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143B1 -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143B1
KR102401143B1 KR1020210094171A KR20210094171A KR102401143B1 KR 102401143 B1 KR102401143 B1 KR 102401143B1 KR 1020210094171 A KR1020210094171 A KR 1020210094171A KR 20210094171 A KR20210094171 A KR 20210094171A KR 102401143 B1 KR102401143 B1 KR 102401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xing plate
square
po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수
Original Assignee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9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71Detection of area conflagratio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세대내 화재에 대한 감시 관리 정확도를 높이고, 특히 계단참을 통한 피난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계단참에 대한 자동 살수기능을 갖춰 화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시 인명피해도 최소화시켜 안전성을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Firefighting equipment monitoring system for apartment buildings}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세대내 화재에 대한 감시 관리 정확도를 높이고, 특히 계단참을 통한 피난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계단참에 대한 자동 살수기능을 갖춰 화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시 인명피해도 최소화시켜 안전성을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파트 단지와 같은 공동주택 단지나 대형 빌딩들은 건물이 노후화됨에 따라 소방 안전 설비의 지속적인 관리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새로이 신축되는 고가의 건물에는 보다 개선된 형태의 소방설비들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기존의 노후 건물이나 단지에서는 곳곳의 소방설비들을 일일이 정기적으로 관리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노후 장비의 오동작으로 인해 많은 안전사고가 유발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으로, 기존의 노후화된 건물의 인프라를 통해 소방설비들을 정기적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이나 경비들의 인건비 상승 또한 문제되고 있다.
아울러, 공동주택에 설치된 소방관리 시스템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에 국한되어 있다. 즉, 경보만 울릴 뿐이지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
더구나, 화재 발생시 급한 마음에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려고 하는데, 엘리베이터는 전기가 끊어지면 곧바로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기 때문에 탑승자체를 차단해야 하는데 그러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도 않고, 특히 계단참으로 대피해야 하는데 연기와 고온의 열기가 계단참을 꽉 채우게 되면 대피가 곤란해지고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도 해소할 필요가 있다.
특히, 소화전의 경우 긴급한 상황에 일반인들이 대피하면서 소화전을 열고 소화수를 공급할 수는 없는 노릇이므로 어떻게 보면 사실상 무용지물이다.
단지, 소방관들이 도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용도이지, 그것이 일반인들에 의한 초기 소화에 활용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뿐만 아니라, 세대내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는 거의 점검이 없기 때문에 실제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동작불량인 경우 커다란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43317호(2016.07.21.) 공동주택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세대내 화재에 대한 감시 관리 정확도를 높이고, 특히 계단참을 통한 피난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계단참에 대한 자동 살수기능을 갖춰 화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시 인명피해도 최소화시켜 안전성을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동주택의 각 세대내에 설치된 다수의 화재감지기(100,110,120)와,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와 연결되고 실외에 설치된 화재경보기(200)와, 상기 화재경보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공동주택 전체의 화재상황을 감시 제어하도록 관리실에 설치된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을 갖춘 관리서버(300)와, 공동주택의 계단참(STA)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으로 연결된 계단참감지기(400) 및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등록된 사용자단말(2)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는 세대내 상용전원을 통해 구동되며 외형을 이루는 원형케이스(130)와, 상기 원형케이스(130)의 원중심에 설치된 돔형카메라(140)와, 상기 돔형카메라(140)의 양측에 설치된 열감지기(160) 및 연기감지기(170)와, 상기 원형케이스(130)에 내장되고 돔형카메라(140)와 연결되어 돔형카메라(140)가 촬상한 실시간 영상을 오버랩 방식으로 저장하는 메모리(150)와, 상기 메모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경보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열감지기(160) 또는 연기감지기(170)중 어느 하나의 검출신호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된 가장 최근 영상을 화재경보기(200)로 전송하는 감지기컨트롤러(180)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경보기(200)에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특정신호를 송출하는 트랜스미터(TM)가 더 내장되고,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의 감지기컨트롤러(180)에는 트랜스미터(TM)의 신호만을 대응하여 반응하는 리시버(RV)가 내장되며, 상기 리시버(RV)가 반응할 때 램프(LP)가 점등되도록 설계되며, 램프(LP)는 감지기컨트롤러(180)의 상면에 고정되어 점등시 감지기커버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관리서버(300)는 주기적으로 각 세대내 화재경보기(200)를 통해 각 화재감지기(100,110,120)의 배선상태를 체크하는 특정신호를 보내고 그 결과를 등록된 사용자단말(2)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세대내 화재에 대한 감시 관리 정확도를 높이고, 특히 계단참을 통한 피난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계단참에 대한 자동 살수기능을 갖춰 화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시 인명피해도 최소화시켜 안전성을 강화시키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세대내 화재감지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축예를 보인 개략적인 공동주택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계단참감지기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노즐관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공동주택의 각 세대내에 설치된 다수의 화재감지기(100,110,120)와,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실외에 설치된 화재경보기(200)와, 상기 화재경보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공동주택 전체의 화재상황을 감시 제어하도록 관리실에 설치된 관리서버(300)와, 공동주택의 계단참(STA)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으로 연결된 계단참감지기(400) 및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등록된 사용자단말(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세대내 상용전원을 사용하며, 외형을 이루는 원형케이스(130)와, 상기 원형케이스(130)의 원중심에 설치된 돔형카메라(140)와, 상기 돔형카메라(140)의 양측에 설치된 열감지기(160) 및 연기감지기(170)와, 상기 원형케이스(130)에 내장되고 돔형카메라(140)와 연결되어 돔형카메라(140)가 촬상한 주기적인 영상을 오버랩 방식으로 저장하는 메모리(150)와, 상기 메모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경보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열감지기(160) 또는 연기감지기(170)중 어느 하나의 검출신호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된 가장 최근 영상을 화재경보기(200)로 전송하는 감지기컨트롤러(18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100,110,120)는 열감지기(160)와 연기감지기(170)를 따로 구별하여 별개로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케이스에 내장하여 동시 설치되게 함으로써 감지 기능, 즉 감지 성능이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돔형카메라(140)를 병행하여, 열감지기(160) 또는 연기감지기(170)와 앤드 조합으로 화재를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오검출에 따라 화재경보기(200)의 오작동을 미연에 차단하고, 보다 정확한 검출 기능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세대내 상황은 돔형카메라(140)에 의해 실시간 촬상되고, 촬상된 영상은 메모리(150)에 저장되되, 메모리(150) 용량이 정해져 있으므로 블랙박스영상처럼 오버랩 방식으로 저장된다.
이 경우, 촬상간격은 30초 혹은 1분 간격이 될 수 있고, 이 주기에 맞춰 영상촬영 후 저장하도록 한다.
그리고, 감지기컨트롤러(180)는 기존처럼 열감지기(160) 혹은 연기감지기(170)가 검출하는 즉시 경보를 울리도록 화재경보기(200)로 검출정보를 송출하는 것이 아니라, 2개의 감지기가 한꺼번에 감지된 경우에는 즉시 화재경보기(200)로 송출하여 화재경보를 하도록 하고, 2개중 어느 하나만 감지된 경우라면 영상정보를 화재경보기(200)로 송신한 후 화재경보기(200)가 다시 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관리서버(300)의 AI 기능으로부터 판독된 화재상황임을 제어신호로 수신했을 때 비로서 화재경보가 발령되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와 화재경보기(200) 사이의 유선이 단선될 경우 위와 같은 동작은 의미가 없게 된다.
이에, 이를 자동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상기 화재경보기(200)에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특정신호를 송출하는 트랜스미터(TM)이 내장되고,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의 감지기컨트롤러(180)에는 트랜스미터(TM)의 신호만을 대응하여 반응하는 리시버(RV)가 내장되며, 상기 리시버(RV)가 반응할 때 램프(LP)가 점등되도록 설계되며, 램프(LP)는 감지기컨트롤러(180)의 상면에 고정되어 점등시 감지기커버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관리서버(300)는 주기적으로 각 세대내 화재경보기(200)를 통해 각 화재감지기(100,110,120)의 배선상태를 체크하는 위해 위와 같은 특정신호를 보내고 램프(LP)에 점등이 될 경우 실내 거주자는 즉시 확인이 가능하여 정상임을 인지할 수 있고,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상태는 즉시 등록된 사용자단말(2)을 통해 전송됨으로써 세대내 거주자가 자신의 세대내 화재감지기(100,110,120)의 불량여부를 즉시 확인하고 필요시 수리 보수 교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검출 불량에 따른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을 갖춘 서버로서, 특히 공지된 딥러닝(deep learning)기법을 이용하여 영상의 특징점을 학습하여 화재 여부를 즉시 판독하는 특징을 갖는다. 즉, 화재발생 초기영상, 진행 영상 등을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판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가 화재경보기(200)가 전송한 영상, 또는 계단참감지기(400)가 전송한 영상을 학습한 영상과 비교 분석하여 화재발생인지 아닌지를 즉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계단참(STA) 벽면을 관통하여 1층부터 최상층까지 매립설치된 메인공급관(50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인공급관(500)은 한 쌍이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설치되며, 하단에는 각각 제1,2펌프(PP1,PP2)가 설치되고, 상기 제1,2펌프(PP1,PP2)는 배관을 통해 물탱크(TNK)와 연결된다.
그리고, 공동주택의 각 계단참(STA)에는 상기 메인공급관(500)에는 분기공급관(510)이 분기 접속되고, 분기공급관(510)의 단부는 계단참(STA)의 중앙에 위치되게 배관되며, 상기 분기공급관(510)의 단부에는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는 노즐관(520)이 접속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노즐관(520)과 간격을 두고 그 상측에는 계단참감지기(400)가 설치되는데, 상기 계단참감지기(400)는 중앙에 계단참카메라(410)가 설치되고, 컨트롤러와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된다.
그리하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할 수 있도록 접속되며, 상기 제1,2펌프(PP1,PP2)는 유선을 통해 계단참감지기(400)의 컨트롤러와 직접 연결된다.
이렇게 구성된 계단참감지기(400)는 주기적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300)는 AI 기능을 통해 화재발생여부를 판독한다.
이 경우, 영상 촬영주기는 5-10분 간격이 바람직하며, 앞서 설명한 돔형카메라(140)와 같이 촬영된 영상은 오버랩 방식으로 저장된다.
즉, 촬영 후 관리서버(300)로 전송된 영상은 삭제되고, 그 위에 새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방식을 유지함으로써 컨트롤러에 구비된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300)로부터 화재발생이 인지되어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계단참감지기(400)는 제1,2펌프(PP1,PP2)를 가동시킨다.
이때, 해당 계단참(STA)의 펌프만 가동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관(520)은 도 5의 예시와 같이, 평상시 분기공급관(510)에 차 있는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특수설계된 밸브체를 갖는다.
예컨대, 상기 노즐관(520)은 바디(BD)와, 상기 바디(BD)의 일단에 형성되고 분기공급관(510)에 접속되는 접속단(5210)과, 상기 바디(BD)의 타단에 형성되고 소화수가 분사되는 배출단(5220)을 갖는 관상체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단(5210)은 플랜지(5212)와, 제1고정판(5214)과, 상기 제1고정판(5214)을 상기 플랜지(5212)에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리브(5216)와, 상기 제1고정판(5214)의 중심에 관통형성된 사각통공(5218)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리브들 사이에는 소화수가 통과할 수 있는 소화수통수공(WH)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5210)과 간격을 두고 제2고정판(523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고정판(5230)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리브에 의해 고정되며, 제2고정판(5230)의 중심에도 사각통공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판(5230)과 간격을 두고 일정반경을 갖는 제1걸림턱(52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턱(5240)과 간격을 두고 더 큰 반경을 갖는 제2걸림턱(5250)이 더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걸림턱(5240)에는 제1마그넷(M1)이 접지된다.
이 경우, 상기 제1마그넷(M1)은 원반형태로서 직경방향으로 절반을 기준삼아 서로 극성이 다른 마그넷으로서 상측 절반이 N극, 하측 절반이 S극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마그넷(M1)의 원중심에는 사각보스(BOS)가 고정되고, 상기 사각보스(BOS)의 단부는 상기 제2고정판(5230)의 중심에 형성된 사각통공을 관통한 뒤 제1,2고정판(5214,5230) 사이의 공간상에 위치되며, 또한 단부에는 제1스톱링(R1)이 고정되고, 상기 제1스톱링(R1)과 제2고정판(5230) 사이에는 상기 사각보스(BOS)에 끼워진 제1스프링(S1)이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마그넷(M1)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1스프링(S1)에 의해 탄력적으로 제1걸림턱(5240)에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마그넷(M2)의 원중심에는 사각형상의 안내로드(ROD)가 고정되고, 상기 안내로드(ROD)는 상기 사각보스(BOS)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판(5214)의 사각통공(5218)에 끼워지며, 상기 사각통공(5218)에 끼워지지 않은 부분에 제2스톱링(R2)이 고정되고, 상기 제2스톱링(R2)과 제2고정판(5230) 사이에는 상기 사각보스(BOS)에 끼워진 제1스프링(S1)과 함께 제2스프링(S2)이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제2마그넷(M2)도 기본적으로 상기 제2스프링(S2)에 의해 탄력적으로 제2걸림턱(5250)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마그넷(M2)도 원반형태로서 직경방향으로 절반을 기준삼아 서로 극성이 다른 마그넷으로서 상측 절반이 N극, 하측 절반이 S극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마그넷(M1,M2) 사이 공간의 바디(BD) 내주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N극과 N극 사이 및 S극과 S극 사이에 각각 제1,2솔레노이드(SOL1,SOL2)가 고정된다.
상기 제1,2솔레노이드(SOL1,SOL2)는 합성수지로 된 호형상 부재(H) 둘레에 다수의 코일(C)을 감은 형태로서 통전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자기장의 방향이 바뀌는 기구이다.
즉, 암페어의 오른나사법칙에 따라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의해 코일의 양단에는 N극과 S극이 결정된다.
따라서, 예시와 같이 제1솔레노이드(SOL1)의 우측에 N극이 인가되게 하고 좌측에는 S극이 인가되도록 전류를 흘리고, 제2솔레노이드(SOL2)에는 우측에 S극, 좌측에 N극이 인가되도록 전류를 흘리게 되면 제1마그넷(M1)은 척력에 의해 제1걸림턱(5240)에 더욱 밀착되고, 제2마그넷(M2)은 인력에 의해 제2걸림턱(5250)에 더욱 더 밀착되게 되어 펌프가 가동되기 전 수압을 충분히 견디면서 이중 밀봉작용을 수행하여 소화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반대로 작용하게 되면 제1,2솔레노이드(SOL1,SOL2)의 자극이 반대로 바뀌기 때문에 제1,2마그넷(M1,M2)이 각각 제1,2걸림턱(5240,5250)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밀봉상태가 해제되어 소화수가 통과하여 배출단(5220)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는 펌프가 가동되는 경우이며, 펌프 가동신호가 주어지는 동시에 제1,2솔레노이드(SOL1,SOL2)에도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어 제1,2마그넷(M1,M2)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배출단(5220)에는 소화수의 분사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사노즐(5260)이 나사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5260)은 내부 중앙에 역삼각뿔 형상의 분배구(5262)가 고정되고, 그 둘레에 경사지게 다수의 분사공(5264)이 형성된다.
따라서, 소화수가 분사되면 소화수는 반경방향으로 확산되면서 넓은 반경에 걸쳐 신속하게 분사하므로 초기 화재진압 효과를 높일 수 있는데, 이것은 특히 계단참(STA) 전체를 커버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상기 호형상 부재(H)는 물속에 오래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내구성, 내부식성이 뛰어나야 하므로 특별히 다공성세라믹 알루미나 10중량%, 10mm 길이의 탄소섬유 4중량%, 10㎛의 입도를 갖는 활석 분말 3.5중량%, 페트로레이텀 5중량%, 글루타릴콘센트레이스 5중량%, 아인산염 5중량%, 보로수소화나트륨(Sodium borohydride) 1.5중량% 및 나머지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진 성형조성물을 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이때, 다공성세라믹 알루미나는 무정형 실리카, 발포펄라이트 및 고령토 등 보다 수용성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은 0.037 W/mK여서 단열성능이 뛰어나며, 열반사 및 열저항성이 뛰어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탄소섬유는 인장강도 및 강도를 높이면서 성형시 치수 변화가 적어 수치안정화를 정확하게 유지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내크랙성과 균열억제성도 강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활석 분말은 규산염광물로서 윤활성, 내부식성, 표면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내부식성과 강도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페트로레이텀, 글루타릴콘센트레이스, 아인산염 및 보로수소화나트륨(Sodium borohydride)을 더 첨가한다. 이들은 미세 기포 발생까지 차단하면서 성형시 결합과 고정안정성을 강화시켜 내부식성, 고강도 구현에 기여한다.
100: 화재감지기 200: 화재경보기
300: 관리서버 400: 계단참감지기
500: 메인공급관

Claims (2)

  1. 공동주택의 각 세대내에 설치된 다수의 화재감지기(100,110,120)와,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와 연결되고 실외에 설치된 화재경보기(200)와, 상기 화재경보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공동주택 전체의 화재상황을 감시 제어하도록 관리실에 설치된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을 갖춘 관리서버(300)와, 공동주택의 계단참(STA)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으로 연결된 계단참감지기(400) 및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등록된 사용자단말(2)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300)는 주기적으로 각 세대내 화재경보기(200)를 통해 각 화재감지기(100,110,120)의 배선상태를 체크하는 특정신호를 보내고 그 결과를 등록된 사용자단말(2)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동주택의 계단참(STA) 벽면을 관통하여 1층부터 최상층까지 매립설치된 메인공급관(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계단참(STA)에는 상기 메인공급관(500)에서 분기된 분기공급관(510)이 구비되고, 상기 분기공급관(510)의 단부는 계단참(STA)의 중앙에 위치되게 배관되며, 상기 분기공급관(510)의 단부에는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는 노즐관(520)이 접속되고, 상기 노즐관(520)과 간격을 두고 그 상측에는 계단참감지기(400)가 설치되며, 상기 계단참감지기(400)의 내부에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계단참카메라(410)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된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즐관(520)은 상기 노즐관(520)은 바디(BD)와, 상기 바디(BD)의 일단에 형성되고 분기공급관(510)에 접속되는 접속단(5210)과, 상기 바디(BD)의 타단에 형성되고 소화수가 분사되는 배출단(5220)을 갖는 관상체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단(5210)은 플랜지(5212)와, 제1고정판(5214)과, 상기 제1고정판(5214)을 상기 플랜지(5212)에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리브(5216)와, 상기 제1고정판(5214)의 중심에 관통형성된 사각통공(5218)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브(5216)들 사이에는 소화수가 통과할 수 있는 소화수통수공(WH)이 형성되며, 상기 접속단(5210)과 간격을 두고 제2고정판(5230)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판(5230)도 다수의 리브에 의해 고정되며, 제2고정판(5230)의 중심에도 사각통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판(5230)과 간격을 두고 일정반경을 갖는 제1걸림턱(5240)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턱(5240)과 간격을 두고 더 큰 반경을 갖는 제2걸림턱(525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5240)에는 제1마그넷(M1)이 접지되며, 상기 제1마그넷(M1)은 원반형태로서 직경방향으로 절반을 기준삼아 서로 극성이 다른 마그넷으로서 상측 절반이 N극, 하측 절반이 S극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마그넷(M1)의 원중심에는 사각보스(BOS)가 고정되며, 상기 사각보스(BOS)의 단부는 상기 제2고정판(5230)의 중심에 형성된 사각통공을 관통한 뒤 제1,2고정판(5214,5230) 사이의 공간상에 위치되고, 단부에는 제1스톱링(R1)이 고정되며, 상기 제1스톱링(R1)과 제2고정판(5230) 사이에는 상기 사각보스(BOS)에 끼워진 제1스프링(S1)이 개재되고, 제2마그넷(M2)의 원중심에는 사각형상의 안내로드(ROD)가 고정되며, 상기 안내로드(ROD)는 상기 사각보스(BOS)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판(5214)의 사각통공(5218)에 끼워지고, 상기 사각통공(5218)에 끼워지지 않은 부분에 제2스톱링(R2)이 고정되며, 상기 제2스톱링(R2)과 제2고정판(5230) 사이에는 상기 사각보스(BOS)에 끼워진 제1스프링(S1)과 함께 제2스프링(S2)이 개재되고, 상기 제2마그넷(M2)도 원반형태로서 직경방향으로 절반을 기준삼아 서로 극성이 다른 마그넷으로서 상측 절반이 N극, 하측 절반이 S극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2마그넷(M1,M2) 사이 공간의 바디(BD) 내주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N극과 N극 사이 및 S극과 S극 사이에 각각 제1,2솔레노이드(SOL1,SOL2)가 고정되고, 상기 배출단(5220)에는 소화수의 분사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사노즐(5260)이 나사고정되며, 상기 분사노즐(5260)은 내부 중앙에 역삼각뿔 형상의 분배구(5262)가 고정되고, 그 둘레에 경사지게 다수의 분사공(52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
  2. 삭제
KR1020210094171A 2021-07-19 2021-07-19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 KR102401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171A KR102401143B1 (ko) 2021-07-19 2021-07-19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171A KR102401143B1 (ko) 2021-07-19 2021-07-19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143B1 true KR102401143B1 (ko) 2022-05-25

Family

ID=81800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171A KR102401143B1 (ko) 2021-07-19 2021-07-19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1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317B1 (ko) 2016-03-30 2016-08-10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
KR200486357Y1 (ko) * 2017-09-29 2018-05-08 윤은상 카메라 일체형 화재 감지 장치
KR101856680B1 (ko) * 2017-11-15 2018-05-14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
KR101911371B1 (ko) * 2018-04-20 2018-10-25 윈텍정보(주) 부가기능 확장형 화재감지기
KR102026434B1 (ko) * 2018-04-19 2019-11-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분석을 통한 화재 오탐률 최소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317B1 (ko) 2016-03-30 2016-08-10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
KR200486357Y1 (ko) * 2017-09-29 2018-05-08 윤은상 카메라 일체형 화재 감지 장치
KR101856680B1 (ko) * 2017-11-15 2018-05-14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누수감지 시스템
KR102026434B1 (ko) * 2018-04-19 2019-11-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분석을 통한 화재 오탐률 최소화 시스템
KR101911371B1 (ko) * 2018-04-20 2018-10-25 윈텍정보(주) 부가기능 확장형 화재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026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84551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알림시스템
KR102397133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에 대비한 소방 안전 자동화시스템
RU2734161C2 (ru) Сетевая система обществе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снабженная переносными светильниками,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пожара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реступлений
CN110083103A (zh) 一种机房智能监控系统
KR102369691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KR102448818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
KR101684374B1 (ko)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KR101341155B1 (ko)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KR102439692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진화장비 구축 시스템
KR20190059062A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비상벨 장치
KR102437305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화재발생 알림 안전교육 소방시스템
KR102401143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장비 감시 시스템
KR102374201B1 (ko) 공동주택의 소방배관 시스템
KR102480719B1 (ko) 공동주택의 방화 스프링클러 자동화 운용시스템
KR102432758B1 (ko) 공동주택의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2559331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합 관리 시스템 구현방법
KR102451550B1 (ko) Ai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소방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20385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시스템
CN207460243U (zh) 基于消防设施信息采集终端的消防物联网系统
KR100643790B1 (ko) 첨단아파트 화재경보시스템 및 운영방법
TWM540352U (zh) 建築物內消防設備的監控系統
KR102420278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세대별 소방 시스템
KR10243942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배관 고정시스템
KR102439693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수 공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