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061B1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061B1
KR102409061B1 KR1020210162278A KR20210162278A KR102409061B1 KR 102409061 B1 KR102409061 B1 KR 102409061B1 KR 1020210162278 A KR1020210162278 A KR 1020210162278A KR 20210162278 A KR20210162278 A KR 20210162278A KR 102409061 B1 KR102409061 B1 KR 102409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ire
alarm
magnet
ccd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to KR1020210162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지능 기법중 하나인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화염에 따른 화재 발생여부를 학습하여 정확한 화재감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한 초소형 CCD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의 세대 외부에서의 화재감지까지 수행할 수 있어 주민의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더욱 더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Fire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case of fire in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지능 기법중 하나인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화염에 따른 화재 발생여부를 학습하여 정확한 화재감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한 초소형 CCD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의 세대 외부에서의 화재감지까지 수행할 수 있어 주민의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더욱 더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불과 같은 재해는 그 피해규모가 막대할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의 복구에도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다양한 예방책이 제시되고 있다.
산이나 숲과 같은 국립공원 지역에 일일이 감시인력을 배치하여 산불을 감시하는 것은 한계가 있어, 폐쇄 회로 텔레비전(closed-circuit television, CCTV)을 이용하기도 한다.
폐쇄 회로 텔레비전을 이용하는 경우, 드넓은 산야에 폐쇄 회로 텔레비전을 설치하고 이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취합하고 서버에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거나, 저장장소에 일정기간 저장한다.
산이나 숲 외에도 아파트, 빌딩, 학교, 공장, 항만, 공항, 상, 하수 처리장, 변전소, 중공업 플랜트, 지하철, 화학단지, 제철소 등에서도 화재감시가 필요하다. 특히, 전력을 공급하는 시설물(예를 들면, 다양한 발전소, 배전반, 변압기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산업단지, 공장, 가정에 전기공급이 불가능해지고, 막대한 재산피해가 예상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시설물에 대한 감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건물 및 시설물에 대해 전원 안전 장치로서 과부하 차단기 또는 누전 차단기 등이 설치되고 있으며, 전원선로 또는 전기기기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신속히 전원을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화재예방 장치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화재 발생을 미리 예측하기 위해 각종 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084884호(2020.02.27.), 인공지능 기반의 화재 예방 감지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인공지능 기법중 하나인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화염에 따른 화재 발생여부를 학습하여 정확한 화재감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한 초소형 CCD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의 세대 외부에서의 화재감지까지 수행할 수 있어 주민의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더욱 더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동주택의 각 가로등에 설치된 CCD카메라(100)와, 상기 CCD카메라(100)에 장착된 경보기(110)와, 상기 CCD카메라(100)에 장착된 열감지기(120)와, 상기 CCD카메라(100)에 장착된 연기감지기(130)와, 상기 CCD카메라(100)에 탑재되고 메모리가 내장된 컨트롤러(200)와, 상기 CCD카메라(100)에 탑재되고 상기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통신기(210)와, 상기 무선통신기(2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딥러닝기법으로 판독하여 화재여부를 확인하고 화재발생으로 판단시 상기 컨트롤러(200)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경보기(110)를 통해 경보할 수 있도록 관리사무실에 구비된 관리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화재 감시 시스템은 휴대이동형 검출경보기(7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출경보기(700)는 함체 형태를 갖는 경보기케이스(710)와, 상기 경보기케이스(710)의 하단면 중앙에서 돌출된 화염감지부(720)와, 상기 경보기케이스(710)의 내부 천정면에 고정된 고정블럭(730)과, 상기 고정블럭(730)의 하단면 중심에 힌지고정된 사각바(740)와, 상기 사각바(740)의 하단에 결속된 스프링(SP)과, 상기 스프링(SP)의 끝단에 고정된 와이어(750)와, 상기 와이어(750)의 하단에 결속된 타격추(760)와, 상기 타격추(760)의 회동반경 내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경보기케이스(7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 한 쌍의 경보벨(770)과, 상기 타격추(760)의 하단 중심에 결속되고 연장되어 화염감지부(720)를 관통한 다음 결속되어 타격추(760)가 움직이지 않도록 중력방향으로 배치고정하는 결속실(780)과, 상기 사각바(740) 상에 N극-S극 형태로 배치되고 상하로 간격을 두고 고정된 한 쌍의 제1,2자석(790,792)과, 상기 제1자석(790)의 N극과 대향되게 N극이 위치되어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고 경보기케이스(710)의 내벽면에 고정된 제3자석(M3)과, 상기 제3자석(M3)과 평행하게 그 하측에 동일형태로 연하여 고정된 제4자석(M4)과, 상기 제2자석(792)의 S극과 대향되게 S극이 위치되어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고 경보기케이스(710)의 내벽면에 고정된 제5자석(M5)과, 상기 제5자석(M5)과 평행하게 그 상측에 동일형태로 연하여 고정된 제6자석(M6)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법중 하나인 딥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화염에 따른 화재 발생여부를 학습하여 정확한 화재감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한 초소형 CCD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할 수 있으므로 공동주택의 세대 외부에서의 화재감지까지 수행할 수 있어 주민의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더욱 더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CCD카메라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이동형 소화분사기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이동형 검출경보기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즉시 검출할 수 있도록 한 화재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초소형 CCD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지하기 때문에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도 쉽게 설치하여 감지불능 지역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각 세대내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를 제외한 세대 외부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예시와 같이, 공동주택의 각 동 옥상의 엘리베이터 타워에 설치된 CCTV(100')와, 공동주택의 각 가로등에 설치된 CCD카메라(100)와, 상기 CCD카메라(100)에 장착된 경보기(110)와, 상기 CCD카메라(100)에 장착된 열감지기(120)와, 상기 CCD카메라(100)에 장착된 연기감지기(130)와, 상기 CCTV(100')에 탑재되고 메모리가 내장된 제어부(200')와, 상기 CCD카메라(100)에 탑재되고 메모리가 내장된 컨트롤러(200)와, 상기 CCTV(100')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통신모듈(201')과, 상기 CCD카메라(100)에 탑재되고 상기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통신기(210)와, 상기 무선통신모듈(201') 및 무선통신기(2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딥러닝기법으로 판독하여 화재여부를 확인하고 화재발생으로 판단시 해당 동의 세대별 계단참에 설치된 세대경보기(110')로 경보하도록 제어하거나 혹은 상기 컨트롤러(200)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경보기(110)를 통해 경보할 수 있도록 관리사무실에 구비된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300)는 영상판독부를 구비하고 있어 딥러닝기법에 따른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화염(크기, 색깔별 온도 등)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여 학습하고, 학습된 내용을 기반으로 비교판단하여 화재가 발생했는지 안했는지를 신속하게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관리서버(300)의 영상판독부는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이 많은 학습을 할수록 해당 건축물의 화재 상황에 대한 인식의 정확도 및 신뢰도가 높아지므로 최종적으로는 별도의 관리자가 관리하지 않고 무인으로 조기 화재감지 및 경보가 가능해진다.
예컨대, 수행되는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은 불꽃이나 연기 이미지를 학습하는 방법으로 동작할 수 있는데, 데이터베이스에 다량의 불꽃 이미지 및 연기 이미지를 저장하고, 영상판독부의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은 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불꽃 이미지 및 연기 이미지를 통하여 불꽃 및 연기를 인식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CTV(100')는 통상의 감시카메라로서 각 동의 옥상에 설치된다. 이 경우, 옥상의 엘리베이터 타워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CD카메라(100)는 초소형으로서 원통형상의 본체하우징(10)의 선단면 중심에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하우징(10)의 후단 양측에는 가로등주에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12)가 구비되며 컨트롤러(200)에 연결 제어된다.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10)의 내부에는 컨트롤러(200)가 탑재되고, 상기 컨트롤러(200)에는 무선통신기(210)가 연결되는데, 상기 무선통신기(210)는 각각 고유번호가 할당되어 있어 관리서버(300)와 통신할 때 관리서버(300)가 통신하는 무선통신기(210)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것은 컨트롤러(200)의 고유번호별로 어느 가로등주에 설치했는지 미리 위치정보를 관리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해 둠으로써 즉시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CCTV(100')에도 제어부(200')가 내장되고, 상기 제어부(200')에는 무선통신모듈(210')이 연결되는데, 상기 무선통신모듈(210')에도 각각 고유번호가 할당되어 있어 관리서버(300)와 통신할 때 관리서버(300)가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210')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10)의 둘레면 양측에는 경보기(110)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200)에 연결되어 제어된다.
마찬가지로, 각 동의 세대별 계단참에 설치된 세대경보기(110')는 관리서버(3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CCTV(100')에서 검출한 화재가 사실로 확인될 경우 해당 동 전체층의 세대경보기(110')가 발령됨으로써 해당 동에 거주하는 각 세대원들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CCD카메라(100)의 양측에는 각각 열감지기(120)와 연기감지기(130)가 설치되고, 컨트롤러(200)에 연결되어 제어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CCD카메라(100)와 열감지기(120), 연기감지기(130) 및 컨트롤러(200)는 가로등주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등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어댑팅하여 전원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공동주택의 모든 가로등주에 CCD카메라(100)를 설치하게 되면 세대 외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모든 화재에 대해 실시간 감지가 가능하고, 화재 발생이 확인되면 즉시 경고할 수 있어 초기 화재 진압에 기여하도록 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본체하우징(10)은 내수성 및 방수성, 방오성을 갖추어 내부식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장수명화를 이루고, 나아가 내열성, 내화성을 갖추어 화재에 취약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외표면은 액상 멜리민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수산화알루미늄 25중량부, 지르코늄 10중량부, 질화붕소 15중량부, 세리사이트 분말 10중량부, 이소시아누레이트 5중량부, 탈탄륨 분말 15중량부, 탄화규소 분말 15중량부, 피로메트리산 10중량부가 혼합된 코팅액으로 코팅된다.
이 경우, 상기 액상 멜라민수지는 접착력을 극대화시켜 코팅층의 표면 박리를 강력하게 억제하고 방화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은 폴리머의 소수화를 막고 친수화를 유도하여 결합력을 높이면서 불연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지르코늄은 화재발생시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물 또는 질소화물로 된 보호피막을 형성하여 내화성, 내식성, 불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질화붕소는 벽돌의 열전도율을 높여 열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키고 이를 통해 방열성을 유지하여 내열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세리사이트(Sericite)는 표면에 대한 접착면적을 넓혀주어 부착력을 배가시키는 친수성 광물로서 바인딩성을 강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이소시아누레이트(Isocyanurate)는 반죽물의 기포 생성을 최소화시고 기포을 제거하며, 내충격성 및 내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탈탄륨(Tantalum)은 전이금속으로서 내산기능을 가지고 있어 오염방지성과 내침식성을 강화시킨다.
특히, 탄화규소는 방열점착성 강화시키고, 무엇보다도 성형시 수축변형성을 억제하기 첨가되고; 피로메트리산은 열수축성을 억제하고 슬립성을 강화시켜 원료 성형시 성형성을 좋게 하고,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각 가로등주에는 상기 본체하우징(10)과 간격을 두고 소화분사기(8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것은 화재경보와 함께 화재가 진행되면 자동적으로 터지면서 소화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휴대형 소화기이다.
상기 소화분사기(800)는 충분히 작게 만들 수 있지만 용량을 늘리기 위해 체적이 커지는 항아리형태, 납작한 사각박스형태 등 다양한 형상변경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소화분사기(800)는 초기 진압용이기 때문에 볼륨을 크게 만들지 않는다. 또한, 충분히 납작하게 만들 수 있어 부착 설치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분사기(800)는 소화액이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충전되는 내압용기(810)를 포함하며, 상기 내압용기(810)의 상단에는 고정플랜지(812)가 구비되고, 양측면에는 측면플랜지(814)가 고정된다.
때문에, 상기 소화분사기(800)는 원하는 장소 아무곳에나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원하면 언제든지 떼어내고 이동시킨 후 다시 원하는 곳에 재설치가 가능하다.
아울러, 내압용기(810)의 하단면에는 소화액을 비산 분사시킬 수 있는 분사유닛(820)이 설치된다.
상기 분사유닛(820)은 내압용기(810)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816)에 끼워지는 십자형 마개(821)와, 상기 십자형 마개(821)의 하단면 중심에서 돌출된 하부돌기(822)와,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진 팽창스프링(823)과,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져 팽창스프링(823)을 압축하는 고정막대(824)와, 상기 고정막대(824)가 고정된 작동로드(825)와, 상기 작동로드(825)의 후단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826)과, 상기 장공(826)에 고정핀(828)으로 하단이 핀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베이스(827)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818)에 끼워지는 끼움편부(831)와, 상기 끼움편부(831)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에 끼움식으로 맞대어진 후 볼트고정되는 받침편부(832)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일측면에 힌지고정된 보조편(829)과, 일단은 보조편(829)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로드(825)에 고정된 코일스프링(830)과, 상기 고정베이스(827)와 작동로드(825)의 대향되는 위치에 'ㄱ'형상으로 요입형성된 파열구끼움고정홈(834)와, 양단을 각각 상기 파열구끼움고정홈(834)에 끼운 후 90°꺾어 밀어넣어 고정하며 Cu-Ag계(1:0.08중량비) 합금을 사용하여 화재시 열에 의해 끊어지도록 구성된 파열구(833)와, 상기 배출구(816)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내부가 확경된 분사안내관(840)과, 상기 고정막대(824)가 끼워진 후 장공(826)의 상하폭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안내관(840)에 형성된 막대유동공(841)과, 상기 분사안내관(840)의 하단에 나사고정되는 밀봉구(842)와, 상기 밀봉구(842)에 형성된 배출구멍(843)과, 상기 밀봉구(842)의 하단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비산분사원판(844)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멍(843)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구멍(845)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로 끼움되는 하부부쉬(846) 및 상부부쉬(847)와, 상기 상부부쉬(847)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부부쉬(847)에 볼트고정되고 헤드 하부에는 볼(849)이 배치되어 회전마찰을 줄인 고정볼트(848)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면 파열구(833)가 끊어지게 된다.
그러면, 소화액의 내압(분사압)이 고정막대(824)가 받쳐 누르는 힘보다 세져 십자형 마개(821)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고, 십자형 마개(821)가 배출구(816)를 벗어나게 되면 쏟아지는 소화액이 분사안내관(840)을 타고 내려오다가 밀봉구(842)의 배출구멍(843)과 비산분사원판(844)의 분사구멍(845)을 통해 분사되면서 비산분사원판(844)은 자동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최대한 멀리까지 분사할 수 있어 초기 화재진압에 매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CCTV나 CCD카메라를 설치하기 어려운 협소공간이나 혹은 상용전원을 끌어가기 어려운 곳에서 화재시 무전원으로 경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도 5와 같은 휴대 이동형 검출경보기(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검출경보기(700)는 함체 형태를 갖는 경보기케이스(710)와, 상기 경보기케이스(710)의 하단면 중앙에서 돌출된 화염감지부(720)와, 상기 경보기케이스(710)의 내부 천정면에 고정된 고정블럭(730)과, 상기 고정블럭(730)의 하단면 중심에 힌지고정된 사각바(740)와, 상기 사각바(740)의 하단에 결속된 스프링(SP)과, 상기 스프링(SP)의 끝단에 고정된 와이어(750)와, 상기 와이어(750)의 하단에 결속된 타격추(760)와, 상기 타격추(760)의 회동반경 내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경보기케이스(7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 한 쌍의 경보벨(770)과, 상기 타격추(760)의 하단 중심에 결속되고 연장되어 화염감지부(720)를 관통한 다음 결속되어 타격추(760)가 움직이지 않도록 중력방향으로 배치고정하는 결속실(780)과, 상기 사각바(740) 상에 N극-S극 형태로 배치되고 상하로 간격을 두고 고정된 한 쌍의 제1,2자석(790,792)과, 상기 제1자석(790)의 N극과 대향되게 N극이 위치되어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고 경보기케이스(710)의 내벽면에 고정된 제3자석(M3)과, 상기 제3자석(M3)과 평행하게 그 하측에 동일형태로 연하여 고정된 제4자석(M4)과, 상기 제2자석(792)의 S극과 대향되게 S극이 위치되어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고 경보기케이스(710)의 내벽면에 고정된 제5자석(M5)과, 상기 제5자석(M5)과 평행하게 그 상측에 동일형태로 연하여 고정된 제6자석(M6)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화염감지부(720)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통공(72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화염에 의해 열이 전달될 때 최대한 결속실(780) 쪽으로 직접 열을 전달하여 결속실(780)이 쉽게 끊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경보벨(770)이 설치된 위치의 경보기케이스(710) 둘레면에도 다수의 관통공(772)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종소리가 크게 멀리 퍼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하여, 화재로 인해 결속실(780)이 끊어지면 그 충격에 의해 결속실(780)에 의해 어느 정도 당겨졌던 스프링(SP)이 복귀되면서 와이어(750)가 흔들리게 되고, 이는 무게를 갖는 타격추(760)를 진자운동처럼 움직이게 하여 경보벨(770)을 타격하면서 경보음을 울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자석들 사이에서는 척력이 발생하므로 타격 후 타격추(760)는 상당시간 동안 왔다갔다 하면서 타격행위를 반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경보음이 충분하게 발령되며, 이 경보음은 인접위치에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대피하도록 안내하여 인명피해를 줄이는데 기여하게 된다.
100: CCD카메라 200: 컨트롤러
300: 관리서버

Claims (2)

  1. 공동주택의 각 동 옥상의 엘리베이터 타워에 설치된 CCTV(100')와, 공동주택의 각 가로등에 설치된 CCD카메라(100)와, 상기 CCD카메라(100)에 장착된 경보기(110)와, 상기 CCD카메라(100)에 장착된 열감지기(120)와, 상기 CCD카메라(100)에 장착된 연기감지기(130)와, 상기 CCTV(100')에 탑재되고 메모리가 내장된 제어부(200')와, 상기 CCD카메라(100)에 탑재되고 메모리가 내장된 컨트롤러(200)와, 상기 CCTV(100')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통신모듈(201')과, 상기 CCD카메라(100)에 탑재되고 상기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통신기(210)와, 상기 무선통신모듈(201') 및 무선통신기(2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딥러닝기법으로 판독하여 화재여부를 확인하고 화재발생으로 판단시 해당 동의 세대별 계단참에 설치된 세대경보기(110')로 경보하도록 제어하거나 혹은 상기 컨트롤러(200)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경보기(110)를 통해 경보할 수 있도록 관리사무실에 구비된 관리서버(300)를 포함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시 시스템은 휴대이동형 검출경보기(7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검출경보기(700)는 함체 형태를 갖는 경보기케이스(710)와, 상기 경보기케이스(710)의 하단면 중앙에서 돌출된 화염감지부(720)와, 상기 경보기케이스(710)의 내부 천정면에 고정된 고정블럭(730)과, 상기 고정블럭(730)의 하단면 중심에 힌지고정된 사각바(740)와, 상기 사각바(740)의 하단에 결속된 스프링(SP)과, 상기 스프링(SP)의 끝단에 고정된 와이어(750)와, 상기 와이어(750)의 하단에 결속된 타격추(760)와, 상기 타격추(760)의 회동반경 내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경보기케이스(7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 한 쌍의 경보벨(770)과, 상기 타격추(760)의 하단 중심에 결속되고 연장되어 화염감지부(720)를 관통한 다음 결속되어 타격추(760)가 움직이지 않도록 중력방향으로 배치고정하는 결속실(780)과, 상기 사각바(740) 상에 N극-S극 형태로 배치되고 상하로 간격을 두고 고정된 한 쌍의 제1,2자석(790,792)과, 상기 제1자석(790)의 N극과 대향되게 N극이 위치되어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고 경보기케이스(710)의 내벽면에 고정된 제3자석(M3)과, 상기 제3자석(M3)과 평행하게 그 하측에 동일형태로 연하여 고정된 제4자석(M4)과, 상기 제2자석(792)의 S극과 대향되게 S극이 위치되어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고 경보기케이스(710)의 내벽면에 고정된 제5자석(M5)과, 상기 제5자석(M5)과 평행하게 그 상측에 동일형태로 연하여 고정된 제6자석(M6)을 포함하고;
    상기 CCD카메라(100)는 원통형상의 본체하우징(10)의 선단면 중심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하우징(10)의 후단 양측에는 가로등주에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12)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하우징(10)의 내부에는 컨트롤러(200)가 탑재되며, 상기 컨트롤러(200)에는 관리서버(300)와 통신할 때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고유번호가 할당된 무선통신기(210)가 연결되고;
    상기 가로등주에는 상기 본체하우징(10)과 간격을 두고 소화분사기(800)가 더 설치되되, 상기 소화분사기(800)는 소화액이 충전되는 내압용기(810)를 포함하며, 상기 내압용기(810)의 상단에는 고정플랜지(812)가 구비되고, 양측면에는 측면플랜지(814)가 고정되며, 내압용기(810)의 하단면에는 소화액을 비산 분사시킬 수 있는 분사유닛(820)이 설치되고;
    상기 분사유닛(820)은 내압용기(810)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816)에 끼워지는 십자형 마개(821)와, 상기 십자형 마개(821)의 하단면 중심에서 돌출된 하부돌기(822)와,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진 팽창스프링(823)과,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져 팽창스프링(823)을 압축하는 고정막대(824)와, 상기 고정막대(824)가 고정된 작동로드(825)와, 상기 작동로드(825)의 후단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826)과, 상기 장공(826)에 고정핀(828)으로 하단이 핀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베이스(827)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818)에 끼워지는 끼움편부(831)와, 상기 끼움편부(831)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에 끼움식으로 맞대어진 후 볼트고정되는 받침편부(832)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일측면에 힌지고정된 보조편(829)과, 일단은 보조편(829)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로드(825)에 고정된 코일스프링(830)과, 상기 고정베이스(827)와 작동로드(825)의 대향되는 위치에 'ㄱ'형상으로 요입형성된 파열구끼움고정홈(834)와, 양단을 각각 상기 파열구끼움고정홈(834)에 끼운 후 90°꺾어 밀어넣어 고정하며 Cu-Ag계(1:0.08중량비) 합금을 사용하여 화재시 열에 의해 끊어지도록 구성된 파열구(833)와, 상기 배출구(816)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내부가 확경된 분사안내관(840)과, 상기 고정막대(824)가 끼워진 후 장공(826)의 상하폭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안내관(840)에 형성된 막대유동공(841)과, 상기 분사안내관(840)의 하단에 나사고정되는 밀봉구(842)와, 상기 밀봉구(842)에 형성된 배출구멍(843)과, 상기 밀봉구(842)의 하단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비산분사원판(844)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멍(843)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구멍(845)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로 끼움되는 하부부쉬(846) 및 상부부쉬(847)와, 상기 상부부쉬(847)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부부쉬(847)에 볼트고정되고 헤드 하부에는 볼(849)이 배치되어 회전마찰을 줄인 고정볼트(8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2. 삭제
KR1020210162278A 2021-11-23 2021-11-23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409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278A KR102409061B1 (ko) 2021-11-23 2021-11-23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278A KR102409061B1 (ko) 2021-11-23 2021-11-23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061B1 true KR102409061B1 (ko) 2022-06-16

Family

ID=8221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278A KR102409061B1 (ko) 2021-11-23 2021-11-23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09556A (zh) * 2023-10-16 2024-01-16 营口天成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智慧消防用远程联动报警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1004A (en) * 1930-05-17 1935-02-12 Fyr Fyter Co Automatic fire alarm
KR101251865B1 (ko) * 2012-06-27 2013-04-10 길민식 옥외 지능형 무인 화재경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8101416A (ja) * 2016-12-21 2018-06-28 ホーチキ株式会社 火災監視システム
KR102084884B1 (ko) 2019-07-10 2020-03-04 에이치에스솔루션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화재 예방 감지 시스템
KR102247884B1 (ko) * 2021-03-17 2021-05-06 주식회사 드림종합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무인점검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1004A (en) * 1930-05-17 1935-02-12 Fyr Fyter Co Automatic fire alarm
KR101251865B1 (ko) * 2012-06-27 2013-04-10 길민식 옥외 지능형 무인 화재경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8101416A (ja) * 2016-12-21 2018-06-28 ホーチキ株式会社 火災監視システム
KR102084884B1 (ko) 2019-07-10 2020-03-04 에이치에스솔루션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화재 예방 감지 시스템
KR102247884B1 (ko) * 2021-03-17 2021-05-06 주식회사 드림종합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무인점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09556A (zh) * 2023-10-16 2024-01-16 营口天成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智慧消防用远程联动报警装置
CN117409556B (zh) * 2023-10-16 2024-03-15 营口天成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智慧消防用远程联动报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7315B1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US7619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KR101684374B1 (ko)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US20090122143A1 (en) Security system and network
CN109345750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防火灾系统
CN10918901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安全监控管理系统
WO2007133829A3 (en) All hazard residential warning system
KR102426278B1 (ko)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원격 소방 제어 시스템
KR200485463Y1 (ko) 공동주택에 적용될 수 있는 소화용 화재발생 감지장치
KR102409061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397133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에 대비한 소방 안전 자동화시스템
KR102384551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알림시스템
CN114555192A (zh) 可安装在墙壁的喷头单元
KR102448818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
KR102409057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소방시설 점검 시스템
KR20190059062A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비상벨 장치
KR101097409B1 (ko) 소방설비의 적정 작동여부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CN203118155U (zh) 一种独立式光纤感烟感温火灾探测系统
KR102395973B1 (ko) 로봇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KR102480719B1 (ko) 공동주택의 방화 스프링클러 자동화 운용시스템
KR102559331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합 관리 시스템 구현방법
KR102420385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시스템
KR102437305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화재발생 알림 안전교육 소방시스템
KR102451550B1 (ko) Ai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3942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배관 고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