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992B1 - 블라인드를 내장한 미서기 창호 - Google Patents

블라인드를 내장한 미서기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992B1
KR102559992B1 KR1020200085126A KR20200085126A KR102559992B1 KR 102559992 B1 KR102559992 B1 KR 102559992B1 KR 1020200085126 A KR1020200085126 A KR 1020200085126A KR 20200085126 A KR20200085126 A KR 20200085126A KR 102559992 B1 KR102559992 B1 KR 102559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ixed
coupled
p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7219A (ko
Inventor
김순곤
김범식
전혁
이승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200085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9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24Single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uble gla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06B2009/2643Screens between doubl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둘러싸서 정의하는 창틀; 상기 개구의 일부분을 폐쇄하는 고정창부; 및 상기 창틀에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개구의 일부분을 제외한나머지 부분을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는 창짝부을 포함하고, 상기 창짝부는, 상기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 틀; 상기 창짝 틀에 결합되는 창짝 후측창; 상기 창짝 후측창보다 전측에 배치되는 창짝 전측창; 상기 창짝 후측창과 상기 창짝 전측창 사이에 형성되는 창짝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창짝 틀에 결합되는 창짝 블라인드; 및 상기 창짝 틀의 전면과 상기 창짝 전측창의 전면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창짝 전측창을 상기 창짝 틀에 고정하는 창짝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를 내장한 미서기 창호 {SLIDING WINDOW INCLUDING BLIND}
본 발명은 블라인드를 내장한 미서기 창호에 관한 것이다.
창호를 선택적으로 가리기 위해서, 블라인드가 배치될 수 있다. 창호의 실내외측에 별도의 블라인드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별도의 블라인드를 배치하는 경우, 블라인드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창호의 전후로 존재해야 하고, 실내측에 블라인드를 배치할 경우, 외관의 미관이 저하되고 청결 유지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외측에 블라인드를 배치할 경우, 강한 바람이 부는 날씨에 취약하고, 고층 건물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편의성을 위해 블라인드를 창호에 내장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복층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블라인드를 내장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블라인드가 파손될 경우 블라인드 부품의 교체를 통한 적절한 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체 유리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블라인드를 내장하면서도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미서기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 창호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둘러싸서 정의하는 창틀; 상기 개구의 일부분을 폐쇄하는 고정창부; 및 상기 창틀에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개구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는 창짝부을 포함하고, 상기 창짝부는, 상기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 틀; 상기 창짝 틀에 결합되는 창짝 후측창; 상기 창짝 후측창보다 전측에 배치되는 창짝 전측창; 상기 창짝 후측창과 상기 창짝 전측창 사이에 형성되는 창짝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창짝 틀에 결합되는 창짝 블라인드; 및 상기 창짝 틀의 전면과 상기 창짝 전측창의 전면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창짝 전측창을 상기 창짝 틀에 고정하는 창짝 캡을 포함하고, 상기 창짝 틀은, 상기 창틀에 형성되는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 메인 틀과, 상기 창짝 메인 틀의 전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창짝 캡이 결합되는 창짝 보조 틀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블라인드를 내장하면서도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미서기 창호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창짝부 영역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고정창부 영역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 창호(1)는, 창틀(10), 고정창부(30) 및 창짝부(20)를 포함한다. 창틀(10)에 고정창부(30)와 창짝부(20)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창호(1)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전후방향은 창틀(10)이 개구된 방향을, 상하방향은 창틀(10)이 세워진 방향을, 좌우방향은 전후방향과 상하방향에 모두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나, 각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창호(1)가 배열되는 방향에 의해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며, 상하방향이라 하여 반드시 연직 방향을 의미하지는 않을 수 있다.
창틀(10)
창틀(10)은 창짝부(20)와 고정창부(30)가 결합될 수 있는 틀로,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개구(1110, 1120)를 둘러싸도록,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부분들을 포함하여 개구(1110, 1120)를 정의할 수 있다.
창틀(10)은,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메인 틀(11)과, 메인 틀(11)의 중심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개구(1110, 1120)를 2개의 부분으로 구분하는 중간 틀(12)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틀(12)이 구분하는 개구(1110, 1120)의 두 개의 부분은, 개방개구(1110)와 고정개구(1120)일 수 있다. 고정개구(1120)는 고정창부(30)를 폐쇄할 수 있고, 고정개구(1120)를 제외한 개구의 나머지 일부인 개방개구(1110)는 창짝부(2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메인 틀(11)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되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측 틀(113) 및 하측 틀(114)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좌우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좌측 틀(111) 및 우측 틀(112)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상측 틀(113), 하측 틀(114), 좌측 틀(111) 및 우측 틀(112)이 서로 결합되어 직사각형의 메인 틀(11)을 형성할 수 있다.
중간 틀(12)은 중간 메인 틀(121)과 중간 보조 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보조 틀(122)은 중간 메인 틀(121)의 내측면의 전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중간 캡(351)이 결합된다. 메인 틀(11) 역시 전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창짝부(2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의 창짝부(20) 영역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도이다.
창짝부(20)는 창틀(10)에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개방개구(1110)를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면들에서는 개방개구(1110)를 닫는 페쇄 위치에 창짝부(20)가 위치하는 상황만을 도시하였다. 창짝부(20)는 창짝 틀(21), 창짝 후측창(22), 창짝 전측창(23), 창짝 블라인드(24) 및 창짝 캡(25)을 포함할 수 있다. 창짝부(20)가 고정창부(30)의 후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개방개구(1110)가 개방되거나, 개방개구(1110)로 이동하여 개방개구(1110)를 폐쇄할 수 있다.
창짝 틀(21)은 창틀(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 창짝부(20)에 있어서 창틀(10)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창짝 틀(21)은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중심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창틀(10)이 포함하는 하측 틀(114)의 상면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레일이 형성될 수 있고, 창짝 틀(21)의 하면에는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구르는 구름부재를 포함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호차가 배치되어, 창짝 틀(21)이 좌우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창짝 틀(21)은 창짝 메인 틀(211)과 창짝 보조 틀(212)을 포함할 수 있다. 창짝 메인 틀(211)에는 상기 호차가 배치되므로, 창짝 메인 틀(211)이 창틀(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창짝 보조 틀(212)은 창짝 메인 틀(211)의 내측면의 전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창짝 캡(25)이 결합된다. 창짝 보조 틀(212) 역시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중심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창짝 틀(21)은 창짝 간격유지부재(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창짝 간격유지부재(213)는 창짝 보조 틀(212)의 후면에 결합되고, 후면이 창짝 후측창(22)의 전면의 둘레와 접촉할 수 있다. 창짝 간격유지부재(213)가 배치됨에 따라, 창짝 보조 틀(212)과 창짝 후측창(22) 사이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창짝 간격유지부재(213) 역시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창짝 보조 틀(212)의 후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창짝 간격유지부재(213)는 창짝 간격유지몸체(2131)와, 창짝 탄성부재(2132)를 포함할 수 있다. 창짝 간격유지몸체(2131)는 창짝 보조 틀(212)의 후면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고, 창짝 탄성부재(2132)는 창짝 간격유지몸체(2131)에 결합되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부분이다. 창짝 탄성부재(2132)는 창짝 후측창(22)과 창짝 틀(2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창짝 간격유지몸체(2131)의 후측에 결합되어 창짝 후측창(22)에 접촉한다. 탄성을 창짝 탄성부재(2132)가 가지므로, 창짝 후측창(22)에 접촉되면서 창짝 탄성부재(2132)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창짝 간격유지몸체(2131)에 의해서 창짝 보조 틀(212)과 창짝 후측창(22)의 간격유지가 이루어지는 와중에, 창짝 간격유지부재(213)에 의해서 창짝부(20)의 기밀의 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창짝 틀(21)은 창짝 내측 고정구(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창짝 내측 고정구(214)는, 창짝 메인 틀(211)의 후측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창짝 간격유지부재(213)와의 사이에 형성된 창짝 홈을 형성한다. 창짝 후측창(22)은 창짝 홈에 삽입되어 창짝 틀(21)에 고정될 수 있다. 창짝 내측 고정구(214) 역시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창짝 메인 틀(211)의 후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창짝 후측창(22)과 창짝 전측창(23)이 창짝 틀(21)에 결합된다. 창짝 후측창(22)과 창짝 전측창(23)은 투명한 유리로 형성되되, 유리가 아닌 다른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창짝 전측창(23)은 창짝 후측창(22)보다 상대적으로 전측에 배치된다. 창짝 틀(21)의 전단과 인접한 위치에 창짝 전측창(23)이 배치되고, 창짝 틀(21)의 후단과 인접한 위치에 창짝 후측창(22)이 배치될 수 있다.
창짝 후측창(22)은,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결합된 복수의 유리판(221)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유리판(221)들의 사이에 위치한 간격형성부재(222)에 의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각 유리판(221)들의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간격형성부재(222)의 전후방향 양단이 각각의 유리판(221)에 접촉 및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창짝 후측창(22)이 3개의 유리판(221)을 가져 3중유리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창짝 후측창(22)을 구성하는 유리의 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창짝 전측창(23)은 단판유리 또는 접합유리일 수 있다.
창짝 후측창(22)은 창짝 내측 고정구(214)에 의해서 창짝 메인 틀(211)에 고정될 수 있다. 창짝 내측 고정구(214)가 창짝 메인 틀(211)의 내측면에 삽입 및 결합되고, 창짝 후측창(22)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창짝 내측 고정구(214)와 창짝 간격유지부재(213) 사이에 창짝 홈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창짝 홈에 창짝 후측창(22)이 삽입되어 창짝 후측창(22)의 창짝 틀(21)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창짝 후측창(22)과 창짝 전측창(23)은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창짝 후측창(22)과 창짝 전측창(23) 사이에 창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창짝 블라인드(24)는 이러한 창짝 중공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창짝 틀(21)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창짝 블라인드(24)는 창짝 블라인드 조절부(26)와 연결될 수 있다. 창짝 블라인드 조절부(26)는 창짝 틀(21)을 통과하여, 창짝 블라인드(24)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창짝 틀(21)의 후측으로 돌출되어 조작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창짝 블라인드(24)는 복수의 슬랫을 가지고, 창짝 블라인드 조절부(26)의 조작에 따라 슬랫이 배열되는 각도가 변화하는 방식으로 창짝 후측창(22) 및 창짝 전측창(23)을 통해 보이는 시야를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창짝 블라인드(24)는 권취되거나 권출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원단을 포함하여, 창짝 블라인드 조절부(26)의 조작에 따라 시야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창짝 캡(25)은 창짝 전측창(23)을 창짝 틀(21)에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창짝 캡(25)은 창짝 틀(21)의 전면과 창짝 전측창(23)의 전면의 둘레에 결합되어 창짝 전측창(23)을 창짝 틀(21)에 고정한다. 창짝 틀(21)이 PVC(PolyVinyl Chloride)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고, 창짝 캡(25)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창호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창짝 캡(25) 역시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창짝 틀(21)의 전면을 덮음과 동시에 창짝 전측창(23)의 둘레를 고정할 수 있다.
창짝 캡(25)은 창짝 전측창(23)의 전면에 접촉하면서 창짝 전측창(23)과 결합되어야 하므로, 접착제 등을 이용해 창짝 전측창(23)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창짝 캡(25)은 창짝 틀(21)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창짝 틀(21)의 전면을 덮으며 창짝 틀(21)의 전면에 형성된 요철에 결합되는 부분과, 창짝 보조 틀(212)의 내측면을 덮으며 창짝 보조 틀(2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철에 결합되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고정창부(3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의 고정창부(30) 영역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분해도이다.
고정창부(30)는 창틀(10)에 결합되어 개구의 일부분인 고정개구(1120)를 폐쇄한다. 고정창부(30)는 고정창 후측창(32), 고정창 전측창(33), 고정창 블라인드(34) 및 중간 캡(351)을 포함하고, 고정창 틀(31)과 고정창 캡(3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창부(30)는 창짝부(20)보다 전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창부(30)의 구성요소들은 창틀(10)의 중간 틀(12)과 우측 틀(112)에 결합되어 고정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나, 고정창 틀(31)이 더 배치되어 다른 고정창부(30)의 구성요소들을 중간 틀(12)과의 사이에서 고정할 수 있다. 고정창 틀(31)은 상하로 연장되어, 고정개구(1120)를 중간 틀(12)과 함께 정의하는 우측 틀(112)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창 틀(31)도 고정창 메인 틀(311)과 고정창 보조 틀(31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창 메인 틀(311)은 우측 틀(112)과 결합된다. 고정창 보조 틀(312)은 고정창 메인 틀(311)의 좌측면의 전측에서 좌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고정창 캡(352)이 결합된다.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고정창 후측창(32)과 고정창 전측창(33)이, 중간 틀(12)과 메인 틀(11)에 결합되고, 고정창 틀(3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창 후측창(32)과 고정창 전측창(33)은 투명한 유리로 형성되되, 유리가 아닌 다른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창 전측창(33)은 고정창 후측창(32)보다 상대적으로 전측에 배치된다. 창틀(10)의 전단과 인접한 위치에 고정창 전측창(33)이 배치될 수 있고, 창짝이 열린 상태에서 창짝의 전면과 인접한 창틀(10)의 개소에 고정창 후측창(32)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창 후측창(32)은,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결합된 복수의 유리판(321)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유리판(321)들의 사이에 위치한 간격형성부재(322)에 의해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각 유리판(321)들의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간격형성부재(322)의 전후방향 양단이 각각의 유리판(321)에 접촉 및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창 후측창(32)이 3개의 유리판(321)을 가져 3중유리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고정창 후측창(32)을 구성하는 유리의 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고정창 전측창(33)은 단판유리 또는 접합유리일 수 있다.
고정창 후측창(32)은 고정창 내측 고정구(314)에 의해서 중간 틀(12)과 고정창 틀(3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창 내측 고정구(314)가 중간 틀(12)의 내측면, 상측 틀(113)의 내측면, 하측 틀(114)의 내측면 및 고정창 틀(31)의 내측면에 삽입 및 결합되고, 고정창 후측창(32)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고정창 내측 고정구(314)와 고정창 간격유지부재(313) 사이에 고정창 홈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고정창 홈에 고정창 후측창(32)이 삽입되어 고정창 후측창(32)의 중간 틀(12) 및 고정창 틀(31)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창 후측창(32)과 고정창 전측창(33)은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창 후측창(32)과 고정창 전측창(33) 사이에 고정창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창 블라인드(34)는 이러한 고정창 중공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창 틀(31)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창 블라인드(34)는 고정창 블라인드 조절부(36)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정창 블라인드 조절부(36)는 고정창 틀(31)을 통과하여, 고정창 블라인드(34)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창 틀(31)의 후측으로 돌출되어 조작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창 틀(31)이 고정창 블라인드 조절부(36)의 고정창 블라인드(34)에 대한 연결을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고정창 블라인드(34)는 복수의 슬랫을 가지고, 고정창 블라인드 조절부(36)의 조작에 따라 슬랫이 배열되는 각도가 변화하는 방식으로 고정창 후측창(32) 및 고정창 전측창(33)을 통해 보이는 시야를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외에도 고정창 블라인드(34)는 권취되거나 권출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원단을 포함하여, 고정창 블라인드 조절부(36)의 조작에 따라 시야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중간 캡(351)은 중간 틀(12)의 전면과 고정창 전측창(33)의 전면의 둘레에 결합되어 고정창 전측창(33)을 중간 틀(12)에 고정한다. 고정창 캡(352)은 고정창 틀(31)의 전면과 고정창 전측창(33)의 전면의 둘레에 결합되어 고정창 전측창(33)을 고정창 틀(31)에 고정한다. 이러한 중간 캡(351)과 고정창 캡(352)은 서로 별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되어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 액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간 캡(351)이 중간 틀(12) 뿐 아니라 상측 틀(113) 및 하측 틀(114)의 전면과 고정창 전측창(33)의 전면의 둘레에 결합될 수 있도록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창 틀(31)과 중간 틀(12)은 PVC(PolyVinyl Chloride)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고, 중간 캡(351)과 고정창 캡(352)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창호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간 캡(351)과 고정창 캡(352)은 고정창 전측창(33)의 전면에 접촉하면서 고정창 전측창(33)과 결합되어야 하므로, 접착제 등을 이용해 고정창 전측창(33)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중간 캡(351)과 고정창 캡(352)은 중간 틀(12)과 고정창 틀(31)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중간 틀(12)과 고정창 틀(31)의 전면을 덮으며 중간 틀(12)과 고정창 틀(31)의 전면에 형성된 요철에 결합되는 부분과, 중간 보조 틀(122)과 고정창 보조 틀(312)의 내측면을 덮으며 중간 보조 틀(122)과 고정창 보조 틀(3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철에 결합되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고정창부(30)는 고정창 간격유지부재(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창 간격유지부재(313)는 중간 보조 틀(122)과 고정창 보조 틀(312)의 후면에 결합되고, 후면이 고정창 후측창(32)의 전면의 둘레와 접촉할 수 있다. 고정창 간격유지부재(313)가 배치됨에 따라, 고정창 보조 틀(312)과 고정창 후측창(32) 사이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고정창 간격유지부재(313) 역시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고정창 보조 틀(312)과 중간 보조 틀(122)의 후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창 간격유지부재(313)는 상측 틀(113)과 하측 틀(114)의 보조 틀의 후면에 더 결합될 수 있다.
고정창 간격유지부재(313)는 고정창 간격유지몸체(3131)와, 고정창 탄성부재(313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창 간격유지몸체(3131)는 중간 보조 틀(122)과 고정창 보조 틀(312)의 후면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고, 고정창 탄성부재(3132)는 고정창 간격유지몸체(3131)에 결합되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부분이다. 고정창 탄성부재(3132)는 고정창 후측창(32)과 중간 틀(12) 및 고정창 틀(3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정창 간격유지몸체(3131)의 후측에 결합되어 고정창 후측창(32)에 접촉한다. 고정창 탄성부재(3132)가 탄성을 가지므로, 고정창 후측창(32)에 접촉되면서 고정창 탄성부재(3132)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창 간격유지몸체(3131)에 의해서 중간 보조 틀(122) 및 고정창 보조 틀(312)과 고정창 후측창(32)의 간격유지가 이루어지는 와중에, 고정창 간격유지부재(313)에 의해서 고정창부(30)의 기밀의 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창 내측 고정구(314)는, 중간 메인 틀(121)과 고정창 메인 틀(311)의 후측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고정창 간격유지부재(313)와의 사이에 형성된 고정창 홈을 형성한다. 고정창 후측창(32)은 고정창 홈에 삽입되어 중간 틀(12)과 고정창 틀(3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창 내측 고정구(314) 역시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중간 메인 틀(121)과 고정창 메인 틀(311)의 후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창 내측 고정구(314)는 상측 틀(113)과 하측 틀(114)의 후측의 내측면에 더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짝부(20)와 고정창부(30)에서 전측창(23, 33)을 캡(25, 351, 352)을 이용해 고정함으로써, 블라인드(24, 34)가 고장날 경우에도 창호(1)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캡(25, 351, 352)을 분리하여 전측창(23, 33)만을 제거한 뒤 블라인드(24, 34)에 대한 보수를 수행하고, 다시 전측창(23, 33)을 덮고 캡(25, 351, 352)을 결합하는 방식의 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상 조건과 무관한 블라인드(24, 34)의 차양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창호
10 : 창틀
11 : 메인 틀
12 : 중간 틀
20 : 창짝부
21 : 창짝 틀
22 : 창짝 후측창
23 : 창짝 전측창
24 : 창짝 블라인드
25 : 창짝 캡
26 : 창짝 블라인드 조절부
30 : 고정창부
31 : 고정창 틀
32 : 고정창 후측창
33 : 고정창 전측창
34 : 고정창 블라인드
36 : 고정창 블라인드 조절부
111 : 좌측 틀
112 : 우측 틀
113 : 상측 틀
114 : 하측 틀
121 : 중간 메인 틀
122 : 중간 보조 틀
211 : 창짝 메인 틀
212 : 창짝 보조 틀
213 : 창짝 간격유지부재
214 : 창짝 내측 고정구
221, 321 : 유리판
222, 322 : 간격형성부재
311 : 고정창 메인 틀
312 : 고정창 보조 틀
313 : 고정창 간격유지부재
314 : 고정창 내측 고정구
351 : 중간 캡
352 : 고정창 캡
1110 : 개방개구
1120 : 고정개구
2131 : 창짝 간격유지몸체
2132 : 창짝 탄성부재
3131 : 고정창 간격유지몸체
3132 : 고정창 탄성부재

Claims (10)

  1.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둘러싸서 정의하는 창틀;
    상기 개구의 일부분을 폐쇄하는 고정창부; 및
    상기 창틀에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개구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는 창짝부을 포함하고,
    상기 창짝부는,
    상기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 틀;
    상기 창짝 틀에 결합되는 창짝 후측창;
    상기 창짝 후측창보다 전측에 배치되는 창짝 전측창;
    상기 창짝 후측창과 상기 창짝 전측창 사이에 형성되는 창짝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창짝 틀에 결합되는 창짝 블라인드; 및
    상기 창짝 틀의 전면과 상기 창짝 전측창의 전면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창짝 전측창을 상기 창짝 틀에 고정하는 창짝 캡을 포함하고,
    상기 창짝 틀은, 상기 창틀에 형성되는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 메인 틀과, 상기 창짝 메인 틀의 전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창짝 캡이 결합되는 창짝 보조 틀을 포함하는, 미서기 창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 틀은, 상기 창짝 보조 틀의 후면에 결합되고, 후면이 상기 창짝 후측창의 전면의 둘레와 접촉하는 창짝 간격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미서기 창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창짝 보조 틀과 결합되는 창짝 간격유지몸체와, 상기 창짝 후측창과 상기 창짝 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창짝 간격유지몸체의 후측에 결합되고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창짝 후측창에 접촉하는 창짝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미서기 창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 틀은, 상기 창짝 메인 틀의 후측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창짝 간격유지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된 창짝 홈을 형성하는 창짝 내측 고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창짝 후측창은 상기 창짝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미서기 창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 후측창은,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결합된 복수의 유리판을 포함하는, 미서기 창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 캡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창짝 틀은 PVC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미서기 창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은,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메인 틀과, 상기 메인 틀의 중심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구를 개방개구와 고정개구를 포함하는 2개의 부분으로 구분하는 중간 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창부는,
    상기 창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개구를 덮는 고정창 후측창;
    상기 고정창 후측창보다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개구를 덮는 고정창 전측창;
    상기 고정창 후측창과 상기 고정창 전측창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창 중공에 배치되는 고정창 블라인드; 및
    상기 중간 틀의 전면과 상기 고정창 전측창의 전면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창 전측창을 상기 중간 틀에 고정하는 중간 캡을 포함하는, 미서기 창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부는,
    상기 고정개구를 상기 중간 틀과 함께 정의하는 상기 메인 틀의 일부에 결합되는 고정창 틀; 및
    상기 고정창 틀의 전면과 상기 고정창 전측창의 전면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창 전측창을 상기 고정창 틀에 고정하는 고정창 캡을 더 포함하는, 미서기 창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 블라인드의 개폐를 조절하는 고정창 블라인드 조절부는, 상기 고정창 틀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창 블라인드에 연결되는, 미서기 창호.

KR1020200085126A 2020-07-10 2020-07-10 블라인드를 내장한 미서기 창호 KR102559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126A KR102559992B1 (ko) 2020-07-10 2020-07-10 블라인드를 내장한 미서기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126A KR102559992B1 (ko) 2020-07-10 2020-07-10 블라인드를 내장한 미서기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219A KR20220007219A (ko) 2022-01-18
KR102559992B1 true KR102559992B1 (ko) 2023-07-27

Family

ID=8005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126A KR102559992B1 (ko) 2020-07-10 2020-07-10 블라인드를 내장한 미서기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9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555A (ja) * 2001-01-30 2002-08-14 Comany Inc ブラインド内蔵のガラスパネル
KR101625230B1 (ko) * 2009-07-06 2016-05-30 (주)엘지하우시스 시스템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596A (ko) * 2018-12-31 2020-07-08 이규환 친환경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555A (ja) * 2001-01-30 2002-08-14 Comany Inc ブラインド内蔵のガラスパネル
KR101625230B1 (ko) * 2009-07-06 2016-05-30 (주)엘지하우시스 시스템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219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6875B2 (en) Windows
US7234501B1 (en) External blind actuator for sealed double glazed window
KR101917256B1 (ko) 방충 및 미세먼지 차단용 복합 미서기 창호
KR101520149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KR20170019207A (ko)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KR102559992B1 (ko) 블라인드를 내장한 미서기 창호
KR101877471B1 (ko) 복합 미서기 창호
US10316582B2 (en) Light shielding structure for vertical blind
KR101459682B1 (ko) 미서기창이 구비된 커튼월
KR101502665B1 (ko) 양개형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KR20200132063A (ko)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KR101400318B1 (ko) 창호 시스템
KR101891416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20170000381U (ko) 합성수지와 금속재질을 이용한 복합창호
KR102636070B1 (ko) 창호
KR200472327Y1 (ko) 슬라이딩 이중창
KR102402693B1 (ko) 창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102654728B1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365692B1 (ko) 투트랙 창호 레일과 삼중 유리가 구성된 이중 아존타입 단열구조
KR101908614B1 (ko) 복층 창호
KR101499623B1 (ko) 단열 창호 시스템
KR101605320B1 (ko) 복층 창호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90077291A (ko)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KR20140133059A (ko) 계단식 안전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