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113B1 -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113B1
KR102559113B1 KR1020210127819A KR20210127819A KR102559113B1 KR 102559113 B1 KR102559113 B1 KR 102559113B1 KR 1020210127819 A KR1020210127819 A KR 1020210127819A KR 20210127819 A KR20210127819 A KR 20210127819A KR 102559113 B1 KR102559113 B1 KR 102559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pport
suspension arm
coupling
bal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5225A (ko
Inventor
최강희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210127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113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서브프레임에 연결되는 로드부와, 로드부에 결합되고, 차량의 휠과 연결되는 볼조인트부와, 로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로부터 볼조인트부를 보호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SUSPENSION ARM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이물질에 의한 볼조인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Suspension)은 차량의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로써 차체를 휠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휠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서스펜션은 휠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과, 스프링의 작용을 조절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와, 휠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암(Arm)이나 링크, 차량의 롤링(Rolling)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등을 포함한다.
종래의 서스펜션 암은 차량의 휠에 연결되는 볼조인트를 로드의 일단에 용접으로 연결하고, 로드의 타단을 부시 등을 매개로 차량의 서브프레임에 볼트 체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정면 또는 측면 충돌 시 볼조인트가 쉽게 변형되어 운전자의 사고 위험이 커지게 되고, 과속 방지턱이나 비포장 도로 등 주행 중 자갈 및 수분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해 볼조인트가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60107호(2006.06.05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의 턴버클 타입 리어 어시스트암)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이물질에 의한 볼조인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는: 차량의 서브프레임에 연결되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에 결합되고, 차량의 휠과 연결되는 볼조인트부; 상기 로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로부터 상기 볼조인트부를 보호하는 보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로드부의 양측 둘레를 각각 감싸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보호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한 쌍의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제1고정부; 및 한 쌍의 상기 지지부재 중 나머지 하나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고정부에 삽입되어 한 쌍의 상기 지지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는, 상기 볼조인트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보호부재; 상기 보호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결합홀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단부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결합홀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삽입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는 보호부에 의해 볼조인트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자갈, 수분 등과 같은 이물질이 노면으로부터 볼조인트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음에 따라 볼조인트부의 변형 및 부식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는 지지부가 로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보호부가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고, 정비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1)는 로드부(100), 볼조인트부(200), 지지부(300), 보호부(400)를 포함한다.
로드부(100)는 차량의 서브프레임(미도시)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부(100)는 차량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차량의 휠을 향해 연장되는 막대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로드부(100)의 일단은 부시(110)를 매개로 차량의 서브프레임에 연결된다. 로드부(100)는 부시(110)를 축으로 하여 상하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로드부(100)는 차량의 서브프레임과 휠의 상대 운동에 따른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스틸 등과 같은 높은 강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볼조인트부(200)는 로드부(100)에 결합되고, 차량의 휠(미도시)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조인트부(200)는 일측이 로드부(100)의 타단부 즉, 부시(110)의 반대측 단부에 결합된다. 볼조인트부(200)의 일측은 로드부(100)의 타단부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용접됨에 따라 로드부(10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볼조인트부(200)의 타측은 로드부(100)로부터 차량의 휠을 향해 연장되고, 차량의 휠에 구비되는 너클과 연결된다. 볼조인트부(2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휠과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볼조인트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지지부(300)는 로드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술하는 보호부(400)를 지지한다. 지지부(300)는 로드부(100)에 결합되어 로드부(100)의 강성을 보강함과 동시에, 로드부(100)에 보호부(400)의 지지를 위한 좌면을 확보하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 지지부(300)는 자체적인 중량을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PA66과 같은 합성 수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00)는 지지부재(310), 제1결합부(320), 제1고정부(330), 제2고정부(34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31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로드부(100)의 양측 둘레를 각각 감싸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지지부재(31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박스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재(310)는 로드부(100)를 사이에 두고 로드부(100)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지지부재(31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시 내측면끼리 접촉되며 후술하는 제1고정부(330)와 제2고정부(340)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한 쌍의 지지부재(310)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호 분리된다.
지지부재(310)의 내측면에는 로드부(100)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는 지지부재(310)의 내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는 로드부(100)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수용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지지부재(31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용부는 한 쌍의 지지부재(31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내부로 로드부(100)가 삽입된다. 한 쌍의 수용부는 한 쌍의 지지부재(310)의 내측면이 상호 접촉됨에 따라 내측면이 각각 로드부(100)의 일측과 타측 둘레에 밀착된다.
제1결합부(320)는 지지부재(310)로부터 연장되고, 후술하는 보호부(4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320)는 돌출부(321), 플레이트부(322), 결합홀부(323)를 포함한다.
돌출부(321)는 지지부재(31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돌출되고, 후술하는 플레이트부(322)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321)는 지지부재(310)의 외측면으로부터 로드부(10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돌출되는 기둥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322)는 돌출부(321)로부터 연장되고, 지지부재(310)의 외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321)의 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322)는 내측면이 지지부재(310)의 외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부재(310)의 외측면과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플레이트부(322)가 지지부재(310)와 이격되는 간격은 돌출부(321)의 돌출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결합홀부(323)는 플레이트부(322)에 후술하는 제2결합부(43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홀부(323)는 플레이트부(322)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부(323)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결합홀부(323)는 플레이트부(322)의 서로 다른 모서리 부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부(330)와 제2고정부(340)는 한 쌍의 지지부재(310)에 각각 구비된다. 제1고정부(330)와 제2고정부(340)는 한 쌍의 지지부재(310)의 내측면이 접촉 되는 경우, 서로 체결되어 한 쌍의 지지부재(310)를 상호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330)는 한 쌍의 지지부재(310)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310)의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330)는 대략 십(十)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33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지지부재(310)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2열 이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340)는 한 쌍의 지지부재(310) 중 나머지 하나의 지지부재(310)의 내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돌기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340)는 제1고정부(330)와 마찬가지로 대략 십(十)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340)는 한 쌍의 지지부재(31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내측면이 서로 접촉됨에 따라 제1고정부(330)의 내부로 삽입되어 한 쌍의 지지부재(310)를 상호 고정시킨다. 이 경우, 제2고정부(340)의 두께는 제1고정부(33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고정부(340)는 제1고정부(330)의 내부로 삽입 시 제1고정부(330)의 내측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제2고정부(34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제1고정부(330)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지지부재(310)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2열 이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보호부(400)는 볼조인트부(200)의 외측에 설치되고, 지지부(300)에 의해 지지된다. 보호부(400)는 볼조인트부(200)의 외측을 감싸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로부터 볼조인트부(200)를 보호한다. 이에 따라 보호부(400)는 차량의 주행 중 충돌이나 외부의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볼조인트부(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400)는 보호부재(410), 연장부(420), 제2결합부(430)를 포함한다.
보호부재(410)는 보호부(400)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고, 볼조인트부(20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410)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측이 개구된 컵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호부재(410)는 내부로 볼조인트부(200)의 하측 부분이 삽입되어 볼조인트부(200)의 하측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된다. 보호부재(410)는 우레탄 러버 등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어 볼조인트부(200)의 하측 둘레면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보호부재(410)는 볼조인트부(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자체적인 탄성복원력에 의해 흡수할 수 있고, 노면으로부터 자갈, 수분 등과 같은 이물질이 볼조인트부(2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연장부(420)는 보호부재(410)로부터 연장되고, 플레이트부(322)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420)는 보호부재(410)의 단부로부터 로드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420)는 내측면이 플레이트부(322)의 외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연장부(42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보호부재(410)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연장부(420)는 한 쌍의 플레이트부(322)와 각각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2결합부(430)는 연장부(420)로부터 돌출되고, 제1결합부(3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430)는 삽입부(431), 가이드부(432), 걸림부(433)를 포함한다.
삽입부(431)는 연장부(420)로부터 플레이트부(322)를 향해 연장되고, 결합홀부(323)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431)는 연장부(420)의 내측면으로부터 플레이트부(322)의 외측면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기둥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431)는 중심축이 결합홀부(323)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삽입부(431)는 연장부(420)가 플레이트부(322)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결합홀부(323)의 내부로 삽입된다. 삽입부(431)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삽입부(431)는 결합홀부(323)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결합홀부(323)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가이드부(432)는 삽입부(431)의 단부에 구비되고, 삽입부(431)가 결합홀부(323)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432)는 삽입부(431)의 단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고, 삽입부(4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432)는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향할수록 직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432)의 전단부의 직경은 결합홀부(32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후단부의 직경은 결합홀부(32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432)는 결합홀부(323)로의 최초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결합홀부(323)에 대한 삽입부(431)의 상대 위치를 정위치로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432)는 후단부에 후술하는 걸림부(433)가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가이드부(432)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432)는 결합홀부(323)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외측면이 결합홀부(323)의 내측면에 간섭되어 탄성 변형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432)는 직경이 결합홀부(32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후단부까지 결합홀부(323)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433)는 가이드부(432)와 삽입부(431)의 사이에 구비되고, 플레이트부(322)에 걸림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433)는 가이드부(432)의 후단부로부터 삽입부(431)의 외측면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 경우, 걸림부(433)는 가이드부(432)의 후면인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걸림부(433)는 삽입부(431) 및 가이드부(432)가 결합홀부(323)로 삽입됨에 따라 플레이트부(322)의 내측면에 접해 플레이트부(322)에 걸림 결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 100 : 로드부
110 : 부시 200 : 볼조인트부
300 : 지지부 310 : 지지부재
320 : 제1결합부 321 : 돌출부
322 : 플레이트부 323 : 결합홀부
330 : 제1고정부 340 : 제2고정부
400 : 보호부 410 : 보호부재
420 : 연장부 430 : 제2결합부
431 : 삽입부 432 : 가이드부
433 : 걸림부

Claims (7)

  1. 차량의 서브프레임에 연결되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에 결합되고, 차량의 휠과 연결되는 볼조인트부;
    상기 로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로부터 상기 볼조인트부를 보호하는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로드부의 양측 둘레를 각각 감싸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보호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
    한 쌍의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제1고정부; 및
    한 쌍의 상기 지지부재 중 나머지 하나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고정부에 삽입되어 한 쌍의 상기 지지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볼조인트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보호부재;
    상기 보호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결합홀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단부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결합홀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삽입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
KR1020210127819A 2021-09-28 2021-09-28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 KR102559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819A KR102559113B1 (ko) 2021-09-28 2021-09-28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819A KR102559113B1 (ko) 2021-09-28 2021-09-28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225A KR20230045225A (ko) 2023-04-04
KR102559113B1 true KR102559113B1 (ko) 2023-07-25

Family

ID=8592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819A KR102559113B1 (ko) 2021-09-28 2021-09-28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1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3897A (ja) 2006-02-02 2007-08-16 Tokai Rubber Ind Ltd 着氷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KR101454624B1 (ko) 2013-09-30 2014-10-27 주식회사화신 링크용 보호덮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0691B2 (en) * 2004-06-24 2009-04-21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Protected stabilizer link or tie rod and ball race protecting cap
KR20170051805A (ko) * 2015-11-02 2017-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어시스트 암의 프로텍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3897A (ja) 2006-02-02 2007-08-16 Tokai Rubber Ind Ltd 着氷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KR101454624B1 (ko) 2013-09-30 2014-10-27 주식회사화신 링크용 보호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225A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340B1 (ko) 멀티 링크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US7270341B2 (en) Vehicle suspension with improved radius arm to axle attachment
US20170015359A1 (en)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axle
KR102559113B1 (ko) 차량용 서스펜션 암 장치
KR100461602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CN110962517A (zh) 车辆用悬架臂
KR20160050435A (ko)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KR101361246B1 (ko) 자동차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KR100580515B1 (ko)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CN107921836B (zh) 用于至少一个机动车辆后轮的悬挂装置
KR102263724B1 (ko) 차량의 서스펜션
KR101338429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JP7311056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0423313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230083573A (ko) 서스펜션용 부시
KR100655331B1 (ko) 지게차의 액슬빔 지지장치
KR102258480B1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KR100765647B1 (ko) 자동차용 언더스티어 유도장치
KR20090015686A (ko) 스트럿 베어링
KR20210081726A (ko) 자동차의 프런트 샤시 모듈 유동방지용 지그
KR101916050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보강유닛
KR013130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828495B1 (ko) 연료 누유방지를 위한 리어 서스펜션 스토퍼 지지구조
KR20220108599A (ko) 스테빌라이저 시스템
KR20210096823A (ko) 차량의 스테빌라이저바 링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