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035B1 -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035B1
KR102560035B1 KR1020220047422A KR20220047422A KR102560035B1 KR 102560035 B1 KR102560035 B1 KR 102560035B1 KR 1020220047422 A KR1020220047422 A KR 1020220047422A KR 20220047422 A KR20220047422 A KR 20220047422A KR 102560035 B1 KR102560035 B1 KR 102560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housing
weight
management serv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47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한 초소형 CCD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의 세대 외부에서의 화재감지까지 수행할 수 있어 주민의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더욱 더 강화시키고, 나아가 스프링클러나 혹은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관로 상의 소화수 충전 유무를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체크하고 제어하여 화재시 정상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통신단자함이 설치된 계단참 주변에서의 화재 발생도 통신단자함에 결합된 소방유닛을 이용하여 초기 소화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화재 발생시 소화전의 위치를 즉시에 표시하여 소방효과를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Fire hydrant location notification system in apartment houses in case of fire}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한 초소형 CCD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의 세대 외부에서의 화재감지까지 수행할 수 있어 주민의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더욱 더 강화시키고, 나아가 스프링클러나 혹은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관로 상의 소화수 충전 유무를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체크하고 제어하여 화재시 정상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통신단자함이 설치된 계단참 주변에서의 화재 발생도 통신단자함에 결합된 소방유닛을 이용하여 초기 소화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화재 발생시 소화전의 위치를 즉시에 표시하여 소방효과를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발생시 각 구역에 설치된 복수개의 집중분사장치가 작동하여 소화수를 발화점에 집중적으로 분사함으로써 화재발생초기의 화재골든타임 내에 신속한 초기 진화를 유도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기본이다.
이를 위해, 건물의 천정에는 화재감지기, 화재수신기, 스프링클러 등이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화재를 감지하고 이를 경비실, 119 등의 외부 시설로 알릴 뿐만 아니라, 스프링클러가 가동되어 초기 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클러는 화재 발생시 이를 초기에 진압하기 위한 용도로 구비되며 건물의 천장에 주로 설치되어 화재로 인한 온도상승에 대응하여 스프링 쿨러가 구동됨으로써, 진화수를 화재 발생 지점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술한 화재감지기, 화재수신기, 스프링클러 등을 수시로 점검해야 하고, 이는 건물에 거주하는 사람의 목숨과도 직결되는 중요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소방시설이 존재하지만, 화재감지기, 화재수신기, 스프링클러에 대한 점검 필요성을 사용자가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무분별한 소방 설비 점검에 따른 시간 및 비용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소화수관에 소화수가 채워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대처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 심각한 재산상, 인명상 피해가 야기된다.
뿐만 아니라, 계단참에는 인터넷을 비롯한 초고속 통신 환경을 만들기 위한 통신단자함이 마련되어 있지만 이를 초기 화재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계단참 화재시 가장 쉽게 소실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화재가 발생되면 연기와 어둠이 밀려오기 때문에 위치를 분간하기 어렵고, 특히 소화전의 위치를 찾을 수 없어 우왕좌왕하면서 초기 진압 시기를 놓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313201호(2021.10.08.)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감시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특히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한 초소형 CCD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의 세대 외부에서의 화재감지까지 수행할 수 있어 주민의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더욱 더 강화시키고, 나아가 스프링클러나 혹은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관로 상의 소화수 충전 유무를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체크하고 제어하여 화재시 정상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통신단자함이 설치된 계단참 주변에서의 화재 발생도 통신단자함에 결합된 소방유닛을 이용하여 초기 소화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화재 발생시 소화전의 위치를 즉시에 표시하여 소방효과를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리사무실에 설치된 관리서버(10)와, 상기 관리서버(1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초소형캠(110)으로 촬영된 계단참 영상을 관리서버(10)로 송신하는 컨트롤러(200)와, 상기 관리서버(1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주기적으로 화재감지기(2)에 검지신호를 보내 정상여부를 확인하는 검지기(20)와, 상기 관리서버(1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주기적으로 스프링클러(3) 내부의 물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검수기(30)와, 공동주택의 쉼터나 가로등주에 설치된 CCD카메라(4)를 제어하여 주기적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관리서버(10)로 송신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독하는 카메라제어기(4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소방용 화재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00)는 소화전 상부에 배치된 통신단자함인 하우징(100)에 내장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면에는 표시부(220)가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표시부(220)에는 '↓'로 된 화살표가 표시된 LED램프(230)가 배열되고, 상기 LED램프(230)는 상기 컨트롤러(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 혹은 소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경광등(240)을 더 설치하고, 상기 경광등(240)도 상기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되게 하여 화재 발생시 상기 LED램프(230)를 점등시키는 것과 동시에 경광등(240)을 회전시키면서 사이렌을 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한 초소형 CCD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의 세대 외부에서의 화재감지까지 수행할 수 있어 주민의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더욱 더 강화시키고, 나아가 스프링클러나 혹은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관로 상의 소화수 충전 유무를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체크하고 제어하여 화재시 정상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통신단자함이 설치된 계단참 주변에서의 화재 발생도 통신단자함에 결합된 소방유닛을 이용하여 초기 소화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화재 발생시 소화전의 위치를 즉시에 표시하여 소방효과를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감지센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단자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단자함에 적용되는 단자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단자함에 적용되는 소화유닛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관리사무실에 설치된 관리서버(10)와, 상기 관리서버(1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초소형캠(110)으로 촬영된 계단참 영상을 관리서버(10)로 송신하는 컨트롤러(200)와, 상기 관리서버(1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주기적으로 화재감지기(2)에 검지신호를 보내 정상여부를 확인하는 검지기(20)와, 상기 관리서버(1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주기적으로 스프링클러(3) 내부의 물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검수기(30)와, 공동주택의 쉼터나 가로등주에 설치된 CCD카메라(4)를 제어하여 주기적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관리서버(10)로 송신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독하는 카메라제어기(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10)는 영상판독부를 구비하고 있어 딥러닝기법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사용하여 화염(크기, 색깔별 온도 등)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여 학습하고, 학습된 내용을 기반으로 비교판단하여 화재가 발생했는지 안했는지를 신속하게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관리서버(10)의 영상판독부는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이 많은 학습을 할수록 해당 공동주택의 화재 상황에 대한 인식의 정확도 및 신뢰도가 높아지므로 최종적으로는 별도의 관리자가 관리하지 않고 무인으로 조기 화재감지 및 경보가 가능해진다.
예컨대, 수행되는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은 불꽃이나 연기 이미지를 학습하는 방법으로 동작할 수 있는데, 데이터베이스에 다량의 불꽃 이미지 및 연기 이미지를 저장하고, 영상판독부의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은 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불꽃 이미지 및 연기 이미지를 통하여 불꽃 및 연기를 인식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200)와 상기 카메라제어기(40)를 통해 송신되는 주기적인 촬영 영상은 상기 관리서버(10)의 영상판독부에서 딥러닝 기법으로 판독하여 화재발생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취약지역에서의 화재 발생시 이를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고,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검지기(20)는 검지신호를 이용하여 화재감지기(열감지기 또는 연기감지기)(2)의 불량 작동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확인 결과 불량일 경우 관리서버(1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인에 의해 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검수기(30)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수공급관(31)의 관로상에 설치된 수감지센서(32)와 신호처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수감지센서(32)는 수공급관(31) 내부에 물이 차 있는지 없는지를 실시간 검출하여 상기 검수기(30)로 송신함으로써 스프링클러(3)의 동작불량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즉, 물이 없는 경우 밸브를 제어하여 물이 차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평상시 물이 없는 상태로 관리된다면 화재 등 비상사태 발생시 자동으로 밸브를 열어 물이 찰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감지센서(32)는 상기 수공급관(31)을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도록 나사체결된다.
또한, 상기 수감지센서(32)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단 및 나사체결되는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센서하우징(33)과, 상기 센서하우징(33)의 내경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33a)과, 상기 걸림턱(33a)에 걸림되는 센서플랜지(33b)를 갖고 수압에 따라 유동되는 유동자(33c)와, 상기 유동자(33c)의 하단면에 요입 형성되어 수압이 집중되도록 구비된 압력유도홈(34)과, 상기 유동자(33c)의 상단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형돌부(34a)와, 상기 센서하우징(33)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하도록 체결되는 센서커버(34b)와, 상기 센서커버(34b)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반원형돌부(34a)가 접촉되었을 때 압력검출신호를 송신하는 압력센서(34c)와, 상기 압력센서(34c)와 검수기(3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리드선(34d)과, 상기 센서플랜지(33b)와 센서커버(34b)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동자(33c)를 탄성운동시키는 코일스프링(35)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수공급관(31) 상에 물이 차 있으면 수압을 받아 유동자(33c)의 반원형돌부(34a)가 압력센서(34c)를 가압하고, 그 압력신호를 검수기(30)가 수신하여 관리서버(10)로 송신함으로써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물이 차 있지 않으면 유동자(33c)가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코일스프링(35)에 의해 밀려나면서 압력센서(34c)를 가압하지 않게 되므로 압력신호가 없음을 검수기(30)가 즉시 검출하고 이를 관리서버(10)로 송신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에 따라, 소방시설을 자동으로 상시 점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트롤러(200)는 각각 고유번호가 할당되어 위치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재 감지시 관리서버(10)는 즉시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컨트롤러(200)는 도 3의 예시와 같이, 하우징(100)에 내장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계단참의 벽면에 설치되는 일종의 통신단자함으로서, 소화전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 전면에는 초소형 CCD카메라(110)가 설치되며, 상기 CCD카메라(110)는 컨트롤러(200)와 연결되어 구동 제어된다.
특히, 통신단자함인 하우징(100)에는 정보통신 처리와 관련된 통신선들이 배선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도시는 생략한 채 본 발명의 특징부만 나타나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컨트롤러(200)에는 전원공급부(210)가 구비되며, 전원공급부(210)는 상용전원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면에는 표시부(220)가 일체로 부착되는데, 상기 표시부(220)에는 '↓'와 같은 화살표로 표시로 된 LED램프(230)가 배열되어 있어 컨트롤러(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 혹은 소등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LED램프(230)가 점등될 때 '소화전'이라는 문구가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여 이 '소화전'이 화살표 방향에 있음을 인식하기 쉽도록 발광시킨다.
그러면, 컨트롤러(200)는 화재 발생신호를 관리서버(10)로부터 수신한 경우, 즉시에 LED램프(230)를 켜서 소화전 위치를 알리도록 한다.
이것은 화재시 실내가 어둡기 때문에 소화전의 위치를 표시하는 일종의 비상표시이며, 특히 이 LED램프(230)는 소화전 직상부에 설치된 통신단자함인 하우징(100)의 하단면에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표시가 용이하고 정확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경광등(240)을 더 설치하고, 상기 경광등(240)도 상기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되게 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상기 LED램프(230)를 점등시키는 것과 동시에 경광등(240)을 회전시키면서 사이렌을 울림으로써 시인성과 경각심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200)는 신호처리의 안정성과 속도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선으로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유선연결을 위한 통신선(L)이 관통된 후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단(400)이 마련되며, 접속단(400) 외측에서는 상기 하우징(100)에 걸린 상태로 상기 통신선(L)이 관통되게 하여 통신선(L)이 처지지 않도록 보호하고, 이를 통해 단선이나 파단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단선방지스프링(SP)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는 합성수지 조성물로 성형되는데, 이 합성수지 조성물은 절연성을 기본으로 하면서 내구성, 내부식성, 방수성을 갖출 수 있도록 내구성과 내침식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메탈폴리실록산 10중량부, 캐슈핵유 15중량부, 나노입도를 갖는 실리카-지르코니아 복합분체 20중량부, TCPP(Tris 2-chloropropyl phosphate) 15중량부, 폴리비닐부티랄 10중량부를 첨가 혼합한 수지조성물이다.
이때, 메탈폴리실록산은 소포성과 발수성을 높여 표면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캐슈핵유는 인도산 캐슈열매의 껍질 추출액으로서 카르돌과 아나카르도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절연층의 피막강도 향상, 그에 따른 내구성 강화, 피착성 증대로 절연층 및 회전방지구의 장수명화를 달성하도록 하여 준다.
아울러, 실리카-지르코니아 복합분체는 다공성 실리카와 지르코니아의 표면활성 증대 특성을 활용하여 완충, 흡음, 방수 및 내수압특성을 강화시키며, 성분간 응집력을 높여 크랙발생을 억제하고 견고한 결합체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TCPP는 내열성을 강화시키고 피로도를 낮춰 크랙, 파단이 생기지 않고 도포면이 장수명화를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부티랄은 내약품성과 유연성을 확보하여 도포면 또는 성형부재의 안정화를 유지하고 산화를 억제하며 방오기능 및 방수성을 증대시킨다.
덧붙여, 상기 하우징(100) 내부 천정 양측에는 조습제주머니(300)가 고정되는데, 이는 조습기능, 즉 습도가 높으면 습기를 머금고 습도가 낮으면 습도를 내뱉어 하우징(100) 내부가 적절한 습도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높은 습도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습제주머니(300)에 채워지는 조습제는 알로펜분말 50중량%, 황토 20중량%, 송진 5중량% 및 물 25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볼형상으로 건조 성형된 것을 사용한다.
이때, 알로펜분말은 3차원 망목구조를 갖는 대표적인 조습물질이고, 황토 또한 흡습, 발수 기능이 뛰어난 천연 조습제이며, 송진은 천연 항균기능을 발현시켜 오랫동안 사용하더라도 균팡이나 균류가 서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통신선(L)의 접속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접속구조를 다음과 같이 개량한다.
예컨대,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기 접속단(400, 도 3 참조)은 하우징(100)에 고정되는 수납단자함(410)과, 상기 수납단자함(410)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회전방지부(420)와, 상기 수납단자함(410)과 회전방지부(420)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배선공(4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납단자함(410)은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갖고 통전성이 좋은 구리 합금으로 만들어지며, 수납단자함(410)의 외표면은 5mm 두께로 절연층(412)이 코팅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420)는 각형으로 만들어지며 합성수지물이 수납단자함(410) 상에 일체로 성형된다.
즉, 수납단자함(410)에서 돌출된 쐐기(414)가 상기 회전방지부(420)에 인서트되는 방식으로 성형되어 일체를 이루며, 회전방지부(420)는 각형이기 때문에 하우징(100)를 관통하여 고정될 때 각진 상태로 끼워 고정되므로 수납단자함(410)의 회전이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단자함(410)의 내부면은 만곡지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통신선(L)을 배선할 때 피복을 벗긴 부분이 나선상으로 감긴 상태에서 일단은 배선공(430)을 통해 배출시키고 나머지는 만곡진 내부면에 위치되게 하여 나중에 체결되는 접속가압단(440)이 긴밀하게 눌러 통전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접속가압단(440)도 통전성이 좋은 구리합금으로 만들어지며, 선단면은 볼록하게 튀어나와 상기 수납단자함(410)의 만곡진 부분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수납단자함(410)의 개방된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가압단(440)의 둘레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접속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접속가압단(440)에는 전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배선터미널(450)이 형성되는데, 상기 배선터미널(450)은 M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일단면이 접속가압단(440)에 합지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하폭 중앙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접속공(452)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이 접속공(452)에 피복이 벗겨진 전선을 끼운 후 접속가압단(440)을 당기면 접속가압단(440)의 M자 형상이 늘어나면서 중앙의 'V' 부분이 상승되면서 끼워져 있던 전선을 상부로 당겨 엇갈리게 만들기 때문에 전선이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접속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도 5의 예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 외측 상면에는 소화유닛(5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소화유닛(500)은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유닛하우징(510)과, 상기 유닛하우징(510)에 내장된 사각형상의 제1튜브(520)와, 상기 제1튜브(520) 앞에 배치된 압력판(530)과, 상기 압력판(530) 앞에 장입된 소화분말(540)과, 상기 소화분말(540) 앞에 배치된 사각형상의 제2튜브(550)와, 상기 제2튜브(55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상기 유닛하우징(510)의 개방된 부분에 후크결합되는 창살커버(560)와, 상기 창살커버(560)를 관통하여 상기 제1튜브(520)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파이프(57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2튜브(520,550)에는 메탄가스가 압축된 상태로 주입되며, 열을 받아 일정이상의 온도에 이르게 되면 폭발하면서 전방에 있는 구조물, 이를 테면 창살커버(560), 소화분말(540), 압력판(530)을 개방된 부분을 통해 비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분말(540)은 얇은 비닐에 싸여 밀봉된 상태로 장입되며, 압력판(530)은 제1튜브(520) 폭발시 상기 소화분말(540)을 균일하게 밀어 비산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창살커버(560)는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하우징(510)에 둘레단의 일부분이 후크(562) 결합되고, 가로와 세로방향으로는 리브(564)와 세그먼트(566)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폭발시 상대적으로 얇은 리브(564)가 잘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리브(564)들 사이로는 구멍이 생기기 때문에 화재시 열기가 제2튜브(550) 쪽으로 쉽고 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뿐만 아니라, 열전달파이프(570)는 화재시 받은 열기가 제1튜브(520)로 빠르게 전달되게 공간을 형성하여 제1튜브(520)도 빠르게 팽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하여, 화재 초기에 열을 받아 팽창 후 폭발하는 제1,2튜브(520.550)에 의해 소화분말(540)이 하우징(100) 전방으로 쏟아져 화재 원점을 즉시 진압함으로써 화재가 커지는 것을 막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닛하우징(510)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콘수지 30중량부, 과황산 암모늄 10중량부, 질화규소 5중량부, 콘드로이틴-황산 10중량부, 탄화규소 5중량부, 이산화티탄 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ABS 수지는 고내열성, 고내구성 수지재료이며; 실리콘수지는 완충성, 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해 첨가되고; 과황산 암모늄(Ammonium Persulfate)은 산도를 조절하여 산화를 방지하여 보존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질화규소는 가볍고 열팽창율이 적어 상온이나 고온에서 강도, 파괴에 대한 인성, 열충격 저항성, 내산화성, 내식성이 우수하고; 콘드로이틴-황산은 건조화를 방지하여 점착성이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탄화규소는 내용해성·내용융성·내산화성 외에 열전도도가 크다. 그리고, 이산화티탄은 방열효율을 높이고, 전열면적을 넓히기 위해 첨가된다.
10: 관리서버 20: 검지기
30: 검수기 40: 카메라제어기

Claims (1)

  1. 관리사무실에 설치된 관리서버(10)와, 상기 관리서버(1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초소형캠(110)으로 촬영된 계단참 영상을 관리서버(10)로 송신하는 컨트롤러(200)와, 상기 관리서버(1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주기적으로 화재감지기(2)에 검지신호를 보내 정상여부를 확인하는 검지기(20)와, 상기 관리서버(1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주기적으로 스프링클러(3) 내부의 물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검수기(30)와, 공동주택의 쉼터나 가로등주에 설치된 CCD카메라(4)를 제어하여 주기적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관리서버(10)로 송신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독하는 카메라제어기(40)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200)는 소화전 상부에 배치된 통신단자함인 하우징(100)에 내장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면에는 표시부(220)가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표시부(220)에는 '↓'로 된 화살표가 표시된 LED램프(230)가 배열되고, 상기 LED램프(230)는 상기 컨트롤러(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 혹은 소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경광등(240)을 더 설치하고, 상기 경광등(240)도 상기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되게 하여 화재 발생시 상기 LED램프(230)를 점등시키는 것과 동시에 경광등(240)을 회전시키면서 사이렌을 울리도록 구성된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 외측 상면에는 소화유닛(500)을 더 설치하되, 상기 소화유닛(500)은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유닛하우징(510)과, 상기 유닛하우징(510)에 내장되고 공기가 채워진 사각형상의 제1튜브(520)와, 상기 제1튜브(520) 앞에 배치된 압력판(530)과, 상기 압력판(530) 앞에 장입된 소화분말(540)과, 상기 소화분말(540) 앞에 배치된 사각형상의 제2튜브(550)와, 상기 제2튜브(55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상기 유닛하우징(510)의 개방된 부분에 후크결합되는 창살커버(560)와, 상기 창살커버(560)를 관통하여 상기 제1튜브(520)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파이프(570)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닛하우징(510)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콘수지 30중량부, 과황산 암모늄 10중량부, 질화규소 5중량부, 콘드로이틴-황산 10중량부, 탄화규소 5중량부, 이산화티탄 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
KR1020220047422A 2022-04-18 2022-04-18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 KR102560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422A KR102560035B1 (ko) 2022-04-18 2022-04-18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422A KR102560035B1 (ko) 2022-04-18 2022-04-18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035B1 true KR102560035B1 (ko) 2023-07-27

Family

ID=8743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422A KR102560035B1 (ko) 2022-04-18 2022-04-18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0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3303A (ja) * 2019-01-29 2020-08-13 ホーチキ株式会社 防災装置
KR102313201B1 (ko) 2020-11-30 2021-10-18 (주)한길이앤씨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감시시스템
KR102342089B1 (ko) * 2021-03-19 2021-12-24 (주)반석기술단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감지 소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3303A (ja) * 2019-01-29 2020-08-13 ホーチキ株式会社 防災装置
KR102313201B1 (ko) 2020-11-30 2021-10-18 (주)한길이앤씨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감시시스템
KR102342089B1 (ko) * 2021-03-19 2021-12-24 (주)반석기술단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감지 소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403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US7619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CN100470597C (zh) 安防监控系统
RU2018130120A (ru) Сетевая система обществе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снабженная переносными светильниками,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пожара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реступлений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2369026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27340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KR102397133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에 대비한 소방 안전 자동화시스템
KR102384551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알림시스템
KR102448818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
US5821865A (en) Christmas ornament hazard detector
KR102374201B1 (ko) 공동주택의 소방배관 시스템
KR102369691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KR102560035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화전 위치 알림 시스템
KR102420385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시스템
KR102560036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용 화재 감시시스템
KR101704409B1 (ko)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KR102439692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진화장비 구축 시스템
KR102480719B1 (ko) 공동주택의 방화 스프링클러 자동화 운용시스템
KR102395973B1 (ko) 로봇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KR102409061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437305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화재발생 알림 안전교육 소방시스템
KR102298642B1 (ko)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KR10226262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무인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