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245B1 -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 - Google Patents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245B1
KR102560245B1 KR1020230014269A KR20230014269A KR102560245B1 KR 102560245 B1 KR102560245 B1 KR 102560245B1 KR 1020230014269 A KR1020230014269 A KR 1020230014269A KR 20230014269 A KR20230014269 A KR 20230014269A KR 102560245 B1 KR102560245 B1 KR 102560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sluice gate
water gate
rear surface
variabl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월수
김주섭
백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서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서이엔지
Priority to KR102023001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장애물에 의해 수문의 전도동작이 제한되는 경우 이를 신속히 감지하고 장애물의 제거 및 수문의 손상방지를 위한 제반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회전지지축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립되거나 전도되면서 수로를 개폐하는 수문; 상기 수문의 배면 측에 위치하도록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 일부가 수문에 축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실린더에 축결합되어 수문과 실린더를 연결하며, 수문이 정상적으로 기립되거나 전도될 때에는 수문의 배면에 밀착되고 수문의 전도동작이 장애물에 의해 제한될 때에는 수문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가변링크; 상기 돌출부가 수문의 배면에 밀착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수문의 배면에 설치된 검출용 스위치; 상기 돌출부가 수문의 배면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검출용 스위치를 가압하도록 가변링크에 설치된 푸시로드; 및 상기 푸시로드가 검출용 스위치로부터 떨어지는 신호가 발생되면, 수문의 전도동작을 멈추고 수문이 기립과 전도를 반복하도록 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Long-span type movable weir equipped with function to detect and remove obstacles}
본 발명은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문과 실린더가 가변링크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가변링크부재는 수문의 전도과정에서 장애물로 인하여 수문의 전도동작이 제한되는 경우 일부가 수문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실린더에 의해 수문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되, 가변링크부재의 일부가 수문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는 이격검출장치를 포함하여 장애물에 의해 수문의 전도동작이 제한되는 경우 신속하게 감지하고 장애물의 제거를 위한 절차가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게 한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weir)는 하천 및 저수지의 수위를 조절하는 일종의 물막이용 울타리로서, 농업, 공업 및 생활 용수의 확보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함에 따라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댐이 설치될 수 없는 하천에 보를 여러 개 설치하면 수위와 수량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댐의 대체 구조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보는 고정보와 가동보로 구분되고, 가동보는 고무식 보와 기계식 보로 다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고무식 보는 하천의 양안에 고강도 고무 튜브를 고정 설치하고, 튜브 내부에 공기와 같은 기체를 공급하여 작동시키는 고무댐(Rubber dam)으로써, 고무 튜브 내부에 기체를 공급하면 튜브가 기립(起立)하여 물길을 막고, 기체를 배출시키면 튜브가 하천 바닥에 도복(倒伏)하여 물길을 트게 되어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식 보는 수로를 횡단하여 물길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수문의 하단부가 회전지지축에 의해 기초구조물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이와 같이 설치된 수문은 실린더에 의해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립되거나 전도되면서 물길을 막거나 물길을 열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폭이 넓은 하천에 기계식 보를 설치함에 있어서, 길이가 긴 장스팬(Long Span) 타입의 가동보가 사용되는데,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를 구성하는 수문의 경우 길이가 긴 구조로 인하 휨변형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며, 특히 수문의 전도 시 수문과 기초구조물의 사이로 유입된 통나무와 같은 장애물에 의해 수문의 전도동작이 제한되는 경우 실린더에 의해 수문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하여 수문이 뒤틀리면서 변형되거나 링크부(수문과 실린더를 연결하는 부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문제점을 고려하여 장애물에 의해 수문의 전도동작이 제한되는 경우에도 수문이나 링크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장스팬 타입의 전도식 가동보가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1에 개시된 전도식 가동보는 수문과 실린더가 가변링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가변링크는 수문이 기립되거나 전도될 때 수문의 배면 상단부에 밀착되는 밀착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링크는 장애물에 의해 수문이 전도되지 못할 때 밀착돌기가 수문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형태로 자세가 바뀌면서 실린더의 유압력이 수문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문이나 링크부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도식 가동보의 경우, 가변링크의 자세가 바뀌는 과정에서는 실린더의 힘이 수문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가변링크의 자세가 완전히 전환된 후에는 실린더의 힘이 수문으로 전달됨에 따라 여전히 수문 및 링크부의 파손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46065호(2017.06.12.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물에 의해 수문의 전도동작이 제한되는 경우 이를 신속히 감지하고 장애물의 제거 및 수문의 손상방지를 위한 제반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수평한 자세로 마련된 회전지지축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회전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립되거나 전도되면서 수로를 개폐하는 수문; 상기 수문의 배면 측에 위치하도록 구조물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 일부가 수문에 축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실린더에 축결합되어 수문과 실린더를 연결하며, 수문이 정상적으로 기립되거나 전도될 때에는 수문의 배면에 밀착되고 수문의 전도동작이 장애물에 의해 제한될 때에는 수문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가변링크; 상기 돌출부가 수문의 배면에 밀착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수문의 배면에 설치된 검출용 스위치; 상기 돌출부가 수문의 배면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검출용 스위치를 가압하도록 가변링크에 설치된 푸시로드; 및 상기 푸시로드가 검출용 스위치로부터 떨어지는 신호가 발생되면, 수문의 전도동작을 멈추고 수문이 기립과 전도를 반복하도록 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에 있어서, 상기 검출용 스위치는 일부가 실린더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롤러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로드는 롤러 플런저와 마주하면서 롤러 플런저를 가압하는 평탄한 측면을 구비하는 사각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에 있어서, 수로의 개도율을 검출을 위하여 수문의 각도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가변링크의 돌출부가 수문의 배면에 밀착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 그리고 가변링크의 돌출부가 수문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 상기 기울기센서에서 측정되는 각도값을 수문의 개도율로 변환하는 컨버터부; 및 가변링크의 돌출부가 수문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로의 완전 개방(Full open)이 확인되지 않으면, 가변링크의 돌출부를 수문의 배면에 밀착시키고 돌출부가 수문의 배면에 밀착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 수문을 기립시킨 후, 수문을 다시 전도시키되, 수로의 완전 개방이 확인되지 않으면 설정된 횟수만큼 수문의 기립과 전도를 반복하도록 이루어진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수로의 폐쇄를 위하여 수문이 전도되는 과정에서 장애물에 의해 수문의 전도동작이 제한되는 경우, 가변링크의 돌출부는 실린더에 의해 수문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실린더의 힘이 수문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장애물에 걸린 수문이 실린더의 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변링크의 돌출부가 수문으로부터 이격된 시점 및 시간을 검출하여 실린더가 과도하게 수문을 전도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애물에 걸린 수문이 손상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물에 걸린 수문의 기립과 전도동작을 반복하여 장애물의 제거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스팬 타입 가동보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스팬 타입 가동보의의 수문이 완전히 기립된 상태를 보인 측면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스팬 타입 가동보의 수문이 완전히 전도된 상태를 보인 측면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스팬 타입 가동보의 수문이 장애물에 의해 걸린 상태를 보인 측면 구조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과 실린더가 가변링크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과 실린더가 가변링크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측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스팬 타입 가동보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스팬 타입 가동보의의 수문이 완전히 기립된 상태를 보인 측면 구조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스팬 타입 가동보의 수문이 완전히 전도된 상태를 보인 측면 구조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스팬 타입 가동보의 수문이 장애물에 의해 걸린 상태를 보인 측면 구조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과 실린더가 가변링크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과 실린더가 가변링크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측면 구조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는 수문(110)과, 실린더(120)와, 가변링크(130)와, 검출용 스위치(140)와, 푸시로드(150)와 기울기센서(160) 및 제어기(170)로 구성된다.
상기 수문(110)은 수로를 형성하도록 하천에 시공된 구조물(100)에 설치되어 수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수로를 횡단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의 판재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구조물(100)에 수평한 자세로 마련된 회전지지축(101)에 결합되어 회전지지축(10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기립되거나 전도되면서 수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문(110)은 하나가 수로를 횡단하면서 수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거나, 2개 이상의 수문(110)이 수로를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수로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문(110)의 배면 상단부에는 가변링크(130)의 일부가 수문(110)의 내부로 삽입되게 하기 위한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1)의 안쪽에는 가변링크(130)가 축결합되는 제1지지축(112)이 수평한 자세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개구부(111)와 제1지지축(112)은 수문(110)의 폭방향으로 실린더(120) 수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분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20)는 수문(110)이 회전지지축(10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립하거나 전도되게 하는 것으로,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100)에 설치되며 가변링크(130)를 매개로 수문(110)과 연결되어 수문(110)을 밀거나 당기면서 수문(110)을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120)는 수문(110)의 배면측에 위치하되, 하단부가 수평한 자세로 구조물(100)에 마련된 지지(102)축에 결합되고, 피스톤 로드의 상단부가 가변링크(130)를 매개로 수문(110)과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실린더(120)는 미도시된 유압장치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작동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며, 다수의 실린더(120)가 수문(110)의 폭방향으로 분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변링크(130)는 수문(110)과 실린더(120)를 연결하는 것으로, 일부가 수문(110)의 개구부(111)로 삽입되어 제1지지축(112)과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제2지지축(121)을 매개로 실린더(120)와 결합되며, 또 다른 일부는 개구부(111)의 주변에 위치한 수문(110)의 배면에 밀착되거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링크(130)는 제1지지축(112)이 결합되는 구멍(134)과, 제2지지축(121)이 결합되는 구멍(135)과, 푸시로드(150)가 상기 두 구멍(134,135)과 삼각형의 배치구조를 형성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외곽 일부가 수문(110)의 배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돌출부(131)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2개의 판재(132,133)가 제1,2지지축(112,121) 및 푸시로드(150)에 의해 서로 결합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검출용 스위치(140)는 수문(110)에 형성된 개구부(111)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공지의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일부가 실린더(120)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롤러 플런저(141)를 포함하되, 상기 롤러 플런저(141)는 가변링크(130)의 돌출부(131)가 수문(110)의 배면에 밀착될 때 푸시로드(150)와 접촉하면서 눌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푸시로드(150)는 가변링크(130)의 돌출부(131)에 설치되어 돌출부(131)가 수문(110)의 배면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검출용 스위치(140)의 롤러 플런저(141)와 접촉하면서 롤러 플런저(141)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푸시로드(150)는 사각 파이프로 구성되며, 사각 파이프의 평탄한 일 측면이 롤러 플런저(141)와 마주하면서 롤러 플런저(141)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울기센서(160)는 수문(110)에 설치되어 수문(110)의 각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170)는 수문(110)이 기립되거나 전도되면서 수로를 개폐하도록 실린더(120)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되, 푸시로드(150)가 검출용 스위치(140)로부터 떨어지는 신호가 발생되면 수문(110)의 전도동작을 멈추고 수문(110)이 기립과 전도를 반복하면서 장애물의 제거를 유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어기(170)는 타이머부(171)와 컨버터부(172) 및 제어부(173)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머부(171)는 가변링크(130)의 돌출부(131)가 수문(110)의 배면에 밀착되어 푸시로드(150)가 검출용 스위치(140)를 가압하는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측정하고, 또 가변링크(130)의 돌출부(131)가 수문(11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푸시로드(150)가 검출용 스위치(140)로부터 떨어지는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버터부(172)는 기울기센서(160)에서 측정되는 각도값에 기초하여 수문(110)의 개도율을 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는 수문(110)의 각도가 60도인 상태에서 수로가 완전 폐쇄(Full close)되고, 수문(110)의 각도가 0인 상태에서 수로가 완전 개방(Full open)되도록 이루어지며, 컨버터부(172)는 완전 폐쇄 각도 60도와 완전 개방 각도 0도를 기준으로 기울기센서(160)에서 측정되는 각도값을 이용하여 현재 수로의 개도율을 산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73)는 관리자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수문(110)이 기립하거나 전도되도록 실린더(120)를 제어하되, 수문(110)이 전도되는 과정에서 장애물(O)에 의해 수문(110)의 전도동작이 제한되어 돌출부(131)가 수문(11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푸시로드(150)가 검출용 스위치(140)로부터 떨어지는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로의 완전 개방이 확인되지 않으면, 가변링크(130)의 돌출부(131)가 수문(110)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실린더(120)를 제어하고, 푸시로드(150)가 검출용 스위치(140)에 접촉하여 가압하는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 수문(110)을 기립시키도록 실린더(120)를 제어하며, 이후 수문(110)이 다시 전도되도록 실린더(120)를 제어하되, 수로의 완전 개방이 확인되지 않으면 설정된 횟수만큼 수문(110)의 기립과 전도를 반복하여 장애물의 제거 및 수로의 완전개방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수문(110)의 기립과 전도를 반복한 이후에도 수로의 완전개방이 확인되지 않으면, 제어부(173)는 수문(110)이 장애물에 걸려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함을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알림신호는 빛 또는 소리 또는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지정된 원격지의 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형태로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는 수문(110)이 실린더(120)의 작동에 의해 정상적으로 기립하거나 전도될 때에는 가변링크(130)의 돌출부(131)가 수문(110)의 배면에 밀착되면서 수문(110)을 지지하게 되므로 평상시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보다 안정된 구조의 가동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수문(110)이 전도되는 과정에서 장애물(O)에 걸려 수문(110)이 전도동작이 제한되는 경우 즉시 가변링크(130)의 돌출부(131)가 수문(11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실린더(120)의 힘이 수문(1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장애물(O)에 걸린 수문(110)이 실린더(120)에 힘에 의해 변경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변링크(130)의 돌출부(131)가 수문(110)의 배면으로 이격된 것을 검출용 스위치(140)를 이용하여 바로 인식하고 수문(110)의 기립과 전도동작을 반복시킴으로써 장애물의 제거를 자동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구조물 101: 회전지지축
110: 수문 120: 실린더
130: 가변링크 131: 돌출부
140: 검출용 스위치 141: 롤러 플런저
150: 푸시로드 160: 기울기센서
170: 제어기 171: 타이머부
172: 컨버터부 173: 제어부

Claims (4)

  1.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100)에 수평한 자세로 마련된 회전지지축(101)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회전지지축(10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립되거나 전도되면서 수로를 개폐하고 배면에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수문(110);
    상기 수문(110)의 배면 측에 위치하도록 구조물(10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120);
    일부가 수문(110)의 개구부(111)에 삽입되어 축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실린더(120)에 축결합되어 수문(110)과 실린더(120)를 연결하며, 수문(110)이 정상적으로 기립되거나 전도될 때에는 수문(110)의 배면에 밀착되고 수문(110)의 전도동작이 장애물에 의해 제한될 때에는 수문(11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돌출부(131)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가변링크(130);
    상기 수문(110)의 개구부(111) 내측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돌출부(131)가 수문(110)의 배면에 밀착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검출용 스위치(140);
    상기 돌출부(131)가 수문(110)의 배면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검출용 스위치(140)를 가압하도록 가변링크(130)에 설치된 푸시로드(150);
    상기 푸시로드(150)가 검출용 스위치(140)로부터 떨어지는 신호가 발생되면, 수문(110)의 전도 동작을 멈추고 수문(110)이 기립과 전도를 반복하도록 실린더(120)를 제어하는 제어기(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변링크(130)는 제1지지축(112)이 결합되는 구멍(134)과, 제2지지축(121)이 결합되는 구멍(135)과, 푸시로드(150)가 상기 두 구멍(134,135)과 삼각형의 배치구조를 형성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외곽 일부가 수문(110)의 배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돌출부(131)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2개의 판재(132,133)가 제1,2지지축 (112,121) 및 푸시로드(150)에 의해 서로 결합된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검출용 스위치(140)는 일부가 개구부(1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롤러 플런저(141)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로드(150)는 가변링크(130)의 2개의 판재(132,133)를 결합하도록 설치되고, 롤러 플런저(141)와 마주하면서 롤러 플런저(141)를 가압하는 평탄한 측면을 구비하는 사각 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로의 개도율을 검출을 위하여 수문(110)의 각도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70)는,
    가변링크(130)의 돌출부(131)가 수문(110)의 배면에 밀착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 그리고 가변링크(130)의 돌출부(131)가 수문(11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171);
    상기 기울기센서(160)에서 측정되는 각도값을 수문(110)의 개도율로 변환하는 컨버터부(172); 및
    가변링크(130)의 돌출부(131)가 수문(11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로의 완전 개방(Full open)이 확인되지 않으면, 가변링크(130)의 돌출부(131)를 수문(110)의 배면에 밀착시키고 돌출부(131)가 수문(110)의 배면에 밀착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 동안 수문(110)을 기립시킨 후, 수문(110)을 다시 전도시키되, 수로의 완전 개방이 확인되지 않으면 설정된 횟수만큼 수문(110)의 기립과 전도를 반복하도록 이루어진 제어부(17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
KR1020230014269A 2023-02-02 2023-02-02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 KR102560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269A KR102560245B1 (ko) 2023-02-02 2023-02-02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269A KR102560245B1 (ko) 2023-02-02 2023-02-02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245B1 true KR102560245B1 (ko) 2023-07-27

Family

ID=8743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269A KR102560245B1 (ko) 2023-02-02 2023-02-02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2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661A (ja) * 1998-10-20 2000-05-09 Nishida Marine Boiler Co Ltd 起伏型フラップゲートの異物除去装置
KR20100105172A (ko) * 2009-03-20 2010-09-29 최성일 수문의 비상 정지장치
KR101746065B1 (ko) 2016-08-31 2017-06-12 (주)지서산업 장스팬타입의 전도식 가동보
KR102384969B1 (ko) * 2021-05-31 2022-04-11 주식회사 이엘 수문이 설치된 물관리 시설의 자율운영과 비상점검을 위한 모듈 타입 운영 및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661A (ja) * 1998-10-20 2000-05-09 Nishida Marine Boiler Co Ltd 起伏型フラップゲートの異物除去装置
KR20100105172A (ko) * 2009-03-20 2010-09-29 최성일 수문의 비상 정지장치
KR101746065B1 (ko) 2016-08-31 2017-06-12 (주)지서산업 장스팬타입의 전도식 가동보
KR102384969B1 (ko) * 2021-05-31 2022-04-11 주식회사 이엘 수문이 설치된 물관리 시설의 자율운영과 비상점검을 위한 모듈 타입 운영 및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6764B1 (en) Automatic wicket for a hydraulic structure
KR102560245B1 (ko) 장애물 감지 및 제거 유도 기능이 구비된 장스팬 타입의 가동보
JPH0774497B2 (ja) ダムなどの異常洪水を放流するための余水吐き
KR101281596B1 (ko) 선회식 가동보 장치
US4229119A (en) Liftable and collapsible barrage
US4310262A (en) Collapsible dam and apparatu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dam
KR101908577B1 (ko) 상,하 분리되어 힌지로 결합된 이중 구조의 롤러 게이트
KR101770272B1 (ko) 교량의 상판 변형 측량시스템
WO1989002006A1 (en) Mechanical automatic tilting weir with self-adjusting lowering of the weir-level during larger discharges
KR102466158B1 (ko)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계단식 어도
CN110656630A (zh) 一种采用气囊控制水流的水闸
KR20050094659A (ko) 유압 작동식 수문, 그의 운전 장치 및 운전 방법
US3139199A (en) Earth moving equipment
KR101722956B1 (ko) 압력분산형 가동보
JP3222697U (ja) 高さ可変型堤防装置
JPH11200347A (ja) ラバーダム
JP2006225930A (ja) 横引きゲートシステム
CN113404019A (zh) 一种可根据涨水速度调节泄水量的小型泄洪装置
KR101226339B1 (ko) 장애물에 의한 수문의 파손이 방지되는 전도식 가동보
KR100769345B1 (ko)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US1184062A (en) Wicket for dams.
KR20230072227A (ko) 전도식 수문 작동 시스템
CN112684139B (zh) 一种在线智能水质监测系统
CN217078653U (zh) 拖重式翻板闸
KR101544838B1 (ko) 전도식 가동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