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431B1 -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431B1
KR102214431B1 KR1020190122190A KR20190122190A KR102214431B1 KR 102214431 B1 KR102214431 B1 KR 102214431B1 KR 1020190122190 A KR1020190122190 A KR 1020190122190A KR 20190122190 A KR20190122190 A KR 20190122190A KR 102214431 B1 KR102214431 B1 KR 102214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peed
image
resolution
unident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찬수
배정주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22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52Determining veloc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은, 위성으로부터 미식별 선박의 영상이미지 및 상기 영상이미지의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산출부; 및 상기 영상이미지 및 상기 영상이미지의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로부터 상기 미식별 선박의 속도를 추정하는 속도추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추정부는, 상기 밴드데이터 중 2개의 밴드, 제1밴드 및 제2밴드를 선택하는 밴드선택부; 템플릿매칭(template matching)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이미지에서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를 찾는 템플릿매칭부; 및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와 상기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식별 선박의 속도를 계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AIS에 의해 식별되지 않는 선박에 대하여 위성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의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speed of unidentified ship}
본 발명은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AIS에 의해 식별되지 않는 선박에 대하여 위성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양 및 연안에서 사람들의 활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해상 물동량 및 교통량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선박 간의 충돌 등 여러 종류의 사건 사고가 빈번해지고 있다.
선박 침몰사고 발생 시 일차적으로 선박을 이용한 현장감시를 수행해 왔으나 이는 시공간적 측면에서 한계가 있고 신속한 수색을 필요로 하는 사고 특성상 비효율적이다.
선박은 기본적으로 선박자동식별장치(AIS: Auto Identification System)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위치와 운항 속도를 알리며, 이를 통해 선박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통신 범위의 한계, 혼잡도, 불법조업을 하는 선박의 의도적인 AIS 전원 off, AIS 고장 등의 이유로 AIS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이 경우, 선박의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광역의 범위를 고해상도로 관측할 수 있는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해야한다. 종래 (특허문헌 01) 제10-1736899호에서는 합성개구레이더(SAR) 데이터를 이용한 선박 식별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01)은 AIS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SAR 영상을 통해 선박을 식별하는 방법에 한정되므로, 속도 추정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36899호
본 발명은 AIS에 의해 식별되지 않는 선박에 대하여 위성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의 속도를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은, 위성으로부터 미식별 선박의 영상이미지 및 상기 영상이미지의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산출부; 및 상기 영상이미지 및 상기 영상이미지의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로부터 상기 미식별 선박의 속도를 추정하는 속도추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추정부는, 상기 밴드데이터 중 2개의 밴드, 제1밴드 및 제2밴드를 선택하는 밴드선택부; 템플릿매칭(template matching)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이미지에서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를 찾는 템플릿매칭부; 및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와 상기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식별 선박의 속도를 계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속도추정부는, 상기 밴드데이터들의 해상도를 동기화하는 해상도동기화부;를 더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을 한다.
여기서, 특히 상기 영상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해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차이 및 오프셋값 차이를 이용하여 속도를 추정하며, 하기 수학식에 의해 속도를 계산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Figure 112019100958298-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9100958298-pat00002
,
Figure 112019100958298-pat00003
,
Figure 112019100958298-pat00004
,
Figure 112019100958298-pat00005
.
또한,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방법은, 위성으로부터 미식별 선박의 영상이미지 및 상기 영상이미지의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상기 밴드데이터 중 2개의 밴드, 제1밴드 및 제1밴드를 선택하는 밴드선택단계; 템플릿매칭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이미지에서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를 찾는 템플릿매칭단계;및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와 상기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식별 선박의 속도를 추정하는 속도추정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밴드선택단계 후, 상기 밴드데이터들의 해상도를 동기화하는 해상도동기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템플릿매칭단계 전, 상기 영상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해상도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속도추정단계에서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제1밴드 및 제1밴드의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속도를 추정하며, 하기 수학식에 의해 상기 미식별 선박의 속도를 계산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Figure 112019100958298-pat00006
여기서,
Figure 112019100958298-pat00007
,
Figure 112019100958298-pat00008
,
Figure 112019100958298-pat00009
,
Figure 112019100958298-pat00010
.
본 발명에 따르면, AIS에 의해 식별되지 않는 선박에 대하여 위성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의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밴드데이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영상이미지를 템플릿매칭 결과 R밴드와 B밴드를 나타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해상도동기화에 대한 밴드테이블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해상도동기화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밴드데이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청 시스템은 정보산출부(100) 및 속도추정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보산출부(100)는 위성으로부터 미식별 선박의 영상이미지를 수신한다. 상기 영상이미지는 어떤 속도를 가지고 이동하는 미식별 선박의 영상이미지를 위성을 통해 수신되며 도 2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위성은 센티넬-2(sentinel-2)인공위성을 활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정보산출부(100)는 상기 위성으로부터 상기 영상이미지와 함께 상기 영상이미지의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밴드데이터들의 정보에는 각 밴드(B01~B12)별 오프셋값(offset), 해상도(resolution), 센티널-2A,2B의 중심파장(wavelenth)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의 밴드데이터의 테이블을 참조하면, B02는 B(Blue) 밴드, B03은 G(Green)밴드, B04는 R(Red)밴드의 정보를 나타낸다. 각 R,G,B의 오프셋값(offset)을 확인하면, B밴드가 가장 먼저 촬영되고, R밴드가 가장 나중에 촬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속도추정부(200)는 밴드선택부(210), 템플릿매칭부(230), 및 연산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밴드선택부(210)는 상기 밴드데이터들 중 2개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2개의 밴드는 제1밴드 및 제2밴드라 한다.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는 도 3의 밴드데이터 테이블에서 밴드부분 B01~B12 중에서 2개가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본 명세서에서는 B04인 R(Red)밴드를 제1밴드, B02인 B(Blue)밴드를 제2밴드로 설명한다.
상기 템플릿매칭부(230)는 템플릿매칭(template matching)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이미지에서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즉, 제1밴드인 R(Red)밴드와 B(Blue)밴드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템플릿매칭은 원본이미지에서 특정이미지를 찾는 방법으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2의 영상이미지를 템플릿매칭 결과 R밴드와 B밴드를 나타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템플릿매칭부(230)는 도 2와 같이 상기 정보산출부(100)로 수신된 영상이미지를 템플릿매칭하여 R밴드와 B밴드의 위치를 찾아낸다. 상기 R밴드와 B밴드는 위치차이는 x방향으로 1픽셀 y방향으로 1픽셀 차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250)는 상기 R밴드와 B밴드의 위치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미식별 선박의 속도를 계산하여 추정할 수 있다.
속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9100958298-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19100958298-pat00012
,
Figure 112019100958298-pat00013
,
Figure 112019100958298-pat00014
,
Figure 112019100958298-pat00015
.
도 3의 밴드데이터들을 활용하면, R밴드의 오프셋값(offset)은 1006ms이고, B밴드의 오프셋값(offset_은 0ms이므로, time(R밴드)-time(B밴드)= 1006ms이며, 센티널-2 해상도(resolution) = 10m/px이다.
상기 속도추정부(200)는 해상도동기화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상도동기화부(220)는 상기 밴드데이터에서 밴드들의 해상도가 동일하도록 동기화한다.
도 5는 도 3의 해상도동기화에 대한 밴드테이블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수신한 밴드데이터들의 해상도(Resolution)는 도 5a와 같이 각각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을 해상도동기화를 통해 도 5b와 같이 전부 10으로 맞출 수 있다. 밴드들(B01~B12)의 해상도를 모두 같도록 동기화 과정을 거쳐 여러개의 밴드를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속도 추정을 할 수 있어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해상도동기화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밴드선택부(210)에서 제1밴드로 B02, 제2밴드로 B09를 선택 후, 해상도동기화부(220)에서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해상도를 동기화 한다. 상기 제1밴드인 B02는 해상도 10m, 오프셋값 0ms이고, 상기 제2밴드인 B09는 해상도 60m, 오프셋값 2586ms이다. 도 6a,b를 통해 영상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해상도를 동기화함에따라 도 6c와 같이 같은 영상이미지에서 B02, B09의 위치를 템플릿매칭을 통해 찾을 수 있고(미도시), 위치차이와 오프셋값 차이를 이용하여 속도를 추정할 수 있게된다. 또한, 각 밴드의 영상이미지를 같은 해상도에서 하나의 영상이미지로 재구성하여 재구성된 하나의 영상이미지에서 각 밴드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상기 속도추정부(200)는 해상도조절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상도조절부(240)는 상기 영상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이미지의 기존 픽셀이 1px/10m 일때, 해상도를 업스케일(Upscale)하여 1px/2.5m 로 조절하면, 영상의 픽셀당 단위거리가 작아지면서 영상의 정확도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템플릿매칭부(230)가 템플릿매칭을 이용하여 R밴드와 B밴드를 찾았을 때, R밴드와 B밴드의 거리차이의 오차율이 줄어들어 속도 계산에 있어 보다 정확한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도 7은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을 이용한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방법은, 정보수신단계(s100), 밴드선택단계(s200), 템플릿매칭단계(s500) 및 속도추정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수신단계(s100)에서 위성으로부터 미식별 선박의 영상이미지 및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정보수신단계(s100)는 정보산출부(100)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밴드데이터에는 각 밴드(B01~B12)별 오프셋값(offset), 해상도(resolution), 센티널-2A,2B의 중심파장(wavelenth)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밴드선택단계(s200)에서 상기 밴드데이터 중 2개의 밴드, 제1밴드 및 제2밴드를 선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밴드선택단계(s200)는 밴드선택부(210)에서 수행된다.
이어서, 상기 템플릿매칭단계(s500)에서 템플릿매칭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이미지에서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를 찾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템플릿매칭단계(s500)는 탬플릿매칭부(230)에서 수행된다.
이어서, 속도추정단계(s600)에서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와 상기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식별 선박의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속도추정단계(s600)는 연산부(250)에서 수행된다.
또한, 상기 밴드선택단계(s200) 후, 상기 밴드데이터들의 해상도를 동기화하는 해상도동기화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상도동기화단계(s300)는 해상도동기화부(220)에서 수행되며, 자세한 내용은 상기 도 5,6에 대한 내용을 참조한다.
또한, 상기 템플릿매칭단계(s500) 전, 상기 영상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해상도조절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상도조절단계(s400)는 해상도조절부(240)에서 수행되며, 자세한 내용은 상기 해상도조절부(240)에 대한 내용을 참조한다.
상기 속도추정단계(s600)에서는 상기 제1밴드 및 제1밴드의 위치를 이용하여위치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속도를 추정하며, 상기에서 설명한 수학식 1과 같이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AIS에 의해 식별되지 않는 선박이라도 위성을 통해 영상이미지와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밴드데이터들 중 2개의 밴드를 선택하고, 템플릿매칭을 통해 선택된 2개의 밴드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를 찾아 위치차이 및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속도를 추정할 수 있고, 보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해상도가 다른 밴드들의 해상도를 같은 해상도로 동기화하여 밴드선택을 확장하고, 같은 해상도로 동기화된 밴드를 재구성하여 하나의 영상이미지로 만들어 재구성된 영상이미지에서 템플릿매칭하여 선택된 밴드의 위치를 찾아 위치차이 및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더 정확한 위치차이를 계산하기 위해 해상도를 조절하여 미식별 선박의 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정보산출부
200 속도추정부
210 밴드선택부
220 해상도동기화부
230 템플릿매칭부
240 해상도조절부
250 연산부

Claims (8)

  1. 위성으로부터 미식별 선박의 영상이미지 및 상기 영상이미지의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산출부; 및
    상기 영상이미지 및 상기 영상이미지의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로부터 상기 미식별 선박의 속도를 추정하는 속도추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추정부는,
    상기 밴드데이터 중 2개의 밴드, 제1밴드 및 제2밴드를 선택하는 밴드선택부;
    템플릿매칭(template matching)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이미지에서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를 찾는 템플릿매칭부; 및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와 상기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식별 선박의 속도를 계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차이 및 오프셋값 차이를 이용하여 속도를 추정하며,
    하기 수학식에 의해 속도를 계산하는,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
    Figure 112020107578026-pat00033

    여기서,
    Figure 112020107578026-pat00034
    ,
    Figure 112020107578026-pat00035
    ,
    Figure 112020107578026-pat00036
    ,
    Figure 112020107578026-pat00037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추정부는,
    상기 밴드데이터들의 해상도를 동기화하는 해상도동기화부;를 더 포함하는,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추정부는,
    상기 영상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해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
  4. 삭제
  5. 위성으로부터 미식별 선박의 영상이미지 및 상기 영상이미지의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단계;
    상기 밴드데이터 중 2개의 밴드, 제1밴드 및 제1밴드를 선택하는 밴드선택단계;
    템플릿매칭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이미지에서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를 찾는 템플릿매칭단계;및
    상기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위치와 상기 밴드데이터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식별 선박의 속도를 추정하는 속도추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추정단계에서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의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제1밴드 및 제1밴드의 오프셋값을 이용하여 속도를 추정하며,
    하기 수학식에 의해 상기 미식별 선박의 속도를 계산하는,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방법.
    Figure 112020107578026-pat00038

    여기서,
    Figure 112020107578026-pat00039
    ,
    Figure 112020107578026-pat00040
    ,
    Figure 112020107578026-pat00041
    ,
    Figure 112020107578026-pat00042
    .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선택단계 후,
    상기 밴드데이터들의 해상도를 동기화하는 해상도동기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매칭단계 전,
    상기 영상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해상도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방법.
  8. 삭제
KR1020190122190A 2019-10-02 2019-10-02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214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190A KR102214431B1 (ko) 2019-10-02 2019-10-02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190A KR102214431B1 (ko) 2019-10-02 2019-10-02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431B1 true KR102214431B1 (ko) 2021-02-09

Family

ID=7455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190A KR102214431B1 (ko) 2019-10-02 2019-10-02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4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839A (ko) 2021-05-26 2022-12-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항적을 이용한 침로와 속도 판단방법
KR20230174659A (ko) 2022-06-21 2023-12-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심영역에서의 타겟선박의 후류궤적 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07457A (ko) 2022-07-08 2024-01-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해상관측 합성개구레이더 영상의 기하보정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804B1 (ko) * 2011-10-07 2013-11-2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통합모니터링을 위한 위성정보 및 선박정보의 통합방법
KR20150059259A (ko) * 2013-11-22 2015-06-01 동강엠텍(주) 3d 모델을 기반으로 한 해상교통관제장치
KR101736899B1 (ko) 2014-10-16 2017-05-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식별 방법
JP2019040329A (ja) * 2017-08-24 2019-03-14 イーライン株式会社 作業船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戒船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804B1 (ko) * 2011-10-07 2013-11-2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통합모니터링을 위한 위성정보 및 선박정보의 통합방법
KR20150059259A (ko) * 2013-11-22 2015-06-01 동강엠텍(주) 3d 모델을 기반으로 한 해상교통관제장치
KR101736899B1 (ko) 2014-10-16 2017-05-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식별 방법
JP2019040329A (ja) * 2017-08-24 2019-03-14 イーライン株式会社 作業船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戒船支援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839A (ko) 2021-05-26 2022-12-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항적을 이용한 침로와 속도 판단방법
KR20230174659A (ko) 2022-06-21 2023-12-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심영역에서의 타겟선박의 후류궤적 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07457A (ko) 2022-07-08 2024-01-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해상관측 합성개구레이더 영상의 기하보정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431B1 (ko) 미식별 선박의 이동 속도 추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334804B1 (ko) 선박 통합모니터링을 위한 위성정보 및 선박정보의 통합방법
KR101610432B1 (ko) 적외선 카메라 시스템 및 듀얼 센서 응용 방법
CA2579898A1 (en) Method for the processing and representing of ground images obtained by synthetic aperture radar systems (sar)
WO20051252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rveillance of vessels
US202202928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 retroreflective object in a digital image
CN109099920B (zh) 基于多传感器关联的传感器目标精确定位方法
US20180210078A1 (en) Method for colouring sar images, and radar capable of implementing such a method
Bloisi et al. Camera based target recognition for maritime awareness
US8103056B2 (en) Method for target geo-referencing using video analytics
KR100990764B1 (ko) 항만 영상관제 시스템 및 방법
WO2022269609A1 (en) Automatic camera registration and calibration using marine sensors
US11455710B2 (en) Device and method of object detection
GB2506649A (en) Hyperspectral image processing using estimated global covariance and mean
JP6639195B2 (ja) 船舶監視装置
JP5262148B2 (ja) ランドマーク検出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1186952B1 (ko) Vts와 연계한 지능형 영상 객체 인식 선박 관제 정보시스템
KR20140137233A (ko) 3차원 공간계를 이용한 선박 견시 시스템 및 방법
EP1939810B1 (en) Color extraction method and device
US71710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tly determining the rate of relative motion between two objects
CN111260676B (zh) 一种船载雷达图像海上目标空间数据的共享方法
CN111368614B (zh) 船舶识别方法及装置
EP3575829B1 (en) A method of determining a transformation matrix
US20200084357A1 (en) Adaptive spectral and hyperspectral imaging
WO2005076628A3 (fr) Procede et systeme de determination du deplacement d'un pixel, et support d'enregistrement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