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063A -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 Google Patents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063A
KR20200132063A KR1020190056904A KR20190056904A KR20200132063A KR 20200132063 A KR20200132063 A KR 20200132063A KR 1020190056904 A KR1020190056904 A KR 1020190056904A KR 20190056904 A KR20190056904 A KR 20190056904A KR 20200132063 A KR20200132063 A KR 20200132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tight
window
auxiliary rail
vertical frame
insul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1117B1 (ko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최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욱 filed Critical 최성욱
Priority to KR1020190056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11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보조레일이 형성된 미서기창호의 창짝에 형성된 보조레일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여밈대에 구간의 보조레일에 풍지단열부재를 설치하고, 이 풍지단열부재 주변에 위치하는 창짝 프레임에 다중 기밀구조를 구비하여 보조레일홈을 통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공기흐름을 차단하여 기밀 및 단열 성능을 개선한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기밀부재(122)가 형성된 보조레일을 구비한 창틀과; 풍지날개부가 형성된 창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서기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틀에 형성된 보조레일(12)의 여밈대 구간에 설치된 풍지단열부재(4)와; 상기 풍지단열부재(4)와 접촉하여 여밈대 구간에 대한 기밀 및 단열 작용을 하도록 각 창짝의 수직프레임을 구성하는 제 1 수직프레임(24)에 설치된 제 1 기밀부, 제 2 수직프레임(25)에 설치된 제 2 기밀부, 제 3 수직프레임(26)에 형성된 제 3 기밀부로 이루어진 다중 기밀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각 창짝의 제 1 수직프레임(24)에 형성된 풍지날개부(22)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보조레일홈(23)을 통한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를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Sliding windows having windbreak structure of check rails for auxiliary rail}
본 발명은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보조레일이 형성된 미서기창호의 여밈대 부분에 풍지단열부재를 설치하여 창짝에 형성된 보조레일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흐름을 차단하여 기밀 및 단열 성능을 개선한 미서기창호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창과 문을 말하는 것으로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켜 바람을 막으면서 실내로 채광이 잘 들게 하거나 실내의 환기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그 구조는 기본적으로 골격을 이루는 창틀(또는 문틀)과 창틀에 고정 또는 작동되도록 장착되는 창짝(또는 문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창호 중 미서기창호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볼수 있는 창호인데, 창짝 하부에 설치된 롤러가 창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하기 때문에 롤러가 설치되지 않은 창짝의 하부와 레일간의 틈새를 통해 실내 외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구조적 문제점 때문에 기밀이나 단열에 취약하다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창츨에 설치된 레일과 레일 사이에 수평풍지판을 설치하여 기밀과 단열 성능을 보완하거나 창짝의 측면 레일홈에 풍지판을 부착하여 기밀과 단열 성능을 보완하는 등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복잡한 구조를 가진 수평풍지판과 같은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레일과 레일사이에 보조레일을 설치하여 양측에 기밀 홈을 형성하여 여기에 설치된 모헤어나 가스켓이 창짝의 수평프레임과 접하도록 하여 기밀과 단열을 제공하도록 하는 방식의 술라이딩 창호도 많이 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보조레일을 구비한 슬라이딩 창호는 구조상 보조레일 설치 공간 만큼 레일과 레일간의 거리가 늘어나게 되어 주행 방향 기준으로 창짝과 창짝 사이의 틈새가 발생한다는 또 다른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보조레일이 형성된 슬라이딩 창호의 창짝 프레임은 수직 프레임을 이웃하는 창짝쪽으로 연장시켜 형성된 풍지날개부를 함께 압출하여 보조레일 때문에 형성된 측면 공간부를 막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와 같은 수직프레임의 설계변경에도 불구하고 보조레일이 형성된 창틀에 창짝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풍지날개부의 상단 및 하단이 보조레일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각각 절개된 보조레일홈이 형성되어야 한다. 물론 이와 같은 보조레일홈은 주 레일에도 동일하게 형성됨은 당연하다.
이러한 보조레일홈이 형성되면 창짝을 창틀에 조립시 보조레일에 걸리지 않게 된다.
이때 상단의 보조레일홈을 더 크게 형성한다. 그 이유는 일반적인 창짝 조립방법이 창짝의 상단 수평프레임을 앞쪽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인 상태에서 창틀의 상부 레일에 끼운 상태에서 하단의 수평프레임을 끼우기 위해 회전시킨 다음 창짝을 들어올려 창짝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를 창틀 프레임에 위치시킨 후 내려놓아야 때문에 창짝의 하단에 형성된 홈 보다 상단에 형성된 홈이 더 커야 한다.
따라서 동일하게 풍지날개부의 상단에 형성된 보조레일홈이 하단쪽에 형성된 보조레일홈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보조레일홈이 상하단에 형성된 풍지날개부를 구비한 창짝은 보조레일에 설치된 모헤어나 가스켓에 의해 측방향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기밀 및 단열 작용을 하게 된다.
다만 여밈대 부분은 수직 프레임과 접할 수 없기 때문에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보조레일에 의한 모헤어나 가스켓과의 접촉이 불가능하여 오로지 마주보는 창짝에 설치된 풍지날개부에 의한 기밀 및 단열에 의존할 수 밖에 없어서 창짝이 닫힌 상태의 여밈대 영역에서 상기 풍지날개부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보조레일홈을 통해 유입되는 실내외의 공기가 서로 순환되어 기밀 및 단열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36979(2013.02.19.)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63342(2013.05.06.)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65549(2013.02.19.)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81294(2015.12.2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레일이 형성된 미서기창호의 창짝에 형성된 보조레일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여밈대에 구간의 보조레일에 풍지단열부재를 설치하고, 이 풍지단열부재 주변에 위치하는 창짝 프레임에 다중 기밀구조를 구비하여 보조레일홈을 통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공기흐름을 차단하여 기밀 및 단열 성능을 개선한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레일 사이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창짝을 기밀하는 기밀부재가 형성된 보조레일을 구비한 창틀과; 보조레일이 설치된 공간을 기밀하는 풍지날개부가 형성된 창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서기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틀에 형성된 보조레일의 여밈대 구간에 설치된 풍지단열부재와; 상기 풍지단열부재와 접촉하여 여밈대 구간에 대한 기밀 및 단열 작용을 하도록 각 창짝의 수직프레임을 구성하는 제 1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제 1 기밀부, 제 2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제 2 기밀부, 제 3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제 3 기밀부로 이루어진 다중 기밀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각 창짝의 제 1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풍지날개부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보조레일홈을 통한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풍지단열부재는 기둥형태로 압출된 단열소재로 구성되고, 내측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보조레일 상단과 체결부재로 고정되고, 둘레를 따라 기밀패킹홈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진 기밀패킹이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기밀패킹홈은 풍지단열부재의 둘레 4면에 모두 형성되거나 마주보는 창짝의 실외측면 및 실내측면 방향 2면에만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기밀패킹의 평단면 형상은 직각형상, 반복되는 물결무늬, 반복되는 요철무늬, 반복되는 톱니무늬로 가공된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기밀패킹의 평단면 형상은 물결무늬, 요철무늬, 톱니무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이 동일 크기로 반복 배열되다가 끝단에 선택된 형상이 길게 연장되어 돌출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1 기밀부는 제 1 수직프레임의 풍지날개부 내측면에서 보조레일홈 상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압출된 기밀패킹홈 및 기밀패킹홈에 삽입되는 기밀패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2 기밀부는 제 3 수직프레임에서 마주보는 창짝의 제 1 수직프레임의 제 1 기밀부에 인접한 지점에서 풍지단열부재가 설치된 측면방향으로 벽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일측면은 상기 제 1 기밀부의 기밀패킹 면접촉하고 타측면은 상기 풍지단열부재의 측면 또는 풍지단열부재의 측면에 삽입된 기밀패킹과 면접촉하여 보조레일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상하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3 기밀부는 제 3 수직프레임에서 풍지단열부재와 마주보는 측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풍지단열부재에 설치된 기밀패킹과 접촉하여 기밀 성능과 단열 성능을 증대시키도록 수직방향으로 압출된 돌기와 홈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각 창짝의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제 1 기밀부, 제 2기밀부, 제 3 기밀부는 풍지단열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구조로 설치되어 풍지단열부재의 전후좌우 방향의 상하공간을 모두 기밀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미서기창호는 여밈대 부분 보조레일에 단열소재로 이루어진 풍지단열부재를 설치하고, 이 풍지단열부재의 기밀과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해 창짝에 다중 기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보조레일이 형성된 미서기창호의 창짝 풍지날개부 상하단에 형성된 보조레일홈을 통한 측방향 및 수직방향 공기흐름을 원천 차단하여 기밀 및 단열 성능을 개선하여 고에너지효율을 가지는 미서기창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를 구비한 미서기창호의 평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를 구비한 미서기창호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패킹이 설치된 풍지단열부재의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밀패킹이 설치된 풍지단열부재의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짝의 수직 프레임에 형성된 다중 기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의 패킹부재와 창짝에 형성된 기밀구조간의 접촉 구조를 보인 확대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의 패킹부재와 창짝에 형성된 기밀구조간의 높이를 보인 측단면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가 구비된 미서기창호의 일측 창짝이 열린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가 구비된 미서기창호의 타측 창짝이 열린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이라는 것은 미서기창호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미서기창호의 상하방향을 수직방향이라 하고, 미서기창호의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인 길이방향을 수평방향이라 한다.
또한 이하에서 구성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입면이 1개 층으로 형성된 단창의 미서기창호 구조 위주로 설명하지만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진 입면분할창 또는 이중창 또는 삼중창 등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유리는 단판 유리, 이중 유리 및 삼중유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미서기창호에 사용되는 재료는 금속 소재와 합성수지 소재인데, 상기 금속 소재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소재이지만 다른 금속소재도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합성수지 소재는 바람직하게는 피브이씨(PVC),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소재이지만 단열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 다른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하에서 여밈대라 함은 창틀 내측에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주행 하는 2개의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 마주보는 창짝의 프레임이 서로 근접되게 겹치는 구간의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 그 위치는 통상 창틀의 중앙부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를 구비한 미서기창호의 평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를 구비한 미서기창호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패킹이 설치된 풍지단열부재의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밀패킹이 설치된 풍지단열부재의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창짝의 수직 프레임에 형성된 다중 기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의 패킹부재와 창짝에 형성된 기밀구조간의 접촉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의 패킹부재와 창짝에 형성된 기밀구조간의 높이를 보인 측단면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가 구비된 미서기창호의 일측 창짝이 열린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풍지단열부재가 구비된 미서기창호의 타측 창짝이 열린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일(11) 사이에 위치한 보조레일(12)의 여밈대 구간에 풍지단열부재(4)가 설치된 창틀(1)과; 상기 풍지단열부재(4)와 접촉하여 기밀 및 단열 작용을 하는 다중 기밀구조가 형성된 창짝(2)으로 구성된 미서기창호이다.
상기 창틀(1)에는 각 창짝(2)의 하부에 부착된 롤러(21)가 주행하는 2개의 레일(11)과, 상기 레일들 사이에 위치하여 기밀작용을 하는 보조레일(12)이 구비된다.
보조레일(12)은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양측방향으로 기밀홈(121)이 형성되어 이 기밀홈(121)에 모헤어나 가스켓 등의 기밀부재(122)가 삽입되어 양측방면에 위치하는 창짝(2)과 접촉하면서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기밀작용을 하게 된다. 즉, 창짝(2)의 하부 일지점에 설치된 롤러(21) 때문에 레일로부터 상승된 창짝(2)의 하단부와 레일(11)의 상단 사이에 구조적으로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여밈대 구간 보조레일(12)에 다수의 기밀패킹(42)이 구비되는 풍지단열부재(4)가 설치되고, 여밈대 구간 보조레일(12) 양측으로 마주보는 창짝(2)에 상기 풍지단열부재(4)와 함께 기밀작용을 하는 다중 기밀구조가 형성되어 창짝(2)에 형성된 풍지날개부(22)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보조레일홈(23)을 통한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창짝(2)은 내측에 유리(3)가 설치되고, 창짝(2)의 하부 또는 상부에 설치된 롤러(21)에 의해 창틀(1)에 형성된 각 레일(11)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주행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창짝(2)을 구성하는 수평 및 수직 프레임 중 적어도 수직프레임은 보조레일(12) 쪽 공간을 기밀하기 위해 확장된 풍지날개부(22)가 형성된 제 1 수직프레임(24)과,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4)과 직각방향의 일측면 바깥쪽에 위치하여 결합된 제 2 수직프레임(25)과,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4)과 직각방향의 타측면 보조레일(12) 쪽에 위치하여 결합된 제 3 수직프레임(26)으로 구성되어 각측면을 담당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이 서로 조립되어 창짝(2)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창짝(2)을 구성하는 수평프레임은 단일의 프레임으로 압출되거나 복수개의 프레임이 압출되어 조립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시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창짝(2)의 수직프레임을 제 1 수직프레임(24), 제 2 수직프레임(25), 제 3 수직프레임(26)으로 분리하여 설명하거나 경우에 따라 창짝(2), 창짝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으로 기재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여밈대 구간에 설치되어 보조레일홈(23)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흐름을 차단하는 기밀 및 단열 구조를 설명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창틀(1)의 하부에 위치한 여밈대 구간에서의 기밀 및 단열 구조만을 설명하고, 상부에 위치한 보조레일홈과 여밈대 구간 설명은 생략한다. 미설명된 상부쪽 보조레일홈(23)은 수직 길이만 하부에 형성한 보조레일홈(23)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었다는 것만 차이만 있고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보조레일홈(23)의 크기에 따른 풍지단열부재(4)의 높이 및 각 기밀패킹의 높이 역시 차이가 날 수 있으나 구조 설명이나 그에 따른 작용효과 설명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은 여밈대 구간 보조레일(12) 상단에 풍지단열부재(4)가 피스 결합되어 창짝(2)의 여밈대 구간에 위치하는 창짝 수직프레임의 풍지날개부(22) 상부과 하부에 각각 형성된 보조레일홈(23)을 통한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여밈대 구간에 위치하여 마주보는 각 창짝(2)은 풍지날개부(22)의 내측면 그리고 풍지단열부재(4) 측면과 마주하는 수직 평면 상에 다중 기밀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풍지단열부재(4)가 제공하는 기밀 및 단열 작용을 증대시켜 풍지날개부(22)의 하부와 상부에 형성된 보조레일홈(23)을 통한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풍지단열부재(4)를 구성하는 압출소재로 금속재가 아닌 단열소재로 구성한 이유는 보조레일홈(23)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의 유동을 차단하여 기밀만 하는 것은 금속재로 구성해도 충분하지만 외부 공기와 접촉된 금속재는 열전도가 커서 단열 측면에서는 취약하기 때문이다. 사용되는 단열소재로는 단열성능을 가진 합성수지재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충분하지만 바람직하게는 PVC,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가 압출 후 강도 및 단열 성능과 같은 물성이 가장 좋다.
또한 상기 기밀패킹(42)을 구성하는 소재는 탄성력을 가져 팽창 또는 수축되는 소재로 단열성능이 우수한 천연 또는 합성 고무재 또는 탄성력을 가지는 우레탄 폼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풍지단열부재(4)는 한 실시예로 4각 기둥형태를 가지게 압출된 단열소재로, 내측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43)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체결홈 하부에 위치한 보조레일(12) 상단을 피스,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도시 생략)로 고정되어 여밈대 공간에서의 기밀 및 단열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풍지단열부재(4)는 둘레를 따라 기밀패킹홈(41)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지는 기밀패킹(42)이 삽입되게 구성된다. 기밀패킹홈(41)의 형성 위치는 도시된 한 실시예처럼 길이방향 기준으로 4면에 모두 형성할 수도 있고, 도시된 다른 실시예처럼 길이방향 기준으로 2면 즉, 실외측면에 위치한 창짝(2)과 실내측면에 위치한 창짝(2) 방향에만 형성할 수 있다.
기밀패킹(42)의 평단면 형상은 직각형상으로 가공되거나 탄성력과 기밀 및 단열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둥근 모서리의 돌출부위가 반복되는 물결무늬, 직각돌기가 반복되는 요철무늬, 삼각모양이 반복되는 톱니무늬로 가공될 수 있다.
기밀패킹(42)의 평단면 형상은 창짝 프레임과 접촉하는 측면에 물결무늬, 요철무늬, 톱니무늬 형상이 반복 배열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기밀패킹(42)은 돌출 부분 길이가 창짝 프레임의 접촉면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접촉과정에서 어느 일측방향으로 휘어지거나 가압에 의해 수축되어 기밀 성능이 증대되게 된다. 또한 창짝프레임 면과 접촉한 돌기와 돌기 사이는 기밀되어 공간이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 성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기밀패킹의 평단면 형상은 선택적으로 상기와 같이 물결무늬, 요철무늬, 톱니무늬 형상을 가진 동일한 크기의 돌출 형상이 반복 배열된 형상을 가지다가 끝단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형상이 길게 연장되어 돌출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동일한 크기로 배열된 돌출 형상보다 길이가 증가되어 길이가 작은 다른 돌출형상이 창짝에 접촉하기 전부터 창짝과 먼저 접촉하면서 어느 일측반향으로 휘어지면서 접촉면적이 늘어나 기밀 성능과 단열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게 표면이 가공된 기밀패킹(42)은 그 소재의 물성에 의한 단열 성능 뿐만 아니라 창짝과의 접촉 구조에 의한 단열 성능도 증가되는 장점이 있어 바람직하다.
한 실시예로 풍지단열부재(4)에 형성되는 기밀패킹홈(41) 및 기밀패킹(42)의 갯수는 창짝의 주행 방향 기준 즉, 길이방향 좌우 각 측면당 한 개씩 형성하고, 주행 방향 즉,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실외측 창짝 방향과 실내측 창짝 방향의 각 면당 2개씩 형성하여 창짝의 수직프레임과 접촉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풍지단열부재(4)에 형성되는 기밀패킹홈(41) 및 기밀패킹(42)의 갯수는 주행 방향 즉,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실외측 창짝 방향과 실내측 창짝 방향의 각 면당 3개씩 형성하여 창짝의 수직프레임과 접촉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 1 수직프레임(24), 제 2 수직프레임(25), 제 3 수직프레임(26)으로 이루어져 조립된 상기 각 창짝의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다중 기밀구조는,
제 1 수직프레임(24)의 풍지날개부(22) 내측면에서 상기 보조레일홈(23) 상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압출된 기밀패킹홈(271) 및 기밀패킹홈에 삽입되는 기밀패킹(272)으로 구성되는 제 1 기밀부(27)가 구성된다.
또한 제 3 수직프레임(26)에서 마주보는 창짝의 제 1 수직프레임(24)의 제 1 기밀부(27)에 인접한 지점에서 풍지단열부재(4)가 설치된 측면방향으로 벽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일측면은 상기 제 1 기밀부(27)의 기밀패킹(272)과 면접촉하고 타측면은 상기 풍지단열부재(4)의 측면 또는 풍지단열부재(4)의 측면에 삽입된 기밀패킹(42)과 면접촉하여 보조레일홈(23)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상하 이동을 차단하는 제 2 기밀부(28)가 구성된다.
또한 제 3 수직프레임(26)에서 풍지단열부재(4)와 마주보는 측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풍지단열부재(4)에 설치된 기밀패킹(42)과 접촉하여 기밀 성능과 단열 성능을 증대시키도록 수직방향으로 압출된 돌기(291)와 홈(292)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제 3 기밀부(29);가 구성된다.
상기 제 3 기밀부(29)는 풍지단열부재(4)의 실외측 방향과 실내측 방향에 형성된 기밀패킹(42)의 물결무늬, 요철무늬, 톱니무늬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 형상이 제 3 기밀부(29)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돌기와 돌기 사이에 삽입되어 기밀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혹 기밀패킹(42)이 열화되거나 마모되더라도 상당한 기간동안 기밀력이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물론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무늬 형상 없이 평면 형상 기밀패킹(42)으로만 구성하여 접촉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열화나 마모에 의해 접촉면에 틈새가 발생할 경우 기밀이 샐 수 있지만, 물결무늬, 요철무늬, 톱니무늬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돌출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미리 차단하게 된다.
상기 각 창짝의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제 1 기밀부(27), 제 2기밀부, 제 3 기밀부(29)는 풍지단열부재(4)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구조로 설치되어 풍지단열부재(4)의 전후좌우 방향의 상하공간을 모두 기밀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기밀부(27), 제 2 기밀부(28), 제 3 기밀부(29)의 높낮이 설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일 창짝의 제 1 수직프레임(24)에 형성된 제 1 기밀부(27)와 마주보는 창짝의 제 3 수직프레임(26)에 형성된 제 2 기밀부(28)는 창짝이 좌우 주행시 보조레일홈(23)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보조레일홈(23) 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면접촉하게 구성한다.
상기 창짝의 동일 제 3 수직프레임(26)에 형성된 제 2 기밀부(28)와 제 3 기밀부(29)는 창짝이 좌우 주행시 보조레일홈(23)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풍지단열부재(4)의 하부 위치부터 면접촉하게 형성한다.
상기 풍지단열부재(4)는 보조레일홈(23)의 상단 높이 보다 더 높게 형성하여 양측면에 마주하는 각 창짝의 제 3 수직프레임(26)에 형성된 제 2 기밀부(28) 및 제 3 기밀부(29)와 직접 또는 기밀패킹(42)에 의해 면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차단시키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은 창틀(1)에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주행하는 한쌍의 창짝(2)을 양쪽에 위치한 창틀(1) 쪽으로 각각 밀면, 여밈대 부분에 양측 창짝의 수직프레임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보조레일(12)에 설치된 풍지단열부재(4) 주변을 따라 대칭으로 형성된 양 측 창짝의 제 1 수직프레임(24)에 형성된 풍지날개부(22)에 설치된 제 1기밀부, 제 2 수직프레임(25), 제 3 수직프레임(26)에 각각 설치된 제1 2 기밀부, 제 3 기밀부(29)가 위치하면서 풍지단열부재(4)와 면접촉하여 보조레일홈(23)을 통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로인해 보조레일(12)에 설치된 보헤어나 가스켓에 의한 기밀작용 및 단열작용 그리고 풍지단열부재(4) 주변을 통한 기밀작용 및 단열작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로인해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호는 기밀 및 단열 성능이 획기적으로 증대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창틀 (2) : 창짝
(3) : 유리 (4) : 풍지단열부재
(11) : 레일 (12) : 보조레일
(21) : 롤러 (22) : 풍지날개부
(23) : 보조레일홈 (24) : 제 1 수직프레임
(25) : 제 2 수직프레임 (26) : 제 3 수직프레임
(27) : 제 1 기밀부 (28) : 제 2 기밀부
(29) : 제 3 기밀부 (41) : 기밀패킹홈
(42) : 기밀패킹 (43) : 체결홈
(121) : 기밀홈 (122) : 기밀부재
(271) : 기밀패킹홈 (272) : 기밀패킹
(291) : 돌기 (292) : 홈

Claims (9)

  1. 레일 사이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창짝을 기밀하는 기밀부재(122)가 형성된 보조레일을 구비한 창틀과; 보조레일이 설치된 공간을 기밀하는 풍지날개부가 형성된 창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서기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틀에 형성된 보조레일(12)의 여밈대 구간에 설치된 풍지단열부재(4)와; 상기 풍지단열부재(4)와 접촉하여 여밈대 구간에 대한 기밀 및 단열 작용을 하도록 각 창짝의 수직프레임을 구성하는 제 1 수직프레임(24)에 설치된 제 1 기밀부, 제 2 수직프레임(25)에 설치된 제 2 기밀부, 제 3 수직프레임(26)에 형성된 제 3 기밀부로 이루어진 다중 기밀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각 창짝의 제 1 수직프레임(24)에 형성된 풍지날개부(22)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보조레일홈(23)을 통한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지단열부재(4)는 기둥형태로 압출된 단열소재로 구성되고, 내측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43)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보조레일(12) 상단과 체결부재로 고정되고, 둘레를 따라 기밀패킹홈(41)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가진 기밀패킹(42)이 삽입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밀패킹홈(41)은 풍지단열부재(4)의 둘레 4면에 모두 형성되거나 마주보는 창짝의 실외측면 및 실내측면 방향 2면에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밀패킹(42)의 평단면 형상은 직각형상, 반복되는 물결무늬, 반복되는 요철무늬, 반복되는 톱니무늬로 가공된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밀패킹의 평단면 형상은 물결무늬, 요철무늬, 톱니무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이 동일 크기로 반복 배열되다가 끝단에 선택된 형상이 길게 연장되어 돌출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밀부(27)는 제 1 수직프레임(24)의 풍지날개부(22) 내측면에서 보조레일홈(23) 상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압출된 기밀패킹홈(271) 및 기밀패킹홈에 삽입되는 기밀패킹(27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밀부(28)는 제 3 수직프레임(26)에서 마주보는 창짝의 제 1 수직프레임(24)의 제 1 기밀부(27)에 인접한 지점에서 풍지단열부재(4)가 설치된 측면방향으로 벽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일측면은 상기 제 1 기밀부(27)의 기밀패킹(272)과 면접촉하고 타측면은 상기 풍지단열부재(4)의 측면 또는 풍지단열부재(4)의 측면에 삽입된 기밀패킹(42)과 면접촉하여 보조레일홈(23)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상하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기밀부(29)는 제 3 수직프레임(26)에서 풍지단열부재(4)와 마주보는 측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풍지단열부재(4)에 설치된 기밀패킹(42)과 접촉하여 기밀 성능과 단열 성능을 증대시키도록 수직방향으로 압출된 돌기(291)와 홈(292)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창짝의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제 1 기밀부(27), 제 2기밀부, 제 3 기밀부(29)는 풍지단열부재(4)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구조로 설치되어 풍지단열부재(4)의 전후좌우 방향의 상하공간을 모두 기밀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KR1020190056904A 2019-05-15 2019-05-15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KR102231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904A KR102231117B1 (ko) 2019-05-15 2019-05-15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904A KR102231117B1 (ko) 2019-05-15 2019-05-15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063A true KR20200132063A (ko) 2020-11-25
KR102231117B1 KR102231117B1 (ko) 2021-03-22

Family

ID=7364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904A KR102231117B1 (ko) 2019-05-15 2019-05-15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1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029B1 (ko) * 2021-04-09 2021-06-30 (주)일국기업 기밀유지용 바를 갖는 창호시스템
CN115522848A (zh) * 2022-10-18 2022-12-27 哈尔滨华兴节能门窗股份有限公司 一种铝包木提升推拉门上侧密封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349B1 (ko) 2021-05-12 2022-05-24 피디아이 주식회사 실내 미서기문의 가이드 홈 마감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1767U (ko) * 1980-07-14 1982-02-04
KR101236979B1 (ko) 2012-05-30 2013-02-25 (주) 일진 유격흡수 기능을 가지는 창문구조
KR200465549Y1 (ko) 2012-10-12 2013-02-25 (주) 일진 방풍 및 빗물배출 기능이 구비된 창문구조
KR20130033065A (ko) * 2011-09-26 2013-04-03 주식회사 동성기업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101263342B1 (ko) 2012-12-28 2013-05-16 (주) 일진 추락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KR101543761B1 (ko) * 2013-12-12 2015-08-11 제정원 기밀형 창호 구조물
KR101581294B1 (ko) 2015-09-24 2016-01-11 동보산업개발주식회사 수평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1767U (ko) * 1980-07-14 1982-02-04
KR20130033065A (ko) * 2011-09-26 2013-04-03 주식회사 동성기업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101236979B1 (ko) 2012-05-30 2013-02-25 (주) 일진 유격흡수 기능을 가지는 창문구조
KR200465549Y1 (ko) 2012-10-12 2013-02-25 (주) 일진 방풍 및 빗물배출 기능이 구비된 창문구조
KR101263342B1 (ko) 2012-12-28 2013-05-16 (주) 일진 추락방지기능을 가지는 창문시스템
KR101543761B1 (ko) * 2013-12-12 2015-08-11 제정원 기밀형 창호 구조물
KR101581294B1 (ko) 2015-09-24 2016-01-11 동보산업개발주식회사 수평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029B1 (ko) * 2021-04-09 2021-06-30 (주)일국기업 기밀유지용 바를 갖는 창호시스템
CN115522848A (zh) * 2022-10-18 2022-12-27 哈尔滨华兴节能门窗股份有限公司 一种铝包木提升推拉门上侧密封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117B1 (ko) 202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117B1 (ko) 보조레일용 여밈대 풍지구조를 가지는 미서기창호
US20220098867A1 (en) Frame solution comprising compressed suspension elements
US7975432B2 (en) Casement window assembly with windload and impact resistance
KR101581294B1 (ko) 수평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US7827734B2 (en) Window assembly with sash frame interlocking system to resist wind load and impact
KR102493454B1 (ko) 내진성 및 단열성이 향상된 스마트 커튼월 창호
KR101468686B1 (ko)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학교용 미서기 창
KR101828276B1 (ko) 창문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미서기 창호 시스템
TW201723298A (zh) 大開口窗框
KR101468682B1 (ko) 협소한 시공 구조 여건에서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입면 분할 창호
KR101468678B1 (ko)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창호
US3190411A (en) Window and door structural element
KR101400318B1 (ko) 창호 시스템
KR101336583B1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101436609B1 (ko) 창호 시스템
US3248822A (en) Sliding closure construction
JP7101477B2 (ja) 二重サッシ
US20130139444A1 (en) Relation to double hung windows
US7685773B2 (en) Sliding window assembly with windload and impact resistance
US11624232B2 (en) Clear view panel for overhead door
KR102593514B1 (ko) 내진성이 향상된 풍지구조의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
KR20190000526U (ko) 방풍재
KR101507989B1 (ko) 복합 단열 및 기밀 구조를 가진 슬림형 창호
KR20190089652A (ko) 탈부착식 방충망 레일 프레임이 구비된 시스템 창호
KR102526412B1 (ko) 내진성이 향상된 미서기창이 설치되는 스마트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