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291A -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 Google Patents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291A
KR20190077291A KR1020190075849A KR20190075849A KR20190077291A KR 20190077291 A KR20190077291 A KR 20190077291A KR 1020190075849 A KR1020190075849 A KR 1020190075849A KR 20190075849 A KR20190075849 A KR 20190075849A KR 20190077291 A KR20190077291 A KR 20190077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frame
opening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270B1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075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2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입면분할 제품의 트랜섬을 제거하여 시야를 확보해주되, 멀리온 분할 구조 설계로 창호의 슬림화는 물론 내풍압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유리난간대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100)는, 창틀프레임(110);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실외측 창짝(120);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내측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실내측 창짝(130); 및 상기 한 쌍의 실외측 창짝(120) 중 실외측에 설치된 창짝(121)의 일측에 일렬로 설치되어 개구부(S)의 적어도 하부를 막아주는 유리난간대(1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입면분할 제품의 트랜섬을 제거하여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되, 개구부의 적어도 하측에 유리난간대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해줌으로써 추락방지 등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멀리온 분할 구조 설계를 적용함으로써 창호의 슬림화는 물론 내풍압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Window having glass guardrail}
본 발명은 일체형 난간유리를 구비한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입면분할 제품의 트랜섬(가로바)을 제거하여 슬림화하되, 멀리온(세로바) 분할 구조 설계로 내풍압 성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유리난간대를 간단하면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말하는데, 이때 상기의 창 또는 문들이 지지되는 창호프레임은 사용재료에 따라 목재 창호프레임과 금속재 창호프레임으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으며, 더욱이 피브이시(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창호프레임이 제작되기도 한다.
종래의 슬라이딩 창호(미서기창호)가 개폐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창짝의 핸들을 거머쥔 상태에서 상기 창짝을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창짝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가 창틀프레임 상의 레일을 따라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창짝이 점점 맞은편 측의 창틀프레임에 근접하다가 최종적으로 창틀프레임에 맞닿아 멈춰섬으로써 닫히는 동작이 종료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창호에 대하여 종래에 공개특허 제10-2001-0068784호로 선출원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 창호는, 환기를 위해 창짝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개구부를 개방해주는 조작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주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철재 난간대 제거로 건물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트랜섬과 멀리온을 이용하여 조합되는 입면분할 창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입면분할 창호는 외창의 붙박이창이 난간대 역할을 한다. 붙박이창의 유리는 접합유리로 되어 있으며, 유리에 PVB 필름을 붙여주어 부서지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붙박이창의 상부에는 트랜섬이 설치되고, 트랜섬 상에는 미서기창이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붙박이창과 그 상부에 설치된 미서기창은 무게중심이 정확하게 맞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에 따라 그 사이에 설치된 트랜섬의 휨(처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트랜섬의 저면을 지지해주는 별도의 지지바를 설치해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입면분할 창호는 분할된 트랜섬 및 지지바 등의 구조가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창틀프레임 내의 트랜섬이 고정되는 양끝단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기존 입면분할 제품의 트랜섬을 제거하여 시야를 확보해주되, 멀리온 분할 구조 설계로 창호의 슬림화는 물론 내풍압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유리난간대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는, 창틀프레임;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실외측 창짝;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실내측 창짝; 및 상기 한 쌍의 실외측 창짝 중 실외측에 설치된 창짝의 일측에 일렬로 설치되어 개구부의 적어도 하부를 막아주는 유리난간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유리난간대는, 유리부재; 및 상기 유리부재의 양측에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제1결합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주면 또는 창짝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외측 창짝을 구성하는 창짝은,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외측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한 미서기 상태로 먼저 결합되고, 상기 창짝의 일측 또는 양측의 동일 레일 선상에 유리난간대를 설치 고정해줌으로써 상기 창짝은 고정창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의 실외측면에는, 해충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창틀프레임 상에 방충망;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기 유리난간대의 상측개구에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롤 방충망을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에 있어서, 창틀프레임;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적어도 한 쌍이 설치되되, 실외측에 설치된 창짝은 고정창짝이고, 나머지 창짝은 미서기창으로 이루어지는 실외측 창짝; 상기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실내측 창짝; 및 상기 실외측에 설치된 창짝의 일측에 일렬로 설치되어 개구부의 적어도 하부를 막아주는 유리난간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유리난간대는, 유리부재; 상기 유리부재의 일면 테두리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주면과 고정창짝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 및 상기 유리부재의 타면 테두리를 상기 걸림턱 측으로 가압 고정해줄 수 있도록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창짝의 일면에 구비된 끼움부에 결합되는 글레이징 비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트랜섬을 매개로 상측개구와 하측개구로 구획되되, 상기 하측개구에 상기 유리난간대가 설치되고, 상기 상측개구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롤방충망;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는, 기존 입면분할 제품의 트랜섬을 제거하여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되, 개구부의 적어도 하측에 유리난간대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해줌으로써 추락방지 등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멀리온 분할 구조 설계를 적용함으로써 창호의 슬림화는 물론 내풍압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의 실외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의 외부입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의 내부입면도,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Ⅱ-Ⅱ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의 평단면도,
도 7은 도 6의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의 실외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의 외부입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00)는, 창틀프레임(110)과,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실외측 창짝(120)과,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내측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실내측 창짝(130)과, 상기 한 쌍의 실외측 창짝(120) 중 실외측에 설치된 창짝(121)의 일측에 일렬로 설치되어 개구부(S)의 적어도 하부를 막아주는 유리난간대(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실외측 창짝(120)은 적어도 한 쌍의 미서기창으로 구성되되, 그 중에서 실외측에 설치된 창짝(121)은 일측에 고정설치된 유리난간대(140)로 인해 고정창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외측 창짝(120)은 적어도 한 쌍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창 구조인 창짝(12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한 미서기창(123)이 대칭으로 설치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입면이 분할된 다양한 개폐구조로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외측 창짝(120) 중 고정창으로 적용되는 창짝(121)은 창호의 가공성과 시공성의 향상을 위해 미서기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창짝(121)은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먼저 결합되고, 상기 창짝(121)의 양측 동일 레일 선상에 유리난간대(140)를 설치 고정해줌으로써, 최초 미서기 창으로 결합되었던 상기 창짝(121)은 고정창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내측 창짝(130)은 유리난간대(140)를 제외하고 실외측 창짝(120)과 상응하는 동일한 구조의 창으로 조합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유리난간대(140)는 개구부(S)의 적어도 하측개구(S2)를 막아 추락방지 등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유리난간대(140)는 전체적으로 한 장의 통유리를 적용하여 고정설치할 수 있으나, 유리난간대(140)의 견고한 설치를 위해 테두리에 별도의 고정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난간대(140)는 유리부재(141)와, 상기 유리부재(141)의 적어도 양측에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제1결합부(143a)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창틀프레임(110)의 내주면 또는 창짝(121)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는 제2결합부(143b)가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143)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재(143)가 유리부재(141)의 양측에 적용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리난간대(140)의 견고한 설치를 위해 고정부재(143)가 유리부재(141)의 상단이나 하단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개구부(S)의 실외측면에는 해충이나 기타 이물질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창틀프레임(110) 상에 방충망(150)이 설치될 수 있다. 방충망(150)은 고정형이나 롤형 등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방충망(150)의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딩 개방형(도 4 참조)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해당 창호의 특성상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에 슬라이딩 방충망을 설치할 수 없거나, 또른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방충망을 다른 구조를 적용하고 싶을 경우에는, 상기 유리난간대(140)의 상측개구(S1)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롤 방충망(미도시)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구조로 변경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의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외측 창짝(120)은 다양한 구조로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외측 창짝(120)은 적어도 한 쌍으로 설치되되, 실외측에 설치된 창짝은 고정창짝(121')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창짝은 미서기창(1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리난간대(140)는 유리부재(141)와, 상기 유리부재(141)의 일면 테두리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창틀프레임(110)의 내주면과 고정창짝(121')의 일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145)과, 상기 유리부재(141)의 타면 테두리를 걸림턱(145) 측으로 가압 고정해줄 수 있도록 창틀프레임(110)의 내주면과 고정창짝(121')의 일면에 구비된 끼움부(147a)에 결합되는 글레이징 비드(147)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S)는 트랜섬(111)을 매개로 상측개구(S1)와 하측개구(S2)로 구획되되, 상기 하측개구(S2)에 유리난간대(140)가 설치되고, 상기 상측개구(S1)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롤방충망(16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100)는, 기존 입면분할 제품의 트랜섬을 제거하여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되, 개구부(S)의 적어도 하측에 유리난간대(140)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해줌으로써 추락방지 등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멀리온 분할 구조 설계를 적용함으로써 창호(100)의 슬림화는 물론 내풍압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창호 110 : 창틀프레임
120 : 실외측 창짝 121, 121' : 고정창짝
123 : 미서기창 130 : 실내측 창짝
140 : 유리난간대 141 : 유리부재
143 : 고정부재 141a : 제1결합부
143b : 제2결합부 145 : 걸림턱
147 : 글레이징 비드 147a : 끼움부
150 : 방충망 160 : 롤방충망
S : 개구부 S1 : 상측개구
S2 : 하측개구

Claims (8)

  1. 창틀프레임(110);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실외측 창짝(120);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내측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실내측 창짝(130); 및
    상기 한 쌍의 실외측 창짝(120) 중 실외측에 설치된 창짝(121)의 일측에 일렬로 설치되어 개구부(S)의 적어도 하부를 막아주는 유리난간대(140);를 포함하는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난간대(140)는,
    유리부재(141); 및
    상기 유리부재(141)의 양측에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제1결합부(143a)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내주면 또는 창짝(121)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는 제2결합부(143b)가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143);를 포함하는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창짝(120)을 구성하는 창짝(121)은,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한 미서기 상태로 먼저 결합되고, 상기 창짝(121)의 일측 또는 양측의 동일 레일 선상에 유리난간대(140)를 설치 고정해줌으로써 상기 창짝(121)은 고정창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유리나간대를 구비한 창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S)의 실외측면에는,
    해충의 출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창틀프레임(110) 상에 방충망(150);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유리난간대(140)의 상측개구(S1)에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롤 방충망을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6. 창틀프레임(110);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외측에 적어도 한 쌍이 설치되되, 실외측에 설치된 창짝은 고정창짝(121')이고, 나머지 창짝은 미서기창(123)으로 이루어지는 실외측 창짝(120);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실내측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실내측 창짝(130); 및
    상기 고정창짝(121')의 일측에 일렬로 설치되어 개구부(S)의 적어도 하부를 막아주는 유리난간대(140);를 포함하는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난간대(140)는,
    유리부재(141);
    상기 유리부재(141)의 일면 테두리가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내주면과 고정창짝(121')의 일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145); 및
    상기 유리부재(141)의 타면 테두리를 상기 걸림턱(145) 측으로 가압 고정해줄 수 있도록 상기 창틀프레임(110)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창짝(121')의 일면에 구비된 끼움부(147a)에 결합되는 글레이징 비드(147);를 포함하는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S)는,
    트랜섬(111)을 매개로 상측개구(S1)와 하측개구(S2)로 구획되되,
    상기 하측개구(S2)에 상기 유리난간대(140)가 설치되고,
    상기 상측개구(S1)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롤방충망(160);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KR1020190075849A 2019-06-25 2019-06-25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KR102224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849A KR102224270B1 (ko) 2019-06-25 2019-06-25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849A KR102224270B1 (ko) 2019-06-25 2019-06-25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319A Division KR20170019207A (ko) 2015-08-11 2015-08-11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291A true KR20190077291A (ko) 2019-07-03
KR102224270B1 KR102224270B1 (ko) 2021-03-08

Family

ID=6725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849A KR102224270B1 (ko) 2019-06-25 2019-06-25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639B1 (ko) * 2021-07-30 2022-06-30 김태희 기능성 통기가 구비된 안전 난간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128A (ko) * 2009-03-13 2010-09-27 이봉권 베란다 또는 발코니의 난간 구조
KR20110002819U (ko) * 2009-09-14 2011-03-22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창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128A (ko) * 2009-03-13 2010-09-27 이봉권 베란다 또는 발코니의 난간 구조
KR20110002819U (ko) * 2009-09-14 2011-03-22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639B1 (ko) * 2021-07-30 2022-06-30 김태희 기능성 통기가 구비된 안전 난간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270B1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9207A (ko)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KR101482298B1 (ko) 알루미늄과 피브이씨를 적용한 복합 미서기 이중창 시스템 창호
US6763875B2 (en) Reduced visibility insect screen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520149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KR101281428B1 (ko) 시스템 창호
CA2701321C (en) Fixed frame window or door system
KR20140090436A (ko) 유리난간대가 구비된 창호
KR20170058532A (ko) 배수구 형성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유리난간대
US8555573B2 (en) Window assembly
KR20210068977A (ko) 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이 포함된 창호
KR102200708B1 (ko) 롤방충망 타입 유리난간대
KR20190077291A (ko)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KR102278462B1 (ko) 비상용 창호 설치형 안전난간대
KR101502665B1 (ko) 양개형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KR20160062513A (ko) 투명 난간 중간 매입형 이중창호구조
KR102636070B1 (ko) 창호
KR102636069B1 (ko) 창호
JPH0828155A (ja) ビルディングの外壁
KR200490700Y1 (ko) 창호
JP2021031896A (ja) 建具
JP7071589B2 (ja) 開き窓が備えられたシステム建具
KR101903795B1 (ko) 슬림형 창짝을 갖는 창호
KR102174413B1 (ko) 슬라이딩 창호에 구비된 창짝 기우뚱 방지 부재
JP2021031951A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