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232B1 -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232B1
KR102562232B1 KR1020220132206A KR20220132206A KR102562232B1 KR 102562232 B1 KR102562232 B1 KR 102562232B1 KR 1020220132206 A KR1020220132206 A KR 1020220132206A KR 20220132206 A KR20220132206 A KR 20220132206A KR 102562232 B1 KR102562232 B1 KR 102562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ctus
bogeom
extract
present disclosur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수
임미진
이석현
이효은
이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to KR1020220132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3Cactaceae (Cactus family), e.g. pricklypear or Cer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치료 및 완화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GUAVA LEAF, JEJU SASA AND OPUNTIA FICUS INDICA MIXED EXTRACT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개시는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치료 및 완화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는 막으로서, 외부 환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기관이다. 외부의 자극과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신체를 보호하고, 오염원 등의 유해물질을 막는 보호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들어 환경오염으로 인한 과다한 자외선, 미세먼지 등에 대한 오랜 노출로 인해 피부 보습 인자들이 약해짐에 따라 피부트러블, 아토피 피부염 등 피부 질환의 발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미용에 대한 관심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젊고 생기있는 피부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좋은 피부를 갖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피부 염증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염증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상태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천연물에서 유래한 물질들은 높은 염증 완화 효과를 보이기 어렵고, 화학제제는 내성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개시는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피부 염증 방지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원재료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것이고, 상기 원재료 혼합물은 구아바잎 건조물, 제주조릿대 건조물 및 보검선인장 건조물이 분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원재료 혼합물이 용매 추출 및 초음파 추출되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상기 용매는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폴리올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가 1개 내지 4개이고, 무수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상기 용매 추출은, 6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알코올 용액에 침지되어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아바잎 추출물은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제주조릿대 추출물은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및 보검선인장 추출물은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상기 보검선인장은 보검선인장줄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을 포함하는 원재료 혼합물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원재료 혼합물을 용매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원재료 혼합물을 초음파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피부 염증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상기 원재료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상기 용매 추출하는 단계는, 7시간 내지 45시간 동안 알코올 용액에 침지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피부 염증 방지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 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언급된 본 개시내용의 피처들이 상세하게, 보다 구체화된 설명으로, 이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도록, 실시예들 중 일부는 첨부되는 도면에서 도시된다. 또한, 도면과의 유사한 참조번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 내용의 특정한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는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지는 않으며, 동일한 효과를 갖는 다른 실시예들이 충분히 인식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출물의 조성에 따른 항염 효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NF-kb 활성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출물의 조성에 따른 항염 효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interleukin mRNA 발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출물의 조성에 따른 항염 효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NO 생성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DPPH법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ABTS법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자극에 대한 피부자극 진정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SLS(Sodium Lauryl sulfate)를 피부에 첩포하여 자극을 준 후, 제품을 3주간 사용한 후 피부의 붉은기를 ANTER 3D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자극에 대한 피부자극 진정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SLS(Sodium Lauryl sulfate)를 피부에 첩포하여 자극을 준 후, 제품을 3주간 사용한 후 피부의 붉은기를 베이포미터(Vapometer)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본 개시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염 및 유도체 등과 같은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이라는 용어는, "A만을 포함하는 경우", "B 만을 포함하는 경우", "A와 B의 구성으로 조합된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 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조성물은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성물은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구아바(Guava)는 구아바속에 속하는 나무의 열매로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제도와 남아메리카 북부 지역 원산의 열대 과일로, 상기 구아바잎은 차로 우려서 섭취하기도 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상기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sis Nakai)는 조릿대속(Sasa)에 속하고, 식질이 많은 사질양토의 산지 위턱에서 자라는 상록 목본성 여러해살이풀이며, 제주도 한라산, 일본, 사할린, 타이완 등에 분포하고, 관상용으로 심어지기도 한다. 상기 제주조릿대의 줄기는 높이 10cm 내지 80cm, 지름 3mm 내지 4mm이고 털이 없으며 녹색이고 마디가 도드라지며 마디 주위가 약간 자주색이다. 또한, 줄기가 대개 가지를 치지 않으며, 잎집을 비롯한 마디가 둥글게 현저히 부푸는 점에서 다른 유사 분류군들과 구별되고, 뿌리줄기가 길게 뻗는다.
본 개시에서, 상기 보검선인장은 보검선인장줄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검선인장(Opuntia ficus-indica)은 선인장과의 다육 식물이다. 식물과 그 열매가 백년초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원산지는 멕시코이고, 한국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귀화종 선인장류이다.
본 개시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원재료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것이고, 상기 원재료 혼합물은 구아바잎 건조물, 제주조릿대 건조물 및 보검선인장 건조물이 분쇄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원재료가 건조된 뒤 분쇄될 경우, 혼합물의 추출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추출물(extract)”은 천연물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매 추출, 초고압 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등 추가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상기 추출물에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원재료 혼합물이 용매 추출 및 초음파 추출되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폴리올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들을 통해 상기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효율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가 1개 내지 4개이고, 무수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인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소수가 1개 내지 4개인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용매 추출은, 6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알코올 용액에 침지되어 얻어진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시간 내지 40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침지되어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아바잎 추출물은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제주조릿대 추출물은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및 보검선인장 추출물은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개시의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손상 및 염증 또는 이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 및 이의 증상을 차단하거나, 그 증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용어 "개선"이란, 본 개시의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탈모, 피부 손상 및 염증 또는 이에 의해 발생되는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용어 "치료"란, 본 개시의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탈모, 피부 손상 및 염증 또는 이에 의해 발생되는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행위라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탈모, 피부 손상 및 염증 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 워시, 전신 세정제, 두피 세정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나,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식염수, DMSO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기 오일로서는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기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 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서 기재된 성분 이외에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본 개시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캡슐, 정제, 과립, 주사제, 연고제, 분말 또는 음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 또는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약학적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 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서, 상기 외용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용제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 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상기 외용제는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용제는 상기 추출물 외에 본 개시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을 포함하는 원재료 혼합물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원재료 혼합물을 용매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원재료 혼합물을 초음파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피부 염증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재료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 추출하는 단계는, 6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알코올 용액에 침지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줄기를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쇄하는 단계를 거친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의 5배 내지 15배 중량의 에탄올 용액을 첨가한 후, 50℃ 내지 70℃에서 20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다음으로 침지가 완료된 상기 혼합물은 50℃ 내지 70℃, 60분 내지 120분 동안 초음파 추출을 실시하여 혼합추출물을 얻는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원물을 제거한 액상추출물을 얻는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된 액상추출물에 대하여,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 mbar 내지 100 mbar 조건 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고함량의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를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는 본 개시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혼합추출물 추출 공정에 따른 효능물질의 함량 비교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줄기 혼합 추출물에 대한 추출 공정에 따른 효능물질의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1.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줄기를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쇄한다.
2. 상기 혼합물의 10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첨가한 후, 60 ℃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한다.
4. 침지가 완료된 상기 혼합물은 60℃, 90분 조건 하에 초음파 추출을 실시한다.
5. 상기 혼합추출물을 11 μm 여과지로 여과하여 원물을 제거한다.
6. 상기 여과된 액상추출물을 45 ℃, 70 mbar 조건 하에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비교예 1]
1.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보검선인장줄기를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쇄한다.
2. 상기 혼합물의 10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첨가한 후, 60 ℃에서 6시간 동안 침지한다.
3. 상기 혼합추출물을 11 μm 여과지로 여과하여 원물을 제거한다.
4. 상기 여과된 액상추출물을 45 ℃, 70 mbar 조건 하에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비교예 2]
1.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보검선인장줄기를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쇄한다.
2. 상기 혼합물의 10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첨가한 후, 60 ℃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한다.
3. 상기 혼합추출물을 11 μm 여과지로 여과하여 원물을 제거한다.
4. 상기 여과된 액상추출물을 45 ℃, 70 mbar 조건 하에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비교예 3]
1.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보검선인장줄기를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쇄한다.
2. 상기 혼합물의 10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첨가한 후, 60 ℃에서 48시간 동안 침지한다.
3. 상기 혼합추출물을 11 μm 여과지로 여과하여 원물을 제거한다.
4. 상기 여과된 액상추출물을 45 ℃, 70 mbar 조건 하에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비교예 4]
1.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보검선인장줄기를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쇄한다.
2. 상기 혼합물의 10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첨가한 후 60 ℃, 90 분 조건 하에 초음파 추출을 실시한다.
3. 상기 혼합추출물을 11 μm 여과지로 여과하여 원물을 제거한다.
4. 상기 여과된 액상추출물을 45 ℃, 70 mbar 조건 하에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실험예 1]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보검선인장줄기 혼합추출물 추출 공정에 따른 효능물질의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비교예 1, 2, 3 및 4에 따라 추출물 3종의 추출 조건을 달리한 혼합물을 제조 후, 플라보노이드(케르세틴), 폴리페놀(갈산), 탄닌함량을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하기 표 1에서 총 케르세틴 함량(QE: Total quercetin content)은 mg/mL 케르세틴 당량으로 표시하였고, 총 갈산 함량(GAE: Total gallic acid content)은 mg/mL 갈산 당량으로 표시하였고, 총 탄닌산 함량(TAE: Total tannic acid)은 mg/mL 탄닌산 당량으로 표시하였다.
구분 제조방법 케르세틴(QE) 갈산(GAE) 탄닌산(TAE)
실시예 1 - 추출 용매: 에탄올
- 추출 온도: 60℃
- 추출 방법: 침지 24시간 수행 후, 초음파 추출 90분
49.46 ± 1.42 25.15 ± 0.98 28.45 ± 1.54
비교예 1 - 추출 용매: 에탄올
- 추출 온도: 60℃
- 추출 방법: 침지 6시간
35.98 ± 1.17 15.45 ± 0.45 18.53 ± 1.38
비교예 2 - 추출 용매: 에탄올
- 추출 온도: 60℃
- 추출 방법: 침지 24시간
40.69 ± 2.09 18.65 ± 0.65 22.09 ± 2.01
비교예 3 - 추출 용매: 에탄올
- 추출 온도: 60℃
- 추출 방법: 침지 48시간
37.15 ± 1.53 17.45 ± 0.84 23.15 ± 1.57
비교예 4 - 추출 용매: 에탄올
- 추출 온도: 60℃
- 추출 방법: 초음파추출 90분
27.12 ± 1.66 11.95 ± 0.28 15.18 ± 1.63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조건에서 총플라보노이드, 총폴리페놀, 총탄닌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2. 원물 종류에 따른 혼합추출물의 효능 비교
실시예 1에 따라 정해진 제조방법에 따라 추출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2과 같이 원물 종류를 달리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물 종류 비고
실시예1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보검선인장줄기 -
비교예5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보검선인장줄기 제외
비교예6 구아바잎, 보검선인장줄기 제주조릿대 제외
비교예7 제주조릿대, 보검선인장줄기 구아바잎 제외
[실험예 2] NF-kb 활성 변화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5, 6, 7의 항염 효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NF-kb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염증유발인자(TNF-α)에 의해 증가되었던 NF-κB 활성이 양성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며, 또한,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5, 6, 7 보다 NF-κB 활성의 감소폭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Interleukin mRNA 발현 변화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5, 6, 7의 항염 효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interleukin mRNA 발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염증유발인자(LPS)에 의한 IL-1β, IL-6, IL-8 mRNA 발현의 증가폭이 감소되었다. 또한,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5, 6, 7에 비하여 상기 IL-1β, IL-6, IL-8 mRNA 발현 감소폭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Nitric oxide(NO) 생성 변화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5, 6, 7의 항염 효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NO 생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양성 대조군에 비해 염증유발인자(TNF-α)에 의해 증가된 NO 생성이 감소되었다. 또한, 비교예 5, 6, 7에 비하여 NO 감소폭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항산화능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5, 6, 7의 항산화 효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DPPH법, ABTS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의해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의해 ABTS 자유 라디칼(ABTS free radical) 소거 활성이 비교예 5, 6, 7에 비하여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3. 혼합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임상평가
상기 실험예 2 내지 4에 따라, 실시예 1이 항염, 항산화 효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실시예 1을 2% 적용한 화장품(로션)을 제조하여 임상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예 6] 외부자극에 대한 피부자극 개선 평가
실시예 1의 외부자극에 대한 피부자극 진정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SLS(Sodium Lauryl sulfate)를 피부에 첩포하여 자극을 준 후, 실시예 1이 2% 함유된 제품을 3주간 사용 후 피부의 붉은기를 ANTER 3D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도포군과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1에 의해 SLS(Sodium Lauryl sulfate)에 자극된 피부 붉은기가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외부자극에 대한 피부수분손실량 개선 평가
실시예 1의 외부자극에 대한 피부수분손실량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SLS(Sodium Lauryl sulfate)를 피부에 첩포하여 자극을 준 후, 실시예 1이 2% 함유된 제품을 3주간 사용 후 피부수분손실량을 베이포미터(Vapometer)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도포군과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1에 의해 SLS(Sodium Lauryl sulfate)에 증가된 피부수분손실량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혼합 추출물은,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을 포함하는 원재료 혼합물이 용매 추출 및 초음파 추출되여 제조된 것인,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 혼합물은 구아바잎 건조물, 제주조릿대 건조물 및 보검선인장 건조물이 분쇄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폴리올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가 1개 내지 4개이고, 무수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추출은, 6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알코올 용액에 침지되어 얻어진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아바잎 추출물은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제주조릿대 추출물은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및
    보검선인장 추출물은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검선인장은 보검선인장줄기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을 포함하는 원재료 혼합물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원재료 혼합물을 용매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원재료 혼합물을 초음파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염증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추출하는 단계는, 6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알코올 용액에 침지되는 것인,
    제조 방법.
  12.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혼합 추출물은,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을 포함하는 원재료 혼합물이 용매 추출 및 초음파 추출되여 제조된 것인,
    피부 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20132206A 2022-10-14 2022-10-14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62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206A KR102562232B1 (ko) 2022-10-14 2022-10-14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206A KR102562232B1 (ko) 2022-10-14 2022-10-14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232B1 true KR102562232B1 (ko) 2023-08-02

Family

ID=8756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206A KR102562232B1 (ko) 2022-10-14 2022-10-14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309B1 (ko) * 2023-03-28 2024-05-03 주식회사 마노파레 아토피 피부염과 건조에 기인한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4178A (ko) * 2011-12-08 2013-06-18 (주)아모레퍼시픽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08475A (ko) * 2017-07-14 2019-01-24 (주)지에프씨생명과학 항염, 항산화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4178A (ko) * 2011-12-08 2013-06-18 (주)아모레퍼시픽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08475A (ko) * 2017-07-14 2019-01-24 (주)지에프씨생명과학 항염, 항산화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309B1 (ko) * 2023-03-28 2024-05-03 주식회사 마노파레 아토피 피부염과 건조에 기인한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7087A (ko) 마누카 꿀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가려움증 예방 및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427088B1 (ko) 두피 면역력 강화, 항산화 및 탈모예방 기능을 갖는 천연 약산성 샴푸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2232B1 (ko)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H11322630A (ja) 抗菌剤、並びにそれを含む皮膚外用剤及び皮膚洗浄剤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00042181A (ko) 대황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EP3829556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ctive botanical ingredients
KR102102041B1 (ko) 위치하젤, 병풀 및 인도유향수지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JPH06271452A (ja) サボテン類植物抽出物含有皮膚化粧料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2337357B1 (ko)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148510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3432596B2 (ja) 育毛剤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1022B1 (ko) 버블 추출 공법을 기반으로 한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7927B1 (ko) 황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