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477B1 -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477B1
KR102561477B1 KR1020160101762A KR20160101762A KR102561477B1 KR 102561477 B1 KR102561477 B1 KR 102561477B1 KR 1020160101762 A KR1020160101762 A KR 1020160101762A KR 20160101762 A KR20160101762 A KR 20160101762A KR 102561477 B1 KR102561477 B1 KR 102561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ressure
area
max
lev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8764A (ko
Inventor
웨이 성 쑤
주니어 홍 천
샤오-이 린
펑-쉔 황
Original Assignee
에버디스플레이 옵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디스플레이 옵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버디스플레이 옵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08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고, 그 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자세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기저장하고, 현재 압력Fnow,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 상기 최대 압력Fmax과 상기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 넷 사이의 함수 관계를 기설정하며, 적어도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고, 각 레벨의 상기 압력 레벨수는 상기 현재 압력Fnow과 상기 최대 압력Fmax의 상이한 비율 범위와 대응되는 단계;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가 상기 현재 압력Fnow하에서 터치된 상기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탐지 및 통계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상기 함수 관계에 따라, 상기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해 상기 현재 압력Fnow과 상기 최대 압력Fmax의 비율을 산출하여, 현재 압력Fnow의 압력 레벨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IDENTIFYING TOUCH PRESSURE}
본 발명은 센싱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컨트롤 소자를 이용하여 실현되는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는 전자 기기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바, 예를 들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모니터는 유기 발광 재료를 사용하여 빛을 산생시킨다. 많은 전자 기기는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기능성을 모니터에 결부시킨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스크린의 터치 명령, 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가볍게 두드리거나 쓸어 넘기는(swipe) 것을 통해 기기와 인터랙션할 수 있도록 한다.
전형적인 터치 스크린은 용량성 트랜스듀서의 어레이가 구비된 터치 센서 패널을 포함한다. 터치 센서의 처리 회로는 용량성 트랜스듀서의 정전 용량 변화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현재 터치 어레이를 접촉하고 있는 위치를 결정한다.
모니터에 터치 패널을 집성시키는 것은 터치 센싱 능력을 구비하는 모니터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지만, 모니터의 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현재, 애플사에서는 최신 터치 압력 감응 기술- ForceTouch를 출시하였다. 스크린의 배면에 ForceTouch 부재를 집성시키는 것을 통해, 기기는 가벼운 압력 및 무거운 압력의 힘을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상이한 대응 기능을 조절해 낸다. 그러나 현재 상기 기술을 사용하면 외관 디자인에 영향을 일으켜 프레임이 좁아질 수 없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발명자는 이동 단말기가 받는 터치 압력의 힘의 크기를 구별하기 위한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선행기술 중의 흠결에 대하여,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곤란을 극복하고, 기본상 하드웨어를 증가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동 단말기가 받는 터치 압력의 힘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터치 컨트롤 소자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사용되는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자세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기저장하고, 현재 압력Fnow,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 최대 압력Fmax과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 넷 사이의 함수 관계를 기설정하며, 적어도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고, 각 레벨의 압력 레벨수는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의 상이한 비율 범위와 대응되는 단계A;
터치 컨트롤 소자가 현재 압력Fnow하에서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탐지 및 통계하는 단계C; 및
기설정된 함수 관계에 따라,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해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의 비율을 산출하여, 현재 압력Fnow의 압력 레벨수를 결정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설정된 함수 관계는 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A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적어도 2개의 자세 각자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 및 각각의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을 기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계A 이후에, 현재 터치된 영역의 형상에 대응되는 터치 자세를 판정하는 단계B를 더 포함하며,
단계D는, 단계B에서 결정된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 자세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A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면 터치 자세와 측면 터치 자세 각자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기저장하고, 정면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을 원형으로, 측면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을 타원형으로 기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B는 단계C 이후에 진행되거나, 또는 단계B는 단계C와 동시에 진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A는, 적어도 2가지 상이한 작동을 기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작동은 상이한 레벨의 압력 레벨수와 대응된다.
단계D 이후에, 단계D에서 결정된 압력 레벨수에 대응되는 작동을 진행하는 단계E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A는, 적어도 2가지 상이한 작동을 기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작동은 임의의 터치 자세하에서의 상이한 레벨의 압력 레벨수에 대응되며,
단계D 이후에, 단계D에서 결정된 압력 레벨수에 따라 대응되는 작동을 진행하는 단계E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A는, 적어도 2가지 상이한 작동을 기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작동은 하나의 터치 자세하에서의 상이한 레벨의 압력 레벨수에 대응되며,
단계D 이후에, 단계B에 의해 판정된 터치 자세 및 단계D에서 결정된 압력 레벨수에 따라 대응되는 작동을 진행하는 단계E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터치 컨트롤 소자는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용량성 트랜스듀서 어레이(capacitive type transducer array)로서, 각각의 용량성 트랜스듀서는 터치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과 터치되지 않은 제2 상태 정전 용량 값을 구비하고, 터치된 상태에 처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의 용량성 트랜스듀서의 총수를 통계하는 것을 통해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과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되, 제1레벨 압력 레벨수의 비율 범위는 0% 내지 5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의 비율 범위는 51% 내지 100%이다.
바람직하게는, 3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되,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6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61% 내지 80%이며, 제3레벨 압력 레벨수는 81% 내지 100%이다.
바람직하게는, 4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되,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25%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26% 내지 50%이며, 제3레벨 압력 레벨수는 51% 내지 75%이고, 제4레벨 압력 레벨수는 76% 내지 100%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 컨트롤 소자를 구비하는 패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자세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기저장하고, 현재 압력Fnow,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 최대 압력Fmax과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 넷 사이의 함수 관계를 기설정하며, 적어도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고, 각 레벨의 압력 레벨수는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의 상이한 비율 범위와 대응되는 메모리; 및
터치 컨트롤 소자와 메모리를 각각 연결하고,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계하며, 기설정된 함수 관계에 따라,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해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의 비율을 산출하여, 현재 압력Fnow의 압력 레벨수를 결정하는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설정된 함수 관계는 이다.
바람직하게는, 메모리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적어도 2개의 자세 각자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 및 각각의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을 기저장하고,
처리모듈은, 현재 터치된 영역의 형상이 어느 터치 자세에 속하는 지를 판정하며, 결정된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 자세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메모리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면 터치 자세와 측면 터치 자세 각자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기저장하고, 정면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은 원형이며, 측면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은 타원형이다.
바람직하게는, 메모리는, 적어도 2가지 상이한 작동을 기저장하고 기설정하며, 각각의 작동은 상이한 레벨의 압력 레벨수와 대응되고,
처리모듈은, 현재 압력Fnow의 압력 레벨수에 대응되는 작동을 진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메모리는, 적어도 2가지 상이한 작동을 기저장하고 기설정하며, 각각의 작동은 임의의 터치 자세하에서의 상이한 레벨의 압력 레벨수에 대응되고,
처리모듈은, 결정된 압력 레벨수에 따라 대응되는 동작을 진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메모리는, 적어도 2가지 상이한 작동을 기저장하고 기설정하며, 각각의 작동은 하나의 터치 자세하에서의 상이한 레벨의 압력 레벨수에 대응된다.
처리모듈은, 판정된 터치 자세 및 결정된 압력 레벨수에 따라 대응되는 작동을 진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터치 컨트롤 소자는,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용량성 트랜스듀서 어레이로서, 각각의 용량성 트랜스듀서는 터치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과 터치되지 않은 제2 상태 정전 용량 값을 구비한다.
처리모듈은, 터치된 상태에 처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의 용량성 트랜스듀서의 총수를 통계하는 것을 통해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과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메모리는,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저장하고 기설정하며,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5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51% 내지 100%이다.
바람직하게는, 메모리는, 3개 레벨 압력 레벨수를 기저장하고 기설정하며,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6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61% 내지 80%이며, 제3레벨 압력 레벨수는 81% 내지 100%이다.
바람직하게는, 메모리는, 4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저장하고 기설정하며,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25%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26% 내지 50%이며, 제3레벨 압력 레벨수는 51% 내지 75%이고, 제4레벨 압력 레벨수는 76% 내지 100%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전자종이 중의 하나이다.
이에 감안하여, 본 발명의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는 기본상 하드웨어를 증가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동 단말기가 받는 터치 압력의 힘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비한정적인 실시예에 대해 진행한 상세한 묘사를 열독하는 것을 통해,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목적 및 장점은 더욱 뚜렷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면 터치 자세를 통해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를 누르는 모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면 터치 자세를 통해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를 눌러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형성하는 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면 터치 자세를 통해 현재 압력Fnow하에서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를 누르는 모식도이다.
도5는 본 발명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면 터치 자세를 통해 현재 압력Fnow하에서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를 눌러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형성하는 모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터치 자세를 통해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를 눌러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형성하는 모식도이다.
도8은 본 발명 중의 사용자의 손가락이 측면 터치 자세를 통해 현재 압력Fnow하에서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를 눌러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형성하는 모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형태를 더욱 전면적으로 설명하고 예시하기로 한다. 그러나, 예시되는 실시형태는 다양한 형식으로 실시될 수 있고, 여기서 서술하는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음을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이러한 실시형태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이 전면적이고 완전하게 되며, 예시되는 실시형태의 사상을 전면적으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전달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조를 표시하므로, 이들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되는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형태에 결합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 많은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충분히 이해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특정된 세부사항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 또는 기타 방법, 조합, 재료 등의 사용이 없이도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을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부 상황에서, 본 발명이 모호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지된 구조, 재료 또는 작동을 상세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스크린(10), 처리모듈(4)과 메모리(5)를 포함하는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스크린(10)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중첩되어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유리(1), 터치 컨트롤 소자(2) 및 디스플레이 부재(3)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전자종이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10)을 구비하는 휴대폰을 예로 들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처리모듈(4)은 휴대폰 내부의 메인 플레이트에 집성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휴대폰 칩에 집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메모리(5)는 휴대폰 내부의 메모리일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휴대폰의 ROM 또는 메모리 카드일 수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스크린(10)은 휴대폰 패널일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 중의 터치 컨트롤 소자(2)는 휴대폰 패널 중, 터치 동작을 검출하기 위한 용량성 트랜스듀서 어레이(21)일 수 있고, 각각의 용량성 트랜스듀서는 터치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과 터치되지 않은 제2 상태 정전 용량 값을 구비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메모리(5)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컨트롤 소자(2)를 터치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기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은 휴대폰 내에 기저장되는 하나의 최대 면적 표준에 속하고, 사용자가 이후에 매번 스크린(10)을 눌러 산생되는 면적을 모두 이 최대 면적 표준과 비교하여, 누르는 힘의 크기를 판정한다.
메모리(5)에 현재 압력Fnow,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 최대 압력Fmax과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 넷 사이의 함수 관계를 기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5)에 기설정된 함수 관계는 이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기타의 함수 관계일 수도 있다(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컨트롤 소자(2)를 누르는 힘은 기본적으로 누름 시 산생되는 접촉 면적의 스위치와 정비례되고, 관련되는 수학 공식은 여기서 더이상 유추하지 않는다).
메모리(5)에 적어도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고, 각 레벨의 압력 레벨수는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의 상이한 비율 범위에 대응된다. 처리모듈(4)은 터치 컨트롤 소자(2)와 메모리(5)를 연결시키고, 터치 컨트롤 소자(2)가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계하며, 기설정된 함수 관계에 따라,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해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의 비율을 산출하여 현재 압력Fnow의 압력 레벨수를 결정한다. 각 레벨의 압력 레벨수는 동일한 크기의 비율 범위 또는 상이한 크기의 비율 범위에 대응될 수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메모리(5)는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저장하고 기설정하는 바, 여기서,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5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51% 내지 100%이다. 또는, 메모리(5)는 3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저장하고 기설정하는 바, 여기서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6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61% 내지 80%이며, 제3레벨 압력 레벨수는 81% 내지 100%이다. 또는, 메모리(5)는 4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저장하고 기설정하는 바, 여기서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25%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26% 내지 50%이며, 제3레벨 압력 레벨수는 51% 내지 75%이고, 제4레벨 압력 레벨수는 76% 내지 100%이며 이에 한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누르는 힘의 크기의 레벨수를 더욱 정확하게 구분하도록 더욱 많은 레벨수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 중의 처리모듈(4)은 터치된 상태에 처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의 용량성 트랜스듀서의 총수를 통계하는 것을 통해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과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산출한다. 처리모듈(4)은 현재 압력Fnow의 압력 레벨수에 따라 대응되는 작동을 진행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사용되는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0: 사용자의 손가락이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를 기저장한다.
현재 압력Fnow,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 최대 압력Fmax과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 넷 사이의 함수 관계를 기설정하며, 본 실시예 중의 기설정된 함수 관계는 이고, 이에 한하지 않는다.
적어도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고, 각 레벨의 압력 레벨수는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의 상이한 비율 범위에 대응된다. 예를 들면: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는 바,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5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51% 내지 100%이며,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는, 3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는 바,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6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61% 내지 80%이며, 제3레벨 압력 레벨수는 81% 내지 100%이고,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는, 4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는 바,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25%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26% 내지 50%이며, 제3레벨 압력 레벨수는 51% 내지 75%이고, 제4레벨 압력 레벨수는 76% 내지 100%이며, 이에 한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누르는 힘의 크기의 레벨수를 더욱 정확하게 구분하도록 더욱 많은 레벨수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매번 누르는 힘의 크기가 여러 상황에서 랜덤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기에, 지나치게 많은 레벨수는 오히려 사용자가 오작동하기 용이하게 하여, 5개 레벨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 또는 3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가 가장 바람직하고, 또한 기능이 상이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구분하는 요구를 만족하여도 오작동이 용이하게 발생되지 않는다.
적어도 2가지 상이한 작동을 기설정하고, 각각의 작동은 상이한 레벨의 압력 레벨수와 대응된다. 각 레벨의 압력 레벨수에 따라 한가지 작동을 설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확인, 돌아가기, 메인 페이지로 돌아가기, 기능 메뉴를 열기 등등이고, 이에 한하지 않는다.
단계101: 터치 컨트롤 소자가 현재 압력Fnow하에서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계한다. 본 실시예 중의 터치 컨트롤 소자는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용량성 트랜스듀서 어레이일 수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각각의 용량성 트랜스듀서는 터치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과 터치되지 않은 제2 상태 정전 용량 값을 구비하고, 터치된 상태에 처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의 용량성 트랜스듀서의 총수를 통계하는 것을 통해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산출한다.
단계102: 기설정된 함수 관계에 따라,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해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의 비율을 산출하여, 현재 압력Fnow의 압력 레벨수를 결정한다.
단계103: 단계102에서 결정한 압력 레벨수에 대응되는 작동을 진행한다.
도1과 도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우선 휴대폰에서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최대 압력Fmax으로 스크린(10)을 눌러야 하고, 터치 컨트롤 소자(2)의 용량성 트랜스듀서 어레이(21) 중의 하나의 영역의 정전 용량이 눌러지게 되면, 처리모듈(4)은 터치 컨트롤 소자(2)가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계하여, 최대 압력Fmax에 대응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즉 도3 중의 71인 바, 71은 정면 터치 자세의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임)을 10000(가상 수치이고, 이에 한하지 않는다)으로 한다. 또한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 사이의 비율이 0% 내지 50% 사이에 있는 것, 즉 가볍게 누른 것을 제1레벨 압력 레벨수로 설정하고,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 사이의 비율이 51% 내지 100% 사이에 있는 것, 즉 세게 누른 것을 제2레벨 압력 레벨수로 설정한다.
추후의 일상 사용 중에서,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매번 손가락으로 스크린(10)을 누를 때, 처리모듈(4)은 터치 컨트롤 소자가 현재 압력Fnow하에서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즉 도5 중의 72이고, 72는 정면 터치 자세의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임)을 모두 7000(가상 수치이고, 이에 한하지 않는다)으로 통계한다. 다음, 기설정된 함수 관계 를 통해 산출하여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 사이의 비율이 84%(가상 수치이고, 이에 한하지 않는다)이면, 사용자의 현재 압력Fnow은 제2레벨 압력 레벨수인 바, 즉 세게 누른 것이다. 다음 세게 누르는 작동과 대응되는 후속적인 작동을 진행할 수 있고, 여기서 더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분명한 것은, 본 발명에서 기본상 하드웨어를 증가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비록 사용자의 손가락의 최대 압력Fmax 및 현재 압력Fnow의 실제 물리량의 크기를 측정하지 않았지만, 압력과 서로 대응되는 프레스(press) 면적의 면적 변화를 통해 양자 사이의 비례 관계를 산출하여 얻고, 그 다음 비례 관계를 통해 프레스 동작의 상이한 힘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이동 단말기가 받는 터치 압력의 힘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구분한다.
제2 실시예
일상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는 정면 터치 자세와 측면 터치 자세와 같은 상이한 프레스 방식을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누를 수 있기에, 이때 비록 사용자가 주관적으로 사용하는 힘이 동일하지만, 손가락이 편원형(oblate)이고, 정면 터치 자세의 면적 변화와 측면 터치 자세의 최대 면적이 일치하지 않기에, 후속되는 프레스에서 사용자의 의도로 정확하게 환원시키고, 터치 압력을 받는 힘의 크기를 더욱 정확하게 구분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의 상이한 터치 자세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두가지 터치 자세만 예로 들었으나, 더욱 다양한 자세로 구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여기서 더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사용되는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0: 도3, 도5, 도7, 도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면 터치 자세와 측면 터치 자세 각자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도3 중의 71, 도5 중의 72, 도7 중의 73, 도8 중의 74를 참조바람, 여기서 71은 정면 터치 자세의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이고; 72는 정면 터치 자세의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이며; 73은 측면 터치 자세의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이고; 74는 측면 터치 자세의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임)을 기저장한다. 또한 정면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을 거의 원형(Suborbicular)으로, 측면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 거의 타원형으로 기저장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현재 압력Fnow,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 최대 압력Fmax과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 넷 사이의 함수 관계를 기설정하며, 본 실시예 중의 기설정된 함수 관계는 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적어도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고, 각 레벨의 압력 레벨수는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의 상이한 비율 범위에 대응된다. 예를 들면: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는 바,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5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51% 내지 100%이며,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는, 3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는 바,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6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61% 내지 80%이며, 제3레벨 압력 레벨수는 81% 내지 100%이고,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는, 4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는 바,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25%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26% 내지 50%이며, 제3레벨 압력 레벨수는 51% 내지 75%이고, 제4레벨 압력 레벨수는 76% 내지 100%이며, 이에 한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누르는 힘의 크기의 레벨수를 더욱 정확하게 구분하도록 더욱 많은 레벨수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매번 누르는 힘의 크기가 여러 상황에서 랜덤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기에, 지나치게 많은 레벨수는 오히려 사용자가 오작동하기 용이하게 하여, 5개 레벨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 또는 3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가 가장 바람직하고, 또한 기능이 상이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구분하는 요구를 만족하여도 오작동이 용이하게 발생되지 않는다.
적어도 2가지 상이한 작동을 기설정하고, 각각의 작동은 임의의 터치 자세하에서의 상이한 레벨의 압력 레벨수에 대응된다. 즉 정면 터치 자세거나 측면 터치 자세를 막론하고, 단지 최종적으로 산출하여 얻은 압력 레벨수(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의 비율이 속하는 비율 범위)에 따라 구체적인 작동을 결정하는 바, 예를 들면: 정면 터치 자세하에서의 세게 누름과 측면 터치 자세하에서의 세게 누름은 동일한 첫번째 작동을 실행하게 되고, 정면 터치 자세하에서의 가볍게 누름과 측면 터치 자세하에서의 가볍게 누름은 동일한 두번째 작동을 실행한다.
단계201: 현재 터치된 영역의 형상에 대응되는 터치 자세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선행기술의 도형 인식 기술을 통해 판정할 수 있고, 현재 터치된 영역의 가로-세로 비율, 윤곽 궤적 등을 감지하는 것을 통해, 현재 터치된 영역이 거의 원형에 속하거나, 또는 거의 타원형에 속하는 지를 구분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면 터치 자세인지 아니면 측면 터치 자세인지 판정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선행기술의 여러가지 도형 인식은 모두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고, 여기서 더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단계202: 터치 컨트롤 소자가 현재 압력Fnow하에서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계한다. 본 실시예 중의 터치 컨트롤 소자는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용량성 트랜스듀서 어레이일 수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각각의 용량성 트랜스듀서는 터치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과 터치되지 않은 제2 상태 정전 용량 값을 구비하고, 터치된 상태에 처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의 용량성 트랜스듀서의 총수를 통계하는 것을 통해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산출한다. 본 실시예 중의 단계201(형상 판정)과 단계202(면적 산출)의 순서는 교환될 수 있거나, 또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는다.
단계203: 기설정된 함수 관계에 따라,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해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의 비율을 산출하여, 현재 압력Fnow의 압력 레벨수를 결정한다. 즉 만약 정면 터치 자세이면,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과 정면 터치 자세의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비교하여 비율을 산출한다. 만약 측면 터치 자세이면,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과 측면 터치 자세의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비교하여 비율을 산출한다.
단계204: 단계203에서 결정한 압력 레벨수에 대응되는 작동을 진행한다. 즉 정면 터치 자세거나 측면 터치 자세를 막론하고, 단지 최종적으로 산출하여 얻은 압력 레벨수에 따라 구체적인 작동을 결정한다.
제1 실시예와 비교하면, 제2 실시예는 자세를 구분하는 것을 통해, 더욱 정확하게 사용자가 누르고자 하는 힘을 획득할 수 있어, 상이한 자세가 누르는 힘의 크기를 구별하는 것에 대한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인식의 정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제3 실시예
일상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손가락이 3개 레벨 또는 4개 레벨 이상의 상이한 누르는 힘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기 매우 어렵고, 주관적으로 사용자는 미세한 힘의 강도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어렵기에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정면 터치 자세 또는 측면 터치 자세를 사용하면 주관적으로 제어하기 용이하기에 오류가 쉽사리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프레스 입력의 다양성을 효과적으로 확장하기 위해, 더욱 간편하게 다양한 입력 방식을 획득하도록 터치 자세와 누르는 힘인 2개의 파라미터를 결부하여 구분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사용되는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0: 도3, 도5, 도7, 도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면 터치 자세와 측면 터치 자세 각자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도3 중의 71, 도5 중의 72, 도7 중의 73, 도8 중의 74를 참조하면, 여기서 71은 정면 터치 자세의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이고; 72는 정면 터치 자세의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이며; 73은 측면 터치 자세의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이고; 74는 측면 터치 자세의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임)을 기저장한다. 또한 정면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을 거의 원형으로, 측면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을 거의 타원형으로 기저장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현재 압력Fnow,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 최대 압력Fmax과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 넷 사이의 함수 관계를 기설정하며, 본 실시예 중의 기설정된 함수 관계는 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적어도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고, 각 레벨의 압력 레벨수는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의 상이한 비율 범위에 대응된다. 예를 들면: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는 바,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5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51% 내지 100%이며,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는, 3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는 바,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6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61% 내지 80%이며, 제3레벨 압력 레벨수는 81% 내지 100%이고, 이에 한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누르는 힘의 크기의 레벨수를 더욱 정확하게 구분하도록 더욱 많은 레벨수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매번 누르는 힘의 크기가 여러 상황에서 랜덤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기에, 지나치게 많은 레벨수는 오히려 사용자가 오작동하기 용이하게 하여, 5개 레벨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 또는 3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가 가장 바람직하고, 또한 기능이 상이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구분하는 요구를 만족하여도, 오작동이 용이하게 발생되지 않는다.
적어도 2가지 상이한 작동을 기설정하고, 각각의 작동은 한가지 터치 자세하에서의 상이한 레벨의 압력 레벨수에 대응된다. 즉 정면 터치 자세하에서의 상이한 압력 레벨수가 몇가지 후속적인 작동에 대응되거나, 측면 터치 자세하에서의 상이한 압력 레벨수가 이 밖의 몇가지 후속적인 작동에 대응되는 것을 막론하고, 터치 자세와 압력 레벨수 두개의 파라미터로 구체적인 후속 작동을 결정해야 한다. 보다시피, 압력 레벨수의 크기가 얼마인지를 막론하고, 정면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후속 작동과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후속 작동은 상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가락의 프레스 입력의 다양성을 확장한다.
단계301: 현재 터치된 영역의 형상에 대응되는 터치 자세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선행기술의 도형 인식 기술을 통하여 판정할 수 있고, 현재 터치된 영역의 가로-세로 비율, 윤곽 궤적 등을 감지하는 것을 통해 판정할 수 있으며, 현재 터치된 영역이 거의 원형에 속하거나, 또는 거의 타원형에 속하는 지를 구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면 터치 자세 인지 아니면 측면 터치 자세인지 판정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선행기술의 여러가지 도형 인식은 모두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고, 여기서 더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단계302: 터치 컨트롤 소자가 현재 압력Fnow하에서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계한다. 본 실시예 중의 터치 컨트롤 소자는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용량성 트랜스듀서 어레이일 수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각각의 용량성 트랜스듀서는 터치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과 터치되지 않은 제2 상태 정전 용량 값을 구비하고, 터치된 상태에 처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의 용량성 트랜스듀서의 총수를 통계하는 것을 통해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산출한다. 본 실시예 중의 단계301(형상 판정)와 단계302(면적 산출)의 순서는 교환될 수 있고, 또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는다.
단계303: 기설정된 함수 관계에 따라,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해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의 비율을 산출하여, 현재 압력Fnow의 압력 레벨수를 결정한다. 즉 만약 정면 터치 자세이면,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과 정면 터치 자세의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비교하여 비율을 산출한다. 만약 측면 터치 자세이면,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과 측면 터치 자세의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비교하여 비율을 산출한다.
단계304: 단계301에서 결정한 터치 자세 및 단계303에서 결정한 압력 레벨수에 따라 구체적인 후속 작동을 공통적으로 결정한다.
제1 실시예와 비교하면, 제3 실시예는 자세를 구분하는 것을 통해, 더욱 정확하게 사용자가 누르고자 하는 힘을 획득할 수 있어, 상이한 자세가 누르는 힘의 크기를 구별하는 것에 대한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인식의 정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제2 실시예와 비교하면, 제3 실시예는 배수의 형식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프레스 입력의 다양성을 대폭 확장시켜, 간편하게 다양한 입력 방식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알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는 기본상 하드웨어를 증가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동 단말기가 받는 터치 압력의 힘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구분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특정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또는 보정을 진행할 수 있는 바, 이는 본 발명의 실질적인 내용에 영향주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1: 커버 플레이트 유리
2: 터치 컨트롤 소자
21: 용량성 트랜스듀서 어레이
3: 디스플레이 부재
4: 처리모듈
5: 메모리
61: 최대 압력Fmax하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
62: 현재 압력Fnow하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
71: 정면 터치 자세의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
72: 정면 터치 자세의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
73: 측면 터치 자세의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
74: 측면 터치 자세의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
10: 스크린

Claims (20)

  1. 터치 컨트롤 소자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사용되는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자세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기저장하고, 현재 압력Fnow,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 상기 최대 압력Fmax과 상기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 넷 사이의 함수 관계를 기설정하며, 적어도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고, 각 레벨의 상기 압력 레벨수는 상기 현재 압력Fnow과 상기 최대 압력Fmax의 상이한 비율 범위와 대응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적어도 2개의 자세 각자의 상기 최대 압력Fmax하에서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상기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 및 각각의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을 기저장하고, 적어도 2가지 상이한 작동을 기설정하며, 각각의 작동은 임의의 터치 자세하에서의 상이한 레벨의 압력 레벨수에 대응되는 단계A;
    현재 터치된 영역의 형상에 대응되는 터치 자세를 판정하는 단계B;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가 상기 현재 압력Fnow하에서 터치된 상기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탐지 및 통계하는 단계C;
    상기 단계B에서 결정된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 자세의 상기 최대 압력Fmax하에서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상기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선택하고, 기설정된 상기 함수 관계에 따라, 상기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해 상기 현재 압력Fnow과 상기 최대 압력Fmax의 비율을 산출하여, 현재 압력Fnow의 압력 레벨수를 결정하는 단계D; 및
    상기 단계B에 의해 판정된 터치 자세 및 상기 단계D에서 결정된 압력 레벨수에 따라 대응되는 작동을 진행하는 단계E;를 포함하고,
    기설정된 상기 함수 관계는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면 터치 자세와 측면 터치 자세 각자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기저장하고, 상기 정면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을 원형으로, 상기 측면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을 타원형으로 기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는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용량성 트랜스듀서 어레이(capacitive type transducer array)로서, 각각의 용량성 트랜스듀서는 터치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과 터치되지 않은 제2 상태 정전 용량 값을 구비하고, 터치된 상태에 처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의 상기 용량성 트랜스듀서의 총수를 통계하는 것을 통해 최대 압력Fmax하에서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과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되, 제1레벨 압력 레벨수의 비율 범위는 0% 내지 5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의 비율 범위는 5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3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되,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6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61% 내지 80%이며, 제3레벨 압력 레벨수는 8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4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되,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25%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26% 내지 50%이며, 제3레벨 압력 레벨수는 51% 내지 75%이고, 제4레벨 압력 레벨수는 76%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10. 제1항에 따른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 컨트롤 소자를 구비하는 패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자세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기저장하고, 현재 압력Fnow,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 최대 압력Fmax과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 넷 사이의 함수 관계를 기설정하며, 적어도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설정하고, 각 레벨의 압력 레벨수는 현재 압력Fnow과 최대 압력Fmax의 상이한 비율 범위와 대응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적어도 2개의 자세 각자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 및 각각의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을 기저장하고, 적어도 2가지 상이한 작동을 기설정하여 기저장하며, 각각의 작동은 임의의 터치 자세하에서의 상이한 레벨의 압력 레벨수에 대응되는 메모리; 및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와 메모리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계하며, 현재 터치된 영역의 형상이 어느 터치 자세에 속하는 지를 판정하고, 결정된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 자세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선택하며, 기설정된 함수 관계에 따라, 상기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통해 상기 현재 압력Fnow과 상기 최대 압력Fmax의 비율을 산출하여, 현재 압력Fnow의 압력 레벨수를 결정하고, 판정된 터치 자세 및 결정된 압력 레벨수에 따라 대응되는 작동을 진행하는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함수 관계는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면 터치 자세와 측면 터치 자세 각자의 최대 압력Fmax하에서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를 터치하는 상기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을 기저장하고, 상기 정면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은 원형이며, 상기 측면 터치 자세에 대응되는 터치된 영역의 형상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는, 터치 동작을 검출하는 용량성 트랜스듀서 어레이로서, 각각의 용량성 트랜스듀서는 터치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과 터치되지 않은 제2 상태 정전 용량 값을 구비하고,
    상기 처리모듈은, 터치된 상태에 처한 제1 상태 정전 용량 값의 용량성 트랜스듀서의 총수를 통계하는 것을 통해 최대 압력Fmax하에서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최대 터치 영역의 면적Smax과 상기 터치 컨트롤 소자가 터치된 현재 터치 영역의 면적Snow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2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저장하고 기설정하며,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5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5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3개 레벨 압력 레벨수를 기저장하고 기설정하며,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60%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61% 내지 80%이며, 제3레벨 압력 레벨수는 8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4개 레벨의 압력 레벨수를 기저장하고 기설정하며, 제1레벨 압력 레벨수는 0% 내지 25%이고, 제2레벨 압력 레벨수는 26% 내지 50%이며, 제3레벨 압력 레벨수는 51% 내지 75%이고, 제4레벨 압력 레벨수는 76%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전자종이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압력을 구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60101762A 2016-03-17 2016-08-10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KR102561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152569.9 2016-03-17
CN201610152569.9A CN107203290B (zh) 2016-03-17 2016-03-17 一种区分触摸压力的方法及其移动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764A KR20170108764A (ko) 2017-09-27
KR102561477B1 true KR102561477B1 (ko) 2023-07-31

Family

ID=5984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762A KR102561477B1 (ko) 2016-03-17 2016-08-10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38726B2 (ko)
KR (1) KR102561477B1 (ko)
CN (1) CN1072032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68753B (zh) * 2016-09-09 2023-08-22 森赛尔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和表征触摸传感器上的输入的系统
CN108170319A (zh) * 2018-01-29 2018-06-15 苏州艾拓琪光电有限公司 一种触摸屏压力识别处理方法
CN112381545A (zh) * 2020-11-20 2021-02-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身份验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4443A (zh) * 2015-08-21 2015-11-25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压力检测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5458B2 (en) * 2007-09-28 2012-02-28 Microsoft Corporation Detecting finger orientation on a touch-sensitive device
US8604364B2 (en) * 2008-08-15 2013-12-10 Lester F. Ludwig Sensors, algorithms and applications for a high dimensional touchpad
US20100201615A1 (en) * 2009-02-12 2010-08-12 David John Tupman Touch and Bump Input Control
US9740340B1 (en) * 2009-07-31 2017-08-22 Amazon Technologies, Inc. Visually consistent arrays including conductive mesh
US9335844B2 (en) * 2011-12-19 2016-05-10 Synaptics Incorporated Combined touchpad and keypad using force input
CN103246379A (zh) * 2012-02-10 2013-08-14 联想移动通信科技有限公司 触摸反馈方法、装置及无线终端
WO2014113923A1 (zh) * 2013-01-22 2014-07-31 华为终端有限公司 基于触摸屏的物理按键模拟方法及装置
JP2015011401A (ja) * 2013-06-26 2015-01-1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186393B1 (ko) * 2014-01-02 2020-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6035716A (ja) * 2014-08-04 2016-03-1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入力制御方法およ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CN104407752B (zh) * 2014-10-29 2018-10-02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压力检测方法及设备
US10126854B2 (en) * 2015-03-06 2018-11-13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Providing touch position information
US9612685B2 (en) * 2015-04-09 2017-04-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rce-sensitive touch sensor compensation
CN115268753B (zh) * 2016-09-09 2023-08-22 森赛尔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和表征触摸传感器上的输入的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4443A (zh) * 2015-08-21 2015-11-25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压力检测装置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03290A (zh) 2017-09-26
US20170269766A1 (en) 2017-09-21
KR20170108764A (ko) 2017-09-27
CN107203290B (zh) 2020-05-05
US10338726B2 (en)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4290B1 (en) Touch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ingerprint detection on touch control device
US102098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building virtual keyboard
US86869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51418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between touch system manipulators
TWI602114B (zh) 偵測上蓋觸碰以調整顯示畫面的方法及電子裝置
US88908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user input
US20120013571A1 (en) Three-dimensional touch sensor
US20090167719A1 (en) Gesture commands performed in proximity but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a touchpad
US20130229380A1 (en) Classifying The Intent Of User Input
US20130278547A1 (en) Electronic device
US20070075983A1 (en) Method for gesture detection on a touchpad
US89538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olume using distance sensors
KR102561477B1 (ko) 터치 압력의 구분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CN106445369B (zh) 一种输入的方法和装置
CN107179849B (zh) 终端及其输入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2027460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855719B2 (en) Touch input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CN103324410A (zh) 用于检测触摸的方法和装置
US20150103031A1 (en) Touch-sensing display device
US9524051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inputting multiple events
CN106155437B (zh) 操作模式判断方法、触碰点位置判断方法以及触控控制电路
KR101596730B1 (ko) 터치패널 상에서의 입력좌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CN107979364B (zh) 电容式触摸按键装置及智能终端
TWI475476B (zh) 觸碰偵測方法及裝置
US20130154967A1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