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560B1 -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560B1
KR102561560B1 KR1020210162084A KR20210162084A KR102561560B1 KR 102561560 B1 KR102561560 B1 KR 102561560B1 KR 1020210162084 A KR1020210162084 A KR 1020210162084A KR 20210162084 A KR20210162084 A KR 20210162084A KR 102561560 B1 KR102561560 B1 KR 102561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rail
fork
manual transmission
lubricat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5664A (ko
Inventor
박형근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560B1/ko
Publication of KR2023007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32Lubricant guiding means on or inside shift rods or shift f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06Vibration-damping or noise reduc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구를 갖는 레일본체와, 상기 레일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구에 유입된 윤활유를 상기 레일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를 구비하는 레일부 및 중공구를 갖고 상기 레일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본체와, 상기 포크본체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되는 제 3 유로와, 상기 포크본체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유로와 연통되는 제 4 유로를 포함하는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OIL SUPPLYING APPARATUS OF THE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 작동에 따른 윤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동변속기의 역전포크 지지용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에는 엔진의 출력을 주행조건에 알맞은 상태로 토크와 회전비로 조정하여 구동바퀴의 추진축에 전하는 변속기가 장착된다.
수동변속기는 운전자의 조작으로 하우징 내부에 크고 작은 기어들의 조합이 변경되어 엔진의 출력을 회전수와 출력 회전토크를 조작된 기어비에 따라 결정하여 출력하는 장치이다.
수동변속기의 변속기 케이스 내부에 나란히 설치된 입력축과 출력축에 각각 다수의 기어들이 설치되어, 입력축이 엔진의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기어비로 조합된 기어에 의하여 입력축에 전달하고, 출력축이 입력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차동장치인 디퍼렌셜 기어(differential gear)에 전달하여 휠을 구동시킨다.
수동변속기에서 동력전달 매개체인 입력축과 출력축의 각 기어는 고속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각 축의 마찰로 인한 기어의 마모 또는 열변성을 방지하고자 윤활 및 냉각작용을 하는 윤활유가 공급된다.
종래의 수동변속기에는 변속기 케이스의 내부에 항상 일정 수위 이상의 윤활유가 채워져 있고, 엔진의 가동에 의해 입력축의 하부에 설치되는 기어의 회전으로 인해 변속기 케이스의 상부측으로 비산된다.
하지만, 종래의 수동변속기는 차량이 변속 주행에 따른 변속단 치합 시 윤활유가 변속기 케이스의 내부에 골고루 비산되지 않으므로, 변속 기어의 윤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8757호(2006.05.04 등록, 발명의 명칭: 수동변속기 차량의 동력전달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 작동에 따른 윤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를 포함한다. 수용구를 갖는 레일본체와, 상기 레일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구에 유입된 윤활유를 상기 레일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를 구비하는 레일부 및 중공구를 갖고 상기 레일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본체와, 상기 포크본체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되는 제 3 유로와, 상기 포크본체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유로와 연통되는 제 4 유로를 구비하는 포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포크부는 상기 레일부상에서 승강 이동되고, 상기 중공구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레일부상에서 상기 포크부와 연동되도록 상기 레일본체의 외주면이 관통되는 이음수단이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음수단은, 상기 중공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이음체 및 상기 제 1 이음체에서 이격된 상기 중공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이음체를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유로가 상기 레일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유로가 상기 제 1 유로에서 이격된 상기 레일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레일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수용구를 향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레일본체를 기준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3 유로가 상기 포크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유로가 상기 제 3 유로에서 이격된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유로 및 상기 제 4 유로는, 상기 포크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중공구로 갈수록 서로 근접하게 기울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의하면, 레일부 및 포크부가 구비됨으로써, 포크부가 레일부상에서 승강 이동되기 때문에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 작동에 대한 윤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포크본체가 제 1 방향인 상승 이동하여 수용구, 제 1 유로, 중공구 및 제 3 유로가 연통되고, 포크본체가 레일부의 안내를 따라 제 2 방향인 하강 이동하여 수용구, 제 2 유로, 중공구 및 제 4 유로와 연통됨으로써, 치합된 기어간의 원활한 동기화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윤활 성능이 향상되어 작동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포크본체가 레일부상에서 승강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치합 기어에 윤활유가 효율적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윤활유의 드래그 현상에 따른 효율 저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본체에 수용구가 형성됨으로써, 윤활유의 외부 공급을 위한 경로와 동시에 레일본체의 자체 중량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설비 관리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가 수동변속기의 중립 작동 시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가 수동변속기의 기어 치합 작동 시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100)는 레일부(110) 및 포크부(130)를 포함한다.
레일부(110)는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케이스(미도시)내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체로써, 내부에 유입된 윤활유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113)를 갖는 레일본체(111)와, 레일본체(111)에 배치되어 수용구(113)에 유입된 윤활유를 레일본체(11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1 유로(115) 및 제 2 유로(117)로 구성된다.
레일부(110)는 레일본체(111)의 외부와 연통된 수용구(113)로 윤활유가 유입되고, 봉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수용구(113)에는 윤활유의 공급 동력원인 펌프설비(미도시)를 통해 윤활유가 유입되고, 펌프설비는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유로(115)는 레일본체(111)의 상부에 배치된 채 레일본체(111)의 외측에서 수용구(113)를 향해 관통 형성되고, 제 1 유로(115)를 통해 레일본체(111)의 외부 및 수용구(113)가 서로 연통되어 수용구(113)에 유입된 윤활유의 공급 경로가 된다.
제 2 유로(117)는 제 1 유로(115)에서 이격된 레일본체(111)의 하부에 배치된 채 레일본체(111)의 외측에서 수용구(113)를 향해 관통 형성되고, 제 2 유로(117)를 통해 레일본체(111)의 외부 및 수용구(113)가 서로 연통되어 수용구(113)에 유입된 윤활유의 공급 경로가 된다.
제 1 유로(115) 및 제 2 유로(117)는 레일본체(111)의 외측에서 수용구(113)를 향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고, 레일본체(111)를 기준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1 유로(115) 및 제 2 유로(117)는 레일본체(111)의 수용구(113)를 향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됨으로써, 레일본체(111)의 수용구(113)에 유입된 윤활유가 레일본체(111)의 외부로 유출되거나 또는 레일본체(111)의 수용구(113)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포크부(130)는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케이스(미도시)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체로써,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구(133)를 갖고 레일부(110)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본체(131)와, 포크본체(131)에 배치되어 제 1 유로(115)와 연통되기 위한 제 3 유로(135) 및 포크본체(131)에 배치되어 제 2 유로(117)와 연통되기 위한 제 4 유로(137)로 구성된다.
포크본체(131)는 레일부(110)상에서 승강 이동되게 레일본체(111)와 결합되고, 레일본체(111)의 길이 방향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포크본체(131)의 상승 이동 시 제 1 유로(115)와 제 3 유로(135)가 서로 연통되고, 포크본체(131)의 하강 이동 시 제 2 유로(117)와 제 4 유로(137)가 서로 연통된다.
제 3 유로(135)는 포크본체(131)의 상부에 배치된 채 포크본체(131)의 외측에서 중공구(133)를 향해 관통 형성되고, 제 3 유로(135)를 통해 레일본체(111)의 제 1 유로(115)와 서로 연통되어 레일본체(111)의 수용구(113)에 유입된 윤활유의 공급 경로가 된다.
제 4 유로(137)는 제 3 유로(135)에서 이격된 포크본체(131)의 하부에 배치된 채 포크본체(131)의 외측에서 중공구(133)를 향해 관통 형성되고, 제 4 유로(137)를 통해 레일본체(111)의 제 2 유로(117)가 서로 연통되어 레일본체(111)의 수용구(113)에 유입된 윤활유의 공급 경로가 된다.
제 3 유로(135) 및 제 4 유로(137)는 포크본체(131)의 외측에서 중공구(133)를 향해 기울어지게 관통 형성되고, 포크본체(131)의 외측에서 중공구(133)로 갈수록 서로 근접하게 기울어진다.
상술한 레일부(110)와 포크부(130)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포크부(130)에는 레일부(110)상에서 승강 이동되고, 중공구(133)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며, 레일부(110)상에서 포크부(130)와 연동되도록 레일본체(111)의 외주면이 관통되는 이음수단(150)이 더 구비된다.
이음수단(150)은 중공구(133)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이음체(151) 및 제 1 이음체(151)에서 이격된 중공구(133)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이음체(153)로 구비되고, 포크본체(131)의 중공구(133)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배치된다.
이음수단(150)은 부시(bush)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포크본체(131)와 연동하면서 포크본체(131)의 승강 이동에 따른 레일본체(111)의 외주면과 포크본체(131)의 중공구(133) 사이에 발생가능한 마찰력을 저감시킨다.
이음수단(150)은 포크본체(131)와 연동하면서 레일본체(111)의 제 1 유로(115) 또는 제 2 유로(117)가 개폐되어 윤활유의 공급이 필요한 경로를 선택적으로 지정가능하다.
이음수단(150)의 제 1 이음체(151)는 포크본체(131)의 상승 이동을 따라 연동되면서 레일본체(111)의 제 1 유로(115)와 연통하고, 이음수단(150)의 제 2 이음체(153)를 통해 레일본체(111)의 제 2 유로(117)가 폐쇄된다.
이음수단(150)의 제 2 이음체(153)는 포크본체(131)의 하강 이동을 따라 연동되면서 레일본체(111)의 제 2 유로(117)와 연통하고, 이음수단(150)의 제 1 이음체(151)를 통해 레일본체(111)의 제 1 유로(115)가 폐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가 윤활유를 공급하는 작동 원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상술한 도 1을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가 수동변속기의 중립 작동 시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가 수동변속기의 기어 치합 작동 시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케이스(미도시) 내부에는 입력부(1), 제 1 출력부(3) 및 제 2 출력부(5)에 각각 복수의 기어수단(미도시)들이 설치되고, 입력부(1)가 엔진의 구동부(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한 기어비로 조합된 기어수단에 의하여 입력부(1)에 전달하고, 이러한 동력을 제 1 및 2 출력부(3, 5)에서 차동장치인 디퍼렌셜부(7)에 전달하여 차량의 휠을 구동시킨다.
입력부(1)과 제 1 및 2 출력부(3, 5)의 각 기어수단은 고속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각 축에 마찰로 인한 기어수단의 마모 또는 열변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윤활과 냉각작용을 하는 윤활유가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100)는 제 2 출력부(3)에 적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윤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100)는 레일부(110) 및 포크부(130)를 포함한다.
레일부(110)는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케이스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체로써, 내부에 유입된 윤활유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113)를 갖는 레일본체(111)와, 레일본체(111)에 배치되어 수용구(113)에 유입된 윤활유를 레일본체(11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1 유로(115) 및 제 2 유로(117)로 구성된다.
포크부(130)는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케이스(미도시)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체로써,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구(133)를 갖고 레일부(110)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본체(131)와, 포크본체(131)에 배치되어 제 1 유로(115)와 연통되기 위한 제 3 유로(135) 및 포크본체(131)에 배치되어 제 2 유로(117)와 연통되기 위한 제 4 유로(137)로 구성된다.
포크부(130)는 레일부(110)상에서 승강 이동되고, 포크본체(131)의 중공구(133)에 포크부(130)와 연동되는 이음수단(150)이 구비되며, 레일부(110)가 이음수단(150)을 관통한다.
이음수단(150)은 중공구(133)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이음체(151) 및 제 1 이음체(151)에서 이격된 중공구(133)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이음체(153)로 구비되고, 포크본체(131)의 중공구(133)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배치된다.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100)는,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포크본체(131)의 일단에 포크본체(131)와 연동하기 위한 슬리브(10)가 결합되어 변속 작동에 따라 제 1 기어(30) 또는 제 2 기어(50)와의 치합을 통해 변속 기어의 동기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100)는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중립 작동 시에 포크부(130)가 레일부(110)상에 배치되어 슬리브(10)와 결합된 채 제 1 기어(30) 또는 제 2 기어(50)와의 변속을 위한 치합이 중지된 상태이다.
레일부(110)는 제 1 이음체(151)를 통해 레일본체(111)의 제 1 유로(115)가 폐쇄되고, 제 2 이음체(153)를 통해 레일본체(111)의 제 2 유로(117)가 폐쇄된 상태를 각각 유지하며, 레일본체(111)의 제 1 유로(115) 및 제 2 유로(117)가 이음수단(150)에 의해 폐쇄됨에 따라 레일본체(111)의 수용구(113)상에 윤활유가 존재하게 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100)는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제 1 변속 작동 시에 포크부(130)가 레일부(110)의 안내를 따라 상승 이동되어 슬리브(10)와 제 1 기어(30)가 상호 치합되고, 레일본체(111)의 수용구(113) 및 제 1 유로(115)와, 포크본체(131)의 중공구(133) 및 제 3 유로(135)가 연통되며, 제 2 유로(117)가 제 2 이음체(153)를 통해 폐쇄된다.
윤활유는 레일본체(111)의 수용구(113)에 유입되고, 제 1 유로(115), 포크본체(131)의 중공구(133) 및 제 3 유로(135)의 경로를 통해 비산되어 슬리브(10)와 치합 상태인 제 1 기어(30)에 공급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100)는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제 2 변속 작동 시에 포크부(130)가 레일부(110)의 안내를 따라 하강 이동되어 슬리브(10)와 제 2 기어(50)가 상호 치합되고, 레일본체(111)의 수용구(113) 및 제 2 유로(117)와, 포크본체(131)의 중공구(133) 및 제 4 유로(137)가 연통되며, 제 1 유로(115)가 제 1 이음체(151)를 통해 폐쇄된다.
상술한 수동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포크부(130)의 위치 변위에 있어서, 포크본체(131)의 제 3 유로(135)와 제 4 유로(137)는 포크본체(131)의 외측에서 중공구(133)를 향해 기울어지게 각각 관통 형성됨으로써, 포크본체(131)에서 제 1 기어(30) 또는 제 2 기어(50) 방향으로의 윤활유 비산이 용이하여 차량의 변속 기어 작동시 윤활 공급이 완활하여 변속 작동에 따른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100)에 의하면, 레일부(110) 및 포크부(130)가 구비됨으로써, 포크부(130)가 레일부(110)상에서 승강 이동되기 때문에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 작동에 대한 윤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레일본체(111)에는 수용구(113)가 형성됨으로써, 윤활유의 외부 공급을 위한 경로와 동시에 레일본체(111)의 자체 중량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설비 관리를 유지할 수 있다.
포크부(130)는 제 1 방향인 상승 이동하여 수용구(113), 제 1 유로(115), 중공구(133) 및 제 3 유로(135)가 연통되고, 포크본체(131)가 레일본체(111)의 안내를 따라 제 2 방향인 하강 이동하여 수용구(113), 제 2 유로(117), 중공구(133) 및 제 4 유로(137)와 연통됨으로써, 치합된 기어간의 원활한 동기화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윤활 성능이 향상되어 작동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포크부(130)는 레일부(110)상에서 승강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치합 기어에 윤활유가 효율적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윤활유의 드래그 현상에 따른 효율 저감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입력부 3: 제 1 출력부
5: 제 2 출력부 7: 디퍼렌셜부
10: 슬리브 30: 제 1 기어
50: 제 2 기어
100: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110: 레일부 111: 레일본체
113: 수용구 115: 제 1 유로
117: 제 2 유로 130: 포크부
131: 포크본체 133: 중공구
135: 제 3 유로 137: 제 4 유로
150: 이음수단 151: 제 1 이음체
153: 제 2 이음체

Claims (6)

  1. 수용구를 갖는 레일본체와, 상기 레일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구에 유입된 윤활유를 상기 레일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를 구비하는 레일부; 및
    중공구를 갖고 상기 레일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본체와, 상기 포크본체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유로와 연통되는 제 3 유로와, 상기 포크본체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유로와 연통되는 제 4 유로를 구비하는 포크부; 를 포함하며,
    상기 포크부는 상기 레일부상에서 승강 이동되고,
    상기 중공구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레일부상에서 상기 포크부와 연동되도록 상기 레일본체의 외주면이 관통되는 이음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수단은,
    상기 중공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이음체 및 상기 제 1 이음체에서 이격된 상기 중공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이음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가 상기 레일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유로가 상기 제 1 유로에서 이격된 상기 레일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레일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수용구를 향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레일본체를 기준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유로가 상기 포크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유로가 상기 제 3 유로에서 이격된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유로 및 상기 제 4 유로는, 상기 포크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중공구로 갈수록 서로 근접하게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KR1020210162084A 2021-11-23 2021-11-23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KR102561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084A KR102561560B1 (ko) 2021-11-23 2021-11-23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084A KR102561560B1 (ko) 2021-11-23 2021-11-23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664A KR20230075664A (ko) 2023-05-31
KR102561560B1 true KR102561560B1 (ko) 2023-07-31

Family

ID=8654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084A KR102561560B1 (ko) 2021-11-23 2021-11-23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5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1620A (ja) 2012-03-02 2013-09-12 Aisin Ai Co Ltd シフト機構
JP2020085021A (ja) 2018-11-16 2020-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歯車変速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9170A (ja) * 1994-12-02 1996-06-18 Daihatsu Motor Co Ltd 同期噛合装置の潤滑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1620A (ja) 2012-03-02 2013-09-12 Aisin Ai Co Ltd シフト機構
JP2020085021A (ja) 2018-11-16 2020-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歯車変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664A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1342B2 (ja) 車両用電動駆動装置
CN107524789B (zh) 车辆用变速器
WO2011122193A1 (ja)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CN103620276A (zh) 动力传输单元
WO2007020433A1 (en) Lubrication of a multi-speed gear transmission by using a shiftfork
KR102561560B1 (ko)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JP4986601B2 (ja) 車両用駆動装置の潤滑構造
JP3783825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のアイドラベアリング潤滑構造
Malashchenko et al. Fundamentals of Creation of New Devices for Speed Change Management
US20110143881A1 (en) Conical friction ring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JP5488509B2 (ja) トロイダル式無段変速機
JPH0531315Y2 (ko)
KR101106229B1 (ko)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KR101641000B1 (ko) 변속기 유닛의 베어링 윤활 장치
JP2018135948A (ja) 変速機
KR970005003Y1 (ko) 자동차용 부변속기의 포켓베어링 윤활구조
JP6097729B2 (ja) 変速機の潤滑構造
JP2001105905A (ja) パワーシフト変速装置
KR101610015B1 (ko) 유성기어장치
KR20080032445A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기어류 윤활장치
KR100439980B1 (ko) 수동변속기의 윤활구조
KR100412810B1 (ko) 무단변속기의 밸런스피스톤 오일공급장치
KR100820201B1 (ko) 차량용 무단변속기
KR100747192B1 (ko) 차량의 차동장치
KR20090059374A (ko) 변속기의 윤활 공급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