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116B1 -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 - Google Patents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116B1
KR102560116B1 KR1020210036373A KR20210036373A KR102560116B1 KR 102560116 B1 KR102560116 B1 KR 102560116B1 KR 1020210036373 A KR1020210036373 A KR 1020210036373A KR 20210036373 A KR20210036373 A KR 20210036373A KR 102560116 B1 KR102560116 B1 KR 102560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lades
coupling hole
sha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1587A (ko
Inventor
조재길
Original Assignee
조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길 filed Critical 조재길
Priority to KR102021003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116B1/ko
Publication of KR20220131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몸체부와 날부가 기하학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내구성 및 작업 효율이 향상된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칼날 구조에 의하면 기존의 예초기에 장착할 수 있는 호환 구조로써, 구입 비용이 저렴하고 풀 이외의 돌이나 이물질에 강하게 부딪혀도 회전 속도가 줄어들지 않으며, 돌 등의 이물질과 부딪히더라도 멀리 튕겨나가지 않아서 작업자에게 사고 유발 가능성이 매우 감소된 것으로써, 풀에 감길 우려가 없어서 작업시 부하가 걸리지 않아서 작업 효율이 높음은 물론 내구성이 증되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Improved blade structure of mowing machine}
본 발명은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몸체부와 날부가 기하학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내구성 및 작업 효율이 향상된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는 크게 분류하여 일자형 칼날식, 원형 톱날식, 로프식 등이 알려져 있다.
원형 톱날식 예초기는 굵은 풀까지 잘 베어지고 돌들을 튕기지 않아 안전성은 좋으나 베어진 풀을 쳐내어 쓰러뜨리는 동작을 다시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제초 작업 속도가 느리게 된다.
일자형 칼날식 예초기는 길다란 두갈래의 칼날이 고속회전되는 것으로, 워낙 힘이 좋아 잡초 뿐만 아니라 나뭇가지 등도 잘라내므로 일부 사용자들이 선호하기도 한다.
일자형 칼날식 예초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칼날(10)이 지지대의 연결봉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칼날(10)은 중간부가 넓고 양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일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결합구멍(11)이 형성되어 예초기에 결합된 후 회전력을 받아 회전되는 구조이며, 칼날(10)의 회전방향 측에 날부(12)가 형성되어 칼날(10)이 회전되는 회전력에 의해 초목을 베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일자형 칼날식 예초기는 바닥에 돌이 있게 되면, 이 돌들을 칼날이 쳐내어 돌이 외부로 튕겨지기 때문에 예초작업 둘레의 다른 사람들에게 위협을 주는 문제가 있고, 작업시 칼날이 아카시아 나무와 같은 강성을 갖는 잡목에 직각으로 부딪히게 되면 나무를 베어내지 못하고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나무가 튕겨나가 예초기용 칼날(10)과 연결된 예초기 역시 강한 충격을 받게 되어 기기의 손상을 유발하는 한편, 상기 나무에서 비산되는 나무조각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는 경우가 발생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풀이나 잡목이 칼날의 길이방향 양측에 감기고 엉키어 초목을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칼날은 사용 기간이 한정되고 회전날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유효수명이 낮으며 장기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예초기와 칼날이 결합된 부분에 잡초가 엉키거나 꼬이는 현상으로 인해 칼날의 원활한 회전이 저해되어 예초작업 효율이 저감될 뿐 아니라, 구동모터의 과부하로 모터가 손상되어 수명이 단축되고 연료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일자형 칼날을 가진 예초기의 구조를 개선하고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필요성이 있다.
한국 공개번호 제10-2019-0107544호(2019년09월20일) 한국 등록번호 제10-1374398호(2014년03월07일)
본 발명자는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이 개선되고 작업 성능은 물론이고 내구성이 있는 예초기의 칼날 구조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은 구조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예초기의 칼날이 이와 같은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성능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충분히 확보된 예초기의 칼날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예초기 본체에 결합되는 착탈식 절단 날에 있어서,
본체의 회전체에 대한 결합공(110)이 중심부에 구비되고, 결합공을 기준으로 영문자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공(110)을 기준으로 상하가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유선형 몸체부(120); 및
상하 단부에 복수개의 날이 형성된 날부(150);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120)의 상부 일측은 만곡부(130)가 형성되고 타측은 홈부(14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결합공(110)의 하부는 상기 상부와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날부(150)는
좌측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60), 상기 돌출부(160)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 1날(170), 제1날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날(190), 및 제2날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3 날(19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착탈식 날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칼 날 구조에 의하면 기존의 예초기에 장착할 수 있는 호환 구조로써, 구입 비용이 저렴하고 풀 이외의 돌이나 이물질에 강하게 부딪혀도 회전 속도가 줄어들지 않으며, 돌들의 이물질과 부딪히더라도 멀리 튕겨나가지 않아서 작업자에게 사고 유발 가능성이 매우 감소된 것으로써, 풀에 감길 우려가 없어서 작업시 부하가 걸리지 않아서 작업 효율이 높음은 물론 내구성이 증되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칼 날 구조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예초기의 칼 날 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칼날 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른 예초기의 칼 날 구조이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예초기 본체에 결합되는 착탈식 절단 날에 있어서,
본체의 회전체에 대한 결합공(110)이 중심부에 구비되고, 결합공을 기준으로 영문자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공(110)을 기준으로 상하가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유선형 몸체부(120); 및
상하 단부에 복수개의 날이 형성된 날부(150);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120)의 상부 일측은 만곡부(130)가 형성되고 타측은 홈부(14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결합공(110)의 하부는 상기 상부와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날부(150)는
좌측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60), 상기 돌출부(160)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 1날(170), 제1날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날(190), 및 제2날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3 날(19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착탈식 날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날부(150)에 형성된 날들(170, 180, 190)은 좌측(172, 182, 192)에 예리한 형태로 경사지게 날이 형성되고, 선단부(171, 181, 191)는 날이 형성되지 않으며, 선단부의 폭(171, 181, 191)은 우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착탈식 날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60)는 90~160°의 범위 내의 각도로 형성되고, 날이 형성되지 않으며 돌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하고, 전방부(161)는 라운드 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착탈식 날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제 3날(190)은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날부의 후방(193)은 날이 형성되지 않으며, 날부의 선단(151)과 동일 연장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151)은 세로 단부(152)와 절곡된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착탈식 날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예초기의 착탈식 칼 날 구조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칼 날 구조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의 칼날 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른 예초기의 칼 날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 날은 기존의 예초기에 장착할 수 있는 호환 구조로써 구입 비용이 저렴하고 풀 이외의 돌이나 이물질에 강하게 부딪혀도 회전 속도가 줄어들지 않으며, 돌들의 이물질과 부딪히더라도 멀리 튕겨나가지 않아서 작업자에게 사고 유발 가능성이 매우 감소된 것으로써, 풀에 감길 우려가 없어서 작업시 부하가 걸리지 않아서 작업 효율은 물론이고 내구성이 증되된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착탈식 날 구조는 예초기 본체에 결합되는 착탈식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결합공(110)에 볼트 결합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착탈식 날 구조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크게 몸체부(120)와 날부(150)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우측의 화살표는 예초기 날(100)의 회전 방향이다.
상기 몸체부(120)는 예초기 날(100)에서 날부(150) 아래쪽의 영역으로써 본체(예초기)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에 대한 결합공(110)이 중심부에 구비되고, 결합공(110)을 기준으로 대략 영문자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공(110)을 기준으로 상하가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데, 날부(150)의 폭이 몸체부(120)의 폭 보다 더 넓은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날부(150)는 예초기 날(100)의 상부 영역으로써 상하 단부에 복수 개의 날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20)의 상부 일측은 만곡부(130)가 형성되고 타측은 반원형 오목부(14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결합공(110)의 하부는 상기 상부와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만곡부(130)는 날에 의해 잘려진 풀이나 잡초가 밀려서 모이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날부(150)는 풀이나 나무 잡초를 직접 베는 기능을 수행하는 영역으로써 좌측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60), 상기 돌출부(160)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 1날(170), 제1날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날(190), 및 제2날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3 날(19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예초기 날은 단부 부분만 직접 풀을 베는 기능을 하고, 그 내측 부분은 풀을 베는데 기여하지는 않는다.
상기 돌출부(160)는 90~160°의 범위 내의 각도로 형성되고, 전방부(161)는 꼭지점까지 점점 경사가 큰 라운드 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160)는 날이 형성되지 않으며 돌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하고, 예초기 날(100)은 날부(150)에 앞서 돌출부(160)가 돌 등의 이물질과 부딪히더라도 살짝 밀어내어 멀리 튕겨나가지 않게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사고 유발 가능성이 매우 감소되고, 풀에 감길 우려가 적어진다. 또한, 풀 이외의 돌이나 이물질에 강하게 부딪혀도 회전 속도가 줄어들지 않는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모터에 부하가 걸리지 않으므로 예초기의 수명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날부(150)에 형성된 날들(170, 180, 190)은 좌측(172, 182, 192)에 예리한 형태로 경사지게 날이 형성되고, 선단부(171, 181, 191)는 날이 형성되지 않으며, 선단부의 폭(171, 181, 191)은 우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날(170)과 제 2날(180)은 날부(172, 182)가 후방부(173, 183)보다 짧은 사다리 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3날(190)은 삼각형 톱니형의 선단을 이룬다.
제 3날(190)의 후방(193)은 날이 형성되지 않으며, 날부의 연장부(151)와 동일 연장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151)는 세로 단부(152)와 절곡된 형태를 이루고, 상기 세로 단부(152)는 반원형 오목부(140)와 경계를 이룬다.
한편, 몸체부(120)는 내외측 부분이 칼날과 같은 경사면이나 어떠한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풀이나 나무를 절삭하는데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구조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날부(150)의 구조는 나무를 벨 때도 유용하다. 이론상 원형 톱날이 이가 더 많으므로 효율적으로 나무가 베어질 것으로 여겨질 수 있으나, 원형 톱날 보다 더 적은 날을 가진 날부(150)의 구조는 충격식으로 회전함으로써 나무를 벨 경우에는 더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예초기 날에 타공부(195)가 형성될 경우,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됨에 따라 뛰어난 냉각 효율을 갖도록 하여 작업 전과 작업 직후의 날의 온도차를 줄여 열피로를 줄일 수 있고, 날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예초기 날의 무게가 감소하여 제조 경비가 절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초기 날을 사용할 경우 단위 시간당 작업 효율인 100% 이상 증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 사용감이 좋고, 돌 등의 이물질에 의한 부상의 위험성이 한층 줄어들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예초기 날
110: 결합공
120: 몸체부
130: 만곡부
140: 오목부
150: 날부
160: 돌출부
170: 제 1날
180: 제 2날
190: 제 3날

Claims (4)

  1. 예초기 본체에 결합되는 착탈식 절단 날에 있어서,
    본체의 회전체에 대한 결합공(110)이 중심부에 구비되고, 결합공을 기준으로 영문자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공(110)을 기준으로 상하가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유선형 몸체부(120); 및 상하 단부에 복수개의 날이 형성된 날부(150);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120)의 상부 일측은 만곡부(130)가 형성되고 타측은 홈부(14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결합공(110)의 하부는 상기 상부와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날부(150)는
    좌측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60), 상기 돌출부(160)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 1날(170), 제 1날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 2날(190), 및 제 2날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3 날(19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부(150)에 형성된 날들(170, 180, 190)은 좌측(172, 182, 192)에 예리한 형태로 경사지게 날이 형성되고, 선단부(171, 181, 191)는 날이 형성되지 않으며, 선단부의 폭(171, 181, 191)은 우측으로 갈수록 좁아져서, 상기 제 1날(170)과 제 2날(180)은 날부(172, 182)가 후방부(173, 183) 보다 짧은 사다리 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160)는 90~160°의 범위 내의 각도로 형성되고, 날이 형성되지 않으며 돌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하고, 전방부(161)는 라운드 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날(190)은 삼각형의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날부의 후방(193)은 날이 형성되지 않으며, 날부의 선단(151)과 동일 연장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151)은 세로 단부(152)와 절곡된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착탈식 날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36373A 2021-03-22 2021-03-22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 KR102560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373A KR102560116B1 (ko) 2021-03-22 2021-03-22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373A KR102560116B1 (ko) 2021-03-22 2021-03-22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587A KR20220131587A (ko) 2022-09-29
KR102560116B1 true KR102560116B1 (ko) 2023-07-25

Family

ID=8346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373A KR102560116B1 (ko) 2021-03-22 2021-03-22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622B1 (ko) * 2023-08-18 2024-06-10 김영범 예초기 칼날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165B1 (ko) * 2016-05-17 2016-09-20 (주)아이디알 예초기용 절첩칼날
KR101885613B1 (ko) 2017-04-19 2018-08-06 정태근 양면 사용이 가능한 원형 예초기 칼날
CN111887002A (zh) 2020-08-31 2020-11-06 尹素君 一种新型割草机刀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00270U1 (de) * 1999-01-09 1999-03-18 Andreas Stihl AG & Co., 71336 Waiblingen Messerblatt für ein Freischneidegerät
KR101374398B1 (ko) 2012-07-30 2014-03-17 박학제 예초기용 커터
KR20160078860A (ko) * 2014-12-25 2016-07-05 김길만 출몰 칼날식 예초기용 칼날
KR102091316B1 (ko) 2018-03-12 2020-03-19 백덕흠 부양력을 갖춘 예초기 절단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165B1 (ko) * 2016-05-17 2016-09-20 (주)아이디알 예초기용 절첩칼날
KR101885613B1 (ko) 2017-04-19 2018-08-06 정태근 양면 사용이 가능한 원형 예초기 칼날
CN111887002A (zh) 2020-08-31 2020-11-06 尹素君 一种新型割草机刀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622B1 (ko) * 2023-08-18 2024-06-10 김영범 예초기 칼날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587A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7561A (en) Rotary cutting assembly
US4112653A (en) Lawn mower and method
US6446346B1 (en) Rotary blade for trimmers and brush cutters
CA1074573A (en) Cutter pin for rotary mower having lenticular section
US7882774B1 (en) Brushcutter blade
KR102510421B1 (ko)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
US4172322A (en) Rotary cutting assembly
US5033259A (en) Blade for rotary lawnmowers and the like
US4631828A (en) Cutting means for rotary trimmer
WO2005077144A1 (en) A knife protect cover of weed cuter
KR102560116B1 (ko)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
KR102091316B1 (ko) 부양력을 갖춘 예초기 절단날
BR102013014306A2 (pt) lâmina de corte de grama para uma roçadeira
US20110277438A1 (en) Lawn Mower Blade
JP2006296206A (ja) 草刈機のフリーナイフ
US4306407A (en) Lawn care device
US4165597A (en) Cutter pin for rotary mower
US3203161A (en) Rotary lawn mower cutting unit
US4079578A (en) Safety guard for rotary-type cutter
KR101658165B1 (ko) 예초기용 절첩칼날
US5398490A (en) Endless cutting head for lawn mower
JPH10210839A (ja) 草刈機および草刈機用回転刃
KR20160035938A (ko) 예초기 사면칼날
WO2005004580A1 (en) Safety cover of lawn mower cutter for mowing the lawn
JPH0837870A (ja) リール式の芝刈機或いは除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