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176B1 -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176B1
KR102412176B1 KR1020210142553A KR20210142553A KR102412176B1 KR 102412176 B1 KR102412176 B1 KR 102412176B1 KR 1020210142553 A KR1020210142553 A KR 1020210142553A KR 20210142553 A KR20210142553 A KR 20210142553A KR 102412176 B1 KR102412176 B1 KR 102412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arking lot
fixed
ro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중
Original Assignee
(주)광명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명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광명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14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검출오류없이 즉시에 감지 가능하고, 화재발생 위치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초기 진압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Initial fire suppression system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검출오류없이 즉시에 감지 가능하고, 화재발생 위치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초기 진압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과 같은 곳의 화재발생시 이를 인지하는 알람 시스템이 구비되어진다.
그러나 기존의 화재감지시스템의 화재를 감지하는 시점은 이미 화재가 어느 정도 진행이 된 상태인 경우가 많고 실질적인 소방 대응이 이루어지는 시점은 이미 전소 되거나 인명 피해로 이어진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건물 실내의 천장에 스프링클러를 복수개 설치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스프링클러는 겨울철 동파 또는 관리 부재의 원인으로 비정상 동작의 우려가 높고 시설 안전 관리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고압 전기를 사용하는 사업장에서 스프링클러를 사용 시 오작동 혹은 소화기 한 대로 진화할 수 있는 경미한 화재에도 작동하여 고가의 전자장비에 재산적 손실발생과 함께 전기적 누설로 인한 2차 사고의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다.
특히 가연소재가 많은 산업 환경에서 화재 발생시 공공 소방력이 현장까지 도달하는 짧은 시간 동안에도 피해가 크게 확대될 가능성이 높고, 고가의 설비가 많은 제조 환경의 경우 화재 피해로 인한 재산 손실의 규모가 클 뿐더러 아파트형 공장 같은 다층형 집합건물인 경우 화재 초기 진압에 실패할 경우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
한편, 화재감지기는 보통 연기감지기와 열감지기로 구분되는데, 모두 커버에 의해 밀폐된 구조라서 최악의 상태로 진행되고나서야 감지하거나 혹은 감지불량을 일으키기는 등 많은 문제가 있다.
더구나, 상용전원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고,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세대내부를 제외하고 복도 부분에서의 화재검출은 미약한 형편이다.
뿐만 아니라, 화재감지가가 화재를 감지했다고 하더라도 정확하게 어느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를 즉시에 알 수 없어 초기 진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235308호(2021.03.29.) 실내공간 지능형 화재 초기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공동주택,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검출오류없이 즉시에 감지 가능하고, 화재발생 위치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초기 진압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동주택의 각 세대 및 복도식 통로에 설치된 화재감지기(100,110,120) 및 지하주차장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주차장화재감지기(130)와; 공동주택의 각 세대앞 소화전 및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화재경보기(200)와;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와 무선통신하여 화재발생을 검출한 화재감지기(100,110,120)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화재경보기(200)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발령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장화재감지기(130)가 유선으로 연결된 중계기(140)와 무선통신하여 지하주차장에서 발생된 화재를 검출한 주차장화재감지기(130)가 있는 지하주차장측 화재경보기(200)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발령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서버(300); 및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와 주차장화재감지기(130)가 설치된 주변에 구비되는 휴대이동형 소화분사기(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소화분사기(800)는 내압용기(810)와, 상기 내압용기(810)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소화액을 비산 분사시킬 수 있는 분사유닛(8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사유닛(820)은 내압용기(810)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816)에 끼워지는 십자형 마개(821)와, 상기 십자형 마개(821)의 하단면 중심에서 돌출된 하부돌기(822)와,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진 팽창스프링(823)과,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져 팽창스프링(823)을 압축하는 고정막대(824)와, 상기 고정막대(824)가 고정된 작동로드(825)와, 상기 작동로드(825)의 후단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826)과, 상기 장공(826)에 고정핀(828)으로 하단이 핀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베이스(827)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818)에 끼워지는 끼움편부(831)와, 상기 끼움편부(831)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에 끼움식으로 맞대어진 후 볼트고정되는 받침편부(832)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일측면에 힌지고정된 보조편(829)과, 일단은 보조편(829)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로드(825)에 고정된 코일스프링(830)과, 상기 고정베이스(827)와 작동로드(825)의 대향되는 위치에 'ㄱ'형상으로 요입형성된 파열구끼움고정홈(834)와, 양단을 각각 상기 파열구끼움고정홈(834)에 끼운 후 90°꺾어 밀어넣어 고정하며 Cu-Ag계(1:0.08중량비) 합금을 사용하여 화재시 열에 의해 끊어지도록 구성된 파열구(833)와, 상기 배출구(816)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내부가 확경된 분사안내관(840)과, 상기 고정막대(824)가 끼워진 후 장공(826)의 상하폭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안내관(840)에 형성된 막대유동공(841)과, 상기 분사안내관(840)의 하단에 나사고정되는 밀봉구(842)와, 상기 밀봉구(842)에 형성된 배출구멍(843)과, 상기 밀봉구(842)의 하단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비산분사원판(844)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멍(843)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구멍(845)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로 끼움되는 하부부쉬(846) 및 상부부쉬(847)와, 상기 상부부쉬(847)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부부쉬(847)에 볼트고정되고 헤드 하부에는 볼(849)이 배치되어 회전마찰을 줄인 고정볼트(848)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검출오류없이 즉시에 감지 가능하고, 화재발생 위치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초기 진압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화재감지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이동형 소화분사기의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화재감지 및 감지된 신호에 따라 화재경보를 발하고 동시에 화재가 감지된 주변에서 자동적으로 화재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반응하여 분사되는 소화분사기를 구비하여 초기 진압 효율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예시와 같이, 공동주택의 각 세대 및 복도식 통로에 설치된 화재감지기(100,110,120) 및 지하주차장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주차장화재감지기(130)와; 공동주택의 각 세대앞 소화전 및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화재경보기(200)와;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와 무선통신하여 화재발생을 검출한 화재감지기(100,110,120)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화재경보기(200)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발령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장화재감지기(130)가 유선으로 연결된 중계기(140)와 무선통신하여 지하주차장에 발생된 화재를 검출한 주차장화재감지기(130)가 있는 지하주차장측 화재경보기(200)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발령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서버(300); 및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와 주차장화재감지기(130)가 설치된 주변에 구비되는 휴대이동형 소화분사기(8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화재경보기(200)와 상기 관리서버(300)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관리서버(300)가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지하주차장의 경우에는 관리서버와 무선통신하는데 지하라는 특성상 장애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관리서버(300)와 신호강도가 높게 무선통신할 수 있도록 지상에 중계기(140)를 설치하고,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각 화재감지기(130)가 상기 중계기(14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한 동 호수와 관련된 동 측만 화재경보를 발령하거나 혹은 화재가 발생한 측 지하주차장쪽만 화재경보를 발령함으로써 불필요하게 공동주택 전체에 화재경보를 발령함으로써 우왕좌왕 번거롭고 복잡해지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복도식과 같이 화재감지기 설치가 어려운 경우, 자유롭게 휴대하여 원하는 위치에 부착시키기만 하면 언제든지 화재감지가 가능하여 화재감지 취약지역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100,110,120) 및 주차장화재감지기(130)는 도 2와 같이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기존 연기감지기나 혹은 열감지기가 갖는 감지불량 등의 문제를 해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2에 따르면, 화재감지기(100,110,120) 및 주차장화재감지기(130)는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된 베이스플레이트(15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는 콘크리트벽면, 벽지면, 천정면, 합판, 철판 등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크류, 볼트 고정 혹은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고정방식이나 클램프나 클립, 집게 등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일측에는 LED모듈(152)이 고정되고, 상기 LED모듈(152)은 등커버(154)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LED모듈(152)이 점등되면 등커버(154)를 통해 방출되므로 화재발생시 점등된 라인을 따라 이동하면 일종의 탈출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전면 일측에는 컨트롤러(156)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156)는 인쇄회로기판 상의 연결된 회로들을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전면 일측에는 감지부(160)가 설치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컨트롤러(156)에 의해 제어되는 무선통신모듈(158)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내측 일부에는 다수의 배터리가 병렬로 연결되어 감지부(160)의 감지동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감지부(160)가 화재시 발생되는 열, 바람직하게는 80℃에 이르면 끊어지면서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배터리의 전원이 컨트롤러(156)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감지부(160)가 정상적으로 붙어 있는 경우에는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다가 감지부(160)가 끊어지면 스위치가 온되면서 배터리의 전원이 컨트롤러(156)로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156)는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LED모듈(152)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무선통신모듈(158)을 통해 관리서버(300)로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특정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 경우, 무선통신모듈(158)은 각각 특정 시리얼로 할당되어 관리서버(300)에 저장됨으로써 무선통신모듈(158)로부터 특정 신호가 수신되면 어느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를 관리서버(300)는 즉시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관리서버(300)는 그 위치와 가장 가까운 화재경보기(200)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발령시켜 경고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감지부(160)는 일종의 바이메탈 구조로서 섭씨 80℃에서 서로 열팽창계수가 현저하게 차이나는 두 금속을 도시와 같이 제1금속(162)과 제2금속(164)으로 구별하여 서로 합지한 상태에서 그 일측에 스위칭소자(166)를 구비하며, 감지부(160) 주변이 화재에 의해 80℃ 이상으로 올라가면 제2금속(164)의 열팽창율보다 제1금속(162)의 열팽창율이 현저히 크기 때문에 도시와 같이 감지부(160)가 스위칭소자(166) 쪽으로 휘어지면서 스위칭소자(166)은 온시켜 배터리의 전원이 컨트롤러(156)로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덧붙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내열성, 내화학성, 내침식성, 방오성 특성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리튬실리케이트 25량부, 활석미분 5중량부, 파리나르산 15중량부, 칼슘메틸실란트리오레이트 10중량부, 페트로레이텀 10중량부, 피로메트리산 5중량부, 산화알루미늄 나노분말 2.5중량부를 혼합한 수지혼합물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0)의 표면에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베이스플레이트(150)의 표면을 보호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때, 리튬실리케이트(Lithium silicate)는 방수성 도막 형성에 기여하고 내오염성을 강화시키며, 활석 분말은 규산염광물로서 윤활성, 내부식성, 표면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리나르산은 수지의 연화를 촉진하고 무기물의 분산 바인딩 및 부착력과 고착력을 강화시키며, 칼슘메틸실란트리오레이트는 내화학성, 내약품성을 증대시킨다.
아울러, 페트로레이텀은 내부식성, 그 내침식성과 크랙발생을 억제하여 장수명화, 즉 내구성을 갖추게 하며, 피로메트리산은 무기물들을 결속하면서 열수축성을 억제하고 슬립성을 강화시켜 내스티키성 유지는 물론 도막의 변형을 억제하고, 산화알루미늄 나노분말은 코팅액에서 열전도성 필러 특성을 구현하여 방열특성을 강화시킨다.
한편, 상기 소화분사기(800)는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은 휴대이동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화분사기(800)는 충분히 작게 만들 수 있지만 용량을 늘리기 위해 체적이 커지는 항아리형태, 납작한 사각박스형태 등 다양한 형상변경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소화분사기(800)는 초기 진압용이기 때문에 볼륨을 크게 만들지 않는다. 또한, 충분히 납작하게 만들 수 있어 부착 설치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화분사기(800)는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소화액이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충전되는 내압용기(8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압용기(810)의 상단에는 천정플랜지(810)가 고정되고, 양측면에는 측면플랜지(814)가 고정된다.
때문에, 상기 소화분사기(800)는 원하는 장소 아무곳에나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원하면 언제든지 떼어내고 이동시킨 후 다시 원하는 곳에 재설치가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화재감지기 주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내압용기(810)의 하단면에는 소화액을 비산 분사시킬 수 있는 분사유닛(820)이 설치된다.
상기 분사유닛(820)은 내압용기(810)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816)에 끼워지는 십자형 마개(821)와, 상기 십자형 마개(821)의 하단면 중심에서 돌출된 하부돌기(822)와,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진 팽창스프링(823)과,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져 팽창스프링(823)을 압축하는 고정막대(824)와, 상기 고정막대(824)가 고정된 작동로드(825)와, 상기 작동로드(825)의 후단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826)과, 상기 장공(826)에 고정핀(828)으로 하단이 핀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베이스(827)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818)에 끼워지는 끼움편부(831)와, 상기 끼움편부(831)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에 끼움식으로 맞대어진 후 볼트고정되는 받침편부(832)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일측면에 힌지고정된 보조편(829)과, 일단은 보조편(829)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로드(825)에 고정된 코일스프링(830)과, 상기 고정베이스(827)와 작동로드(825)의 대향되는 위치에 'ㄱ'형상으로 요입형성된 파열구끼움고정홈(834)와, 양단을 각각 상기 파열구끼움고정홈(834)에 끼운 후 90°꺾어 밀어넣어 고정하며 Cu-Ag계(1:0.08중량비) 합금을 사용하여 화재시 열에 의해 끊어지도록 구성된 파열구(833)와, 상기 배출구(816)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내부가 확경된 분사안내관(840)과, 상기 고정막대(824)가 끼워진 후 장공(826)의 상하폭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안내관(840)에 형성된 막대유동공(841)과, 상기 분사안내관(840)의 하단에 나사고정되는 밀봉구(842)와, 상기 밀봉구(842)에 형성된 배출구멍(843)과, 상기 밀봉구(842)의 하단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비산분사원판(844)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멍(843)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구멍(845)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로 끼움되는 하부부쉬(846) 및 상부부쉬(847)와, 상기 상부부쉬(847)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부부쉬(847)에 볼트고정되고 헤드 하부에는 볼(849)이 배치되어 회전마찰을 줄인 고정볼트(848)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면 파열구(833)가 끊어지게 된다.
그러면, 소화액의 내압(분사압)이 고정막대(824)가 받쳐 누르는 힘보다 세져 십자형 마개(821)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고, 십자형 마개(821)가 배출구(816)를 벗어나게 되면 쏟아지는 소화액이 분사안내관(840)을 타고 내려오다가 밀봉구(842)의 배출구멍(843)과 비산분사원판(844)의 분사구멍(845)을 통해 분사되면서 비산분사원판(844)은 자동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최대한 멀리까지 분사할 수 있어 초기 화재진압에 매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100,110,120: 화재감지기 200: 화재경보기
300: 관리서버 800: 소화분사기

Claims (2)

  1. 삭제
  2. 공동주택의 각 세대 및 복도식 통로에 설치된 화재감지기(100,110,120) 및 지하주차장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주차장화재감지기(130)와; 공동주택의 각 세대앞 소화전 및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화재경보기(200)와;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와 무선통신하여 화재발생을 검출한 화재감지기(100,110,120)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화재경보기(200)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발령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장화재감지기(130)가 유선으로 연결된 중계기(140)와 무선통신하여 지하주차장에서 발생된 화재를 검출한 주차장화재감지기(130)가 있는 지하주차장측 화재경보기(200)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발령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서버(300); 및 상기 화재감지기(100,110,120)와 주차장화재감지기(130)가 설치된 주변에 구비되는 휴대이동형 소화분사기(800);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화분사기(800)는 내압용기(810)와, 상기 내압용기(810)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소화액을 비산 분사시킬 수 있는 분사유닛(8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사유닛(820)은 내압용기(810)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816)에 끼워지는 십자형 마개(821)와, 상기 십자형 마개(821)의 하단면 중심에서 돌출된 하부돌기(822)와,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진 팽창스프링(823)과, 상기 하부돌기(822)에 끼워져 팽창스프링(823)을 압축하는 고정막대(824)와, 상기 고정막대(824)가 고정된 작동로드(825)와, 상기 작동로드(825)의 후단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826)과, 상기 장공(826)에 고정핀(828)으로 하단이 핀고정되는 'ㄱ'형상의 고정베이스(827)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818)에 끼워지는 끼움편부(831)와, 상기 끼움편부(831)와 상하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돌출되어 내압용기(810)의 하단에 끼움식으로 맞대어진 후 볼트고정되는 받침편부(832)와, 상기 고정베이스(827)의 일측면에 힌지고정된 보조편(829)과, 일단은 보조편(829)의 하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로드(825)에 고정된 코일스프링(830)과, 상기 고정베이스(827)와 작동로드(825)의 대향되는 위치에 'ㄱ'형상으로 요입형성된 파열구끼움고정홈(834)와, 양단을 각각 상기 파열구끼움고정홈(834)에 끼운 후 90°꺾어 밀어넣어 고정하며 Cu-Ag계(1:0.08중량비) 합금을 사용하여 화재시 열에 의해 끊어지도록 구성된 파열구(833)와, 상기 배출구(816)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내부가 확경된 분사안내관(840)과, 상기 고정막대(824)가 끼워진 후 장공(826)의 상하폭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안내관(840)에 형성된 막대유동공(841)과, 상기 분사안내관(840)의 하단에 나사고정되는 밀봉구(842)와, 상기 밀봉구(842)에 형성된 배출구멍(843)과, 상기 밀봉구(842)의 하단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비산분사원판(844)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멍(843)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구멍(845)과, 상기 비산분사원판(8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서로 끼움되는 하부부쉬(846) 및 상부부쉬(847)와, 상기 상부부쉬(847)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부부쉬(847)에 볼트고정되고 헤드 하부에는 볼(849)이 배치되어 회전마찰을 줄인 고정볼트(8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0210142553A 2021-10-25 2021-10-25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412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553A KR102412176B1 (ko) 2021-10-25 2021-10-25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553A KR102412176B1 (ko) 2021-10-25 2021-10-25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176B1 true KR102412176B1 (ko) 2022-06-28

Family

ID=8226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553A KR102412176B1 (ko) 2021-10-25 2021-10-25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1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319B1 (ko) * 2018-02-14 2018-06-08 (주)현대이엔지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경보 장치
KR102235308B1 (ko) 2019-08-06 2021-04-05 (주)아이리녹스 실내공간 지능형 화재 초기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319B1 (ko) * 2018-02-14 2018-06-08 (주)현대이엔지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경보 장치
KR102235308B1 (ko) 2019-08-06 2021-04-05 (주)아이리녹스 실내공간 지능형 화재 초기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US102322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luid leak
KR102412188B1 (ko) 주차차량용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US9993675B2 (en) Pre-action sprinkler head
US201302640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 Suppression in Residential Attics and Basements
KR102397133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에 대비한 소방 안전 자동화시스템
CN114555192A (zh) 可安装在墙壁的喷头单元
KR102448818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
KR102412176B1 (ko) 공동주택의 초기 화재 진압 시스템
KR101097409B1 (ko) 소방설비의 적정 작동여부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KR102409061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43942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배관 고정시스템
KR101704409B1 (ko)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KR102439692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진화장비 구축 시스템
KR102559331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합 관리 시스템 구현방법
KR102420385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시스템
KR102374201B1 (ko) 공동주택의 소방배관 시스템
KR102395973B1 (ko) 로봇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KR102395975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화재 인명구조 시스템
KR102389425B1 (ko) 공동주택의 소방화재 감지 시스템
KR20210028464A (ko)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37305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화재발생 알림 안전교육 소방시스템
KR20210042068A (ko)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39693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수 공급시스템
KR102420278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세대별 소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