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802B1 - 이동 단말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802B1
KR102559802B1 KR1020217036586A KR20217036586A KR102559802B1 KR 102559802 B1 KR102559802 B1 KR 102559802B1 KR 1020217036586 A KR1020217036586 A KR 1020217036586A KR 20217036586 A KR20217036586 A KR 20217036586A KR 102559802 B1 KR102559802 B1 KR 102559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guide channel
sound output
mobile terminal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822A (ko
Inventor
비취안 마이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45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1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incorporating only one trans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 영역에 관한 이동 단말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어느 한 자세로 통화할 때 사운드 출력홀의 가려지지 않은 영역과 리시버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통화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은 스크린, 리시버 및 쉘을 포함하되, 스크린은 쉘에 배치되고, 리시버는 쉘 내부에 배치되고, 스크린 상에는 사운드 출력홀이 배치되고, 사운드 출력홀은 쉘 내부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 및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에 해당하고,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는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리시버와 연결되고,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는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리시버와 연결되고,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와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 차이값은 미리 설정된 범위에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4월 24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0335593.X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현재 풀 스크린이 트렌드가 되었고, 노치 스크린과 같은 풀 스크린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동 단말의 화면 대 본체 비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노치 스크린의 '노치'를 '물방울' 모양으로 줄여 물방울 스크린을 형성한다.
물방울 노치가 적용된 이동 단말의 설계에서, 전면 카메라는 화면의 '물방울' 노치 영역에 배치되며, 리시버의 사운드 출력홀은 스크린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궁극의 미관을 구현하기 위해 전면 카메라는 스크린의 중앙에 배치되고, 사운드 출력홀도 스크린의 중축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므로, 스크린 아래의 내부 공간에서 리시버는 편심되게 설계된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통화하는 자세는 왼손으로 이동 단말을 왼쪽 귓가에 대고 통화하는 자세와 오른손으로 이동 단말을 오른쪽 귓가에 대고 통화하는 자세가 포함된다. 어떤 자세이든, 사운드 출력홀의 일부 영역이 귀에 의해 가려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리시버는 사운드 출력홀의 가려지지 않은 영역을 통해서만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시버의 편심 설계로 인해 사용자가 어느 한 자세로 통화를 할 때, 사운드 출력홀의 가려지지 않은 영역과 리시버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통화 음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어느 한 자세로 통화할 때 사운드 출력홀의 가려지지 않은 영역과 리시버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통화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스크린, 리시버 및 쉘을 포함하되, 스크린은 쉘에 배치되고, 리시버는 쉘 내부에 배치되고, 스크린 상에는 사운드 출력홀이 배치되고, 사운드 출력홀은 쉘 내부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 및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에 해당하고,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는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리시버와 연결되고,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는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리시버와 연결되고,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와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 차이값은 미리 설정된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통화할 때, 통화를 하는 자세가 왼손으로 이동 단말을 왼쪽 귓가에 대고 통화하는 자세인지, 오른손으로 단말을 오른쪽 귓가에 대고 통화하는 자세인지에 상관없이, 사운드 출력홀의 일부 영역이 귀에 가려진다. 사운드 출력홀의 가려진 영역이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에 해당하는 경우, 리시버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에 의해 재생될 수 있고, 사운드 출력홀의 가려진 영역이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에 해당하는 경우, 리시버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에서, 리시버에서 생성된 사운드는 두 개의 독립적인 경로를 통해 전파될 수 있고,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와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 차이값은 미리 설정된 범위에 있으므로, 각 사운드 출력구와 리시버 사이의 거리가 비슷하고, 사운드 가이드 채널은 사운드를 응축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두 경로의 재생 음질이 동일하고 음질이 더 좋아짐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사용자가 임의의 한 자세로 통화를 할 때, 사운드 출력홀의 가려지지 않은 영역과 리시버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도 통화 음질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리시버 편심으로 인한 볼륨 감소, 큰 왜곡 등 음질 저하 문제가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장점 및 기술적 효과에 대해 설명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부분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평면도 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평면도 2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평면도 3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평면도 4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평면도 5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부분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스크린, 리시버(1) 및 쉘을 포함하되, 스크린은 쉘에 배치되고, 리시버(1)는 쉘 내부에 배치되고, 스크린 상에는 사운드 출력홀이 배치되고, 사운드 출력홀은 쉘 내부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 및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에 해당하고,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는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을 통해 리시버(1)와 연결되고,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는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을 통해 리시버(1)와 연결되고,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의 길이와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의 길이 차이값은 미리 설정된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통화할 때, 통화를 하는 자세가 왼손으로 이동 단말을 왼쪽 귓가에 대고 통화하는 자세인지, 오른손으로 단말을 오른쪽 귓가에 대고 통화하는 자세인지에 상관없이, 사운드 출력홀의 일부 영역이 귀에 가려진다. 사운드 출력홀의 가려진 영역이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에 해당하는 경우, 리시버(1)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을 통해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에 의해 재생될 수 있고, 사운드 출력홀의 가려진 영역이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에 해당하는 경우, 리시버(1)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을 통해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에서, 리시버(1)에서 생성된 사운드는 두 개의 독립적인 경로를 통해 전파될 수 있고,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의 길이와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의 길이 차이값은 미리 설정된 범위에 있으므로, 각 사운드 출력구와 리시버(1) 사이의 거리가 비슷하고, 사운드 가이드 채널은 사운드를 응축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두 경로의 재생 음질이 동일하고 음질이 더 좋아짐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사용자가 임의의 한 자세로 통화를 할 때, 사운드 출력홀의 가려지지 않은 영역과 리시버(1)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도 통화 음질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리시버(1) 편심으로 인한 볼륨 감소, 큰 왜곡 등 음질 저하 문제가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의 길이와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의 길이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있으므로, 설계된 두 개의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가 비슷하여, 두 개의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전파된 후,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와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에 의해 재생되는 사운드의 크기가 일치하도록 보장할 수 있으므로, 리시버(1)의 편심으로 인해 좌측과 우측에서 출력되는 사운드가 불일치하게 되는 문제를 한층 더 개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의 길이와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의 길이는 동일하다.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의 길이와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의 길이가 동일하므로 리시버(1)에서 방출된 사운드가 두 경로를 지난 후 동시에 재생되고, 재생 볼륨도 완전히 일치하도록 보장함으로써, 통화 시 사용자의 자세와 상관없이 통화 음질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사운드 출력홀의 가려진 영역이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의 일부 또는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의 일부에 해당하는 경우, 리시버(1)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과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을 통해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 및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에 의해 동시에 재생되어 사운드 중첩이 구현되고 사운드 볼륨이 높아진다.
선택적으로, 두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가 비슷하거나 동일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리시버(1)에 연결되는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특정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동시에 해당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에 연결되는 위치도 한정되지 않으며, 궁극적인 목적은 두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가 비슷하거나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사운드 가이드 채널은 리시버(1)의 사운드 캐비티와 연결됨으로써, 리시버(1)에 의해 방출된 사운드는 사운드 캐비티를 거쳐 사운드 가이드 채널로 전파된 다음 해당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에 의해 재생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평면도 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평면도 2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리시버(1)가 편심되게 배치된 이동 단말에서, 일반적으로 전체 사운드 출력홀은 쉘 내의 독립적인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에 해당하며, 이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를 제3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6)라고 한다. 근접성의 원리에 기초하여, 제3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6)와 리시버(1) 사이에는 제3 사운드 가이드 채널(7)이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제3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6)에서 리시버(1)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분의 재생 음질만 보장할 수 있을 뿐, 전체 제3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6)의 재생 음질은 여전히 보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리시버(1)가 우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이동 단말에서, 사운드 출력홀은 제3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6)에 해당하고, 제3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6)의 우측과 리시버(1) 사이에 제3 사운드 가이드 채널(7)이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왼손으로 왼쪽 귓가에 대고 통화할 때, 좌측 출력홀이 귓불에 의해 가려지면, 리시버(1)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제3 사운드 가이드 채널(7)을 거쳐 제3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6)의 우측에서 재생되므로, 재생된 사운드의 볼륨 및 음질이 모두 정상이다. 또한,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오른쪽 귓가에 대고 통화할 때, 우측 출력홀이 귓불에 의해 가려지면, 리시버(1)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제3 사운드 가이드 채널(7)을 거쳐 제3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6)의 좌측에서 재생되므로, 사운드 출력 채널이 길어져 사운드가 작아지고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1)가 좌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이동 단말인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여기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조작 습관과 결합하여,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의 상이한 위치에 따른 재생 효과에 대해 각각 처리하여 재생 음질을 개선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서 리시버(1)가 편심되게 배치된 이동 단말에는 단일 사운드 가이드 채널이 구성되어 있으며, 테스트에서 오디오 객관 테스트 왜곡 지수가 틀에서 벗어나는 결과를 얻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중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구성하여, 오디오 객관 테스트 왜곡 지수가 틀에서 벗어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솔루션은 리시버(1)가 중앙에 배치되는 이동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의 길이와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의 길이의 차이값은 광대역 오디오의 최소 파장값의 절반보다 작다.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과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은 최대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설계되었으며, 설계상 일정한 오차는 허용되지만 오차는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서는 안된다.
이동 단말의 사이즈 제한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쉘 내부의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과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의 길이 값은 광대역 오디오의 최소 파장 값보다 훨씬 작다. 더 나아가,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의 길이와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의 길이의 차이값이 광대역 오디오의 최소 파장값의 절반보다 작고, 두 경로의 사운드가 동시에 전파되는 경우, 사운드 위상은 동일하고, 서로 중첩되어 증강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통화 볼륨의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두 경로의 사운드 파형이 상호 감쇠되는 현상을 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의 길이값과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의 길이값은 모두 광대역 오디오의 최소 파장값보다 작다.
여기서,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의 길이값과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의 길이값은 모두 0.0425m보다 작다.
공식에 기초하여, λ=v/f이고, 여기서 λ는 파장을 나타내고, v는 음속을 나타내고, f는 주파수를 나타낸다. 공기 중에서 음속은 340m/s이고, 현재 광대역 오디오의 최대 주파수는 8Khz이고, 최소 사운드 파장은 0.0425m(340/8000)이며,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 (4)과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 (5)은 최대한 동일하고, 0.0425m보다 훨씬 작게 설계되어, 두 경로의 사운드가 동시에 전파되는 경우, 사운드 위상이 동일하고, 상호 중첩되어 증강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통화 볼륨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평면도 3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평면도 4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평면도 5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와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는 쉘 상의 격리 기구(8)에 의해 격리된다.
여기서, 사운드 출력홀 및 아래의 해당 쉘 공간은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는 격리 기구(8)에 의해 독립적인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와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로 격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의 공간 크기와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의 공간 크기가 동일하도록 하기 위해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와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는 격리 기구(8)를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으므로, 두 채널을 통해 전파되는 사운드의 효과는 진일보 일치하게 된다.
예시적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리시버(1)인 경우, 좌우 방향으로 분리되어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와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설계에 기초하여,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과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로 구성된 장치는,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과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로 구성된 장치는 서로 간에 독립되어, 사운드 간 간섭으로 인해 재생 음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피한다.
선택적으로, 격리 기구(8)는 쉘 본체 구조의 일부이거나, 또는 격리 기구(8)는 쉘 상의 접착 구조이다.
예시적으로, 쉘 본체 구조에서, 두 개의 공간을 파내어 각각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와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로 사용하고, 두 개의 공간 사이에는 쉘 본체 구조의 일부를 보류하여 격리 기구(8)로 사용한다.
예시적으로, 쉘에 배치된 접착 구조에서, 두 개의 공간을 파내어 각각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와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로 사용하고, 두 개의 공간 사이에는 접착 구조의 일부를 보류하여 격리 기구(8)로 사용한다.
상기 격리 기구(8)에 기초하여, 독립적인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와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가 쉽게 형성될 수 있고, 새로운 부품이 추가로 필요되지 않으며, 가공 난이도가 낮고 생산 비용이 추가되지 않으며, 이동 단말의 내부 구조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사운드 출력홀은 장공홀이고, 사운드 출력홀은 스크린의 상단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사운드 출력홀은 스크린의 상단 가장자리와 평행되며, 리시버(1)는 스크린의 중축선의 제1 측 또는 제2 측에 배치된다.
풀 스크린에서, 궁극의 외관을 추구하기 위해 리시버(1)의 사운드 출력도 점점 초소형 슬릿, 협 슬릿에 의한 사운드 출력으로 설계된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물방울 노치 스크린에서, 스크린의 비표시 영역은 카메라를 배치하는 데 사용되며, 촬영 효과와 외관을 위해 카메라는 보통 스크린의 최상단 중앙에 배치되고, 사운드는 협 슬릿, 초소형 슬릿을 통해 출력되고, 사운드 출력홀은 스크린 상단 가장자리 중심에 배치되고, 사운드 출력홀은 화면 상단 가장자리와 평행되므로, 외관으로부터 볼 때 사운드 출력홀은 여전히 스크린의 중심에서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이 된다. 반면에, 리시버(1)는 스크린의 중심이 아닌 위치에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을 차지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리시버(1)는 스크린 아래의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에 배치된다.
종래의 기술에서, 리시버(1)가 스크린의 중심축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이한 방향의 파지 상태로 통화할 때, 한 방향에서는 리시버(1)와 가까운 사운드 출력홀의 영역이 귀에 의해 가려지는 상황이 발생되어 볼륨이 작게 느껴지고, 동시에 왜곡, 노이즈, 잡음 등 상황이 존재하며, 다른 한 방향에서는 리시버(1)가 사운드 출력홀과 가까우므로 볼륨, 음질이 정상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이동 단말에는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 및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이 설계되고,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와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가 분리되어, 리시버(1)의 편심 설계로 인해 한 방향에서 통화할 때 볼륨이 작고, 왜곡이 발생되는 것과 같은 음질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은 단면 스크린 또는 양면 스크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리시버(1)는 스크린의 중심축의 제1 측 또는 제2 측에 배치된다. 상이한 이동 단말에서, 리시버(1)는 스크린 중축선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리시버(1)는 스크린 중축선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리시버(1)는 스크린 중축선의 다른 방향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이동 단말은 카메라 모듈(9)을 더 포함하되, 카메라 모듈(9)은 카메라 및 카메라를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을 포함하고, 브래킷에는 제1 중공부(91)와 제2 중공부(92)가 형성되고, 브래킷 상의 제1 중공부(91)와 다중 섹션 파이프라인이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을 구성하고, 브래킷 상의 제2 중공부(92)와 다중 섹션 파이프라인이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 (5)를 구성한다.
예시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9)은 스크린의 중축선에 배치되고, 리시버(1)는 카메라 모듈(9)의 우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왼손으로 왼쪽 귓가에 대고 통화를 할 때,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가 귓불에 의해 가려지면, 리시버(1)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을 통해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에 의해 재생되고, 사용자가 오른손을 오른쪽 귓가에 대고 통화할 때,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3)가 귓불에 의해 가려지면, 리시버(1)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을 통해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2)에 의해 재생된다. 두 가지 경우, 사운드 출력 채널의 길이가 비슷하여, 사운드 출력 채널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른 볼륨 저감 및 왜곡 현상을 피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에 존재하는 단점은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낮은 재생음을 방지하고, 사운드 가이드 채널이 이동 단말기 내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는 가능한 짧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일부로서 브래킷의 내부가 파여져 사운드 가이드 채널이 이동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중공부(91) 및 제2 중공부(92)는 각각 브래킷의 서로 다른 두 위치에서 중공될 수 있다. 제1 중공부(91) 및 제2 중공부(92)의 위치, 형상, 크기 및 기타 특징은 브래킷의 구조적 특징, 이동 단말의 내부 레이아웃,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특징 등에 따라 다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9)에서, 브래킷은 카메라, 칩 등의 주위에 배치됨으로써, 브래킷의 내부를 파내어 제1 중공부(91)와 제2 중공부(92)를 형성해도 카메라, 칩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여기서, 리시버(1)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이동 단말인 경우, 브래킷의 좌측 및 우측에는 제1 중공부(91)와 제2 중공부(9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의 좌측에 형성된 제1 중공부(91)는 스크린의 좌측 영역에서 다중 섹션 파이프라인과 연결되어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을 구성하고, 사운드 출력홀에 해당하는 좌측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에 연결된다. 이에 대응하여, 브래킷 우측에 형성된 제2 중공부(92)는 스크린의 우측 영역에서 다중 섹션 파이프라인과 연결되어,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을 구성하고, 사운드 출력홀에 해당하는 우측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중공부(91) 및 제2 중공부(92)는 브래킷이 고유의 기능, 예를 들어 카메라 고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브래킷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여기서, 제1 중공부(91)와 다중 섹션 파이프라인은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을 형성하고, 브라켓 상의 제2 중공부(92)와 다중 섹션 파이프라인은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을 형성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와 중공부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연결되거나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가 중공부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며, 리시버(1)와 중공부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리시버(1)가 중공부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파이프라인의 수량과 형상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중공부(91)와 제2 중공부(92)는 각각 브래킷의 두 개 관통홀이며, 관통홀의 단면과 관통홀에 연결된 파이프라인의 단면의 형상은 일치하고, 관통홀의 단면과 관통홀에 연결된 파이프라인의 단면의 면적은 일치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공부는 브래킷 상의 관통홀일 수 있고, 관통홀과 관통홀에 연결된 파이프라인의 단면은 면적, 형상이 모두 일치함으로써, 중공부와 다중 섹션 파이프라인이 독립적인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구성한다.
여기서, 관통홀의 가공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일반 파이프라인과 연결이 용이하여, 가공 비용이 절감되고 조작 공정이 단순화된다.
선택적으로, 스크린의 비표시 영역의 형상은 물방울 모양이다.
물방울 모양의 비표시 영역은 카메라를 배치하는 데 사용됨으로써, 스크린의 표시 영역 면적을 최대화한다.
선택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쉘은 스크린을 둘러싸는 중간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지적해야 할 것은,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4)과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5)을 예시적으로만 나타내며 형상, 위치, 길이 등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추가하는 것을 통해 이동 단말 내부의 사운드를 2개의 독립적인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로 각각 유도하며, 2개의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와 2개의 사운드 가이드 채널은 3차원 전도 구조를 형성하여 사원드의 중첩을 구현하고, 오디오 볼륨을 향상시키고, 리시버의 편심 배치로 인해 볼륨이 작고 사운드가 왜곡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개선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하다’, ‘갖는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가리키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하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조건하에, 다양한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안의 구성요소는 균등물로 대체될 수 있다. 특히, 구조적 충돌이 없는 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언급된 다양한 기술적 특징은 어떤 방식으로든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기술적 솔루션을 포함한다.

Claims (10)

  1. 이동 단말에 있어서, 스크린, 리시버 및 쉘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은 상기 쉘에 배치되고, 상기 리시버는 상기 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 상에는 사운드 출력홀이 배치되고, 상기 사운드 출력홀은 상기 쉘 내부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 및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는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상기 리시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는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통해 상기 리시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와 상기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 차이값은 미리 설정된 범위에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은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에는 제1 중공부 및 제2 중공부가 배치되며,
    상기 브래킷 상의 제1 중공부와 다중 섹션 파이프라인이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구성하고,
    상기 브래킷 상의 제2 중공부와 다중 섹션 파이프라인이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와 상기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와 상기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 차이값은 광대역 오디오의 최소 파장값의 절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 값과 상기 제2 사운드 가이드 채널의 길이 값은 광대역 음성의 최소 파장 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와 상기 제2 전면 캐비티 사운드 출력구는 상기 쉘 상의 격리 기구에 의해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기구는 상기 쉘의 본체 구조의 일부이거나, 또는 상기 격리 기구는 상기 쉘 상의 접착 구조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홀은 장공홀이고, 상기 사운드 출력홀은 상기 스크린의 상단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사운드 출력홀은 상기 스크린의 상단 가장자리와 평행되고,
    상기 리시버는 스크린 중축선의 제1 측 또는 제2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부와 상기 제2 중공부는 각각 상기 브래킷 상의 두 개의 관통홀이고, 상기 관통홀의 단면과 상기 관통홀에 연결된 파이프라인의 단면은 형상이 일치하고, 상기 관통홀의 단면과 상기 관통홀에 연결된 파이프라인의 단면은 면적이 일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비표시 영역의 형상은 물방울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0. 삭제
KR1020217036586A 2019-04-24 2020-03-27 이동 단말 KR102559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335593.XA CN110113453B (zh) 2019-04-24 2019-04-24 一种移动终端
CN201910335593.X 2019-04-24
PCT/CN2020/081845 WO2020215993A1 (zh) 2019-04-24 2020-03-27 移动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822A KR20210145822A (ko) 2021-12-02
KR102559802B1 true KR102559802B1 (ko) 2023-07-25

Family

ID=67486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586A KR102559802B1 (ko) 2019-04-24 2020-03-27 이동 단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05341B2 (ko)
EP (1) EP3962043B1 (ko)
KR (1) KR102559802B1 (ko)
CN (1) CN110113453B (ko)
AU (1) AU2020261764B2 (ko)
ES (1) ES2950860T3 (ko)
WO (1) WO2020215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3453B (zh) * 2019-04-24 2021-04-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10971732B (zh) * 2019-11-28 2021-11-26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终端
CN110944079B (zh) * 2019-11-29 2021-06-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10098696A (ko) 2020-02-03 2021-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도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1701A (ko)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및 스피커를 위한 음향 출력 경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CN112738312B (zh) * 2020-12-31 2022-10-25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的中框组件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9432A (ja) * 2002-12-09 2006-03-16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音のチャネル・ポーティングを介して音圧レベルの消散をもたらす無線端末
JP2006279260A (ja) * 2005-03-28 2006-10-12 Nec Saitama Ltd 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7974A1 (en) * 2001-03-09 2002-09-12 Song Chang June Shielded speaker for wireless telephones
US8090136B2 (en) * 2005-07-29 2012-01-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offset sound openings
CN201491201U (zh) * 2009-07-13 2010-05-26 欧拉电声有限公司 一种新型扬声器系统
JP4953490B1 (ja) * 2011-09-12 2012-06-13 音茶楽株式会社 ツィンドライバーイヤホン
TWI493982B (zh) * 2012-10-04 2015-07-21 Acer Inc 行動裝置
CN103442101A (zh) * 2013-08-01 2013-12-11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电子装置的外壳及其制造方法
CN104409263B (zh) * 2014-11-11 2017-05-24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扩展按键及一种移动终端
CN107734092B (zh) * 2017-10-12 2019-09-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207819992U (zh) * 2017-12-26 2018-09-04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手机听筒及手机
EP3543995A1 (en) * 2018-03-20 2019-09-2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and mobile terminal
CN108390972B (zh) * 2018-05-29 2020-08-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8810678B (zh) * 2018-06-28 2020-08-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8924715A (zh) * 2018-09-12 2018-11-30 歌尔股份有限公司 电子终端
CN109509403A (zh) * 2018-11-30 2019-03-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屏及显示装置
CN110113453B (zh) * 2019-04-24 2021-04-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9432A (ja) * 2002-12-09 2006-03-16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音のチャネル・ポーティングを介して音圧レベルの消散をもたらす無線端末
JP2006279260A (ja) * 2005-03-28 2006-10-12 Nec Saitama Ltd 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5993A1 (zh) 2020-10-29
US11805341B2 (en) 2023-10-31
EP3962043A4 (en) 2022-06-15
EP3962043A1 (en) 2022-03-02
AU2020261764A1 (en) 2021-12-02
CN110113453B (zh) 2021-04-06
AU2020261764B2 (en) 2023-01-05
EP3962043B1 (en) 2023-07-12
KR20210145822A (ko) 2021-12-02
ES2950860T3 (es) 2023-10-16
CN110113453A (zh) 2019-08-09
US20220046345A1 (en)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9802B1 (ko) 이동 단말
US10257607B2 (en) Headphones with frequency-based divisions
CN110944079B (zh) 电子设备
US11716583B2 (en) Mobile terminal with at least two transducers
CN108769879B (zh) 后音腔组件及电子设备
CN110944078B (zh) 电子设备
KR20060034355A (ko) 공명 공간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CN111225086A (zh) 电子设备
JP2006509432A (ja) 音のチャネル・ポーティングを介して音圧レベルの消散をもたらす無線端末
CN114866887A (zh) 一种扬声器模组和智能穿戴设备
JP2003319484A (ja) ステレオイヤフォン装置
AU701640B2 (en) Embedded higher order microphone
KR20220079823A (ko) 전자 디바이스
US8238572B2 (en) Speaker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outputting high quality sound
CN115696122A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US9838778B2 (en) Speak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peaker
KR100663490B1 (ko) 안테나 실장 공간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CN218499233U (zh) 电子设备
WO201108223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non-visually interfering ducting through a transparent housing po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