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640B1 - 안전점검용 조끼 - Google Patents

안전점검용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640B1
KR102561640B1 KR1020220166054A KR20220166054A KR102561640B1 KR 102561640 B1 KR102561640 B1 KR 102561640B1 KR 1020220166054 A KR1020220166054 A KR 1020220166054A KR 20220166054 A KR20220166054 A KR 20220166054A KR 102561640 B1 KR102561640 B1 KR 102561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st
pull
diagnosis
safety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환
최웅조
김현도
장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구조안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구조안전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구조안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6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45Five-membered rings
    • C08K5/3447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08Clothing or clothing accessories, e.g. scarfs, gloves or be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조끼 몸체(100); 상기 조끼 몸체(100)에 설치되며,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입력 동작을 입력받는 감지부(200); 상기 조끼 몸체(100)에 설치되며, 외부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는 알람부(300); 및 상기 감지부(200)에 감지된 입력 동작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알람부(3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점검용 조끼{Vest for safety check}
본 발명은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쓰러진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러한 위급상황을 주변의 다른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안전점검용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는 각종 구조물에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것이다.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는 편의상 조명, 공구 등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된다.
이러한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를 착용한 작업자는 어두운 공간(공사 중, 공사 완료, 사용 중, 사용 후의 교량 내부, 건물 내부, 구조물 내부 등)에 들어가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이때, 작업자는 안전 점검 및 진단 수칙표와 안전 점검 및 진단 기구를 비교 검토하면서 안전 점검 및 진단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한손에 조명을 들고 나머지 한손에 안전 점검 및 진단 수칙표와 안전 점검 및 진단 기구를 번갈아들고 안전 점검 및 진단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 수행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25020호의 각형 엘이디에서 발산하는 빛을 프리즘에서 확산시켜서 빛 조사 범위를 넓힌 고휘도 엘이디 광소자를 가진 발광형 안전조끼가 공개되었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조끼에서 조명이 제공되므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안전 점검 및 진단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조명등을 들고 작업하는 불편함이 해소되었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안전 점검 및 진단 작업을 수행하는 상황에서 건강 문제나 여러 외인(화재 등에 의해 호흡기에 질식성 물질이 유입된 상황 등)에 의해 쓰러진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러한 위급상황을 주변의 다른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에게 알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주변의 다른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도 본인의 안전 점검 및 진단 작업에 집중하기 때문에 쓰러진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를 인지하지 못하여 골든타임을 놓치는 상황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쓰러진 위급상황을 주변의 다른 작업자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안전 조끼에 관한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역시 통상의 분위기에서는 어느 정도의 큰 문제 없이 작동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습도의 조건, 특히 외부 온도가 40℃ 이상이고 굵은 방울의 비가 내리는 작업 환경에서는 수분으로 인한 전자적 소자의 오작동이 관찰되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문제 해결이 필요한 상황이다.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25020호 2. 한국 등록특허 제10-2081082호 3. 한국 등록특허 제10-2080739호 4.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137417호 5.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97892호 6.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8836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쓰러진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러한 위급상황을 주변의 다른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안전 조끼를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에 방수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고 경화시킨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미코팅 내피와 외피가 지녔던 통상의 분위기에서의 내약품성, 내유성, 내후성, 내열성, 내오존성, 내마모성 등은 그대로 지니면서, 동시에 상대적으로 높은 작업 온도 (특히 외부 온도가 40℃ 이상) 및 우천 시(특히 굵은 방울의 비가 내리는 작업 환경)에서도 별도의 전자적 소자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 안전 조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a)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조끼 몸체(100), (b) 상기 조끼 몸체(100)에 설치되며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입력 동작을 입력받는 감지부(200), (c) 상기 조끼 몸체(100)에 설치되며 외부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는 알람부(300), (d) 상기 감지부(200)에 감지된 입력 동작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알람부(3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400), 및 (e) 상기 조끼 몸체(100)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조명을 방사하는 조명수단을 포함하는 안전점검용 조끼로서;
상기 감지부(200)는 (b1) 상기 조끼 몸체(100)의 외면에 고정되는 케이스(210), (b2) 일단이 상기 케이스(210)에 관통되는 당김줄(220), (c) 상기 케이스(210)에 내장되고 상기 당김줄(220)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당김줄(220)의 당김을 센싱하여 센싱데이터를 생성하는 당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당김센서를 통하여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상기 당김줄(220)을 당기는 동작을 상기 입력 동작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제어부(400)는 (d1) 상기 당김센서에서 전송된 센싱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당김줄(220)의 당김이 지속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알람부(300)를 작동시키고, 임계값 미만인 경우 오작동으로 판단하는 오작동 판단부(410), (d2) 상기 오작동 판단부(410)에서 전송된 센싱데이터를 예외판단부(430)로 전달하는 오작동 중단부(420), (d3) 상기 오작동 중단부(420)에서 센싱데이터가 전송된 후, 미리 설정된 예외 판단 시간 내에 상기 오작동 중단부(420)에서 센싱데이터가 다시 전송되는 경우 예외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예외 작동부(440)로 전송하는 예외 판단부(430), 및 (d4) 상기 예외 판단부(430)에서 상기 예외 작동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알람부(300)를 작동시키는 예외 작동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당김줄(220)은 길이 변화에 의해 저항값이 변화되는 전도성 탄성체이고, 상기 당김센서는 상기 전도성 탄성체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상기 전도성 탄성체의 당김 여부를 센싱하는 저항센서이며;
상기 당김줄(220)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210)의 하면에 관통되고 상기 당김줄(220)의 타단이 상기 케이스(210)의 하측으로 늘어뜨려지고;
상기 감지부(200)는 상기 당김줄(220)이 수용되는 매듭을 가지고 상기 조끼 몸체(100)의 전방에 재봉되는 고정후크(230)를 포함하며;
상기 조끼 몸체(100)는 작업자의 신체가 수용되는 내피 및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 및 외피는 모두 코팅 조성물로 코팅 후 경화시킨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 조성물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헥사메틸렌 카보네이트 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틸올프로피온산, 트리메틸올 프로판 모노에톡실레이트 메틸 에테르, 하기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스파이로파이란 및 메틸에틸케톤을 혼합한 후 반응시켜 얻은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용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는 위급상황에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입력 동작에 의해 경고음이 발생함으로써,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쓰러진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러한 위급상황을 주변의 다른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 조끼를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에 방수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고 경화시킨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미코팅 내피와 외피가 지녔던 통상의 분위기에서의 내약품성, 내유성, 내후성, 내열성, 내오존성, 내마모성 등은 그대로 지니면서, 동시에 상대적으로 높은 작업 온도 (특히 외부 온도가 40℃ 이상) 및 우천 시(특히 굵은 방울의 비가 내리는 작업 환경)에서도 별도의 전자적 소자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의 고정후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쓰러진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러한 위급상황을 주변의 다른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의 고정후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는 조끼 몸체(100), 감지부(200), 알람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조끼 몸체(100)는 기본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된다. 이러한 조끼 몸체(100)는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신체가 수용되는 내피 및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내피 및 외피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천연고무나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고무는 천연 이소프렌 고무, 합성고무로서 네오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부타디엔 고무, 합성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네오프렌 고무를 포함하는 원단은 클로로프렌고무 또는 이것에 소량의 다른 단위체를 중합시킨 합성고무으로서, 내약품성, 내유성, 내후성, 내열성, 내오존성, 내마모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다만, 내피와 외피를 위와 같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의 원단으로 구성하는 경우, 비교적 높은 온도 (특히 40℃ 이상) 또는 우천 시의 작업 환경에서는 수분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조끼를 구성하는 여러 전자적 소자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전자적 소자의 오작동은 내피와 외피에 방습용 코팅층을 포함시킴으로써 극복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안전 조끼를 구성하는 내피 및 외피는 모두 코팅 조성물로 코팅 후 경화시킨 코팅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헥사메틸렌 카보네이트 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틸올프로피온산, 트리메틸올 프로판 모노에톡실레이트 메틸 에테르,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스파이로파이란 및 메틸에틸케톤을 혼합한 후 반응시켜 얻은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코팅 조성물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0-21중량%, 폴리헥사메틸렌 카보네이트 디올 28-29중량%, 트리메틸올프로판 2-3중량%, 디메틸올프로피온산 3-4중량%, 트리메틸올 프로판 모노에톡실레이트 메틸 에테르 8-9중량%,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스파이로파이란 2-3중량% 및 메틸에틸케톤 34-36중량%을 혼합한 후 반응시켜 얻은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조끼를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에 방수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고 경화시킨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미코팅 내피와 외피가 지녔던 통상의 분위기에서의 내약품성, 내유성, 내후성, 내열성, 내오존성, 내마모성 등은 그대로 지니면서, 동시에 상대적으로 높은 작업 온도 (특히 외부 온도가 40℃ 이상) 및 우천 시(특히 굵은 방울의 비가 내리는 작업 환경)에서도 별도의 전자적 소자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다만, 고온 및 우천의 작업 환경에서도 전자적 소자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 절연성의 효과는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스파이로파이란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위에 열거한 각 코팅 조성물의 함량과 그 중에서도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스파이로파이란의 함량인 2-3중량%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에 기초해서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을 이해하고 재현함에 있어 필요한,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도 필요한 경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7347호 및 제10-1961392호를 포함하여 공지된 문헌을 참고하여 쉽게 습득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조끼 몸체(100)는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에게 휴대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수용부(110)는 조끼 몸체(10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110)는 포켓부(111), 커버부(112), 제1벨크로테이프(113) 및 제2벨크로테이프(114)를 포함할 수 있다.
포켓부(111)는 조끼 몸체(100)의 전방에 형성되며, 휴대물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주머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포켓부(111)는 상부가 개구되어 휴대물품이 투입될 수 있다. 수용부(110)의 개구된 상부는 커버부(112)에 의해 덮어진다.
커버부(112)는 조끼 몸체(100)의 전방에서 포켓부(111)의 상측에 형성되며, 포켓부(111)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역할을 한다. 커버부(112)는 제1벨크로테이프(113) 및 제2벨크로테이프(114)를 매개로 수용부(1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벨크로테이프(113)는 전체가 포켓부(111)의 외면에 수직하게 결합된다.
제2벨크로테이프(114)는 상단에 수평하게 재봉되는 재봉선(114-1)을 매개로 커버부(112)의 외면에 결합되며, 하단 내면의 소정 부분에 제1벨크로테이프(113)에 접착할 수 있는 접착부(11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벨크로테이프(114)가 접착부(114-2)를 매개로 제1벨크로테이프(113)에서 분리된 경우, 제2벨크로테이프(114)는 재봉선(114-1)에 대하여 접힘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벨크로테이프(113) 및 제2벨크로테이프(114)가 상호 분리된 경우, 제2벨크로테이프(114)가 단지 접혀지기만 할 뿐, 커버부(112)가 포켓부(111)를 덮는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포켓부(111)에 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작업하는 용도로 활용하는 것으로, 조끼 몸체(100)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조명을 방사하는 조명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조명수단은 광원, 기판, 전원을 포함함 수 있다. 광원은 LED소자일 수 있으며, 기판은 광원이 부착되며, 전원은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감지부(200)는 조끼 몸체(100)에 설치되며,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입력 동작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감지부(200)는 케이스(210), 당김줄(220), 당김센서(미도시) 및 가속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하며,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입력 동작은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당김줄(220)을 당기는 동작과,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쓰러지는 동작일 수 있다.
케이스(210)는 조끼 몸체(100)의 전방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진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당김센서를 수용한다.
당김줄(220)은 일단이 케이스(210)의 하면에 관통되고 당김줄(220)의 타단이 케이스(210)의 하측으로 늘어뜨려진다. 따라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는 당김줄(220)의 늘어뜨려진 타단을 간편하게 잡아당길 수 있다. 당김줄(220)은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에 의해 더욱 간편하게 잡아당겨질수 있도록 타단에 고리 형태의 손잡이(221)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당김줄(220)은 전도성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전도성 탄성체는 길이 변화에 의해 저항값이 변화되는 특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전도성 탄성체가 2mm의 직경 및 6인치의 길이를 가질 경우, 2.1kohm의 저항값을 가지지만, 10인치의 길이로 늘려진 경우, 3.5Kohm의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당김줄(220)은 고정후크(230)에 의해 고정되어 흔들리는 범위를 좁힐 수 있다. 고정후크(230)는 당김줄(220)이 수용되는 매듭을 가지고 조끼 몸체(100)의 전방에 재봉된다. 따라서 고정후크(230)에 의해 당김줄(220)의 흔들거림이 제한됨에 따라,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당김줄(220)의 흔들거림 때문에 받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있다. 고정후크(230)는 재봉실을 사용할 수 있다.
당김센서는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당김줄(220)을 당기는 동작을 입력동작으로 센싱한다. 즉, 당김센서는 케이스(210)에 내장되고 당김줄(220)의 일단과 연결되며, 당김줄(220)의 당김을 센싱하여 센싱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센싱데이터에는 당김줄(220)의 당김이 지속된 시간이 포함된다. 한편, 당김줄(220)이 전도성 탄성체가 사용되는 경우, 당김센서는 전도성 탄성체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전도성 탄성체의 당김 여부를 센싱하는 저항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가속도센서는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쓰러지는 동작을 입력동작으로 센싱한다. 즉, 가속도센서는 케이스(210)에 내장되고, 케이스(210)의 가속도를 센싱하여 센싱데이터를 센싱한다. 이때 센싱데이터에는 단위시간별 케이스(210)의 평균가속도가 포함된다. 한편, 가속도센서는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쓰러지는 방향이 정해지지 않기 때문에 쓰러짐 방향에 관계없이 쓰러짐을 검출하기 위해 케이스(210)의 3축 방향(좌우방향, 전후방향, 상하방향)의 신호를 제곱하여 더한 신호인 제곱합 신호를 센싱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알람부(300)는 조끼 몸체(100)에 설치되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외부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경고음은 스피커나 헤드셋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감지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감지부(200)에 감지된 입력 동작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알람부(300)를 작동시킨다.
제어부(400)가 당김센서에서 전송된 센싱데이터를 판독할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은 오작동 판단부(410), 오작동 중단부(420), 예외판단부 및 예외 작동부(440)에 의해 결정된다.
오작동 판단부(410)는 조끼 몸체(100)를 착용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어두운 공간을 이동하던 중에 당김줄(220)이 주변 구조물에 걸려 실수로 당겨졌는데도 불구하고 알람부(300)가 작동되는 상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오작동 판단부(410)는 당김센서에서 전송된 센싱데이터를 판독하여, 당김줄(220)의 당김이 지속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알람부(300)를 작동시키고, 임계값 미만인 경우 오작동으로 판단하여 오작동 중단부(420)로 센싱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임계값은 5초 내지 10초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오작동 중단부(420)는 오작동 판단부(410)에서 오작동으로 판단한 경우, 오작동 판단부(410)에서 전송된 센싱데이터를 예외판단부로 전달한다.
예외 판단부(430)는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쓰러져서 정신을 잃으려는 상황에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당김줄(220)의 당김을 지속하는 힘이 부족하여 알람부(300)가 작동안하는 예외상황을 판단하려는 것으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당김줄(220)을 2회 이상 반복적으로 잡아당기는 상황에서 알람부(3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예외 작동 신호를 생성한다.
즉, 예외 판단부(430)는 오작동 중단부(420)에서 센싱데이터가 전송된 후, 미리 설정된 예외 판단 시간 내에 오작동 중단부(420)에서 센싱데이터가 다시 전송되는 경우 예외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예외 작동부(440)로 전송한다. 반면, 미리 설정된 반복시간 내에 오작동 중단부(420)에서 센싱데이터가 다시 전송되지 않은 경우, 당김센서의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당김센서로 전송한다. 따라서 당김센서가 초기화된다.
예외 작동부(440)는 예외 판단부(430)에서 예외 작동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알람부(300)를 작동시킨다.
제어부(400)가 가속도센서에서 전송된 센싱데이터를 판독할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400)는 가속도센서에서 전송된 센싱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판독하여, 단위시간별 케이스(210)의 평균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알람부(300)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는 위급상황에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입력 동작에 의해 경고음이 발생함으로써,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쓰러진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러한 위급상황을 주변의 다른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조끼 몸체 110 : 수용부
111 : 포켓부 112 : 커버부
113 : 제1벨크로테이프 114 : 제2벨크로테이프
114-1 : 재봉선 114-2 : 접착부
200 : 감지부 210 : 케이스
220 : 당김줄 221 : 손잡이
230 : 고정후크 300 : 알람부
400 : 제어부 410 : 오작동 판단부
420 : 오작동 중단부 430 : 예외 판단부
440 : 예외 작동부

Claims (2)

  1. (a)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조끼 몸체(100), (b) 상기 조끼 몸체(100)에 설치되며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입력 동작을 입력받는 감지부(200), (c) 상기 조끼 몸체(100)에 설치되며 외부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는 알람부(300), (d) 상기 감지부(200)에 감지된 입력 동작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알람부(3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400), 및 (e) 상기 조끼 몸체(100)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조명을 방사하는 조명수단을 포함하는 안전점검용 조끼로서;
    상기 감지부(200)는 (b1) 상기 조끼 몸체(100)의 외면에 고정되는 케이스(210), (b2) 일단이 상기 케이스(210)에 관통되는 당김줄(220), (c) 상기 케이스(210)에 내장되고 상기 당김줄(220)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당김줄(220)의 당김을 센싱하여 센싱데이터를 생성하는 당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당김센서를 통하여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상기 당김줄(220)을 당기는 동작을 상기 입력 동작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제어부(400)는 (d1) 상기 당김센서에서 전송된 센싱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당김줄(220)의 당김이 지속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알람부(300)를 작동시키고, 임계값 미만인 경우 오작동으로 판단하는 오작동 판단부(410), (d2) 상기 오작동 판단부(410)에서 전송된 센싱데이터를 예외판단부(430)로 전달하는 오작동 중단부(420), (d3) 상기 오작동 중단부(420)에서 센싱데이터가 전송된 후, 미리 설정된 예외 판단 시간 내에 상기 오작동 중단부(420)에서 센싱데이터가 다시 전송되는 경우 예외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예외 작동부(440)로 전송하는 예외 판단부(430), 및 (d4) 상기 예외 판단부(430)에서 상기 예외 작동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알람부(300)를 작동시키는 예외 작동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당김줄(220)은 길이 변화에 의해 저항값이 변화되는 전도성 탄성체이고, 상기 당김센서는 상기 전도성 탄성체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상기 전도성 탄성체의 당김 여부를 센싱하는 저항센서이며;
    상기 당김줄(220)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210)의 하면에 관통되고 상기 당김줄(220)의 타단이 상기 케이스(210)의 하측으로 늘어뜨려지고;
    상기 감지부(200)는 상기 당김줄(220)이 수용되는 매듭을 가지고 상기 조끼 몸체(100)의 전방에 재봉되는 고정후크(230)를 포함하며;
    상기 조끼 몸체(100)는 작업자의 신체가 수용되는 내피 및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 및 외피는 모두 코팅 조성물로 코팅 후 경화시킨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 조성물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0-21중량%, 폴리헥사메틸렌 카보네이트 디올 28-29중량%, 트리메틸올프로판 2-3중량%, 디메틸올프로피온산 3-4중량%, 트리메틸올 프로판 모노에톡실레이트 메틸 에테르 8-9중량%,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스파이로파이란 2-3중량% 및 메틸에틸케톤 34-36중량%을 혼합한 후 반응시켜 얻은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용 조끼:
    [화학식 1]
    .
  2. 삭제
KR1020220166054A 2022-12-01 2022-12-01 안전점검용 조끼 KR102561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054A KR102561640B1 (ko) 2022-12-01 2022-12-01 안전점검용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054A KR102561640B1 (ko) 2022-12-01 2022-12-01 안전점검용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640B1 true KR102561640B1 (ko) 2023-08-01

Family

ID=8756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054A KR102561640B1 (ko) 2022-12-01 2022-12-01 안전점검용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64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5483B1 (ko) * 1971-02-23 1975-08-23
KR20070025020A (ko) 2005-08-31 2007-03-08 서울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휘도 엘이디 광소자를 이용한 발광형 안전조끼
KR20130137417A (ko) 2012-06-07 2013-12-1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용 의복 미기후 냉난방 장치 및 이를 부착한 의복
KR20170097892A (ko) 2016-02-19 2017-08-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충격감지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KR20190088360A (ko) 2018-01-18 2019-07-26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안전 진단용 조명 조끼
KR102025306B1 (ko) * 2018-08-13 2019-09-25 최성호 콘크리트 건축물의 마루 바닥 시공방법
KR102080739B1 (ko) 2019-11-25 2020-02-24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발열 조끼
KR102081082B1 (ko) 2019-11-26 2020-02-25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5483B1 (ko) * 1971-02-23 1975-08-23
KR20070025020A (ko) 2005-08-31 2007-03-08 서울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휘도 엘이디 광소자를 이용한 발광형 안전조끼
KR20130137417A (ko) 2012-06-07 2013-12-1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용 의복 미기후 냉난방 장치 및 이를 부착한 의복
KR20170097892A (ko) 2016-02-19 2017-08-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충격감지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KR20190088360A (ko) 2018-01-18 2019-07-26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안전 진단용 조명 조끼
KR102025306B1 (ko) * 2018-08-13 2019-09-25 최성호 콘크리트 건축물의 마루 바닥 시공방법
KR102080739B1 (ko) 2019-11-25 2020-02-24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발열 조끼
KR102081082B1 (ko) 2019-11-26 2020-02-25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082B1 (ko)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
US10358196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and methods for use
EP3474958B1 (en) Indicating hazardous exposure in a supplied air respirator system
RU2691296C2 (ru) Средства защиты, включающие систему аварий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KR101595850B1 (ko) 안전 경보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공기호흡기
US20100243783A1 (en) Firefighters tracer line apparatus
US10780960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ving equipment
KR102561640B1 (ko) 안전점검용 조끼
KR102493988B1 (ko) 건축물 점검 및 진단용 안전조끼
US20090287425A1 (en) Safety clothing
KR102493987B1 (ko) 안전진단 및 점검용 조끼
KR102493989B1 (ko) 건축물 점검 및 진단용 안전조끼
WO2017202182A1 (zh) 一种救生绳索装置及救生衣、水上救生设备
JP3205324U (ja) 防護マスク及び防護マスクユニット
KR20120078760A (ko) 추락사고대비용 안전베스트
US4862147A (en) Smoke alarm with dropout smoke hood
KR102431043B1 (ko)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KR20140002679U (ko) 휴대용 자동 팽창식 구명환 어셈블리
KR101835689B1 (ko) 안전 경보 기능이 구비된 호흡장치
US11583710B2 (en) Avalanche survival device comprising a breathing apparatus
CN106132290A (zh) 监视设备和监视系统
KR102540115B1 (ko)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US20040051641A1 (en) Personal alarm system
TWM519614U (zh) 災害自救設備
US797464A (en) Fire-esc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