속도성분(radial velocity),
    : 인공위성 속도(Platform velocity),
    : 인공위성과 타켓선박사이의 거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67925A 2021-05-26 2021-05-26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 KR102562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925A KR102562269B1 (ko) 2021-05-26 2021-05-26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925A KR102562269B1 (ko) 2021-05-26 2021-05-26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839A KR20220159839A (ko) 2022-12-05
KR102562269B1 true KR102562269B1 (ko) 2023-07-31

Family

ID=8439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925A KR102562269B1 (ko) 2021-05-26 2021-05-26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2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431B1 (ko) 2019-10-02 2021-02-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mook Kang 외 1명, Ship Velocity Estimation From Ship Wakes Detected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VOL. 12, NO. 11, 2019년 11월 12일.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839A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6772B2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US11262449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radar device
CN111133333B (zh) 雷达装置以及目标追踪方法
KR101552095B1 (ko) 레이더,감시 카메라를 사용한 해안감시 시스템
JP6084810B2 (ja) 追尾処理装置、及び追尾処理方法
EP3926364A1 (en) Ship target object detection system, method of detecting ship target object and reliability estimating device
JP7143809B2 (ja) クラッタ学習装置及びクラッタ識別装置
KR102562269B1 (ko) 선박항적을 이용한 속도 판단방법
JP2002372583A (ja) 船舶表示装置および港湾監視装置
EP436387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vessels
JP7337575B2 (ja) レーダ監視装置及び方法
WO2023095118A1 (en) Dead reckoning-based analysis of fabricated maritime data
US20230161048A1 (en) Identifying fabricated maritime signals
WO2023095120A1 (en) Identification of replayed maritime voyages
CN111260676B (zh) 一种船载雷达图像海上目标空间数据的共享方法
KR100436922B1 (ko) 선박 추적정보 위성 전송 방법
KR20230174659A (ko) 관심영역에서의 타겟선박의 후류궤적 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162562A1 (ja) 物標監視システム、物標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164564A1 (en) Identifying spoofed maritime signals using information from other vessels
JP6466768B2 (ja) レーダ装置
Tekeli et al. A fusion of a monocular camera an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for vehicle tracking: an experimental study
US20230161049A1 (en) Identifying spoofed maritime signals based on receiving reception stations
KR102298950B1 (ko) 복수의 무인기 레이다를 이용한 동시적 위치 추적 방법
KR102171043B1 (ko) 영상 처리를 기반으로 한 비행체의 충돌 방지 방법
WO2023112347A1 (ja) 物標監視装置、物標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