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022B1 - 버블 추출 공법을 기반으로 한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버블 추출 공법을 기반으로 한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022B1
KR102451022B1 KR1020210143456A KR20210143456A KR102451022B1 KR 102451022 B1 KR102451022 B1 KR 102451022B1 KR 1020210143456 A KR1020210143456 A KR 1020210143456A KR 20210143456 A KR20210143456 A KR 20210143456A KR 102451022 B1 KR102451022 B1 KR 102451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everfew
skin
composition
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연
강지영
차준석
김은실
오지선
장문식
오영주
강성민
최유선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주)360 퍼스펙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주)360 퍼스펙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4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블 추출 공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의 3 종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 침투력이 우수하고 광노화 방지 효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염, 미백, 항알러지, 탄력 개선 효능이 우수하므로 다양한 측면에서 피부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다.

Description

버블 추출 공법을 기반으로 한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photo-aging based on extracting technology using bubble}
본 발명은 광노화 방지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의 3 종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침투력이 우수하고 광노화 방지 효능 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염, 미백, 항알러지 효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는 크게, 연령 증가에 따라 피할 수 없는 생체의 생리적인 기능 저하로 생기는 자연 발생적인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오랫동안 반복적으로 햇빛 또는 자외선에 노출된 얼굴, 손등, 목 뒤 등의 피부에서 관찰되는 광노화(photo-aging)로 나눌 수 있다.
광노화는 자연 발생적인 것이 아니라 자외선에 의해 피부가 손상되면서 나타나는 노화로, 광노화의 발현 증상의 예시로는 멜라닌 과다 생성으로 인한 흑색종, 기미 또는 주근깨 등과 같은 색소질환, 피부 건조증 유발, 모세혈관 확장, 피부 화상으로 인한 홍반, 거친 피부결, 피부 내 MMP 증가로 인한 탄력도 저하, 피부 내 콜라겐 섬유 파괴로 인한 피하지방의 감소 또는 주름 생성,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과다 염증 반응 등이 있다.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발생한 피부 노화이기에 일반적인 내인성 노화 증상에 비하여 단기간 내 상기 증상을 회복하는 효과를 보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광노화를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서는 피부 장벽을 강화함으로써 피부 손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활발한 신진대사를 통해 이미 손상된 세포를 재생 또는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0-1040507호에서는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여 광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는 등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다양한 광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료에 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장벽 강화를 위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의 3 종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때, 단독으로 사용될 때보다 광노화 방지에 현저한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더 나아가 항산화, 미백, 항염 및 항알러지의 다양한 효능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메도우스위트(Spiraea Ulmaria), 석류나무꽃(Punica Granatum Flower) 및 피버퓨(Feverfew)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복합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복합 추출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 내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다양한 효능을 가진 천연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복합 추출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메도우스위트(Spiraea Ulmaria), 석류나무꽃(Punica Granatum Flower) 및 피버퓨(Feverfew)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천연 식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도우스위트는 종명 ulmaria로 느릅나무(ulmus)의 잎처럼 진한 녹색의 잎을 가진 데서 비롯되었다.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의 습지에 자생하는 허브 중의 하나로 전체적으로 기분을 좋게 해주는 맛과 향이 있어 대중들에게 인기가 있는 식물에 해당한다. 줄기는 약 1m까지 곧게 자라며 주름이 있고 때때로 자주색인 개체도 있다. 잎은 위에 달린 것들이 진한 녹색이고 아래쪽에 달린 것들은 흰색이면서 솜털처럼 부드럽다. 잎에서는 아몬드처럼 달콤한 냄새가 난다. 6월에서 9월 사이에 크림빛이 도는 흰색의 작은 꽃이 서로 모여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특히, 꽃에 들어 있는 살리실산이라는 성분은 아스피린의 원료로도 쓰이기 때문에 고열, 류머티즘, 정신안정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꽃대를 말려 만든 허브차는 해열제로 이용된다. 설사나 복통에도 효과가 있으며 특히 독성이 없어 어린이들이 마셔도 안전한 천연 물질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석류나무꽃은 이란, 아프가니스탄, 히말라야가 원산지이며, 꽃은 5월에서 7월 사이에 피며, 열매는 9, 10월에 익는다. 특히, 한의학에서는 석류꽃은 낙상으로 인한 상처와 젊은 남성의 흰머리 치료에 사용되고 있기도 한 물질로, 동의보감에 석류꽃은 심열로 피를 토하는 것과 코피가 나는 것 등을 치료한다고 하였고, 민간에서는 석류꽃은 응달에 말린 것을 목욕물에 풀고 30분 따끈하게 담그면서 휴식을 취하면 피로회복에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꽃을 말렸다가 분말로 만들어 동상이나 물집이 생긴 곳에 바르면 효과를 본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버퓨는 라틴어의 febris로, 해열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열병과 추방한다는 뜻의 fugure의 합성어로 fevriguga 열을 내린다는 말의 사투리에서 비롯되었다. 피버퓨의 약효는 살균제, 강장제, 진정제, 소화제, 하제 등으로 이용되는데 열병, 두통, 편두통, 부인병의 월경 이상, 임신시의 고통, 유산, 치통, 위통, 벌레에 쏘인 데에 쓰이며 의사도 손을 드는 고질화된 편두통이나 관절염에는 기적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있고, 특히 류마티스성 관절염에는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이 전혀 없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은 천연 식물의 뿌리, 줄기, 가지, 잎, 종자 또는 열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파괴가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물, C1 내지 C6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예를 들면, 물과 부틸렌글리콜의 혼합물일 수 있다. 혼합물 수용액의 부틸렌글리콜 농도는 1 내지 99.5 (v/v)%, 예를 들면, 10 내지 99.5 (v/v)%, 1 내지 70 (v/v)%, 1 내지 40 (v/v)%, 5 내지 25 (v/v)%, 7 내지 20 (v/v)%, 5 내지 25 (v/v)% 또는 10 내지 20 (v/v)%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은 가온된 액체 추출, 가압된 액체 추출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PLE), 초음파 도움을 받은 추출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MAE), 아임계 추출 (subcritical extraction: SE),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임계 추출은 아임계 수추출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일 수 있다. 아임계 수추출은 초가열된 수추출 (superheated water extraction) 또는 가압된 열수 추출 (pressurized hot water extraction: PHWE)라고도 한다. 상기 가온된 액체 추출은 환류 추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은 4 내지 100 ℃, 비제한적인 예시로 10 내지 70 ℃, 15 내지 50 ℃ 또는 20 내지 30 ℃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시간은 선택된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1 시간 내지 1 개월, 비제한적인 예시로 5 시간 내지 15 일, 10 시간 내지 10 일 또는 1 일 내지 7 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용매 중에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또는 피버퓨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혼합하고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여 진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치는 적당한 교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 시 산소를 주입하여 발생한 공기 방울(버블)과 천연 원료가 만나 발생하는 충돌력을 이용할 수 있다. 산소를 주입하는 방식은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를 통해 수행될 수 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기 주입 장치로서 일정 기체를 주입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한다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압축기를 통해 압축시킨 공기를 레귤레이터 내 제균 필터로 여과시킨 공기를 추출물에 주입시켜 버블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산소 주입하여 버블을 생성시키는 단계는 1 내지 10 bar로 설정된 압력으로 1 내지 50 분간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bar로 설정된 압력으로 5 내지 20 분간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버블을 생성시킨 후 1 내지 30 분간 진정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분간 진정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진정 단계는 버블이 추출물 자체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주어 유효 물질의 추출을 최대화하는 데 기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의 추출 시 산소 주입 단계 및 진정 단계를 24 내지 108 시간 동안 150 내지 300 회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96 시간 동안 180 내지 250 회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버블 추출 공법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최대 양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비교적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므로 대량 생산에도 유용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추출 이후 여과하는 단계를 거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여과는 추출액으로부터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면, 나일론, 종이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한외여과법,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여과 방법에 해당한다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최종 건조된 추출물을 분쇄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상기 추출액을 건조시킨 분말, 상기 추출액을 발효시킨 발효물, 상기 추출액을 농축여과한 농축물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고, 각 추출물의 다양한 조합으로 혼합될 수 있다. 이때, 각 혼합 추출물의 중량비는 2 종 복합 추출물의 경우 1~5:1~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3 종 복합 추출물의 경우 1~5:1~5:1~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복합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99.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개선 용도는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 미백 및 광노화 방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피부 개선을 위한 효능에 해당한다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의 효능으로는 활성 산소 억제에 의한 항산화 효능, type Ⅰ 콜라겐(COL1A1) 유전자 발현 촉진에 의한 주름 개선, 탄력 개선 효능, 자외선에 의해 증가한 MMP-1의 유전자 발현 저해에 의한 광노화 방지 및 탄력 개선 효능, 산화 스트레스 억제 효능, 멜라닌 합성 억제로 인한 미백의 효능, 항염증 및 항알러지 효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단순히 피부 미용 뿐만 아니라, 피부의 건강까지 회복이 가능하므로 보다 근본적인 피부 체질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피부 외용연고,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및 바디 화장품 등의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에센스, 로션, 크림, 젤,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등이 있고;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썬 스크린 크림, 썬 오일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다양한 효능을 가진 천연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메도우스위트(Spiraea Ulmaria), 석류나무꽃(Punica Granatum Flower) 및 피버퓨(Feverfew)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고, 각 추출물의 다양한 조합으로 혼합될 수 있다. 이때, 각 혼합 추출물의 중량비는 2 종 복합 추출물의 경우 1~5:1~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3 종 복합 추출물의 경우 1~5:1~5:1~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99.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중량%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4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범위 보다 낮은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 주름개선, 미백 및 광노화 방지 효과 등의 피부 개선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어 유효성이 떨어질 수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이상을 함유하지 않아도 충분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제형화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활성 산소 억제에 의한 항산화 효능, type Ⅰ 콜라겐(COL1A1) 유전자 발현 촉진에 의한 주름 개선, 탄력 개선 효능, 자외선에 의해 증가한 MMP-1의 유전자 발현 저해에 의한 광노화 방지 및 탄력 개선 효능, 산화 스트레스 억제 효능, 멜라닌 합성 억제로 인한 미백의 효능, 항염증 및 항알러지 효능이 뛰어나 단순히 피부 미용 뿐만 아니라, 피부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달성할 수 있어 다양한 기능을 가진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노화 중에서도 특히, 자외선 등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광노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조사하여 피부 상태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어 피부톤이 변경되거나, 주름이 개선되거나, 탄력이 개선되거나, 피부 장벽 기능이 강화되는 등 피부 미용 또는 피부 건강이 향상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 장벽 강화"는 피부 장벽 기능이 약화됨에 따른 피부질환인 건선, 접촉성피부염, 습진성 피부염, 광선 피부염, 지루 피부염, 포진성 피부염, 편평태선, 경화태선, 괴저성 농피증, 천포창, 수포성 표피박리증, 전신성 경화증 또는 나병을 완화시키거나 손상된 피부 장벽 기능을 향상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스프레이,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투웨이케익, 팩트, 쿠션, 파우더, 파운데이션, 비비, 메이크업베이스, 프라이머, 선크림, 립글로스, 틴트, 아이섀도, 블러셔,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클렌징워터, 바디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 로션, 영양 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 첨가제, 바디 로션, 바디 밀크, 배스 오일, 베이비 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 로션, 선스크린 크림, 선탠 크림, 스킨 로션, 스킨 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클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 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워시, 전신 세정제, 두피 세정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나,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식염수, DMSO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일로서는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 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다양한 효능을 가진 천연 식물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법은 목적하는 천연 식물의 추출 시 제균 필터로 여과시킨 산소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소를 주입하는 단계 이후 발생한 버블을 진정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산소 주입 단계 및 진정 단계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수회 반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목적하는 천연 식물은 생물계를 구성하고 있는 것들 중 세균, 균류, 동물을 제외한 생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도우스위트(Spiraea Ulmaria), 석류나무꽃(Punica Granatum Flower) 및 피버퓨(Feverfew)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천연 식물일 수 있으나, 세포벽과 엽록소를 가지고 광합성을 하는 생물에 해당한다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 식물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산소를 주입하게 되면 공기 방울이 형성되고, 천연 식물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극한의 환경에서 유효성분이 최대 양으로 추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추출물 자체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줌으로써 추후 변색이나 침전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공기방울과 천연 원료가 만나 발생하는 충돌력을 이용하여 추출 효과를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기존의 통상적인 추출 방식에 비하여 적은 에너지 사용으로 최대한의 추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대량 생산에 용이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a) 메도우스위트(Spiraea Ulmaria), 석류나무꽃(Punica Granatum Flower) 및 피버퓨(Feverfew)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유기 용매에 침전시킨 추출물에, 제균 필터로 여과시킨 산소를 주입하는 단계; (b) 산소 주입 후 발생한 버블을 진정시키는 단계; (c) 상기 산소 주입 단계와 진정 단계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수회 반복하는 단계; 및 (d)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내지 50 중량%의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용매에 상기 과정을 거친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의 버블 추출물을 실온에서 1~5:1~5: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명에 대해 기술한 용어 및 방법 등은 각 발명들 간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침투력이 우수하며, 피부장벽 강화 효과가 뛰어나 피부 노화, 특히는 광노화 방지 효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염, 미백, 항알러지, 주름 생성 억제, 탄력 개선 효능이 우수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공기 방울과 원료가 만나 발생하는 충돌력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추출 방식보다 유효한 성분의 추출 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대량 생산에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도우스위트 및 석류나무꽃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알러지 또는 광노화 효능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미백 또는 항알러지 효능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도우스위트 및 피버퓨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미백 또는 항알러지 효능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 추출 방식에 의한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3 종 복합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미백, 항알러지 또는 광노화 효능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블 추출 공법에 의한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3 종 복합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미백, 항알러지 또는 광노화 효능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처리 시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3 종 복합 추출물의 추출 방식에 따른 피부장벽 강화 효능을 비교 확인한 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처리 시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3 종 복합 추출물의 추출 방식에 따른 주름 생성 억제 효능을 비교 확인한 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처리 시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3 종 복합 추출물의 추출 방식에 따른 탄력 개선 효능을 비교 확인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라이트 처리 시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3 종 복합 추출물의 추출 방식에 따른 염증 억제 효능을 비교 확인한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복합 추출물(제조예 1 내지 5)의 제조
건조된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또는 피버퓨의 천연 원료를 수득하여 건조 무게(kg)의 100배의 40%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을 이용하여 25 ℃에서 72 시간 추출한 후, 추출액으로부터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0.45 um 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복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된 메도우스위트 및 석류나무꽃의 조합으로 추출된 추출액(제조예 1; 산소 주입 O); 건조된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의 조합으로 추출된 추출액(제조예 2; 산소 주입 O); 건조된 메도우스위트 및 피버퓨의 조합으로 추출된 추출액(제조예 3; 산소 주입 O); 건조된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의 조합으로 추출된 추출액(제조예 4; 산소 주입 X); 또는 건조된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의 조합으로 추출된 추출액(제조예 5; 산소 주입 O)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하기 광노화 실험을 비롯하여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 미백 효능 등의 비교 확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1kg) 대비 1.0 중량% 내지 40.0 중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3 및 5는 상기 추출 과정에서 산소를 주입시켜 공기 방울과 천연 원료가 만나서 발생하는 충돌력을 이용함으로써 추출 효율을 높이고자 추출하는 단계 시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주며 추출하였던 반면, 비교예 4에서는 일반적인 60℃ 용매 추출 방식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 내지 3 및 5의 버블 추출 방식은 40% 부틸렌 글리콜 용매에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 피버뷰 원물을 침전시켜 준 뒤, 공기 압축기(air compressor)를 통해 압축된 공기를 레귤레이터 내 제균 필터로 여과시킨 후, 4 내지 6 bar로 설정된 압력으로 공기를 추출물에 주입시켜 버블을 생성시켰다. 10 분간 버블을 생성시켜준 후 10 분간 버블 생성을 중단시켜 진정 단계를 거쳤으며, 이와 같은 산소 주입 및 진정 단계를 72 시간 동안 총 216 회 반복 수행하여 버블 추출된 각각의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또는 피버뷰의 버블 추출물을 하기 표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메도우스위트(비율) 석류나무꽃(비율) 피버퓨(비율)
제조예 1 1 2 -
제조예 2 - 1 1
제조예 3 1 - 1
제조예 4 4 3 3
제조예 5 4 3 3
실시예 1: 복합 추출물 성분 차이에 따른 다양한 효능 비교 실험
<실험예 1> 항산화 효능 실험: DPPH 라디칼 소거능 평가
1,1-디페닐-2 피크릴하이드라질 라디칼(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DPPH)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0.2 mM DPPH 시약과 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20 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 항산화 효능 실험: 세포내 활성산소종 억제능 평가
인간유래 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HDFn) 세포에 H2O2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물질을 통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HDFn 세포를 24 시간 동안 37 ℃,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4 시간 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식염수로 세척하고 H2O2와 DCFH-DA를 처리하여 37 ℃에서 30 분 동안 방치한 후 485 nm에서 흡수파장, 538 nm에서 방출파장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3> 미백 효능 실험: DOPA 산화 반응에 대한 활성 저해능 평가
96-웰 플레이트에 0.1 M 소듐 포스페이트 버퍼(pH 6.8)와 추출물, 티로시나제 프롬 머시룸(1,000 unit/mL)을 혼합하여 37 ℃에서 3 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5 mM L-DOPA를 주입한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4> 미백 효능 실험: 멜라닌 생성 억제능 평가
B16F10 세포에 α-MSH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24-웰 플레이트에 B16F10 세포를 24 시간 동안 37 ℃,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오버나이트 한 다음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배양하였다. 72 시간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10 % DMSO가 함유된 1 N NaOH를 처리하여 60 ℃에서 세포 내의 멜라닌을 녹여주었다. 이 액을 96-웰 플레이트에 넣어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5> 항알러지 효능 실험: 탈과립 억제능 평가
마우스 비만 세포(Mouse mast cell)인 RBL-2H3 세포에 IgE(Immunoglobulin E)를 인위적으로 처리하여 유도된 β-헥소사미니다아제(β-hexosaminidase)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항알러지 효능을 평가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한 웰 당 1Х105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한 다음 16 시간 동안 37 ℃,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모노클로날 DNP-특이 IgE (1 μg/mL)를 처리한 배지를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Tyrode's 버퍼(pH 7.3)를 이용하여 세척하여 준다. 각 웰에 Tyrode's 버퍼를 분주하여 37 ℃,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10 분간 배양한 다음, Tyrode's 버퍼를 제거하였다. 시료를 각 농도 별로 처리 후 37 ℃,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20 분간 배양하였다. DNP-BSA를 처리한 후 37 ℃,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2 시간 배양하였다. 배지 상등액을 모아 p-니트로페닐 N-아세틸-β-D-글루코스아마이드와 1:1로 혼합하여 37 ℃,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1 시간 반응시킨 다음, 각 웰 당 소듐 바이카보네이트(pH 10.2) 처리한 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6> 항염증 효능 실험: NO 생성 저해 활성 평가
Raw 264.7 세포에 염증 유발 물질인 지질다당체(Lipopolysaccharide; LPS)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Raw 264.7 세포를 24 시간 동안 37 ℃,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오버나이트 한 뒤 새로운 배지로 교환해주고, LPS(1 μg/mL)와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 상층액을 취하여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과 1:1로 반응시키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7> 광노화 방지 효능 실험: 블루라이트에 의해 유도된 ROS 억제능 평가
광노화 방지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블루라이트를 처리한 뒤 상기 실험예 2와 같은 방식으로 추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HDFn 세포에 블루라이트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물질을 통해 ROS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48-웰 플레이트에 HDFn 세포를 24 시간 동안 37 ℃,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4 시간 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식염수로 세척하고 DCFH-DA를 처리하여 37 ℃에서 1 시간 배양하였다. 1 시간 후 식염수로 세척한 다음 식염수를 웰 당 100 μL씩 분주하여 블루라이트를 조사한 다음 485 nm에서 흡수파장, 538 nm에서 방출파장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1: 메도우스위트 및 석류나무꽃 추출물(제조예 1)
1) 항산화 효능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및 석류나무꽃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소거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0.12 % (v/v)의 SC50 (50% Scavenging concentration)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a 참조). 또한, 상대적 DCF 값을 비교할 때 상기 추출물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33.2%로 나타나, 66.8% 향상된 항산화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b 참조).
2) 미백 효능
실험예 3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및 석류나무꽃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L-DOPA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4.12 %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c 참조).
3) 항알러지 효능
실험예 5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및 석류나무꽃 추출물의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73.2%로 나타나, 26.8% 향상된 항알러지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d 참조).
4) 광노화 방지 효능
실험예 7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및 석류나무꽃 추출물의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66.4%로 나타나, 33.6% 향상된 광노화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e 참조).
실험결과 2: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제조예 2)
1) 항산화 효능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 따른 실험 결과,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소거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0.41 % (v/v)의 SC50 (50% Scavenging concentration)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a 참조). 또한, 상대적 DCF 값을 비교할 때 상기 추출물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54.4%로 나타나, 45.6% 향상된 항산화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b 참조).
2) 항염 효능
실험예 6에 따른 실험 결과,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45.3%로 나타나, 54.7% 향상된 NO 생성 억제 효과가 있어 항염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c 참조).
3) 미백 효능
실험예 3 및 실험예 4에 따른 실험 결과,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L-DOPA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8.59 %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d 참조). 또한, 상기 추출물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77.7%로 나타나, 22.4% 향상된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미백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e 참조).
4) 항알러지 효능
실험예 5에 따른 실험 결과,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의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92.7%로 나타나, 7.3% 향상된 항알러지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f 참조).
실험결과 3: 메도우스위트 및 피버퓨 추출물(제조예 3)
1) 항산화 효능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및 피버퓨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소거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0.91 % (v/v)의 SC50 (50% Scavenging concentration)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a 참조). 또한, 상대적 DCF 값을 비교할 때 상기 추출물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56.1%로 나타나, 43.9% 향상된 항산화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b 참조).
2) 항염 효능
실험예 6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및 피버퓨 추출물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56.9%로 나타나, 43.1% 향상된 NO 생성 억제 효과가 있어 항염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c 참조).
3) 미백 효능
실험예 3 및 실험예 4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및 피버퓨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L-DOPA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8.71 %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d 참조). 또한, 상기 추출물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79.3%로 나타나, 20.7% 향상된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미백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e 참조).
4) 항알러지 효능
실험예 5에 따른 실험 결과,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의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95.3%로 나타나, 4.7% 향상된 항알러지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f 참조).
실험결과 4: 3종 복합 추출물(제조예 4 - 일반 추출 공법)
1) 항산화 효능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소거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0.09 % (v/v)의 SC50 (50% Scavenging concentration)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a 참조). 또한, 상대적 DCF 값을 비교할 때 상기 추출물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33.6%로 나타나, 66.4% 향상된 항산화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b 참조).
2) 항염 효능
실험예 6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52.1%로 나타나, 47.9% 향상된 NO 생성 억제 효과가 있어 항염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c 참조).
3) 미백 효능
실험예 3 및 실험예 4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L-DOPA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5.91 %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d 참조). 또한, 상기 추출물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87.7%로 나타나, 12.3% 향상된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미백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e 참조).
4) 항알러지 효능
실험예 5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의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82.7%로 나타나, 17.3% 향상된 항알러지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f 참조).
5) 광노화 방지 효능
실험예 7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의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93.0%로 나타나, 7.0% 향상된 광노화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g 참조).
실험결과 5: 3종 복합 추출물(제조예 5 - 버블 추출 공법)
1) 항산화 효능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소거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0.04 % (v/v)의 SC50 (50% Scavenging concentration)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a 참조). 또한, 상대적 DCF 값을 비교할 때 상기 추출물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10.8%로 나타나, 89.2%의 현저히 향상된 항산화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b 참조).
2) 항염 효능
실험예 6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13.8%로 나타나, 86.2%의 향상된 NO 생성 억제 효과가 있어 항염 효능이 매우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c 참조).
3) 미백 효능
실험예 3 및 실험예 4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L-DOPA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2.34 %의 IC50(50% Inhibition concentration)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d 참조). 또한, 상기 추출물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82.8%로 나타나, 17.2% 향상된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미백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e 참조).
4) 항알러지 효능
실험예 5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의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59.6%로 나타나, 40.4% 향상된 항알러지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f 참조).
5) 광노화 방지 효능
실험예 7에 따른 실험 결과,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추출물의 농도 2% (v/v)에서 대조군 대비 42.7%로 나타나, 57.3% 향상된 광노화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g 참조).
실시예 2: 추출 방식의 차이에 따른 광노화 방지 효능 비교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복합 추출물의 다양한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효능 중에서도 광노화 방지 효능을 추가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추출 공법(60℃ 용매 추출)에 따른 추출 효율과 산소를 주입하여 추출하는 방식인 본 발명의 버블 추출 공법에 따른 추출 효율을 동일선 상에서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추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2.1 피부 장벽 강화 관련 유전자 발현 정도 비교 실험(블루라이트 실험)
인간유래 각질형성 세포(Human keratinocyte; HaCaT)에 블루라이트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피부장벽 강화에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48-웰 플레이트에 HaCaT 세포를 24 시간 동안 37 ℃,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오버나이트 한 다음 새로운 배지로 교환해주고 추출물을 투여하여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 시간 후 PBS로 세척한 후, 블루라이트를 조사한다. 그 후 SFM를 분주하여 24 시간 배양 후, cDNA를 합성하고 100 ng/μL씩 정량하여 실시간 PCR(qPCR)를 진행하였다. 상대적인 발현율은 β-엑틴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하여 정규화(Normalization)하였다.
실험 결과, 블루라이트를 조사하였을 때 1) 필라그린(Filaggrin)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비처리군 대비하여 약 30.7% 이상 감소하였고, 필라그린 유전자의 발현양이 3 종 복합 추출물(산소 주입; 무)을 0.5% 처리한 군은 15.4%가 회복된 반면, 3 종 복합추출물(산소 주입; 유)을 0.5% 처리한 군은 37.1%가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6a 참조). 이는 버블 추출 공법에 의하여 약 21.7% 이상 보다 향상된 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피부 장벽 효과가 개선되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라 할 것이다. 또한, 2) Caspase-14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비처리군 대비하여 약 71.3% 이상 감소하였고, Caspase-14 유전자의 발현양이 3 종 복합 추출물 (산소 주입; 무)을 0.5% 처리한 군은 209.1%가 회복된 반면, 3 종 복합 추출물(산소 주입; 유)을 0.5% 처리한 군은 474.1%가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6b 참조). 이 역시 버블 추출 공법에 의하여 약 265.0% 이상 보다 향상된 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피부 장벽 효과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2.2 주름 개선 관련 유전자 발현 정도 비교 실험(블루라이트 실험)
HaCaT 세포에 블루라이트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주름생성 억제에 효과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48-웰 플레이트에 HaCaT 세포를 24 시간 동안 37 ℃,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오버나이트 한 다음 새로운 배지로 교환해주고 추출물을 투여하여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 시간 후 PBS로 세척한 후, 블루라이트를 조사하였고, 그 후 SFM를 분주하여 24 시간 배양 후, cDNA를 합성하고 100 ng/μL씩 정량 하여 실시간 PCR(qPCR)을 진행하였다. 상대적인 발현율은 β-엑틴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하여 정규화(Normalization)하였다.
실험 결과, 블루라이트를 조사하였을 때 COL1A1의 유전자 발현 정도가 비처리군 대비하여 약 46.0% 이상 감소하였고, COL1A21 유전자의 발현양이 3 종 복합 추출물(산소 주입; 무)을 0.5% 처리한 군은 32.5%가 회복된 반면, 3 종 복합추출물(산소 주입; 유)을 0.5% 처리한 군은 91.4%까지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7a 참조). 이는 버블 추출 공법에 의하여 약 58.9% 이상 보다 향상된 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름 생성 억제 효과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2.3 탄력 개선 관련 유전자 발현 정도 비교 실험(UVB 실험)
HaCaT 세포에 UVB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주름/탄력 개선에 효과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48-웰 플레이트에 HaCaT 세포를 24 시간 동안 37 ℃,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오버나이트 한 다음 새로운 배지로 교환해주고 추출물을 투여하여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 시간 후 PBS로 세척한 후, UVB를 조사하였다. 그 후, cDNA 합성 및 100 ng/μL씩 정량하여 실시간 PCR(qPCR)을 진행하였다. 상대적인 발현율은 β-엑틴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하여 정규화(Normalization)하였다.
실험 결과, UVB를 조사하였을 때 MMP-1의 유전자 발현 정도가 비처리군 대비하여 약 15.7% 이상 증가하였고, MMP-1 유전자 발현양이 3 종 복합 추출물 (산소 주입; 무)을 0.5% 처리한 군은 14.3%가 억제된 반면, 3 종 복합 추출물(산소 주입; 유)을 0.5% 처리한 군은 44.5%가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7b 참조). 이는 이는 버블 추출 공법에 의하여 약 30.2% 이상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통해 주름/탄력 개선에 현저히 향상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2.4 염증 관련 유전자 발현 정도 비교 실험(UVB 실험)
HaCaT 세포에 UVB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염증 억제에 효과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48-웰 플레이트에 HaCaT 세포를 24 시간 동안 37 ℃,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오버나이트 한 다음 새로운 배지로 교환해주고 추출물을 투여하여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 시간 후 PBS로 세척한 후, UVB를 조사하였다. 그 후, cDNA 합성 및 100 ng/μL씩 정량 하여 실시간 PCR(qPCR)을 진행하였다. 상대적인 발현율은 β-엑틴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하여 정규화(Normalization)하였다.
실험 결과, UVB를 조사하였을 때 NF-κB의 유전자 발현 정도가 비처리군 대비하여 약 38.5% 이상 증가하였고, NF-κB 유전자의 발현양이 3 종 복합 추출물 (산소 주입; 무)을 0.5% 처리한 군은 12.8%가 억제된 반면, 3 종 복합 추출물(산소 주입; 유)을 0.5% 처리한 군은 58.9%가 더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 참조). 이는 버블 추출 공법에 의하여 약 46.1% 이상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통해 염증 개선에 현저히 향상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상기 모든 실시예를 종합하여 간략히 도식화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추출물 유형 버블추출 항산화 항염 미백 항알러지 광노화
제조예1 O O X X O O
제조예2 O O O O X X
제조예3 O O O O X X
제조예4 X O O O O O
제조예5 O O O O O O
상기 표 2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또는 피버퓨의 조합에 따라 항산화, 항염, 미백, 항알러지, 광노화 방지 등의 효능이 달라질 수 있으며, 2종 복합 추출물만으로도 피부 개선에 현저한 효과가 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의 조합으로 추출할 경우 가장 많은 효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 3 종 복합 추출물은 일반 추출 방식에 의할 경우에도 다양한 효능이 모두 발휘되었으나, 상기 실시예 2에서 확인하였듯이 천연 물질의 추출 과정에서 산소를 주입하는 버블 추출 방식을 이용할 때 유효한 효과 성분이 더 많이 추출되어 모든 효능에서 현저히 향상된 시너지 효과가 발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메도우스위트(Spiraea Ulmaria), 석류나무꽃(Punica Granatum Flower) 및 피버퓨(Feverfew)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피부 개선 용도는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 미백 및 광노화 방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산소를 주입 후 공기 방울과 천연 원료가 만나 발생하는 충돌력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의 추출물을 1~5:1~5: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40 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색조 화장료,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린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형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삭제
  8. (a) 메도우스위트(Spiraea Ulmaria), 석류나무꽃(Punica Granatum Flower) 및 피버퓨(Feverfew)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유기 용매에 침전시킨 추출물에, 제균 필터로 여과시킨 산소를 주입하는 단계;
    (b) 산소 주입 후 발생한 버블을 진정시키는 단계;
    (c) 상기 산소 주입 단계와 진정 단계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d)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내지 50 중량%의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용매에 상기 과정을 거친 메도우스위트, 석류나무꽃 및 피버퓨의 버블 추출물을 실온에서 1~5:1~5: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피부 개선 용도는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 미백 및 광노화 방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방법.
  9. 삭제
  10. 메도우스위트(Spiraea Ulmaria), 석류나무꽃(Punica Granatum Flower) 및 피버퓨(Feverfew)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복합 추출물로서,
    상기 피부 개선 용도는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 미백 및 광노화 방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추출물.
  11. 메도우스위트(Spiraea Ulmaria), 석류나무꽃(Punica Granatum Flower) 및 피버퓨(Feverfew) 추출물의 추출 시, 제균 필터로 여과시킨 산소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복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피부 개선 용도는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 미백 및 광노화 방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방법.
KR1020210143456A 2021-10-26 2021-10-26 버블 추출 공법을 기반으로 한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1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456A KR102451022B1 (ko) 2021-10-26 2021-10-26 버블 추출 공법을 기반으로 한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456A KR102451022B1 (ko) 2021-10-26 2021-10-26 버블 추출 공법을 기반으로 한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022B1 true KR102451022B1 (ko) 2022-10-06

Family

ID=8359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456A KR102451022B1 (ko) 2021-10-26 2021-10-26 버블 추출 공법을 기반으로 한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02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9543B1 (en) * 2002-02-22 2003-06-17 Jackie H. McClung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to skin
US20040161435A1 (en) * 2003-02-14 2004-08-19 Gupta Shyam K. Skin Firming Anti-Aging Cosmetic Mask Compositions
US20040208902A1 (en) * 2003-04-18 2004-10-21 Gupta Shyam K. Controlled-release nano-diffusion delivery systems for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KR101452770B1 (ko) * 2013-02-25 2014-10-22 우리들제약(주)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US9125919B2 (en) * 2008-12-17 2015-09-08 Ei Llc Acne treatment powder foundation
KR102222661B1 (ko) * 2020-08-24 2021-03-25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가온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천연 화장품 원료의 추출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6161A (ko) * 2019-11-08 2021-05-18 한상철 물성 개선된 화장품 조성물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9543B1 (en) * 2002-02-22 2003-06-17 Jackie H. McClung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to skin
US20040161435A1 (en) * 2003-02-14 2004-08-19 Gupta Shyam K. Skin Firming Anti-Aging Cosmetic Mask Compositions
US20040208902A1 (en) * 2003-04-18 2004-10-21 Gupta Shyam K. Controlled-release nano-diffusion delivery systems for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9125919B2 (en) * 2008-12-17 2015-09-08 Ei Llc Acne treatment powder foundation
KR101452770B1 (ko) * 2013-02-25 2014-10-22 우리들제약(주)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6161A (ko) * 2019-11-08 2021-05-18 한상철 물성 개선된 화장품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222661B1 (ko) * 2020-08-24 2021-03-25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가온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천연 화장품 원료의 추출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25867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health of skin
JPH11279069A (ja) 活性酸素消去剤
JPH11228339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JP2000169383A (ja) 抗アレルギー剤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2164246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178168A (ja) 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及び化粧料組成物
JP2015155394A (ja) 光老化抑制剤
JP2001002550A (ja) オリーブ葉抽出物、皮膚外用剤又は浴用剤への応用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2002363088A (ja) 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又は化粧料組成物
JP4033808B2 (ja) ヒメフウロ抽出物含有美容・健康用素材
JP2002068953A (ja) 化粧料組成物
KR101009766B1 (ko) 하고초 추출물 및 개사철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159627A (ja) 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及び化粧料組成物
JP2000159628A (ja) 顆粒配合化粧料組成物
CN112472629A (zh) 一种高良姜草果防晒乳液及其制备方法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JP2002363057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又は化粧料組成物
JP2000226322A (ja) 寒天又はアルギン酸ナトリウム顆粒含有化粧料組成物
KR102498980B1 (ko)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08831A (ko)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올리브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1022B1 (ko) 버블 추출 공법을 기반으로 한 광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9858B1 (ko) 한방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