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401B1 -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401B1
KR102561401B1 KR1020230061477A KR20230061477A KR102561401B1 KR 102561401 B1 KR102561401 B1 KR 102561401B1 KR 1020230061477 A KR1020230061477 A KR 1020230061477A KR 20230061477 A KR20230061477 A KR 20230061477A KR 102561401 B1 KR102561401 B1 KR 102561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veyor
spring
chain
link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1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갑석
최민환
Original Assignee
장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갑석 filed Critical 장갑석
Priority to KR1020230061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5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lates or platforms attached to a singl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326Chains, cables or the like
    • B65G2812/02336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42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 B65G2812/0245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48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49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load-carrying surfaces using platforms or 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용량 변경이 용이한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는 구동모터, 구동스프라켓, 종동스프라켓, 컨베이어 플레이트, 스크레이퍼 모듈 및 텐션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는 링크체인에 적재판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어서 상기 적재판을 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이송할 벌크 재료의 종류 및 이송량 등 작업조건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 {Chain conveyor with link chain and straight plate}
본 발명은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모래등의 물체 또는 소재를 운반하는 기계적 장치(mechanical handling equipment)인 컨베이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되는 물품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상판부재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부품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링크체인 및 일(一)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모래등의 물체 또는 소재를 운반하는 기계적 장치(mechanical handling equipment)로서, 다수의 링크체인 또는 플레이트 모듈이 연속적으로 체결되어 무한궤도 형태를 이루고, 스프라켓의 견인에 의해 이동하면서 이송대상물을 이송시키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1435호(2015. 10. 20. 공고) ‘컨베이어용 링크체인’에는 다수 개의 링크체인이 연속 체결되어 구성되는 컨베이어용 링크체인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4595호(2014. 8. 7. 공고)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스냅핏 연장부를 구비한 컨베이어모듈’에는 인접한 힌지부재들 사이에서 롤러를 지지하며 모듈식 컨베이어 조립 및 분해를 단순화하는 컨베이어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발명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길이(컨베이어 벨트의 이동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부재들을 다수 체결하여 구성되는 것이어서, 컨베이어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많은 수량의 모듈을 체결하여야 하므로 조립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제조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각 모듈 부재들이 접하는 부위에는 많은 틈새가 형성되므로 철광석, 석탄, 시멘트, 협잡물 등 분말 재료의 이송 중에 이송중인 분말 재료가 링크체인 연결부 사이로 낙하되는 유실이 발생하고, 유실된 재료가 링크체인 및 스프라켓이 오염되는 등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143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459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말 재료의 이송 중에 분말 재료의 낙하에 따른 재료의 유실 및 주변 환경의 오염을 방지하고, 분말 재료를 이송하는 적재판의 교체가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적재판의 노후화에 의한 파손, 재료의 종류 및 이송량 등 작업조건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적재판 교체가 용이한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링크체인과 적재판의 결합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와 유지관리가 용이한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는, 구동모터(100), 구동스프라켓(200), 종동스프라켓(300) 및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을 포함하는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은 상면에 적재판(420)이 결합된 다수 개의 링크체인(410)을 상호 힌지 연결하여 무한궤도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200)의 외주면에는 구동스프라켓의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끼움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은 상기 구동스프라켓의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가지도록 중심판(230) 양측 중간판(220)의 끼움돌기(221) 사이에 형성된 I자 형상의 제1 끼움홈(260)과, 상기 I자 형상의 제1 끼움홈(260) 양단에 끼움돌기(221)의 단부와 이탈방지핀(25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끼움홈(26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체인(410)은 정다각형 구동스프라켓(200)의 한 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장방형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상면부재(411), 상기 상면부재(411)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상면부재(411)를 지지하고 상기 상면부재(411)보다 폭이 좁은 막대형상의 로드부재(412), 상기 로드부재(412)의 길이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1경사돌기(413)와 제2경사돌기(414) 및 상기 로드부재(412)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반원형의 제1체결부(415)와 제2체결부(416)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재(411) 및 로드부재(412)를 상하로 관통하는 2개의 결합공(417)이 형성되며,
상기 적재판(420)은 상기 상면부재(411)의 길이와 동일하고, 폭은 상기 상면부재(41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송할 재료가 적재되는 장방형의 평평한 판재로서, 상기 링크체인(410)에 형성된 결합공(417)에 대응되는 체결공(421)이 천공되고, 상기 링크체인(410)과 상기 적재판(420)은 상기 결합공(417)과 체결공(421)에 체결구를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는 스크레이퍼 모듈(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레이퍼 모듈(500)은 스프링 지지리브(510), 히든플레이트(520), 하부 스프링플레이트(530), 상부 스프링플레이트(540), 스프링 가이드로드(550), 스프링(560) 및 스크레이퍼 서포트(5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크레이퍼 지지부가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양 측면 외측에 각각 1개씩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양측 스크레이퍼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스크레이퍼(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는 텐션조절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션조절부(600)는 스프링 지지리브(610), 히든플레이트(620), 하부 스프링플레이트(630), 상부 스프링플레이트(640), 스프링 가이드로드(650) 및 스프링(6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텐션바 지지부가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양 측면 외측에 각각 1개씩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양측 텐션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텐션바(6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적재판(420)은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대해 상면이 앞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판(420)의 전면 및 후면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호 힌지 연결된 전후 링크체인(410)에 결합된 적재판(420)의 전후 면이 상호 경사지게 접촉함으로써 상기 적재판(420) 상에 적재된 재료의 누설 및 낙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플레이트의 링크체인에 적재판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어서 상기 적재판을 교체함으로써 적재판의 노후화에 의한 파손, 재료의 종류 및 이송량 등 작업조건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적재판 교체를 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적재판의 노후화에 의한 파손, 이송할 벌크 재료의 종류 및 이송량 등 작업조건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스크레이퍼 모듈 및 텐션조절부의 구성이 간단하고, 스크레이퍼 및 텐션바의 상하 위치조절이 용이하며, 스크레이퍼와 텐션바를 컨베이어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이물질 제거 및 컨베이어 플레이트의 장력 조절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링크체인 및 컨베이어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 동력전달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구동스프라켓 도면으로서 (a)는 분해도, (b)는 조립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 플레이트의 링크체인 도면으로서 (a)는 단품 사시도, (b)는 2개의 링크체인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링크체인에 적재판이 결합된 컨베이어 모듈 도면으로서, (a)는 1개의 링크체인에 1개의 적재판이 결합된 상태의 상면측 사시도, (b)는 2개의 컨베이어 모듈이 결합된 상태의 저면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레이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스크레이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텐션조절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량 변경이 용이한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00)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스프라켓(200), 상기 구동스프라켓(20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200)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종동스프라켓(300), 상기 구동스프라켓(200)과 종동스프라켓(300) 사이에 무한궤도 형태로 결합되어 각종 벌크 재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플레이트(400), 상기 구동스프라켓(200)과 종동스프라켓(300) 사이 간격을 조절을 조절하여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처짐을 자동 조절되도록 하는 제1 컨베이어용 텐션장치(150)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200)에 인접한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재료 적재면 상에 남아있는 재료 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 모듈(500) 및 상기 구동스프라켓(200)과 종동스프라켓(300)의 중앙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 텐션조절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스프라켓(200)은 상기 구동모터(100)로부터 풀리(110) 및 구동체인(140)을 통해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축(120)에 결합되고, 그 외주면과 맞물리는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 이동경로를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도2 및 도3, 도4,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20)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축공(241)이 형성된 중공원통형의 슬리브(240), 상기 슬리브(240)의 길이방향 중앙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모서리가 라운딩된 정육각형 금속판재로 형성된 중심판(230), 상기 중심판(230)의 전후 면에 각각 1장씩 밀착되게 결합되는 모서리가 라운딩된 대략 정육각형의 금속판재로 형성되는 중간판(220), 상기 중간판(220)의 외측 면에 각각 1장씩 밀착되게 결합되는 정육각형의 금속판재로 형성되는 외판(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구동스프라켓(200)의 외곽선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정육각형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작동에 적합한 것이라면 그 외의 정다각형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중간판(220)은 상기 중심판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지만 상기 중간판(220)의 각 변에는 끼움돌기(221)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중심판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외판(210)은 그 외곽선이 상기 중간판(220)의 끼움돌기(22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중간판(220)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외판(210)의 정육각형의 각 모서리에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이탈방지핀(250)을 삽입 고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육각형 구동스프라켓(200)의 각 변에는 상기 외판(210) 및 끼움돌기(221)에 의하여 특정되는 I자 형상의 제1 끼움홈(260)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핀(250)은 원기둥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몸체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동스프라켓(200)의 제1 끼움홈(26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후술할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링크체인(410)은 구동스프라켓(200)의 제1 끼움홈(260)에 맞물려 이동한다.
즉, 상기 중심판(230) 양측 중간판(220)의 끼움돌기(221) 사이에 형성된 I자 형상의 제1 끼움홈(260)과 상기 제1 끼움홈(260) 양단에는 끼움돌기(221)의 단부와 이탈방지핀(25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끼움홈(261)이 형성된다.
여기서, 끼움돌기(221)는, 후술할 링크체인(410)의 접촉면과 대응되는 형상이며, 상기 끼움돌기(260) 및 접촉면이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링크체인(410)은 구동스프라켓(200)과 함께 원활하게 회동 및 이송된다.
상기 종동스프라켓(300)은 상기 구동스프라켓(200)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은 상면에 적재판(420)이 결합된 다수 개의 링크체인(410)을 상호 힌지 결합하여 무한궤도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스프라켓(200)에 일부구간이 맞물리게 장착되어 구동스프라켓(200)이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요소이다.
상기 링크체인(410)은 다수 개가 상호 힌지 결합되되, 상호 접촉 지지되어 회동각도가 제한되어 적재면 방향으로는 회동되지 않고 내측 향으로만 회동되어 절곡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링크체인(410)은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육각형 구동스프라켓(200)의 한 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장방형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상면부재(411), 상기 상면부재(411)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상면부재(411)를 지지하고 상기 상면부재(411)보다 폭이 좁은 막대형상의 로드부재(412), 상기 로드부재(412)의 길이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1 경사돌기(413)와 제2 경사돌기(414) 및 상기 로드부재(412)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반원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체결부(415)와 제2 체결부(4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크체인(410)은 상기 제1 체결부(415)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상면부재(411) 및 로드부재(412)를 상하로 관통하는 1개의 결합공(417)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417)으로부터 상기 상면부재(41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다른 1개의 결합공(417)을 추가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415)는 2개의 반원형 돌출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416)는 1개의 반원형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반원형 돌출부들에는 상기 상면부재(411)의 폭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링크체인(410)들을 연결하여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을 형성하는 경우에 일 측 링크체인(410)의 제1 체결부(415)의 2개의 반원형 돌출부 사이에 타 측 링크체인(410)의 제2 체결부(416)의 1개의 반원형 돌출부를 삽입하여 상기 관통 공들이 상호 일치되도록 한 후 상기 일치한 관통공에 핀 등의 체결구(418)를 체결하여 연결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컨베이어 플레이트(40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복수의 링크체인(410)들은 구동스프라켓(200)의 외주면에는 구동스프라켓의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끼움홈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구동스프라켓(200)의 I자 형상의 제1 끼움홈(260)에는 로드부재(412)가 삽입되고, 구동스프라켓(200)의 제2 끼움홈(261)에는 제1 경사돌기(413)와 제2 경사돌기(414) 삽입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며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적재판(420)은 상기 링크체인(410)의 상면부재(411) 상면에 결합되어 이송할 벌크 재료가 적재되는 장방형의 평평한 판재로서,
단면이 일(一)자 형상의 플레이트로 상면에 이송할 물건 또는 재료가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의 길이는 상기 상면부재(411)의 길이와 동일하고, 폭은 상기 상면부재(41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적재판(420)에는 상기 링크체인(410)에 형성된 결합공(417)에 대응되는 체결공(421)이 천공되고, 상기 결합공(417)과 체결공(421)의 위치를 일치시킨 후에 도시되지 않은 체결구로 체결하여 링크체인(410)과 적재판(420)을 결합시켜 컨베이어 모듈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적재판(420)은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대해 상면이 앞으로 돌출되는 형태여서 적재판(420)의 전면은 앞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면도 동일하게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전후 컨베이어모듈의 적재판(420)들의 접촉은 경사면에서 면접촉(面接觸) 되도록 형성하여 적재된 재료의 누설 및 낙하를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모듈은 링크체인(410)으로부터 적재판(420)을 도시되지 않은 체결구로 체결하는 구조임으로 상기 체결구를 체결하거나 해체하여 쉽게 착탈할 수 있는 구성이어서, 적재판(420)의 노후화에 의한 파손이나, 이송할 벌크 재료의 종류 및 이송량 등 작업조건 변화에 쉽게 대응하여 적재판(420)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레이퍼 모듈(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 하측에 설치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리브(510), 히든플레이트(520), 하부 스프링플레이트(530), 상부 스프링플레이트(540), 스프링 가이드로드(550), 스프링(560) 및 스크레이퍼 서포트(5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크레이퍼 지지부가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양 측면 외측에 각각 1개씩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양측 스크레이퍼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스크레이퍼(5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레이퍼(570)는 V형 단면을 가지며, 상부 2개의 마찰면(571, 572)이 컨베이어 플레이트 적재판(420)에 접촉하여 적재면 상에 남아있는 재료 등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마찰면(571, 572)이 적재면 과의 마찰에 의하여 마모되어도 2개의 마찰면(571, 572)이 스프링(560)에 의하여 이격 없이 안정적으로 가압되고, V형 단면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접촉되어 이물질이 V형 경사면을 따라 제거되어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리브(510)는 수직면과 수평면을 포함하는 L자형 부재로서 상기 수평면이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측면 외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2개가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히든플레이트(520)는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측면에 연하여 배치되는 상하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판재로서 상기 스크레이퍼(570)가 통과하는 V자형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스프링 지지리브(510)의 수직면을 커버하도록 부착되며, 상기 V자형 관통공의 하단은 상기 스프링 지지리브(510)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크레이퍼(570)가 소정범위에서 상하로 유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의 외부 케이싱에는 상기 스크레이퍼(570)가 소정범위에서 상하로 유동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레이퍼(570)는 소정범위에서 상하로 유동되지만, 상기 히든플레이트(520)로 인하여 프레임 케이싱 내부의 이물질들이 케이싱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상부 스프링플레이트(540)는 장방형 부재로서 하면의 중앙에 원형 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스크레이퍼 서포트(58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570)에는 스크레이퍼 서포트(5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57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573)의 직경은 스크레이퍼 서포트(580)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적재면 과의 마찰에 의하여 2개의 마찰면(571, 572)의 높이가 상이하게 마모되어도 2개의 마찰면(571, 572) 모두 적재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 스프링플레이트(530)는 상기 2개의 스프링 지지리브(510)의 수평면에 의하여 양단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장방형 부재이다.
상기 스프링 가이드로드(550)는 그 일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원형단면의 막대모양 부재로서 상부에는 상부 스프링플레이트(540)가 결합되어 있고, 스프링(560)을 삽입된 상태에서 수나사부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상기 하부 스프링플레이트(530)의 원형홈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스프링 가이드로드(550) 하부의 수나사부에 너트를 결합시켜 구성한다.
그리하여 상기 하부 스프링플레이트(530)는 상기 스프링 가이드로드(550)에 삽입된 스프링(560)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기 상부 스프링플레이트(540)는 상기 스프링(560)의 상단을 지지하며, 상기 스프링 가이드로드(550)는 스프링(560)이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그 하부의 수나사부에 결합된 너트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상부 스프링플레이트(54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스프링(560)은 상기 상부 스프링플레이트(540)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상부 스프링플레이트(540)가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 스프링플레이트(540) 상면에 설치된 스크레이퍼 서포트(580)에 의해 지지되는 스크레이퍼(570)가 가압되면서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570)의 가동부인 ‘하부 스프링플레이트(530), 상부 스프링플레이트(540), 스프링 가이드로드(550), 스프링(560) 및 스크레이퍼 서포트(580)’는 상기 히든플레이트(520) 외측, 즉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히든플레이트(520) 외측에 위치되어,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에서 낙하되는 낙하물과 상기 2개의 마찰면(571, 572)이 적재면에서 제거하는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스크레이퍼(570)가 원활하게 가압되면서 소정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570)는 V자형 단면을 갖는 부재로서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폭보다 길게 형성하고, 그 상측 단부가 재료의 이송을 마치고 복귀하는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표면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크레이퍼 모듈(500)은 구성이 간단하고, 스크레이퍼(570)의 높이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570)의 2개의 마찰면(571, 572)이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적층면 2곳에서 가압하면서 지지하므로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570)는 상기 스프링 가이드로드(550)를 하측으로 이격시키면 히든플레이트(520)의 스크레이퍼(570)가 통과하는 V자형 관통공으로 외부로 반출할 수 있어,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스프링플레이트(540) 하부에 결합된 스프링 가이드로드(550)에 스프링(560)을 하부 스프링플레이트(530)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560)에 접촉되는 스프링 와셔(561)와, 스프링 탄력조절너트(562), 로킹너트(563)로 이루어진 가압력 조절장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력조절장치는 컨베이어 플레이트 적재판(420)의 적재면 상에 남아있는 이물질, 즉 이송되는 재료의 점성에 따라 스크레이퍼(570)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스크레이퍼(570)의 재질을 강재로 사용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텐션조절부(60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리브(610), 히든플레이트(620), 하부 스프링플레이트(630), 상부 스프링플레이트(640), 스프링 가이드로드(650) 및 스프링(6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텐션바 지지부가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양 측면 외측에 각각 1개씩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양측 텐션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원통형의 텐션바(6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텐션조절부(600)는 상기 텐션바(670)의 상측 단부가 재료의 이송을 마치고 복귀하는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표면에 밀착하여 가압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장력을 조절하는 요소로서, 상기 히든 플레이트(620)에 형성된 관통홈의 형상이 원형인 점, 스크레이퍼 서포트(580)에 대응되는 구성이 없는 점, 텐션바(670)가 원통형 부재인 점을 제외하고는 주요부의 구성 및 기능이 상기 스크레이퍼 모듈(500)의 구성 및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원통형 부재인 텐션바(670)가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과 접촉 회전하면서 스프링 압력에 의하여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 표면을 가압하여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장력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텐션조절부(600)에도 스크레이퍼 모듈(500)에 적용되는 가압력 조절장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변경이 용이한 컨베이어는 벌크 재료를 이송하는 것을 상정하여 기술하였지만 그 용도가 벌크 재료의 이송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구동모터, 110: 풀리, 120: 구동축,
200: 구동스프라켓, 210: 외판, 220: 중간판, 221: 끼움돌기, 230: 중심판, 240: 슬리브, 241: 축공, 250: 이탈방지핀, 260: 끼움홈,
300: 종동스프라켓,
400: 컨베이어 플레이트, 410: 링크체인, 411: 상면부재, 412: 로드부재, 413: 제1경사돌기, 414: 제2경사돌기, 415: 제1체결부, 416: 제2체결부, 417: 결합공, 418: 체결구, 420: 적재판, 421: 체결공
500: 스크레이퍼 모듈, 510: 스프링 지지리브, 520: 히든 플레이트, 530: 하부 스프링플레이트, 540: 상부 스프링플레이트, 550: 스프링가이드 로드, 560: 스프링, 570: 스크레이퍼, 580: 스크레이퍼 서포트
600: 텐션조절부, 610: 스프링 지지리브, 620: 히든 플레이트, 630: 하부 스프링플레이트, 640: 상부 스프링플레이트, 650: 스프링가이드 로드, 660: 스프링, 670: 텐션바

Claims (4)

  1. 구동모터(100), 구동스프라켓(200), 종동스프라켓(300) 및 컨베이어 플레이트(400)를 포함하는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는 단면이 일(一)자 형상의 플레이트로 상면에 운반될 물건이나 재료를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판(420)이 결합된 다수 개의 링크체인(410)을 상호 힌지 연결하여 무한궤도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200)의 외주면에는 구동스프라켓의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끼움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은 상기 구동스프라켓의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가지도록 중심판(230) 양측 중간판(220)의 끼움돌기(221) 사이에 형성된 I자 형상의 제1 끼움홈(260)과, 상기 I자 형상의 제1 끼움홈(260) 양단에 끼움돌기(221)의 단부와 이탈방지핀(25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끼움홈(26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체인(410)은 정다각형 구동스프라켓(200)의 한 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장방형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상면부재(411), 상기 상면부재(411)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상면부재(411)를 지지하고 상기 상면부재(411)보다 폭이 좁은 막대형상의 로드부재(412), 상기 로드부재(412)의 길이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1경사돌기(413)와 제2경사돌기(414) 및 상기 로드부재(412)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반원형의 제1체결부(415)와 제2체결부(416)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재(411) 및 로드부재(412)를 상하로 관통하는 2개의 결합공(417)이 형성되며,
    상기 적재판(420)은 상기 상면부재(411)의 길이와 동일하고, 폭은 상기 상면부재(41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송할 재료가 적재되는 장방형의 평평한 판재로서, 상기 링크체인(410)에 형성된 결합공(417)에 대응되는 체결공(421)이 천공되고,
    상기 링크체인(410)과 상기 적재판(420)은 상기 결합공(417)과 체결공(421)에 체결구를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는 스크레이퍼 모듈(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레이퍼 모듈(500)은 스프링 지지리브(510), 히든플레이트(520), 하부 스프링플레이트(530), 상부 스프링플레이트(540), 스프링 가이드로드(550), 스프링(560) 및 스크레이퍼 서포트(5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크레이퍼 지지부가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양 측면 외측에 각각 1개씩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양측 스크레이퍼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스크레이퍼(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는 텐션조절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션조절부(600)는 스프링 지지리브(610), 히든플레이트(620), 하부 스프링플레이트(630), 상부 스프링플레이트(640), 스프링 가이드로드(650) 및 스프링(6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텐션바 지지부가 상기 컨베이어 플레이트(400)의 양 측면 외측에 각각 1개씩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양측 텐션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텐션바(6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420)은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대해 상면이 앞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판(420)의 전면 및 후면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호 힌지 연결된 전후 링크체인(410)에 결합된 적재판(420)의 전후 면이 상호 경사지게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적재판(420) 상에 적재된 재료의 누설 및 낙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
KR1020230061477A 2023-05-12 2023-05-12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 KR102561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477A KR102561401B1 (ko) 2023-05-12 2023-05-12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477A KR102561401B1 (ko) 2023-05-12 2023-05-12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401B1 true KR102561401B1 (ko) 2023-07-31

Family

ID=8745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477A KR102561401B1 (ko) 2023-05-12 2023-05-12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4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6209A (ja) * 1989-09-22 1992-08-14 Eretsutsu:Kk コンベヤ装置
JP2006160438A (ja) * 2004-12-07 2006-06-22 Yamakyu Chain Co Ltd 搬送装置
KR101414595B1 (ko) 2006-04-04 2014-08-07 렉스노드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스냅핏 연장부를 구비한 컨베이어모듈
KR101561435B1 (ko) 2014-11-19 2015-10-20 이동덕 컨베이어용 링크체인
EP3006378A1 (en) * 2011-09-12 2016-04-13 Stockholm Johansson, Palle Flight convey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6209A (ja) * 1989-09-22 1992-08-14 Eretsutsu:Kk コンベヤ装置
JP2006160438A (ja) * 2004-12-07 2006-06-22 Yamakyu Chain Co Ltd 搬送装置
KR101414595B1 (ko) 2006-04-04 2014-08-07 렉스노드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스냅핏 연장부를 구비한 컨베이어모듈
EP3006378A1 (en) * 2011-09-12 2016-04-13 Stockholm Johansson, Palle Flight conveyor
KR101561435B1 (ko) 2014-11-19 2015-10-20 이동덕 컨베이어용 링크체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1710B2 (en) Modular conveyer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JP2010508221A (ja) モジュール間に支持されたローラを備える搬送ベルト
KR20120103680A (ko) 부유 이송 플랫폼을 구비한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KR102203709B1 (ko) 벨트 컨베이어
US10577184B2 (en) Conveyor track assembly for a mechanical chain
KR102561401B1 (ko) 링크체인 및 일자형 플레이트를 적용한 체인 컨베이어
US20100230252A1 (en) Belt conveyor load zone support assembly
US4765455A (en) Chain conveyor reducing longitudinal contact pressure between conveyed articles
CN201770271U (zh) 履带式输送装置
KR101991293B1 (ko) 과일 선별용 과일 자동 적재 장치
EP0333309A1 (en) Wide chain conveyor assembly
KR20050012436A (ko) 적재 및 이송을 위한 유동바닥 구조
US9856090B1 (en) Conveyor track assembly for a mechanical chain
KR100885216B1 (ko) 컨베이어 장치
KR101051416B1 (ko) 판유리 이송장치
KR102020887B1 (ko) 튜브형 링크 체인 컨베이어
KR20200041472A (ko) 고형물 이송장치
KR101437610B1 (ko) 다열 컨베이어장치
KR101188085B1 (ko) 벨트 사행 방지형 컨베이어 장치
KR101282661B1 (ko) 커브 벨트 컨베이어
US4844241A (en) Conveyor stub idler roll apparatus
US3263797A (en) Roller conveyor having power driven rollers
KR101597428B1 (ko) 이송장치
KR20060074653A (ko) 컨베이어설비의 벨트 청소용 삼각 크리너
CN209814970U (zh) 皮带输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