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818B1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8818B1 KR102448818B1 KR1020210100658A KR20210100658A KR102448818B1 KR 102448818 B1 KR102448818 B1 KR 102448818B1 KR 1020210100658 A KR1020210100658 A KR 1020210100658A KR 20210100658 A KR20210100658 A KR 20210100658A KR 102448818 B1 KR102448818 B1 KR 1024488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fixed
- hole
- detector
- ro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01100045633 Arabidopsis thaliana TCX3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1150037491 SOL1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1100168642 Arabidopsis thaliana CRN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01100045632 Arabidopsis thaliana TCX2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01150103732 sol2 gen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17770 Cu—Ag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 glutaryl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64 Petrolat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FPAFDBFIGPHWGO-UHFFFAOYSA-N dioxosilane;oxomagnesium;hydrate Chemical compound O.[Mg]=O.[Mg]=O.[Mg]=O.O=[Si]=O.O=[Si]=O.O=[Si]=O.O=[Si]=O FPAFDBFIGPHWG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40066842 petrolatum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71 petrol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JMIONKXNSYLSR-UHFFFAOYSA-N phosphorous acid Chemical compound OP(O)O OJMIONKXNSYLS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33 sodium boro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79 sodium borohyd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562 pear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4 silicate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세대내 화재에 대한 감시 관리 정확도를 높이고, 특히 계단참을 통한 피난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계단참에 대한 자동 살수기능을 갖춰 화재 피해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세대내 스프링클러의 작동불량을 사전에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시 인명피해도 최소화시켜 안전성을 강화시키고, 각 세대내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곳중 초기 화재진압이 필요한 곳에 휴대 이동형 자동스프링클러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내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곳 중 초기 화재진압이 필요한 곳에 휴대 이동형 자동스프링클러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강화시키도록 개선하며,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서 발생되는 세대내 화재에 대한 감시 관리 정확도를 높이고, 계단참을 통한 피난을 안전하며 용이하도록 계단참에 대한 자동 살수기능을 갖춰 화재 피해를 최소화하는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내 스프링클러의 작동불량을 사전에 체크하여 화재시 인명피해도 최소화시켜 안전성을 강화시키는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 설치된 소방관리 시스템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에 국한되어 있다. 즉, 경보만 울릴 뿐이지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
더구나, 화재 발생시 급한 마음에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려고 하는데, 엘리베이터는 전기가 끊어지면 곧바로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기 때문에 탑승자체를 차단해야 하는데 그러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도 않고, 특히 계단참으로 대피해야 하는데 연기와 고온의 열기가 계단참을 꽉 채우게 되면 대피가 곤란해지고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도 해소할 필요가 있다.
특히, 소화전의 경우 긴급한 상황에 일반인들이 대피하면서 소화전을 열고 소화수를 공급할 수는 없는 노릇이므로 어떻게 보면 사실상 무용지물이다.
단지, 소방관들이 도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용도이지, 그것이 일반인들에 의한 초기 소화에 활용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뿐만 아니라, 각 세대내에는 주로 조리기구가 있는 주방 천정에만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을 뿐이어서 주로 가구당 하나씩 비치된 분말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시 초기 화재진압에 나서야하는데, 이 경우 분말소화기를 급한 마음에 찾기도 어렵고 찾는다 해도 발화지점까지 이동하여 분무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세대내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는 거의 점검이 없기 때문에 실제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동작불량인 경우 커다란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세대내 화재에 대한 감시 관리 정확도를 높이고, 특히 계단참을 통한 피난을 안전하고 용이하도록 계단참에 대한 자동 살수기능을 갖춰 화재 피해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각 세대내 스프링클러의 작동불량을 사전에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시 인명피해도 최소화시켜 안전성을 강화시키고, 개선된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세대내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곳 중 초기 화재진압이 필요한 곳에 휴대 이동형 자동스프링클러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동주택의 각 세대내에 설치된 다수의 화재감지기(100,110,120)와,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와 연결되고 실외에 설치된 화재경보기(200)와, 상기 화재경보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공동주택 전체의 화재상황을 감시 제어하도록 관리실에 설치된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을 갖춘 관리서버(300)와, 공동주택의 계단참(STA)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으로 연결된 계단참감지기(400)와,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으로 연결된 스프링클러검지기(700) 및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등록된 사용자단말(2)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는 세대내 상용전원을 통해 구동되며 외형을 이루는 원형케이스(130)와, 상기 원형케이스(130)의 원중심에 설치된 돔형카메라(140)와, 상기 돔형카메라(140)의 양측에 설치된 열감지기(160) 및 연기감지기(170)와, 상기 원형케이스(130)에 내장되고 돔형카메라(140)와 연결되어 돔형카메라(140)가 촬상한 실시간 영상을 오버랩 방식으로 저장하는 메모리(150)와, 상기 메모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경보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열감지기(160) 또는 연기감지기(170)중 어느 하나의 검출신호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된 가장 최근 영상을 화재경보기(200)로 전송하는 감지기컨트롤러(180)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클러검지기(700)는 스프링클러관(SPL)의 일부에 설치된 'U'형상의 우회관(710)과, 상기 우회관(710)에 설치된 검지단자(720)와, 상기 검지단자(720)의 검지결과를 검출하고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하여 검출결과를 송신하는 검출기(730)와, 상기 검출기(730)에 설치되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7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내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곳에 설치되는 간이 스프링클러(8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간이 스프링클러(800)는 소화액이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충전되는 내압용기(810)와, 상기 내압용기(810)의 상단에 고정된 천정플랜지(812)와, 상기 내압용기(810)의 양측면에 고정된 측면플랜지(814)와, 내압용기(810)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소화액을 비산 분사시킬 수 있는 분사유닛(820)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유닛(820)은 내압용기(810)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816)에 끼워지는 십자형 마개(821)와, 상기 십자형 마개(821)의 하단면 중심에서 돌출된 하부돌기(822)와,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진 팽창스프링(823)과,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져 팽창스프링(823)을 압축하는 고정막대(824)와, 상기 고정막대(824)가 고정된 작동로드(825)와, 상기 작동로드(825)의 후단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826)과, 상기 장공(826)에 고정핀(828)으로 하단이 핀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베이스(827)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818)에 끼워지는 끼움편부(831)와, 상기 끼움편부(831)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에 끼움식으로 맞대어진 후 볼트고정되는 받침편부(832)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일측면에 힌지고정된 보조편(829)과, 일단은 보조편(829)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로드(825)에 고정된 코일스프링(830)과, 상기 고정베이스(827)와 작동로드(825)의 대향되는 위치에 'ㄱ'형상으로 요입형성된 파열구끼움고정홈(834)와, 양단을 각각 상기 파열구끼움고정홈(834)에 끼운 후 90°꺾어 밀어넣어 고정하며 Cu-Ag계(1:0.08중량비) 합금을 사용하여 화재시 열에 의해 끊어지도록 구성된 파열구(833)와, 상기 배출구(816)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내부가 확경된 분사안내관(840)과, 상기 고정막대(824)가 끼워진 후 장공(826)의 상하폭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안내관(840)에 형성된 막대유동공(841)과, 상기 분사안내관(840)의 하단에 나사고정되는 밀봉구(842)와, 상기 밀봉구(842)에 형성된 배출구멍(843)과, 상기 밀봉구(842)의 하단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비산분사원판(844)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멍(843)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구멍(845)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로 끼움되는 하부부쉬(846) 및 상부부쉬(847)와, 상기 상부부쉬(847)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부부쉬(847)에 볼트고정되고 헤드 하부에는 볼(849)이 배치되어 회전마찰을 줄인 고정볼트(848)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세대내 화재에 대한 감시 관리 정확도를 높이고, 특히 계단참을 통한 피난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계단참에 대한 자동 살수기능을 갖춰 화재 피해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세대내 스프링클러의 작동불량을 사전에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시 인명피해도 최소화시켜 안전성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 내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곳 중 초기 화재진압이 필요한 곳에 휴대 이동형 자동스프링클러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세대내 화재감지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계단참감지기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노즐관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이동형 스프링클러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프링클러의 검출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세대내 화재감지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계단참감지기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노즐관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이동형 스프링클러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프링클러의 검출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공동주택의 각 세대내에 설치된 다수의 화재감지기(100,110,120)와,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와 연결되고 실외에 설치된 화재경보기(200)와, 상기 화재경보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공동주택 전체의 화재상황을 감시 제어하도록 관리실에 설치된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을 갖춘 관리서버(300)와, 공동주택의 계단참(STA)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으로 연결된 계단참감지기(400)와,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으로 연결된 스프링클러검지기(700) 및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등록된 사용자단말(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세대내 상용전원을 사용하며, 외형을 이루는 원형케이스(130)와, 상기 원형케이스(130)의 원중심에 설치된 돔형카메라(140)와, 상기 돔형카메라(140)의 양측에 설치된 열감지기(160) 및 연기감지기(170)와, 상기 원형케이스(130)에 내장되고 돔형카메라(140)와 연결되어 돔형카메라(140)가 촬상한 주기적인 영상을 오버랩 방식으로 저장하는 메모리(150)와, 상기 메모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경보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열감지기(160) 또는 연기감지기(170)중 어느 하나의 검출신호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된 가장 최근 영상을 화재경보기(200)로 전송하는 감지기컨트롤러(18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100,110,120)는 열감지기(160)와 연기감지기(170)를 따로 구별하여 별개로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케이스에 내장하여 동시 설치되게 함으로써 감지 기능, 즉 감지 성능이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돔형카메라(140)를 병행하여, 열감지기(160) 또는 연기감지기(170)와 앤드 조합으로 화재를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오검출에 따라 화재경보기(200)의 오작동을 미연에 차단하고, 보다 정확한 검출 기능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세대내 상황은 돔형카메라(140)에 의해 실시간 촬상되고, 촬상된 영상은 메모리(150)에 저장되되, 메모리(150) 용량이 정해져 있으므로 블랙박스영상처럼 오버랩 방식으로 저장된다.
이 경우, 촬상간격은 30초 혹은 1분 간격이 될 수 있고, 이 주기에 맞춰 영상촬영 후 저장하도록 한다.
그리고, 감지기컨트롤러(180)는 기존처럼 열감지기(160) 혹은 연기감지기(170)가 검출하는 즉시 경보를 울리도록 화재경보기(200)로 검출정보를 송출하는 것이 아니라, 2개의 감지기가 한꺼번에 감지된 경우에는 즉시 화재경보기(200)로 송출하여 화재경보를 하도록 하고, 2개중 어느 하나만 감지된 경우라면 영상정보를 화재경보기(200)로 송신한 후 화재경보기(200)가 다시 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관리서버(300)의 AI 기능으로부터 판독된 화재상황임을 제어신호로 수신했을 때 비로서 화재경보가 발령되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을 갖춘 서버로서, 특히 공지된 딥러닝(deep learning)기법을 이용하여 영상의 특징점을 학습하여 화재 여부를 즉시 판독하는 특징을 갖는다. 즉, 화재발생 초기영상, 진행 영상 등을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판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가 화재경보기(200)가 전송한 영상, 또는 계단참감지기(400)가 전송한 영상을 학습한 영상과 비교 분석하여 화재발생인지 아닌지를 즉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의 예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계단참(STA) 벽면을 관통하여 1층부터 최상층까지 매립설치된 메인공급관(50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인공급관(500)은 한 쌍이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설치되며, 하단에는 각각 제1,2펌프(PP1,PP2)가 설치되고, 상기 제1,2펌프(PP1,PP2)는 배관을 통해 물탱크(TNK)와 연결된다.
그리고, 공동주택의 각 계단참(STA)에는 상기 메인공급관(500)에는 분기공급관(510)이 분기 접속되고, 분기공급관(510)의 단부는 계단참(STA)의 중앙에 위치되게 배관되며, 상기 분기공급관(510)의 단부에는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는 노즐관(520)이 접속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노즐관(520)과 간격을 두고 그 상측에는 계단참감지기(400)가 설치되는데, 상기 계단참감지기(400)는 중앙에 계단참카메라(410)가 설치되고, 컨트롤러와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된다.
그리하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할 수 있도록 접속되며, 상기 제1,2펌프(PP1,PP2)는 유선을 통해 계단참감지기(400)의 컨트롤러와 직접 연결된다.
이렇게 구성된 계단참감지기(400)는 주기적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300)는 AI 기능을 통해 화재발생여부를 판독한다.
이 경우, 영상 촬영주기는 5-10분 간격이 바람직하며, 앞서 설명한 돔형카메라(140)와 같이 촬영된 영상은 오버랩 방식으로 저장된다.
즉, 촬영 후 관리서버(300)로 전송된 영상은 삭제되고, 그 위에 새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방식을 유지함으로써 컨트롤러에 구비된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300)로부터 화재발생이 인지되어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계단참감지기(400)는 제1,2펌프(PP1,PP2)를 가동시킨다.
이때, 해당 계단참(STA)의 펌프만 가동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관(520)은 도 5의 예시와 같이, 평상시 분기공급관(510)에 차 있는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특수설계된 밸브체를 갖는다.
예컨대, 상기 노즐관(520)은 바디(BD)와, 상기 바디(BD)의 일단에 형성되고 분기공급관(510)에 접속되는 접속단(5210)과, 상기 바디(BD)의 타단에 형성되고 소화수가 분사되는 배출단(5220)을 갖는 관상체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단(5210)은 플랜지(5212)와, 제1고정판(5214)과, 상기 제1고정판(5214)을 상기 플랜지(5212)에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리브(5216)와, 상기 제1고정판(5214)의 중심에 관통형성된 사각통공(5218)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리브들 사이에는 소화수가 통과할 수 있는 소화수통수공(WH)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5210)과 간격을 두고 제2고정판(523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고정판(5230)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리브에 의해 고정되며, 제2고정판(5230)의 중심에도 사각통공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판(5230)과 간격을 두고 일정반경을 갖는 제1걸림턱(52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턱(5240)과 간격을 두고 더 큰 반경을 갖는 제2걸림턱(5250)이 더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걸림턱(5240)에는 제1마그넷(M1)이 접지된다.
이 경우, 상기 제1마그넷(M1)은 원반형태로서 직경방향으로 절반을 기준삼아 서로 극성이 다른 마그넷으로서 도시상 상측 절반이 N극, 하측 절반이 S극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마그넷(M1)의 원중심에는 사각보스(BOS)가 고정되고, 상기 사각보스(BOS)의 단부는 상기 제2고정판(5230)의 중심에 형성된 사각통공을 관통한 뒤 제1,2고정판(5214,5230) 사이의 공간상에 위치되며, 또한 단부에는 제1스톱링(R1)이 고정되고, 상기 제1스톱링(R1)과 제2고정판(5230) 사이에는 상기 사각보스(BOS)에 끼워진 제1스프링(S1)이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마그넷(M1)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1스프링(S1)에 의해 탄력적으로 제1걸림턱(5240)에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마그넷(M2)의 원중심에는 사각형상의 안내로드(ROD)가 고정되고, 상기 안내로드(ROD)는 상기 사각보스(BOS)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판(5214)의 사각통공(5218)에 끼워지며, 상기 사각통공(5218)에 끼워지지 않은 부분에 제2스톱링(R2)이 고정되고, 상기 제2스톱링(R2)과 제2고정판(5230) 사이에는 상기 사각보스(BOS)에 끼워진 제1스프링(S1)과 함께 제2스프링(S2)이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제2마그넷(M2)도 기본적으로 상기 제2스프링(S2)에 의해 탄력적으로 제2걸림턱(5250)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마그넷(M2)도 원반형태로서 직경방향으로 절반을 기준삼아 서로 극성이 다른 마그넷으로서 도시상 상측 절반이 N극, 하측 절반이 S극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마그넷(M1,M2) 사이 공간의 바디(BD) 내주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N극과 N극 사이 및 S극과 S극 사이에 각각 제1,2솔레노이드(SOL1,SOL2)가 고정된다.
상기 제1,2솔레노이드(SOL1,SOL2)는 합성수지로 된 호형상 부재(H) 둘레에 다수의 코일(C)을 감은 형태로서 통전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자기장의 방향이 바뀌는 기구이다.
즉, 암페어의 오른나사법칙에 따라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의해 코일의 양단에는 N극과 S극이 결정된다.
따라서, 예시와 같이 제1솔레노이드(SOL1)의 우측에 N극이 인가되게 하고 좌측에는 S극이 인가되도록 전류를 흘리고, 제2솔레노이드(SOL2)에는 우측에 S극, 좌측에 N극이 인가되도록 전류를 흘리게 되면 제1마그넷(M1)은 척력에 의해 제1걸림턱(5240)에 더욱 밀착되고, 제2마그넷(M2)은 인력에 의해 제2걸림턱(5250)에 더욱 더 밀착되게 되어 펌프가 가동되기 전 수압을 충분히 견디면서 이중 밀봉작용을 수행하여 소화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반대로 작용하게 되면 제1,2솔레노이드(SOL1,SOL2)의 자극이 반대로 바뀌기 때문에 제1,2마그넷(M1,M2)이 각각 제1,2걸림턱(5240,5250)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밀봉상태가 해제되어 소화수가 통과하여 배출단(5220)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는 펌프가 가동되는 경우이며, 펌프 가동신호가 주어지는 동시에 제1,2솔레노이드(SOL1,SOL2)에도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어 제1,2마그넷(M1,M2)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배출단(5220)에는 소화수의 분사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사노즐(5260)이 나사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5260)은 내부 중앙에 역삼각뿔 형상의 분배구(5262)가 고정되고, 그 둘레에 경사지게 다수의 분사공(5264)이 형성된다.
따라서, 소화수가 분사되면 소화수는 반경방향으로 확산되면서 넓은 반경에 걸쳐 신속하게 분사하므로 초기 화재진압 효과를 높일 수 있는데, 이것은 특히 계단참(STA) 전체를 커버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상기 호형상 부재(H)는 물속에 오래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내구성, 내부식성이 뛰어나야 하므로 특별히 다공성세라믹 알루미나 10중량%, 10mm 길이의 탄소섬유 4중량%, 10㎛의 입도를 갖는 활석 분말 3.5중량%, 페트로레이텀 5중량%, 글루타릴콘센트레이스 5중량%, 아인산염 5중량%, 보로수소화나트륨(Sodium borohydride) 1.5중량% 및 나머지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진 성형조성물을 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이때, 다공성세라믹 알루미나는 무정형 실리카, 발포펄라이트 및 고령토 등 보다 수용성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은 0.037 W/mK여서 단열성능이 뛰어나며, 열반사 및 열저항성이 뛰어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탄소섬유는 인장강도 및 강도를 높이면서 성형시 치수 변화가 적어 수치안정화를 정확하게 유지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내크랙성과 균열억제성도 강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활석 분말은 규산염광물로서 윤활성, 내부식성, 표면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내부식성과 강도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페트로레이텀, 글루타릴콘센트레이스, 아인산염 및 보로수소화나트륨(Sodium borohydride)을 더 첨가한다. 이들은 미세 기포 발생까지 차단하면서 성형시 결합과 고정안정성을 강화시켜 내부식성, 고강도 구현에 기여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6 및 도 7의 예시와 같은 휴대 이동형 스프링클러, 즉 간이 스프링클러(8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간이 스프링클러(800)는 충분히 작게 만들 수 있지만 용량을 늘리기 위해 체적이 커지는 항아리형태, 납작한 사각박스형태 등 다양한 형상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간이 스프링클러(800)는 천정에 고정할 수 있도록 소화액이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충전되는 내압용기(8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압용기(810)의 상단에는 천정플랜지(812)가 고정되고, 양측면에는 측면플랜지(814)가 고정된다.
때문에, 상기 간이 스프링클러(800)는 원하는 장소 아무곳에나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원하면 언제든지 떼어내고 이동시킨 후 다시 원하는 곳에 재설치가 가능하다.
아울러, 내압용기(810)의 하단면에는 소화액을 비산 분사시킬 수 있는 분사유닛(820)이 설치된다.
상기 분사유닛(820)은 도 6,7의 예시와 같이, 내압용기(810)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816)에 끼워지는 십자형 마개(821)와, 상기 십자형 마개(821)의 하단면 중심에서 돌출된 하부돌기(822)와,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진 팽창스프링(823)과,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져 팽창스프링(823)을 압축하는 고정막대(824)와, 상기 고정막대(824)가 고정된 작동로드(825)와, 상기 작동로드(825)의 후단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826)과, 상기 장공(826)에 고정핀(828)으로 하단이 핀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베이스(827)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818)에 끼워지는 끼움편부(831)와, 상기 끼움편부(831)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에 끼움식으로 맞대어진 후 볼트고정되는 받침편부(832)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일측면에 힌지고정된 보조편(829)과, 일단은 보조편(829)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로드(825)에 고정된 코일스프링(830)과, 상기 고정베이스(827)와 작동로드(825)의 대향되는 위치에 'ㄱ'형상으로 요입형성된 파열구끼움고정홈(834)와, 양단을 각각 상기 파열구끼움고정홈(834)에 끼운 후 90°꺾어 밀어넣어 고정하며 Cu-Ag계(1:0.08중량비) 합금을 사용하여 화재시 열에 의해 끊어지도록 구성된 파열구(833)와, 상기 배출구(816)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내부가 확경된 분사안내관(840)과, 상기 고정막대(824)가 끼워진 후 장공(826)의 상하폭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안내관(840)에 형성된 막대유동공(841)과, 상기 분사안내관(840)의 하단에 나사고정되는 밀봉구(842)와, 상기 밀봉구(842)에 형성된 배출구멍(843)과, 상기 밀봉구(842)의 하단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비산분사원판(844)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멍(843)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구멍(845)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로 끼움되는 하부부쉬(846) 및 상부부쉬(847)와, 상기 상부부쉬(847)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부부쉬(847)에 볼트고정되고 헤드 하부에는 볼(849)이 배치되어 회전마찰을 줄인 고정볼트(848)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면 파열구(833)가 끊어지게 된다.
그러면, 소화액의 내압(분사압)이 고정막대(824)가 받쳐 누르는 힘보다 세져 십자형 마개(821)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고, 십자형 마개(821)가 배출구(816)를 벗어나게 되면 쏟아지는 소화액이 분사안내관(840)을 타고 내려오다가 밀봉구(842)의 배출구멍(843)과 비산분사원판(844)의 분사구멍(845)을 통해 분사되면서 비산분사원판(844)은 자동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최대한 멀리까지 분사할 수 있어 초기 화재진압에 매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 세대내에서도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화재위험지역, 이를테면 창고, 베란다, 보일러실, 작은방, 안방, 거실 등에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얼마든지 쉽게 옮길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8의 예시와 같은 스프링클러검지기(7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클러검지기(700)는 스프링클러관(SPL)의 일부에 설치된 'U'형상의 우회관(710)과, 상기 우회관(710)에 설치된 검지단자(720)와, 상기 검지단자(720)의 검지결과를 검출하고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하여 검출결과를 송신하는 검출기(730)와, 상기 검출기(730)에 설치되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740)을 포함한다.
이때, 검지단자(720)는 양단에 통수홀(HOL)이 형성된 단자하우징(722)과, 상기 단자하우징(722)의 내부 양측에 서로 마주보고 'ㅏ, ㅓ'형태로 설치된 제1,2단자(724,726) 및 상기 제1,2단자(724,726) 사이에 개재된 단자스프링(728)으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스프링클러관(SPL) 내부에 소화수가 채워져 있는 경우라면 통수홀(HOL)을 통해 수압이 가해져 단자스프링(728)을 압축하면서 제1,2단자(724,726)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양 단자에 검출기(730)가 전원을 인가하면 통전되기 때문에 정상상태로 판단한다.
반면, 관리서버(300)로부터 검지신호를 수신한 검출기(730)가 전기를 인가하였는데 통전되지 아니하면 소화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발하고, 관리서버(300)는 사용자단말(2)을 통해 해당 사항을 고지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스프링클러내 소화수 미충만에 따른 화재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00: 화재감지기 200: 화재경보기
300: 관리서버 400: 계단참감지기
500: 메인공급관 700: 스프링클러검지기
300: 관리서버 400: 계단참감지기
500: 메인공급관 700: 스프링클러검지기
Claims (2)
- 삭제
- 공동주택의 각 세대내에 설치된 다수의 화재감지기(100,110,120)와,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와 연결되고 실외에 설치된 화재경보기(200)와, 상기 화재경보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공동주택 전체의 화재상황을 감시 제어하도록 관리실에 설치된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을 갖춘 관리서버(300)와, 공동주택의 계단참(STA)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으로 연결된 계단참감지기(400)와,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으로 연결된 스프링클러검지기(700) 및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등록된 사용자단말(2)을 포함하며,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는 세대내 상용전원을 통해 구동되며 외형을 이루는 원형케이스(130)와, 상기 원형케이스(130)의 원중심에 설치된 돔형카메라(140)와, 상기 돔형카메라(140)의 양측에 설치된 열감지기(160) 및 연기감지기(170)와, 상기 원형케이스(130)에 내장되고 돔형카메라(140)와 연결되어 돔형카메라(140)가 촬상한 실시간 영상을 오버랩 방식으로 저장하는 메모리(150)와, 상기 메모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경보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열감지기(160) 또는 연기감지기(170)중 어느 하나의 검출신호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된 가장 최근 영상을 화재경보기(200)로 전송하는 감지기컨트롤러(180)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클러검지기(700)는 스프링클러관(SPL)의 일부에 설치된 'U'형상의 우회관(710)과, 상기 우회관(710)에 설치된 검지단자(720)와, 상기 검지단자(720)의 검지결과를 검출하고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하여 검출결과를 송신하는 검출기(730)와, 상기 검출기(730)에 설치되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740)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내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곳에 설치되는 간이 스프링클러(8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간이 스프링클러(800)는 소화액이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충전되는 내압용기(810)와, 상기 내압용기(810)의 상단에 고정된 천정플랜지(812)와, 상기 내압용기(810)의 양측면에 고정된 측면플랜지(814)와, 내압용기(810)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소화액을 비산 분사시킬 수 있는 분사유닛(820)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유닛(820)은 내압용기(810)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816)에 끼워지는 십자형 마개(821)와, 상기 십자형 마개(821)의 하단면 중심에서 돌출된 하부돌기(822)와,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진 팽창스프링(823)과,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져 팽창스프링(823)을 압축하는 고정막대(824)와, 상기 고정막대(824)가 고정된 작동로드(825)와, 상기 작동로드(825)의 후단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826)과, 상기 장공(826)에 고정핀(828)으로 하단이 핀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베이스(827)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818)에 끼워지는 끼움편부(831)와, 상기 끼움편부(831)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에 끼움식으로 맞대어진 후 볼트고정되는 받침편부(832)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일측면에 힌지고정된 보조편(829)과, 일단은 보조편(829)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로드(825)에 고정된 코일스프링(830)과, 상기 고정베이스(827)와 작동로드(825)의 대향되는 위치에 'ㄱ'형상으로 요입형성된 파열구끼움고정홈(834)와, 양단을 각각 상기 파열구끼움고정홈(834)에 끼운 후 90°꺾어 밀어넣어 고정하며 Cu-Ag계(1:0.08중량비) 합금을 사용하여 화재시 열에 의해 끊어지도록 구성된 파열구(833)와, 상기 배출구(816)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내부가 확경된 분사안내관(840)과, 상기 고정막대(824)가 끼워진 후 장공(826)의 상하폭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안내관(840)에 형성된 막대유동공(841)과, 상기 분사안내관(840)의 하단에 나사고정되는 밀봉구(842)와, 상기 밀봉구(842)에 형성된 배출구멍(843)과, 상기 밀봉구(842)의 하단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비산분사원판(844)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멍(843)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구멍(845)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로 끼움되는 하부부쉬(846) 및 상부부쉬(847)와, 상기 상부부쉬(847)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부부쉬(847)에 볼트고정되고 헤드 하부에는 볼(849)이 배치되어 회전마찰을 줄인 고정볼트(848)을 포함하고,
상기 공동주택의 계단참(STA) 벽면을 관통하여 1층부터 최상층까지 매립설치된 메인공급관(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공급관(500)에는 분기공급관(510)이 분기 접속되고, 분기공급관(510)의 단부는 계단참(STA)의 중앙에 위치되게 배관되며, 상기 분기공급관(510)의 단부에는 소화수를 분사하는 노즐관(520)이 접속되고,
상기 노즐관(520)과 간격을 두고 그 상측에는 계단참감지기(400)가 설치되며, 상기 계단참감지기(400)는 중앙에 계단참카메라(410)가 설치되고, 컨트롤러와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며,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하도록 접속되고,
상기 노즐관(520)은 평상시 분기공급관(510)에 차 있는 수압을 견디도록 설계되고,
상기 노즐관(520)은 바디(BD)와, 상기 바디(BD)의 일단에 형성되고 분기공급관(510)에 접속되는 접속단(5210)과, 상기 바디(BD)의 타단에 형성되고 소화수가 분사되는 배출단(5220)을 갖는 관상체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단(5210)은 플랜지(5212)와, 제1고정판(5214)과, 상기 제1고정판(5214)을 상기 플랜지(5212)에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리브(5216)와, 상기 제1고정판(5214)의 중심에 관통형성된 사각통공(5218)을 포함하고,
상기 리브(5216) 사이에는 소화수가 통과하는 소화수통수공(WH)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5210)과 간격을 두고 제2고정판(5230)이 다수의 리브(5216)에 의해 고정되며, 제2고정판(5230)의 중심에도 사각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판(5230)과 간격을 두고 일정반경을 갖는 제1걸림턱(5240)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턱(5240)과 간격을 두고 더 큰 반경을 갖는 제2걸림턱(525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5240)에는 제1마그넷(M1)이 접지되고,
상기 제1마그넷(M1)은 원반형태이고 직경방향으로 절반을 기준삼아 서로 극성이 다른 마그넷이 고정되고,
상기 제1마그넷(M1)의 원중심에는 사각보스(BOS)가 고정되고, 상기 사각보스(BOS)의 단부는 상기 제2고정판(5230)의 중심에 형성된 사각통공을 관통한 뒤 제1,2고정판(5214,5230) 사이의 공간상에 위치되며, 제1스톱링(R1)이 고정되고, 상기 제1스톱링(R1)과 제2고정판(5230) 사이에는 상기 사각보스(BOS)에 끼워진 제1스프링(S1)이 개재되고,
상기 제1마그넷(M1)은 상기 제1스프링(S1)에 의해 탄력적으로 제1걸림턱(5240)에 밀착되고,
제2마그넷(M2)의 원중심에는 사각형상의 안내로드(ROD)가 고정되고, 상기 안내로드(ROD)는 상기 사각보스(BOS)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판(5214)의 사각통공(5218)에 끼워지며, 상기 사각통공(5218)에 끼워지지 않은 부분에 제2스톱링(R2)이 고정되고, 상기 제2스톱링(R2)과 제2고정판(5230) 사이에는 제2스프링(S2)이 개재되고,
상기 제2마그넷(M2)은 상기 제2스프링(S2)에 의해 탄력적으로 제2걸림턱(5250)에 밀착되고,
상기 제2마그넷(M2)은 원반형태이며 직경방향으로 절반을 기준삼아 서로 극성이 다른 마그넷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2마그넷(M1,M2) 사이 공간의 바디(BD) 내주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제1,2솔레노이드(SOL1,SOL2)가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0658A KR102448818B1 (ko) | 2021-07-30 | 2021-07-30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0658A KR102448818B1 (ko) | 2021-07-30 | 2021-07-30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8818B1 true KR102448818B1 (ko) | 2022-09-30 |
Family
ID=8345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0658A KR102448818B1 (ko) | 2021-07-30 | 2021-07-30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881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9163B1 (ko) | 2022-11-14 | 2023-09-15 | (주)한길이앤씨 |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안정화시스템 |
CN117398641A (zh) * | 2023-12-14 | 2024-01-16 | 福建省宇安机电设备有限公司 | 一种基于物联网的自动跟踪定位射流灭火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3809B1 (ko) * | 2016-09-21 | 2017-07-05 |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개폐 밸브 감지 스위치 |
KR102169181B1 (ko) * | 2019-08-28 | 2020-10-23 | (주)케이제이종합감리 |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
KR102247884B1 (ko) * | 2021-03-17 | 2021-05-06 | 주식회사 드림종합기술단 |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무인점검 시스템 |
KR102273403B1 (ko) | 2020-11-26 | 2021-07-06 |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
-
2021
- 2021-07-30 KR KR1020210100658A patent/KR1024488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3809B1 (ko) * | 2016-09-21 | 2017-07-05 |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개폐 밸브 감지 스위치 |
KR102169181B1 (ko) * | 2019-08-28 | 2020-10-23 | (주)케이제이종합감리 |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
KR102273403B1 (ko) | 2020-11-26 | 2021-07-06 |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
KR102247884B1 (ko) * | 2021-03-17 | 2021-05-06 | 주식회사 드림종합기술단 |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무인점검 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9163B1 (ko) | 2022-11-14 | 2023-09-15 | (주)한길이앤씨 |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안정화시스템 |
CN117398641A (zh) * | 2023-12-14 | 2024-01-16 | 福建省宇安机电设备有限公司 | 一种基于物联网的自动跟踪定位射流灭火装置 |
CN117398641B (zh) * | 2023-12-14 | 2024-03-08 | 福建省宇安机电设备有限公司 | 一种基于物联网的自动跟踪定位射流灭火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97133B1 (ko)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에 대비한 소방 안전 자동화시스템 | |
KR102369026B1 (ko)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통합 관리 시스템 | |
KR102369691B1 (ko)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 |
KR102384551B1 (ko)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알림시스템 | |
KR102448818B1 (ko)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 | |
KR102273403B1 (ko)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 |
CA2610492C (en) | Releasing control unit for a residential fire protection system | |
KR102439692B1 (ko) | 공동주택의 소방용 진화장비 구축 시스템 | |
KR102273404B1 (ko) |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 |
KR102374201B1 (ko) | 공동주택의 소방배관 시스템 | |
KR102432346B1 (ko) | 인공지능적 자동 전기장치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제어 시스템 | |
KR102437305B1 (ko) |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화재발생 알림 안전교육 소방시스템 | |
KR102480719B1 (ko) | 공동주택의 방화 스프링클러 자동화 운용시스템 | |
KR102451550B1 (ko) | Ai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 |
KR102420278B1 (ko) |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세대별 소방 시스템 | |
KR102439693B1 (ko) | 공동주택의 소방용수 공급시스템 | |
KR102420385B1 (ko)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시스템 | |
KR102559331B1 (ko) |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합 관리 시스템 구현방법 | |
KR102432758B1 (ko) | 공동주택의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 |
KR102560036B1 (ko)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용 화재 감시시스템 | |
KR101704409B1 (ko) |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 |
KR102401143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 | |
KR102421935B1 (ko)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관리시스템 | |
KR102395973B1 (ko) | 로봇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 |
KR102412176B1 (ko) |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