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088B1 -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 Google Patents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088B1
KR102560088B1 KR1020210106852A KR20210106852A KR102560088B1 KR 102560088 B1 KR102560088 B1 KR 102560088B1 KR 1020210106852 A KR1020210106852 A KR 1020210106852A KR 20210106852 A KR20210106852 A KR 20210106852A KR 102560088 B1 KR102560088 B1 KR 102560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evaporation panel
unit
cooling wate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4741A (ko
Inventor
원성준
천세준
마진천
최규환
Original Assignee
(주)세원센추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원센추리 filed Critical (주)세원센추리
Priority to KR1020210106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088B1/ko
Priority to KR1020230022163A priority patent/KR20230029740A/ko
Publication of KR20230024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2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condensate, e.g. for enhanc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02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having 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4Feeding and driving arrangements, e.g. pow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1Details of condensers of evaporative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외기를 강제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부재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기 위해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가 마련된 냉각유닛과, 상기 응축기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는 방열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는 방열유닛을 이용하여 응축기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으므로 공조기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cooling means for condenser}
본 발명은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기에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는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기는 공기조화기라고도 하며, 실내를 거주자가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와 습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공조기는 냉동기나 냉장고에 사용되는 냉동사이클과 동일 원리로 작동하게 되는데, 실내와 실외에 각각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압축기를 거쳐 압축된 냉매가 응축, 감압팽창 및 증발하는 과정을 통해 실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공조기에는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 또는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이동방향을 절환할 수 있는 사방밸브가 마련되어 있어서, 여름철에는 실내에 설치되는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사용되고 실외에 설치되는열교환기는 응축기로 사용될 수 있도록 냉매의 이동방향을 설정하고, 겨울철에는 그 반대가 되도록 함으로써 여름에는 실내 공기를 냉각시키고, 겨울철에는 실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조기는 가정에서 뿐 아니라 온도와 습도의 유지 관리가 철저히 요구되는 산업 현장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정밀기계를 통해 정밀 가공, 측정이 행해지는 실험실, 조립fab 등에서나, 컴퓨터 장비 시스템 등이 수용되는 전산센터실이나, 각종 고문서, 문화재가 비치되는 박물관 등에서는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기기, 정밀기계, 각종 장비 등이온도와 습도 변화에 매우 민감하므로 항온 및 항습이 철저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조기의 경우,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된 응축기를 통과하는 외기가 고온일 경우, 공조기의 냉각 효율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58351호: 공조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응축기로 유동하는 외기를 냉각시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외기를 강제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부재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기 위해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가 마련된 냉각유닛과, 상기 응축기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는 방열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방열유닛은 내부에 상기 응축기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마련된 실외기 함체와, 상기 유입구 측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하는 외기 냉각부를 구비한다.
상기 외기 냉각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 상의 상기 실외기 함체에 설치되는 다수의 증발패널과, 상기 증발패널을 통과하여 상기 실외기 함체 내로 유입되는 외기가 냉각되기 위해 냉각수가 상기 증발패널에서 증발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패널 표면에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증발패널은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냉각수를 흡수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증발패널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입구의 좌우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냉각수 공급부는 상기 증발패널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상기 냉각수를 공급한다.
상기 증발패널은 상기 유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 공급부는 상기 증발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냉각수가 유동하는 유동로가 마련되고, 상기 증발패널의 표면으로 상기 냉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패널에 인접된 위치에 분출공이 형성된 공급관과, 상기 증발패널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패널들을 통과한 상기 냉각수를 수집하는 수집부재와,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으로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증발패널들 사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패널에 마련된 이물질 제거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증발패널들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증발패널의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단부가 상기 증발패널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거 브러쉬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증발패널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증발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롤러와,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는 제2지지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롤러에 감기며, 일단이 상기 실외기 함체 또는 증발패널에 설치되는 승강 와이어와, 상기 승강 와이어의 타단이 외주면에 권취되도록 상기 실외기 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에 상기 승강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권취드럼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권취드럼에서 상기 승강 와이어가 풀릴 경우,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며,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를 구비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제거 브러쉬에 의해 상기 증발패널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이물질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에 마련된 다수의 구속 브러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제거 브러쉬가 설치되며, 상기 증발패널들의 배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호 결합된 복수의 승강블럭과, 상기 승강블럭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블럭들에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블럭들은 상기 중량체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시 상기 증발패널에 간섭되어 상호 인접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패널에 접촉되는 접촉면이,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증발패널 측으로 인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증발패널의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패널에 대한 상기 외부공기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외부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외기 가이드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외기 가이드부는 상기 증발패널의 표면에 돌출되며, 상기 증발패널의 표면 상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나선형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방열유닛은 외기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강제 송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외기 함체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송풍기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외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풍력 발전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는 상기 증발기에 의해 응축되어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응축수를 상기 냉각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응축수를 수집하여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 제공하는 드레인 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는 상기 증발패널 표면에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를 냉각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 설치되는 서브 냉각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냉각부는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패널 표면으로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의 유동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유로가 마련된 열교환기와, 상기 팽창밸브에서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를 상기 열교환기의 내부유로에 공급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공급하는 냉매 제공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는 방열유닛을 이용하여 응축기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으므로 공조기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의 방열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의 방열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의 이물질 제거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의 이물질 제거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의 이물질 제거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의 방열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방열유닛의 풍력 발전모듈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의 서브 냉각부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외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흡입구(112) 및 배출구(113)가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도록 외기를 강제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송풍부재(120)와, 상기 수용공간(111)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11)에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기 위해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141)와, 상기 증발기(141)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43)와, 상기 본체(1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143)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142)와, 상기 응축기(142) 및 증발기(14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142)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144)가 마련된 냉각유닛(140)과, 상기 응축기(142)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142)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는 방열유닛(200)을 구비한다.
본체(110)는 사각 구조물로 형성되며, 전면 상측에 배출구(113)가 형성되고, 전면 하측에 다수의 흡입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10)는 내부에 유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필터부재(1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재(114)는 흡입구(112)들을 덮을 수 있도록 본체(110) 내벽면에 설치된다.
송풍부재(120)는 배출구(113)에 인접된 위치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1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강제 송풍시킨다. 상기 송풍부재(120)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로코팬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기(141)는 내부에 냉매가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제1열교환 파이프와,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1방열판을 구비한다. 여기서, 냉매는 고온 환경에 적합한 친환경 물질인 R134a 냉매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는 본체(110)의 수용공간(111) 내에 설치되며, 다단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열교환 파이프는 냉매와, 수용공간(111) 내의 공기의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동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방열판은 수용공간(111) 내의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제1열교환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동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열교환 파이프를 통과하는 냉매는 수용공간(111) 내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잠열을 흡수한다. 증발기(141)에서 기화된 냉매는 압축기(143)로 유동하고, 압축기(143)에서 고압으로 압축된다. 압축기(143)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142)에서 응축열을 방출하여 액체상태로 응축된다. 응축기(142)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144)에서 저압상태로 팽창되고, 증발기(141)에서 기체상태로 증발된다. 한편, 증발기(141), 압축기(143), 응축기(142) 및 팽창밸브(144)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응축기(14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에 냉매가 통과하는 유동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실외기 함체(210)의 내부에 설치된 제2열교환 파이프와, 상기 제2열교환 파이프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제2방열판을 구비한다.
상기 제2열교환 파이프는 실외기 함체(210) 내부에 설치되며, 다단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열교환 파이프는 냉매와, 실외기 함체(210) 내의 공기의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동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방열판은 실외기 함체(210) 내의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제2열교환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동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응축기(142) 및 압축기(143)는 후술되는 방열유닛(200)의 실외기 함체(210)에 설치되어 본체(110) 외부 즉,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된다. 한편, 응축기(142)는 복수개가 실외기 함체(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응축기(142)들은 "V"자 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열유닛(200)은 내부에 응축기(142)가 설치되는 내부공간(211)이 마련되며, 내부공간(211)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212)가 마련된 실외기 함체(210)와, 상기 유입구(212) 측에 마련되어 유입구(212)를 통해 내부공간(211)으로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하는 외기 냉각부(220)를 구비한다.
실외기 함체(210)는 내부에 응축기(142) 및 압축기(143)가 설치되는 내부공간(211)이 마련되며,전면 및 후면에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212)가 각각 형성되고, 상면에는 응축기(142)를 통과한 외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출구(21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실외기 함체(210)는 외기를 내부로 강제송풍시킬 수 있도록 유출구(213) 측에 송풍기(21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기 냉각부(220)는 상기 유입구(212)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212) 상의 상기 실외기 함체(210)에 설치되는 다수의 증발패널(221)과, 증발패널(221)을 통과하여 실외기 함체(210) 내로 유입되는 외기가 냉각되기 위해 냉각수가 증발패널(221)에서 증발될 수 있도록 증발패널(221) 표면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222)를 구비한다.
증발패널(22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유입구(212)를 따라 실외기 함체(210)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된다. 이때, 증발패널(221)은 유입구(212)의 좌우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며, 냉각수 공급부(222)에서 공급된 물이 공기와 접촉하기 용이하게 증발되기 위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증발패널(221)은 냉각수 공급부(222)에서 공급된 냉각수 중 일부를 흡수하여 수용할 수 있게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수 공급부(222)는 상기 증발패널(221)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냉각수가 유동하는 유동로가 마련된 공급관(223)과, 상기 증발패널(221)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공급관(223)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패널(221)의 표면으로 상기 냉각수를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부재와, 상기 증발패널(22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패널(221)들을 통과한 상기 냉각수를 수집하는 수집부재(224)와, 상기 공급관(223)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223)으로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부재(225)를 구비한다.
공급관(223)은 복수개가 실외기 함체(210)의 상단부 전면 및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배수공간(226)이 마련된다. 공급관(223)은 하면에, 증발패널(221)들의 상단부가 설치된다. 이때, 공급관(223)은 증발패널(221)들에 인접된 위치의 하면에, 배수공간(226)의 냉각수가 증발패널(221) 측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분출공(2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집부재(224)는 유입구(212)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냉각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수집부재(224)는 용이하게 냉각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집부재(224)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일측에 배수관(228)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수집부재(224)에 수집된 냉각수를 저장탱크가 재공급하기 위해 해당 배수관(228)이 저장탱크에 연결될 수도 있다.
공급부재(225)는 냉각수가 수용된 저장탱크(미도시)와, 저장탱크의 냉각수가 상기 공급관(223)으로 공급되도록 저장탱크와 공급관(223)에 연결된 유동관(229)과, 상기 유동관(229)에 설치되어 저장탱크의 냉가수를 펌핑하여 공급관(223)에 공급하는 전달펌프를 구비한다.
저장탱크는 내부에 냉각수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여기서, 냉각수는 물이 적용된다. 이때, 저장탱크는 건축물의 급수시설에 연결되어 해당 급수시설로부터 물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 전달펌프는 기설정된 단위시간 간격으로 작동되어 저장탱크의 냉각수를 공급관(223)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외기 냉각부(220)는 전달펌프에 의해 저장탱크의 냉각수를 공급관(223)으로 공급한다. 공급관(223)으로 공급된 냉각수는 배수공간(226) 내에서, 분출공(227)을 통해 증발패널(221)의 표면으로 분출된다. 증발패널(221)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수는 증발되면서 유입구(212)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100)는 방열유닛(200)을 이용하여 응축기(142)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으므로 공조기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열유닛(3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방열유닛(300)은 상기 증발패널(221)들 사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패널(221)에 마련된 이물질 제거부(3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310)는 상기 증발패널(221)들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311)와, 상기 증발패널(221)의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단부가 상기 증발패널(221)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승강부재(311)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거 브러쉬(312)와, 상기 승강부재(311)를 상기 증발패널(22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승강 구동부(320)를 구비한다.
승강부재(311)는 다수개가 증발패널(221)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증발패널(221)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승강부재(311)는 증발패널(221)들에 대향되는 좌우측면에, 각각 보조롤러(314)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보조롤러(314)들은 각각 외주면이 증발패널(221)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승강부재(3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롤러(314)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승강부재(311)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외주면이 증발패널(221)의 표면이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은 양단이 각각 승강부재(311) 및 보조롤러(314)에 설치되어 보조롤러(314)에 승강부재(3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승강부재(311)의 상면에는 제거 브러쉬(312)가 설치되기 위한 복수의 브라켓(3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315)은 승강부재(311)의 상면 좌우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며, 승강부재(311)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거 브러쉬(312)는 승강부재(311)의 상단에 마련된 브라켓(315)에 설치된다. 이때, 브러쉬는 단부가 증발패널(221)의 표면에 접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311)에 대해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또한, 브러쉬는 증발패널(221)에 접촉시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 구동부(320)는 증발패널(22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롤러(321)와, 승강부재(311)에 설치되는 제2지지롤러(322)와, 제1 및 제2지지롤러(322)에 감기며, 일단이 상기 실외기 함체(210)에 설치되는 승강 와이어(323)와, 승강 와이어(323)의 타단이 외주면에 권취되도록 실외기 함체(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드럼(324)과, 권취드럼(324)에 승강 와이어(323)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권취드럼(324)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미도시)와, 권취드럼(324)에서 승강 와이어(323)가 풀릴 경우, 승강부재(311)가 하강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311)에 설치되며,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326)를 구비한다. 여기서, 증발패널(221)은 상단부가 공급관(223)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공급관(223)의 전후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지지롤러(321)는 공급관(223) 외측의 증발패널(221)들 상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지지롤러(322)는 승강부재(311)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브라켓(315)들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 와이어(323)는 제1지지롤러(321)들과 제2지지롤러(322)들에 지지되며, 일단이 실외기 함체(210)의 천장면에 고정된다. 한편, 승강 와이어(323)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이 최우측 증발패널(221)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권취드럼(324)은 수집부재(224)에 인접된 실외기 함체(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승강 와이어(323)의 타단이 다수외 감겨있다. 회전모터는 권취드럼(32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권취드럼(324)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급된 전기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체(326)는 승강부재(311)의 하부에 고정되며, 승강부재(311)에 중력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도록 소정의 중량을 갖는다. 회전모터에 의해 승강 와이어(323)가 풀리는 방향으로 권취드럼(324)이 회전하면, 승강 와이어(323)가 권취드럼(324)으로부터 풀리면서 중량체(326)의 중량에 의해 승강부재(311)가 하강한다. 한편, 회전모터에 의해 승강 와이어(323)가 감기는 방향으로 권취드럼(324)이 회전하면, 승강 와이어(323)가 권취드럼(324)에 감기면서 제1 및 제2지지롤러(322)에 의해 승강 와이어(323)에 지지된 승강부재(311)는 상승한다. 이때,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부재(311)에 설치된 제거 브러쉬(312)가 증발패널(221)을 간섭하여 증발패널(221)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33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물질 제거부(330)는 상기 제거 브러쉬(312)에 의해 상기 증발패널(221)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이물질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311)의 상부에 마련된 다수의 구속 브러쉬(331)를 구비한다.
상기 구속 브러쉬(331)는 승강부재(311)의 상면에 설치된 브라켓(315)들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구속 브러쉬(331)는 브라켓(315)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며, 다수개가 전후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또한, 구속 브러쉬(331)는 증발패널(221)에 접촉시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 브러쉬(312)에 의해 증발패널(221)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구속 브러쉬(331)에 구속되므로 해당 이물질이 비산되어 응축기(142)에 고착되거나 실외기 함체(210)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승강부재(34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부재(340)는 제거 브러쉬(312)가 설치되며, 증발패널(221)들의 배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호 결합된 복수의 승강블럭(341)과, 승강블럭(341)들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블럭(341)들에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42)를 구비한다.
승강블럭(341)들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어 있으며, 승강블럭(341)들 중 어느 하나의 하면에 상기 중량체(326)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승강블럭(341)들은 중량체(326)에 의해 승강부재(340)가 하강시 증발패널(221)들에 간섭되어 상호 인접될 수 있도록 증발패널(221)에 접촉되는 접촉면이,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증발패널(221) 측으로 인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승강블럭(341)들은 좌우측면이, 상단부보다 하단부가 내측으로 인입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342)는 양단이 승강블럭(341)들에 각각 고정되어 승강블럭(341)들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탄성부재(342)가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탄성부재(342)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승강블럭(341)들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40)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호 결합된 승강블럭(341)들에 의해 증발패널(221)들 사이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보다 용이하게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열유닛(4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방열유닛(400)은 상기 증발패널(221)의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패널(221)에 대한 상기 외부공기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외부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외기 가이드부(4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외기 가이드부(410)는 증발패널(221)의 표면에 돌출되며, 증발패널(221)의 표면 상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나선형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돌기(411)를 구비한다. 여기서, 가이드 돌기(411)는 증발패널(221)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수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4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412)는 다수개가 가이드 돌기(4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구(412)를 통해 가이드 돌기(411) 사이로 유입된 냉각수는 증발하여 가이드 돌기(411)를 따라 유동하는 외기를 냉각시킨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열유닛(5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방열유닛(500)은 송풍기에 인접된 실외기 함체(210)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외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풍력 발전모듈(510)을 구비한다.
상기 풍력 발전모듈(510)은 송풍기의 상면에 설치되는 메인바디(520)와, 상기 메인바디(5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발전터빈(530)과, 상기 발전터빈(530)에 설치되어 해당 발전터빈(530)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54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바디(520)는 내부에 유동공간(521)이 마련되며, 상하면은 송풍기에 의해 강제송풍되는 외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메인바디(520)의 상면은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522)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메인바디(520)는 송풍기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메인바디(52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외기 함체(210)의 유입구, 유출기 등과 같이 송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외기의 유동경로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메인바디(520)는 내부에, 발전터빈(530) 및 발전기(54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523)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523)는 메인바디(520)의 내부에 마련된 지지블럭(524)과, 지지블럭(524)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단부가 메인바디(520)의 내벽면에 고정된 다수의 지지다리(525)를 구비한다. 이때, 지지블럭(524)은 메인바디(520)의 내부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전터빈(530)은 지지블럭(524)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발전터빈(530)은 메인바디(520)의 유동공간(521)을 통과하는 외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다. 상기 블레이드는 발전터빈(53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발전터빈(530)은 공기의 유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형성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풍력 발전용 터빈이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발전기(540)는 발전터빈(530)의 회전중심에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블럭(524)에 설치되어 발전터빈(530)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발전기(540)는 발생된 전기를 배터리에 공급하거나 냉각유닛 또는 냉각수 공급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방열유닛(500)은 송풍기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외기를 이용하여 발전하므로 공조기의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6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600)는 상기 증발기(141)에 의해 응축되어 상기 본체(110)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수를 상기 냉각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배출수를 수집하여 상기 냉각수 공급부(222)에 제공하는 드레인 유닛(61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드레인 유닛(610)은 증발기(141)의 표면에 응축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수집호퍼(611)와, 수집호퍼(611)에 수집된 응축수를 본체(110)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 호스(612)와, 드레인 호스(612)에 연결되어 해당 응축수를 수용하는 수용탱크(613)와, 수용탱크(613)에 수용된 응축수를 냉각수 공급부(222)에 제공하는 응축수 제공부(614)를 구비한다.
수집호퍼(611)는 증발기(141) 하측의 본체(110) 바닥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집공간이 마련되고, 증발기(141)의 표면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는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호스(612)는 일단이 수집호퍼(611)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드레인 호스(612)는 타단이 수용탱크(613)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탱크(613)는 본체(110)의 외부에 마련되며, 드레인 호스(612)의 타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수용탱크(613)는 드레인 호스(612)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응축수 제공부(614)는 수용탱크(613)에 수용된 응축수가 냉각수 공급부(222)의 공급관(223)에 공급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각각 수용탱크(613) 및 공급관(223)에 연결된 연결관(615)과, 상기 연결관(615)에 설치되어 수용탱크(613) 내의 응축수를 상기 연결관(615)으로 펌핑하는 연결펌프(616)를 구비한다. 한편, 응축수 제공부(614)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탱크(613)에 수용된 응축수를 공급관(223)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급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드레인 유닛(610)은 본체(110) 외부로 배출되는 응축수를 수집하여 냉각수 공급부(222)의 냉각수로 사용하므로 증발패널(221)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7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700)는 상기 증발패널(221) 표면에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를 냉각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수 공급부(222)에 설치되는 서브 냉각부(7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서브 냉각부(710)는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패널(221) 표면으로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의 유동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유로가 마련된 열교환기(720)와, 상기 팽창밸브에서 상기 증발기(141)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를 상기 열교환기(720)의 내부유로에 공급하고, 상기 열교환기(720)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공급하는 냉매 제공부(730)를 구비한다.
열교환기(720)는 공급부재(225)의 유동관(229) 내에 설치되며, 유동관을 통해 공급관(223)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와 열교환한다. 여기서, 열교환기(720)는 냉매가 유입되는 제1유입부(721)와, 유동관(229)에 연결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부(723)와, 상기 제1유입부(721)에 연통되며, 다수의 열교환 플레이트(미도시)가 적층되어 해당 냉매가 유동하는 제1내부유로와, 제2유입부(723)에 연통되며,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2내부유로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패키지와, 상기 플레이트 패키지에 연결되어 제1내부유로를 통과하는 냉매가 배출되는 제1유출부(722)와, 상기 플레이트 패키지에 연결되어 제2내부유로를 통과하는 냉각수가 배출되는 제2유출부(724)를 구비한다.
상기 열교환 플레이트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제1유입부(721)에 연결되는 제1입구포트와, 제2유입부(723)에 연결되는 제2입구포트와, 제1유출부(722)에 연결되는 제1출구포트와, 제2유출부(724)에 연결되는 제2출구포트가 형성된다. 또한, 열교환 플레이트는 다수개가 적층시 사이에 제1내부유로 및 제2내부유로가 마련되도록 다수의 돌출부분 및 함몰부분 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열교환 플레이트들 사이에 형성된 제1내부유로는 각각 제1입구포트 및 제1출구포트에 연통되게 형성되고, 제2내부유로는 각각 제2입구포트 및 제2출구포트에 연통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된 열교환기(720)는 열교환 대상 유체와 냉매를 냉각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수의 열교환 플레이트가 마련된 판형 열교환기(720)가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72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냉각수와 냉매를 열교환시킬 수 있는 열교환 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제2유출부(724)는 공급관(223)에 연결되어 제2내부유로를 통과한 냉각수를 해당 공급관(223)에 공급한다. 제1내부유로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제2내부유로를 통과하는 냉각수가 냉각되어 공급관(223)으로 공급된다.
냉매 제공부(730)는 일단이 팽창밸브(144)에서 증발기(141)로 냉매가 유동하는 제1유동관에 연결되며, 타단은 열교환기(720)의 제1유입부(721)에 연결되는 제1분기관(731)과, 일단이 증발기(141)에서 압축기(143)로 냉매가 유동하는 제2유동관(19)에 연결되며, 타단은 열교환기(720)의 제1유출부(722)에 연결되는 제2분기관(732)을 구비한다.
팽창밸브(144)에서 증발기(141)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는 제1분기관(731)을 통해 열교환기(720)의 제1유입부(721)로 유입되어 열교환기(720)의 내부유로를 따라 유동한다. 해당 냉매는 열교환기(720)의 내부유로를 따라 유동하며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해당 냉각수를 냉각시킨다. 열교환기(720)를 통과한 냉매는 제2분기관(732)을 통해 제2유동관(19)으로 공급되고, 압축기(143)에 의해 압축된 다음, 응축기(142)로 공급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분기관(731)에는 제1유동관으로부터 냉매를 펌핑하여 열교환기(720)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서브 냉각부(710)는 냉각수 공급부(222)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증발기(141)로 공급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냉각하므로 저온의 냉각수가 증발패널(221)의 표면에 분사되어 증발패널(221)에 의한 증발잠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110: 본체
140: 냉각유닛 141: 증발기
142: 응축기 143: 압축기
144: 팽창밸브 200: 방열유닛
210: 실외기 함체 211: 내부공간
212: 유입구 213: 유출구
214: 송풍기 220: 외기 냉각부
221: 증발패널 222: 냉각수 공급부
223: 공급관 224: 수집부재
225: 공급부재 226: 배수공간
227: 분출공 228: 배수관

Claims (18)

  1.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외기를 강제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부재;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기 위해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가 마련된 냉각유닛; 및
    상기 응축기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는 방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방열유닛은
    내부에 상기 응축기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마련된 실외기 함체; 및
    상기 유입구 측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하는 외기 냉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 상의 상기 실외기 함체에 설치되는 다수의 증발패널; 및
    상기 증발패널을 통과하여 상기 실외기 함체 내로 유입되는 외기가 냉각되기 위해 냉각수가 상기 증발패널에서 증발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패널 표면에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증발패널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입구의 좌우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냉각수 공급부는 상기 증발패널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고,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증발패널의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패널에 대한 상기 외부공기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외부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외기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기 가이드부는 상기 증발패널의 표면에 돌출되며, 상기 증발패널의 표면 상의 가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나선형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패널은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냉각수를 흡수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된,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패널은 상기 유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파형으로 형성된,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공급부는
    상기 증발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냉각수가 유동하는 유동로가 마련되고, 상기 증발패널의 표면으로 상기 냉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패널에 인접된 위치에 분출공이 형성된 공급관;
    상기 증발패널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패널들을 통과한 상기 냉각수를 수집하는 수집부재; 및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으로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구비하는,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증발패널들 사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패널에 마련된 이물질 제거부;를 더 구비하는,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증발패널들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
    상기 증발패널의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단부가 상기 증발패널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거 브러쉬; 및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증발패널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구비하는,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증발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롤러;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는 제2지지롤러;
    상기 제1 및 제2지지롤러에 감기며, 일단이 상기 실외기 함체 또는 증발패널에 설치되는 승강 와이어;
    상기 승강 와이어의 타단이 외주면에 권취되도록 상기 실외기 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에 상기 승강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권취드럼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권취드럼에서 상기 승강 와이어가 풀릴 경우,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며,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를 구비하는,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제거 브러쉬에 의해 상기 증발패널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이물질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에 마련된 다수의 구속 브러쉬;를 더 구비하는,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12.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외기를 강제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부재;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기 위해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 및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가 마련된 냉각유닛; 및
    상기 응축기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는 방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방열유닛은
    내부에 상기 응축기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마련된 실외기 함체; 및
    상기 유입구 측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하는 외기 냉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기 냉각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 상의 상기 실외기 함체에 설치되는 다수의 증발패널; 및
    상기 증발패널을 통과하여 상기 실외기 함체 내로 유입되는 외기가 냉각되기 위해 냉각수가 상기 증발패널에서 증발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패널 표면에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증발패널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입구의 좌우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냉각수 공급부는 상기 증발패널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하고,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증발패널들 사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패널에 마련된 이물질 제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증발패널들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
    상기 증발패널의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단부가 상기 증발패널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거 브러쉬; 및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증발패널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증발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롤러;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는 제2지지롤러;
    상기 제1 및 제2지지롤러에 감기며, 일단이 상기 실외기 함체 또는 증발패널에 설치되는 승강 와이어;
    상기 승강 와이어의 타단이 외주면에 권취되도록 상기 실외기 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에 상기 승강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권취드럼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권취드럼에서 상기 승강 와이어가 풀릴 경우,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되며,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제거 브러쉬가 설치되며, 상기 증발패널들의 배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호 결합된 복수의 승강블럭; 및
    상기 승강블럭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블럭들에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블럭들은 상기 중량체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시 상기 증발패널에 간섭되어 상호 인접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패널에 접촉되는 접촉면이,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증발패널 측으로 인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닛은
    외기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강제 송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외기 함체에 설치되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기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송풍기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외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풍력 발전모듈;을 더 구비하는,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에 의해 응축되어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응축수를 상기 냉각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응축수를 수집하여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 제공하는 드레인 유닛;을 더 구비하는,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패널 표면에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를 냉각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 설치되는 서브 냉각부;를 더 구비하는,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냉각부는
    상기 냉각수와 열교환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패널 표면으로 공급되는 상기 냉각수의 유동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내부유로가 마련된 열교환기; 및
    상기 팽창밸브에서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를 상기 열교환기의 내부유로에 공급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공급하는 냉매 제공부;를 구비하는,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KR1020210106852A 2021-08-12 2021-08-12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KR102560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852A KR102560088B1 (ko) 2021-08-12 2021-08-12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KR1020230022163A KR20230029740A (ko) 2021-08-12 2023-02-20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852A KR102560088B1 (ko) 2021-08-12 2021-08-12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163A Division KR20230029740A (ko) 2021-08-12 2023-02-20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741A KR20230024741A (ko) 2023-02-21
KR102560088B1 true KR102560088B1 (ko) 2023-07-26

Family

ID=853283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852A KR102560088B1 (ko) 2021-08-12 2021-08-12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KR1020230022163A KR20230029740A (ko) 2021-08-12 2023-02-20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163A KR20230029740A (ko) 2021-08-12 2023-02-20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600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69733B (zh) * 2023-12-25 2024-03-15 泰州市华鸿制冷设备厂 一种空调外机冷凝器除尘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8797A (ja) * 2004-10-21 2006-05-11 Sekisui House Ltd 空調システム
KR101152247B1 (ko) * 2010-12-30 2012-06-13 (주)지코코리아 응축기의 이물질 세척장치
KR101878367B1 (ko) * 2018-01-24 2018-07-13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항온항습기의 간접증발 냉각 실외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0375B2 (ja) * 2002-06-27 2008-07-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KR100958351B1 (ko) 2007-12-03 2010-05-17 박상무 항온항습기
KR101961452B1 (ko) * 2016-12-30 2019-03-2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컨 실외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8797A (ja) * 2004-10-21 2006-05-11 Sekisui House Ltd 空調システム
KR101152247B1 (ko) * 2010-12-30 2012-06-13 (주)지코코리아 응축기의 이물질 세척장치
KR101878367B1 (ko) * 2018-01-24 2018-07-13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항온항습기의 간접증발 냉각 실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741A (ko) 2023-02-21
KR20230029740A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358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박스
KR101388844B1 (ko) 칠링 유닛
JP382115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US20150034270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of data center using heat pip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11895518A (zh) 一体式空调机
JP6657399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346904B1 (ko) 공기조화기
KR20230029740A (ko)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JP2015004498A (ja) 熱源装置
KR2011013983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03525A (ko) 공기조화기
WO2018116938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2087954A (ja) 熱源装置
CN218379667U (zh) 空调装置
JP2014178113A (ja) 熱源装置
KR102458497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TWM592868U (zh) 電梯廂型晶片致冷式之冷氣裝置結構改良
KR101280689B1 (ko) 공기조화기
CN220065786U (zh) 空调
CN219435970U (zh) 空调
CN219476819U (zh) 空调
CN219457760U (zh) 空调
CN219350380U (zh) 空调
CN220021312U (zh) 空调
KR102522722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