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427B1 - 식물 재배 구조물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427B1
KR102559427B1 KR1020200147476A KR20200147476A KR102559427B1 KR 102559427 B1 KR102559427 B1 KR 102559427B1 KR 1020200147476 A KR1020200147476 A KR 1020200147476A KR 20200147476 A KR20200147476 A KR 20200147476A KR 102559427 B1 KR102559427 B1 KR 102559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ound
frames
plant cultivatio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1468A (ko
Inventor
김헌수
Original Assignee
김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수 filed Critical 김헌수
Priority to KR1020200147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4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61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1Tunnel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rows of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실시예의 식물 재배 구조물은, 내부에 흙이나 모래가 채워지고, 지오텍스타일 또는 직물로 만들어진 축조 유닛과, 상기 축조 유닛 복수개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면에 세워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축조 유닛들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 또는 연결되어 축조됨으로써, 상기 축조 유닛에 식물이 재배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식물 재배 구조물{Structure for cultivating}
본 발명은 식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물에 대한 것으로서, 기존의 농경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즉, 한정된 농경지 면적을 증가시켜 더 많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식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의 경우, 대부분 아파트나 건물 등에 소규모로 간이 재배할 수 있는 것들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에 제안된 바 있는 식물 재배를 할 수 있는 장치/구조물 중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82214호와, 한국 등록특허 제10-0332158호, 제10-500019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82214호에는, 단위체의 모종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물재배홈이 형성된 독립개체 하우징의 조합으로 구성되되, 각 개별 하우징이 층별로 상호 배열조합되어 있는 재배하우징 조립체와, 상기 재배하우징 조립체의 최상단으로부터 최하단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급수관으로부터 제공되는 식물 생장에 필요한 물을 각 개별 재배하우징의 식물재배홈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관개수홀이 각 층마다 형성되어 있는 관개수와, 상기 재배하우징 조립체의 최상단으로부터 최하단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각 개별 재배하우징의 식물재배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수홀이 형성되어 식물재배홈으로부터 누출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수로와, 각 층에 위치되어 있는 관개수로의 관개수홀에 일단이 연결되어 물을 출입시키며, 관개수로로부터 식물 재배홈측으로 공입되는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수량조절수단 및 상기 수량조절수단의 유출홀에 연결되며, 각 개별 재배하우징의 식물재배홈에 물방울 형태로 공급하기 위한 적수(滴水)분배수단을 포함하는 입체식물 재배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332158호에는 다층으로 직립되게 형성된 공중 재배기와, 공중 재배기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기구와, 다층의 공중 재배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받침대와, 영양분액을 공중 재배기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호수가 내장된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상단에 설치되어 영양분액을 분출하기 위한 분수기와, 상기 간격 유지구 아래의 파이프 위치에 설치되어 분수기에서 영양분액이 공중 재배기로 살포되도록 하기 위한 확산 패드와, 순환펌프가 내장된 양액탱크를 포함한 적층식 자동 재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0500019호에는 다층으로 직립되게 형성되며, 다수의 횡열로 배열된 공중재배기와, 공중재배기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구와, 다층의 공중재배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받침대와, 횡열배열된 다수의 공중재배기 사이에 설치되며, 다수의 분기관이 형성된 수직관과, 상기 각 수직관에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관과, 상기 수직관의 분기관에 연결되며, 개별 공중재배기에 각각 물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과, 상기 공중재배기의 하부로 배출되는 물을 집수하여 다시 외부의 급수조에 유입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물 순환관과, 상기 하부 물순환관을 통해 유입된 물을 히팅시켜 순환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온도조절이 가능한 적층식 식물재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기술들은 좁은 공간을 활용해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장치들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들을 논이나 밭과 같은 농경지에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오히려, 농경지에서 직접 재배하는 것보다 오히려 실제 재배 면적이 좁아져, 한정된 면적을 효율적으로 이용한다고 보기 어렵다.
본 발명은 논이나 밭에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농경지의 제한된 면적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농경지를 이용하면서도 더 많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시예의 식물 재배 구조물은, 내부에 흙이나 모래가 채워지고, 지오텍스타일 또는 직물로 만들어진 축조 유닛과, 상기 축조 유닛 복수개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면에 세워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축조 유닛들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 또는 연결되어 축조됨으로써, 상기 축조 유닛에 식물이 재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 단부는 지면에 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는 지면과 평행한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소정의 곡률을 갖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축조 유닛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스트랩은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배열된 축조 유닛들의 내부를 통과하거나 상기 축조 유닛들의 외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축조 유닛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스트랩은 하층의 축조 유닛부터 상층의 축조 유닛의 방향으로 배열된 축조 유닛들의 내부를 통과하거나 상기 축조 유닛들의 외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방형의 프레임들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하고 상기 프레임들의 일측 단부에 접하는 프레임들을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하여 상기 프레임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각각의 일측면에 상기 축조 유닛을 쌓아올려서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물에 의해서, 프레임의 다양한 모양, 위치, 배열을 이용하여 식물 재배가 가능한 농경지를 확대시킬 수 있으며, 구조물의 다양한 형상으로의 구축이 가능하여 식물 재배 면적을 증대시키는 효과 뿐만 아니라 조경물로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구조물이 농경지에 복수개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식물 재배 구조물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식물 재배 구조물의 프레임을 다양하게 형성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구조물이 농경지에 복수개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식물 재배 구조물은 도시된 바와 같은 논이나 밭 위에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식물이 재배될 수 있는 땅 위에만 설치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실시예의 구조물에 의해서 식물이 재배될 수 없는 공간에서도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밭이나 논과 같은 농경지 상에 본 실시예의 식물 재배 구조물이 설치되면, 한정된 땅의 면적을 물리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더 많은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의 식물 재배 구조물에 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여 본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식물 재배 구조물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식물 재배 구조물은 식생 토낭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식생 토낭(120)들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10)은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양측 단부가 지면에 닿도록 구성됨으로써, 내부 공간을 갖도록 배치된다.
실시예의 식물 재배 구조물(10)은, 지면에서 세워지면서 좌우측과 상측에 축조 유닛(120)을 연결하거나 쌓을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연결 또는 결합되거나 놓여지는 유닛으로서, 프레임(110) 좌우측과 상측에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토양이 되는 축조 유닛(12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축조 유닛(120)은 흙이나 모래가 채워진 토낭으로 이해하여도 좋으며, 축조 유닛(120) 각각은 내구성이 있는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재료와, 물이 보호낭과 식생 토낭을 통과하여 흘러들어올 수 있고 씨가 발아할 수 있는 직물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들 보호낭과 식생 토낭에는 미세한 흙입자들과 발아될 수 있는 식물의 씨앗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조 유닛(120)은 가로변(A), 세로변(B) 및 높이(C)를 갖으면서 세로변(B)의 길이가 가로변(A)보다 긴 장방형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가로변(A)은 30cm 정도로, 세로변(B)은 70cm 정도로, 높이(C)는 15cm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조 유닛(120) 내에 발아될 수 있는 식물의 씨앗을 포함시킬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축조 유닛 상에 제 2 축조 유닛을 쌓고, 순차적으로 각각의 축조 유닛을 쌓은 다음, 상추나 딸기, 고추와 같은 식물의 모종을 상기 축조 유닛(120) 내에 심으면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은 목재, 철재 등의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면 충분하고, 복수개의 축조 유닛들을 좌우측과 상측에 결합 또는 쌓을 수 있는 강도와 모양을 갖으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프레임(110)과 복수의 축조 유닛(120)을 통해, 식물 재배 구조물(10)이 형성되며, 기존의 한정된 면적 중 일면을 A라고 하였을 때, 좌우측으로 축조 유닛의 길이만큼 각각 더 확장될 수 있고, 프레임(110)의 좌우측에서 프레임 중앙 부위의 높이까지 연속해서 추가적인 농경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특성상, 반드시 지면이 농경지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식물 재배가 어려운 지면에서도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면이 논이나 밭인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110) 내측의 지면에는 여전히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좌우측과 상측이 축조 유닛에 의해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온실 효과를 낼 수 있으며, 내부에 조명이 추가구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식생 토낭, 즉, 축조 유닛들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과 배수관이 별도로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물을 흡수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급수관을 프레임 상측부(중앙부)에 연결하고, 배수관을 프레임 하측부(좌우측)에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식물 재배 구조물의 프레임을 다양하게 형성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서 직사각 형상에 가까운 프레임(110a)을 형성하거나, 기존의 비닐하우스 보다 좁은 폭을 갖으면서 상측부가 라운드 형성된 프레임(110b)을 형성하거나, 기존의 비닐하우스 보다 넓은 폭을 갖으면서 상측부가 라운드 형성된 프레임(110c)을 형성하는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프레임을 구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가 지면과 평행한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소정의 곡률을 갖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축조 유닛(120)의 결합이나 고정에 관해서는, 프레임이 수직하게 세워지지 않는 경우에는 쌓여지는 축조 유닛의 무게에 의해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각 축조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스트랩(130)을 구성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 스트랩(130)은 각각의 축조 유닛(120)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축조 유닛(120) 외면에서 축조 유닛들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연결 스트랩(130)이 축조 유닛(120) 내부를 관통한 다음 인접한 측방향의 축조 유닛 또는 수직방향의 축조 유닛 내부로 관통됨으로써 각각의 축조 유닛들을 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연결 스트랩(130)은 하층의 축조 유닛을 관통한 다음 상층의 축조 유닛 내부를 관통하고, 이러한 연결이 그 위의 상층 축조 유닛까지 계속하여 반복됨으로써, 프레임을 둘러싼 축조 유닛들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구조물이 도 4에 예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구조물의 경우, 양 단부가 지면에 닿는 프레임(110)을 복수개 구성하고, 각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물들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시킬 수 있다. 즉, 제 1 프레임 하우스(111) 내지 제 3 프레임 하우스(113)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제 1 프레임 하우스(111)와 제 2 프레임 하우스(112) 사이에 사람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통로(200)를 구성시키고, 제 2 프레임 하우스(112)와 제 3 프레임 하우스(113) 사이에도 통로(200)를 구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축조 유닛(120)들은 지면과 수명하게 배치되는 연결 스트랩(130)들로 상호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하우스의 전방과 후방 뿐만 아니라 측방향에 형성된 통로(200)를 이용하여 식물 재배 구조물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식물 재배 구조물을 평면으로 관찰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장방형의 프레임(110)들을 지면에 수직하게 세우고, 단부가 접하는 프레임(110)들을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함으로써,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축조 유닛(120)을 쌓아올리고, 상기 축조 유닛(120)에 식물을 재배하도록 하는 실시예이다. 장방형의 각 프레임(110)들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각 프레임(110)들의 일측면에는 축조 유닛(120)들이 배치되어 있어, 프레임과 축조 유닛으로 구성된 구조물의 어느 일방향으로 붕괴되거나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Claims (5)

  1. 내부에 흙이나 모래가 채워지고, 지오텍스타일 또는 직물로 만들어진 축조 유닛과,
    상기 축조 유닛 복수개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면에 세워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축조 유닛들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 또는 연결되어 축조됨으로써, 상기 축조 유닛에 식물이 재배되도록 하고,
    상기 축조 유닛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 단부는 지면에 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는 지면과 평행한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소정의 곡률을 갖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스트랩은 하층의 축조 유닛부터 상층의 축조 유닛의 방향으로 배열된 축조 유닛들의 내부를 통과함으로써, 각각의 축조 유닛들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장방형의 프레임들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하고 상기 프레임들의 일측 단부에 접하는 프레임들을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하여 상기 프레임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거나, 상기 프레임은 지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1 프레임 하우스와 제 2 프레임 하우스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 1 프레임 하우스와 제 2 프레임 하우스 사이에는 통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47476A 2020-11-06 2020-11-06 식물 재배 구조물 KR102559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476A KR102559427B1 (ko) 2020-11-06 2020-11-06 식물 재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476A KR102559427B1 (ko) 2020-11-06 2020-11-06 식물 재배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468A KR20220061468A (ko) 2022-05-13
KR102559427B1 true KR102559427B1 (ko) 2023-07-25

Family

ID=8158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476A KR102559427B1 (ko) 2020-11-06 2020-11-06 식물 재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4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641B1 (ko) * 2004-10-18 2005-11-02 솔라원 환경기술(주)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641B1 (ko) * 2004-10-18 2005-11-02 솔라원 환경기술(주)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468A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1776A (en) Multi-layered, porous mat turf irrig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798746B2 (en) Modular, self contained, engineered irrigation landscape and flower bed panel
KR101625647B1 (ko) 인삼 수경 재배 시스템
US20100005716A1 (en) Portable Apparatus for Promoting and Containing Plant Growth
KR20010029409A (ko) 식물의 재배장치
KR20060058072A (ko)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CN101980635A (zh) 用于提高产量的生长系统
KR101419119B1 (ko) 수직형 녹화구조물
KR101926988B1 (ko)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RU2247487C2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участков растительности
JP2004041182A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KR102559427B1 (ko) 식물 재배 구조물
CN106717802B (zh) 山药的种植装置以及栽培方法
JP4928992B2 (ja) 底面潅水用給水パネル及び同パネル用の栽培ポット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栽培システム
US11647705B2 (en) In-ground agricultural liquid capture tray and agricultural liquid conservation system
JPH1156108A (ja) プランター
KR20130140243A (ko) 플라스틱 파이프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JP2631958B2 (ja) 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多孔質層形成ユニット、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パイプユニット並びにスポーツグラウンドの施工方法
JP6628461B1 (ja) 植栽構造体
JP3071168B2 (ja) 高設栽培装置
JP3514713B2 (ja) 栽培用容器
JP7491520B2 (ja) ワサビ栽培システム
AU600474B2 (en) Horticultural mulch matting
RU2581243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поливной системы культурного газона
WO2022114098A1 (ja) 沢わさび栽培システム及び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