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615B1 -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615B1
KR102558615B1 KR1020217017810A KR20217017810A KR102558615B1 KR 102558615 B1 KR102558615 B1 KR 102558615B1 KR 1020217017810 A KR1020217017810 A KR 1020217017810A KR 20217017810 A KR20217017810 A KR 20217017810A KR 102558615 B1 KR102558615 B1 KR 102558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ncoming call
electronic device
user
display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9739A (ko
Inventor
웬디 카이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8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 출원은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방법은, 제1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제1 착신 호출 요청에 기반하여 스크린 상에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제1 비디오를 재생하는 단계와, 제2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제2 착신 호출 요청에 기반하여 스크린 상에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제2 비디오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 착신 호출 요청 및 제2 착신 호출 요청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연이어 수신되는 두 호출 요청이고, 제1 비디오는 제2 비디오와 상이하다.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이 출원은, 본 문서에 참조에 의해 전체로서 포함되는,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라는 표제로 2019년 2월 3일에 중국국가지식산권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0108885.X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이 출원은 전자 디바이스 분야에 관련되고, 더욱 구체적으로, 착신 호출(incoming call)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에 관련된다.
현재, 모바일 전화 단말은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단지 착신음(ringtone)을 재생할(play) 수 있다. 착신 호출은 모바일 전화 단말의 높은 빈도의 시나리오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매일 여러 번 착신 호출에 회답할(answer)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전화 단말은 매번 동일한 전화 착신음을 재생하는데, 이는 사용자에게 신선함을 가져다 줄 수 없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를 위한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이 비교적 열악하다.
이 출원은,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것;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착신 호출 요청에 기반하여 스크린 상에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제1 비디오를 재생하는(play) 것; 전자 디바이스가 제2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것; 및 전자 디바이스가 제2 착신 호출 요청에 기반하여 스크린 상에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제2 비디오를 재생하는 것(제1 착신 호출 요청 및 제2 착신 호출 요청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연이어 수신되는 두 호출 요청이고, 제1 비디오는 제2 비디오와 상이함).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복수의 착신 호출 비디오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착신 호출이 수신될 때마다 이전의 착신 호출이 수신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콘텐트(video content)와는 상이한 비디오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바, 이로써 사용자에게 양호한 경험을 가져다 준다.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디오 및 제2 비디오는 미리 전자 디바이스 내에 로컬로(locally)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비디오 및 제2 비디오는 착신 호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실시간으로 네트워크에 요청이 발신된 후에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래에, 전자 디바이스는 5세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5G)에 의해 서빙될(served) 수 있고, 5세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5G)의 송신 속도(transmission speed)는 초당 수십 Gb에 달할 수 있다.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착신 호출 비디오를, 실시간으로 네트워크에게서 요청할 수 있고, 착신 호출 비디오의 지연(delay)은 매우 작고, 거의 무시할 만하며,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가 서버에게 복수의 비디오를 요청하는 것(복수의 비디오는 제1 비디오 및 제2 비디오를 포함함); 및 전자 디바이스가 서버에 의해 발신된 복수의 비디오를 수신하는 것.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비디오 테마(video theme)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비디오 테마는 복수의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고, 착신 호출이 수신될 때마다 이전의 착신 호출이 수신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콘텐트와는 상이한 비디오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바, 이로써 사용자에게 양호한 경험을 가져다 준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제2 비디오를 재생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가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필요가 있는 제2 비디오를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것.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수동 동작(manual operation) 없이 두 연이은 착신 호출 간에 비디오 콘텐트를 자동적으로 전환할(switch) 수 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자동 전환"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비디오를 재생하는 프로세스에서 다른 비디오로 전환하는 액션(action)이 아님이 응당 이해된다. 다시 말해, "자동 전환"은 비디오를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프로세스에서의 액션이 아니다. 대신에, 착신 호출 요청이 수신된 후에,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비디오를 재생하고, 이후에 비디오는 호출이 종료한 후에 스크린으로부터 사라지고, 다음에 착신 호출 요청이 수신된 후에, 재생되는 착신 호출 비디오는 제2 비디오로 자동적으로 바뀌는 것으로서 응당 이해된다.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필요가 있는 제2 비디오를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시점(time point)은 전자 디바이스가 서버에게 제1 비디오 및 제2 비디오를 요청하는 시점일 수 있거나,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착신 호출에 회답(answering)하거나 이를 끊는(hanging up) 동작을 검출하는 시점일 수 있거나, 전자 디바이스가 제2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시점일 수 있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설정 명령어(setting instruction)를 수신하는 것(설정 명령어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재생되는 비디오 콘텐트의 범위를 지정하는 데에 사용됨); 및 전자 디바이스가 설정 명령어에 의해 지정된 범위에 기반하여 제1 비디오 및 제2 비디오를 판정하는 것.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비디오 콘텐트의 범위를 판정하여, 전자 디바이스가 범위 내의 비디오를 적시에 재생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재생되는 비디오 콘텐트의 범위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1 저장 경로 내에 저장된 비디오일 수 있다.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재생되는 비디오 콘텐트의 범위는 라벨 정보(label information)(이는 대안적으로 테마 또는 타입(type)으로 지칭될 수 있음)을 갖는 비디오일 수 있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적어도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및 제2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가 전자 디바이스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성 명령어(configuration instruction)는 제1 구성 명령어 및 제2 구성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1 구성 명령어는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비디오의 범위를 지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2 구성 명령어는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비디오의 범위를 지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착신 호출 시에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상이한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에 대해 상이한 착신 호출 비디오가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적어도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 및 제2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가 전자 디바이스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착신 호출 요청 및 제2 착신 호출 요청이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연이어 수신되는 두 호출 요청임은 구체적으로 제1 착신 호출 요청 및 제2 착신 호출 요청이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두 호출 요청임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제1 착신 호출 요청 및 제2 착신 호출 요청이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연이어 수신되는 두 호출 요청임은 구체적으로 제1 착신 호출 요청 및 제2 착신 호출 요청이 제2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두 연이은 호출 요청임을 의미한다.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착신 호출 요청 및 제2 착신 호출 요청이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두 호출 요청인 경우에, 제1 비디오 테마 내의 상이한 비디오가 전자 디바이스의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고, 제1 착신 호출 요청 및 제2 착신 호출 요청이 제2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두 연이은 호출 요청인 경우에, 제2 비디오 테마 내의 상이한 비디오가 전자 디바이스의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된다. 제1 비디오 테마는 제2 비디오 테마와 상이하다.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동일한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에 대해, 상이한 시점에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동일한 비디오 테마 내의 상이한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고, 다른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에 대해, 상이한 시점에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다른 비디오 테마 내의 상이한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이는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제1 비디오가 재생되거나 제1 비디오의 파일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제1 동작을 검출하는 것; 및 전자 디바이스가, 제1 동작에 응답하여, 제1 비디오를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후보 비디오로서 설정하는 것.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비디오를 시청하고(watching) 있거나 비디오 파일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현재 시청되는 비디오 또는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파일을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설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기대하는 착신 호출 비디오를 적시에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제3 비디오가 재생되거나 제3 비디오의 파일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제1 동작을 검출하는 것; 제1 동작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가 제3 비디오를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검출하는 것(선택 동작은 제3 비디오 내의 부분적인 비디오 클립(partial video clip)을 선택하는 데에 사용됨); 및 전자 디바이스가 선택 동작에 기반하여 제3 비디오 내의 부분적인 비디오 클립을 제1 비디오로서 판정하고, 제1 비디오를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후보 비디오로서 설정하는 것.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비디오를 시청하거나 비디오 파일의 지속기간(duration)이 과도하게 길다고 보이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비디오 클립을 사용자가 시청하도록, 비디오 클리핑(video clipping)을 수행할 것을 사용자에게 상기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현재의 비디오 또는 현재의 비디오 파일의 지속기간이 제1 지속기간 임계 이상임을 판정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비디오 클리핑 동작을 수행할 것을 사용자에게 유발한다(prompt).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가 제1 비디오의 선명도(definition)를 조정하는 것.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의 선명도가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비디오를 재생하는 것의 선명도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좋아하는 비디오를 사용자가 적시에 시청할 수 있도록, 비디오의 선명도를 자동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비디오가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경우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의 제2 동작을 검출하는 것; 및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동작에 응답하여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제1 컨트롤(control)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제1 컨트롤은 제1 비디오를 즐겨찾기(favorites)에 추가하거나, 제1 비디오에 좋아요를 하거나(give a like), 제1 비디오를 전달하기(forward)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됨).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각각 회답 UI 컨트롤(answering UI control) 및 끊기 UI 컨트롤(hang-up UI control)을 또한 디스플레이한다. 회답 UI 컨트롤이 트리거되는(triggered)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에 회답하고, 끊기 UI 컨트롤이 트리거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을 끊는다.
몇몇 가능한 구현에서, 사용자가 회답 UI 컨트롤 또는 끊기 UI 컨트롤을 트리거하는 것을 전자 디바이스가 검출하는 경우에,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의 비디오 콘텐트는 자동적으로 사라진다.
제2 측면에 따르면, 이 기술적 해결안은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전자 디바이스에 포함되며, 전술한 측면 및 전술한 측면의 가능한 구현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행위(action)를 구현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하드웨어가 대응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또는 유닛, 예를 들어, 검출 모듈 또는 유닛,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유닛, 그리고 재생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이 기술적 해결안은, 스크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및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 내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명령어를 포함한다. 명령어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전술한 측면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에서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이 기술적 해결안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coupled).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컴퓨터 명령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전술한 측면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에서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이 기술적 해결안은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명령어가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가동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전술한 측면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에서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6 측면에 따르면, 이 기술적 해결안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가동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전술한 측면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에서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그룹의 개략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다른 그룹의 개략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다른 그룹의 개략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다른 그룹의 개략도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다른 그룹의 개략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다른 그룹의 개략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다른 그룹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11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12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다음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안을 기술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는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또는"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B는 A 또는 B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단지 연관된 객체를 기술하기 위한 연관을 기술하며 3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의 3개의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오직 A가 존재함, A 및 B 양자 모두가 존재함, 그리고 오직 B가 존재함. 추가로, 이 출원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복수의"는 둘 또는 둘보다 많음을 의미한다.
다음의 용어 "제1" 및 "제2"는 설명의 목적으로 의도될 뿐이며, 상대적인 중요성의 지시(indication) 또는 암시(implication) 또는 지시된 기술적 특징의 수량의 암시적 지시로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에 의해 한정된 특징은 하나 이상의 특징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서, 달리 지정되지 않는 한, "복수의"는 둘 또는 둘보다 많음을 의미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mobile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착용가능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차량 장착형 디바이스(vehicle-mounted device),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디바이스/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디바이스,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netbook), 또는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에 적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타입은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프로세서(110),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120), 내부 메모리(121),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포트(130), 충전 관리 모듈(140), 전력 관리 유닛(141), 배터리(142), 안테나(1), 안테나(2), 모바일 통신 모듈(150), 무선 통신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스피커(170A), 수신기(170B), 마이크로폰(microphone)(170C), 헤드세트 잭(headset jack)(170D), 센서 모듈(180), 버튼(190), 모터(191), 지시기(indicator)(192), 카메라(193), 디스플레이(194), 가입자 신원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80)은 압력 센서(pressure sensor)(180A), 자이로 센서(gyro sensor)(180B), 대기압 센서(barometric pressure sensor)(180C), 자기 센서(magnetic sensor)(180D),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80E), 거리 센서(distance sensor)(180F), 광학적 근접 센서(optical proximity sensor)(180G), 지문 센서(fingerprint sensor)(180H),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180J), 터치 센서(touch sensor)(180K), 주변 광 센서(ambient light sensor)(180L), 골전도 센서(bone conduction sensor)(180M)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예시적인 구조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을 구성하지 않음이 이해될 수 있다. 이 출원의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몇몇 컴포넌트는 조합될 수 있거나, 몇몇 컴포넌트는 나뉠 수 있거나, 상이한 컴포넌트 레이아웃(layout)이 있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컴포넌트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모뎀 프로세서(modem processor),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 제어기(controller), 메모리, 비디오 코덱(video code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기저대역 프로세서(baseband processor), 신경망 처리 유닛(neural-network processing unit, NPU) 및/또는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처리 유닛은 독립적인 컴포넌트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내에 집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중추부이자 지휘부일 수 있다. 제어기는, 명령어 판독 및 명령어 실행의 제어를 완료하기 위해, 명령어 동작 코드(instruction operation code) 및 시간 순차 신호(time sequence signal)에 기반하여 동작 제어 신호(operation control signal)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는 또한 프로세서(11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 내의 메모리는 캐시(cache)이다. 메모리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방금 사용되거나 순환적으로 사용되는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만일 프로세서(110)가 다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메모리로부터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불러낼(invoke) 수 있다. 이는 반복되는 액세스를 방지하고 프로세서(110)의 대기 시간을 감소시키는바, 이로써 시스템 효율을 개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집적 회로간(inter-integrated circuit, I2C) 인터페이스, 집적회로간 소리(inter-integrated circuit sound, I2S) 인터페이스, 펄스 코드 변조(pulse code modulation, PCM) 인터페이스, 범용 비동기식 수신기/송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인터페이스, 모바일 산업 프로세서 인터페이스(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일반 목적 입력/출력(general-purpose input/output, GPIO) 인터페이스, 가입자 신원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인터페이스,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포트 및/또는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2C 인터페이스는 쌍방향 동기화 직렬 버스(two-way synchronization serial bus)이고, 직렬 데이터 라인(serial data line, SDA) 및 직렬 클록 라인(serial clock line, SCL)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I2C 버스의 복수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이한 I2C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터치 센서(180K), 충전기(charger), 섬광등(flash light), 카메라(193) 및 유사한 것에 별개로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터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110)가 I2C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터치 센서(180K)와 통신하도록, I2C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터치 센서(180K)에 커플링될 수 있다.
I2S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I2S 버스의 복수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서(110) 및 오디오 모듈(170) 간의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I2S 버스를 통해서 오디오 모듈(170)에 커플링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디오 모듈(170)은, 블루투스(Bluetooth) 헤드세트를 사용함으로써 호출에 회답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I2S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무선 통신 모듈(160)에 오디오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PCM 인터페이스는 또한,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하고(sample), 양자화하고(quantize), 인코딩하기(encode) 위해, 오디오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디오 모듈(170)은 PCM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무선 통신 모듈(160)에 커플링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디오 모듈(170)은 대안적으로, 블루투스 헤드세트를 사용함으로써 호출에 회답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PCM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무선 통신 모듈(160)에 오디오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2S 인터페이스 및 PCM 인터페이스 양자 모두가 오디오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UART 인터페이스는 범용 직렬 데이터 버스이고, 비동기식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버스는 쌍방향 통신 버스일 수 있고, 송신될 데이터를 직렬 통신 및 병렬 통신 간에 변환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UART 인터페이스는 통상적으로 프로세서(110)를 무선 통신 모듈(16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블루투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UART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무선 통신 모듈(160) 내의 블루투스 모듈과 통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디오 모듈(170)은, 블루투스 헤드세트를 사용함으로써 음악을 재생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UART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무선 통신 모듈(160)에 오디오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MIPI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194) 및 카메라(193)와 같은 주변 디바이스에 프로세서(11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IPI 인터페이스는 카메라 직렬 인터페이스(camera serial interface, CSI), 디스플레이 직렬 인터페이스(display serial interface, DSI)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촬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CSI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카메라(193)와 통신한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DSI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디스플레이(194)와 통신한다.
GPIO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GPIO 인터페이스는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GPIO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110)를 카메라(193), 디스플레이(194), 무선 통신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80) 및 유사한 것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GPIO 인터페이스는 대안적으로 I2C 인터페이스, I2S 인터페이스, UART 인터페이스, MIPI 인터페이스, 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USB 포트(130)는 USB 표준 사양을 준수하는 인터페이스이며, 구체적으로 미니(mini) USB 포트, 마이크로(micro) USB 포트, USB 타입 C(Type-C) 포트,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USB 포트(13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전자 디바이스(100) 및 주변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헤드세트를 사용함으로써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해, 헤드세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포트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AR 디바이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예시된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연결 관계는 설명을 위한 예일 뿐이며, 전자 디바이스(100)의 구조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음이 이해될 수 있다. 이 출원의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대안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인터페이스 연결 방식과는 상이한 인터페이스 연결 방식을 사용하거나, 복수의 인터페이스 연결 방식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충전 관리 모듈(140)은 충전기로부터 충전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충전기는 무선 충전기 또는 유선 충전기일 수 있다. 유선 충전의 몇몇 실시예에서, 충전 관리 모듈(140)은 USB 포트(130)를 통해서 유선 충전기로부터 충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의 몇몇 실시예에서, 충전 관리 모듈(140)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무선 충전 코일을 사용함으로써 무선 충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충전 관리 모듈(140)은 배터리(142)를 충전하는 동안에 전력 관리 유닛(141)을 사용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 관리 유닛(141)은 배터리(142), 충전 관리 모듈(140) 및 프로세서(1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전력 관리 유닛(141)은 배터리(142) 및/또는 충전 관리 모듈(140)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전력을 프로세서(110), 내부 메모리(121), 외부 메모리, 디스플레이(194), 카메라(193), 무선 통신 모듈(160) 및 유사한 것에 공급한다. 전력 관리 유닛(141)은 또한 배터리 용량(battery capacity), 배터리 사이클 카운트(battery cycle count) 및 배터리 양호 상태(battery health status)(누전 또는 임피던스)와 같은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전력 관리 유닛(141)은 대안적으로 프로세서(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전력 관리 유닛(141) 및 충전 관리 모듈(140)은 대안적으로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무선 통신 기능은 안테나(1), 안테나(2), 모바일 통신 모듈(150), 무선 통신 모듈(160), 모뎀 프로세서, 기저대역 프로세서 및 유사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안테나(1) 및 안테나(2)는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0) 내의 각각의 안테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활용을 개선하기 위해 상이한 안테나가 또한 다중화될(multiplexed)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1)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다이버시티 안테나(diversity antenna)로서 다중화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안테나는 튜닝 스위치(tuning switch)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모듈(150)은 전자 디바이스(100)에 적용되는, 2G/3G/4G/5G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에 대한 해결안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모듈(150)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 스위치, 전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모듈(150)은 안테나(1)를 사용함으로써 전자기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파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된 전자기파를 복조(demodulation)를 위해 모뎀 프로세서에 송신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모듈(150)은 또한 모뎀 프로세서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를 사용함으로써 신호를 방사(radiation)를 위해 전자기파로 변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통신 모듈(150)의 적어도 몇몇 기능 모듈은 프로세서(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바일 통신 모듈(150)의 적어도 몇몇 기능 모듈 및 프로세서(110)의 적어도 몇몇 모듈은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모뎀 프로세서는 변조기 및 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변조기는 발신될 저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를 중-고주파수 신호로 변조하도록 구성된다. 복조기는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저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하도록 구성된다. 이후에, 복조기는 복조를 통해서 획득된 저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를 위해 기저대역 프로세서에 송신한다. 기저대역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후에, 저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송신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스피커(170A), 수신기(170B), 또는 유사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 오디오 디바이스를 통해서 소리 신호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194)를 통해서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뎀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컴포넌트일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10)와 독립적일 수 있고, 모바일 통신 모듈(150) 또는 다른 기능 모듈과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 배치된다.
무선 통신 모듈(160)은 전자 디바이스(100)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해결안, 예를 들어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예컨대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BT), 전역 항법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 FM),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및 적외선(infrared, IR)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60)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처리 모듈을 집성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60)은 안테나(2)를 사용함으로써 전자기파를 수신하고, 전자기파 신호에 대해 주파수 변조 및 필터링을 수행하고, 처리된 신호를 프로세서(110)에 발신한다. 무선 통신 모듈(160)은 또한 발신될 신호를 프로세서(110)로부터 수신하고, 신호에 대해 주파수 변조 및 증폭을 수행하고, 안테나(2)를 사용함으로써 신호를 방사를 위해 전자기파로 변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의 안테나(1)는 모바일 통신 모듈(150)에 커플링되고, 안테나(2)는 무선 통신 모듈(160)에 커플링되어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및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술은 모바일 통신용 전역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분할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ime-divisi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SCDMA),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BT, GNSS, WLAN, NFC, FM, IR 기술 및/또는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전역 측위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전역 항법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LONASS), 바이두 항법 위성 시스템(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DS), 준천정 위성 시스템(quasi-zenith satellite system, QZSS) 및/또는 위성 기반 증강 시스템(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GPU, 디스플레이(194),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유사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한다. GPU는 이미지 처리를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이고, 디스플레이(194)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GPU는 수학적 및 기하학적 계산을 수행하고, 이미지를 렌더링하도록(render) 구성된다. 프로세서(110)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거나 변경하기 위해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94)는 이미지, 비디오 및 유사한 것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194)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또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플렉스 발광 다이오드(flex light-emitting diode, FLED), 미니LED(Miniled), 마이크로LED(MicroLed), 마이크로OLED(micro-oLed),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s, QLED), 또는 유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하나 또는 N개의 디스플레이(194)를 포함할 수 있는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ISP, 카메라(193), 비디오 코덱, GPU, 디스플레이(194),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유사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촬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ISP는 카메라(193)에 의해 피드백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진촬영 동안, 셔터(shutter)가 눌리고, 렌즈를 통해서 카메라의 감광성 소자(photosensitive element)에 빛이 보내지고, 광학적 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전기적 신호를 가시적인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해, 카메라의 감광성 소자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를 위해 ISP에 송신한다. ISP는 또한 이미지의 잡음(noise), 밝기(brightness) 및 피부색(complexion)에 대해 알고리즘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ISP는 또한 촬영 시나리오의 노출(exposure) 및 색 온도(color temperature)와 같은 파라미터를 최적화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ISP는 카메라(19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93)는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포착하도록(capture) 구성된다. 객체의 광학적 이미지(optical image)가 렌즈를 통해서 생성되고, 감광성 소자 상에 투영된다. 감광성 소자는 전하 결합 디바이스(charge coupled device, CCD) 또는 상보적 금속 산화물 반도체(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광전 트랜지스터(photoelectric transistor)일 수 있다. 감광성 소자는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이후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를 ISP에 송신한다. ISP는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를 위해 DSP에 출력한다. DSP는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RGB 포맷, YUV 포맷, 또는 유사한 것으로 된 표준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하나 또는 N개의 카메라(193)를 포함할 수 있는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디지털 이미지 신호 외에도 다른 디지털 신호를 또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가 주파수를 선택하는 경우에,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주파수 에너지에 대해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및 유사한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비디오 코덱은 디지털 비디오를 압축하도록(compress) 또는 압축해제하도록(decompress)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타입의 비디오 코덱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전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인코딩 포맷, 예를 들어, 동화상 전문가 그룹(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1, MPEG-2, MPEG-3, MPEG-4 및 유사한 것으로 비디오를 재생하거나 기록할(record) 수 있다.
NPU는 신경망(neural-network, NN) 컴퓨팅 프로세서이고, 생물학적 신경망의 구조를 참조함으로써, 예를 들어, 인간 뇌 뉴런 간의 전파의 모드(mode)를 참조함으로써 입력 정보를 신속히 처리하며, 또한 계속해서 자가 학습(self-learning)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지능적 인지와 같은 적용, 예를 들어, 이미지 인식(image recognition),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발화 인식(speech recognition) 및 텍스트 이해(text understanding)가 NPU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12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저장 능력을 확장하기 위해, 외부 저장 카드, 예를 들어, 마이크로 SD 카드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저장 카드는, 데이터 저장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120)를 통해서 프로세서(110)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음악 및 비디오와 같은 파일이 외부 저장 카드 내에 저장된다.
내부 메모리(121)는 컴퓨터 실행가능 프로그램 코드(computer-executable program code)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행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 적용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내부 메모리(121) 내에 저장된 명령어를 가동한다. 내부 메모리(121)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를 들어, 소리 재생 기능 또는 이미지 재생 기능)에 의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유사한 것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 동안에 생성되는 (오디오 데이터 및 주소록과 같은) 데이터 및 유사한 것을 저장할 수 있다. 추가로, 내부 메모리(121)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magnetic disk storage device),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flash memory device), 또는 범용 플래시 스토리지(universal flash storage, UF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오디오 모듈(170), 스피커(170A), 수신기(170B), 마이크로폰(170C), 헤드세트 잭(170D),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유사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오디오 기능, 예를 들어, 음악 재생 및 기록을 구현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디지털 오디오 정보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출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을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모듈(170)은 또한 오디오 신호를 코딩하고 디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디오 모듈(170)은 프로세서(110) 내에 배치될 수 있거나, 오디오 모듈(170)의 몇몇 기능 모듈이 프로세서(110) 내에 배치된다.
스피커(170A)(또한 "확성기"(horn)로도 지칭됨)는 오디오 전기적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스피커(170A)를 사용함으로써 음악을 듣거나 핸즈프리 호출(hands-free call)에 회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170B)(또한 "수화기"(earpiece)로도 지칭됨)는 오디오 전기적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함으로써 호출이 회답되거나 음성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수신기(170B)는 음성을 수신하기 위해 사람의 귀 가까이에 놓일 수 있다.
마이크로폰(170C)(또한 "마이크"(mike) 또는 "전성관"(voice tube)으로도 지칭됨)은 소리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호출을 행하거나 음성 정보를 발신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마이크로폰(170C)에 소리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의 입을 통해서 마이크로폰(170C) 가까이에서 소리를 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170C)이 전자 디바이스(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소리 신호를 수집하는 것에 더하여, 잡음 감소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100) 내에 두 마이크로폰(170C)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소리 신호를 수집하고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100) 내에 대안적으로 3개, 4개 또는 더 많은 마이크로폰(170C)이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은 또한, 방향성 기록 기능(directional recording function) 및 유사한 것을 구현하기 위해, 음원(sound source)을 식별할 수 있다.
헤드세트 잭(170D)은 유선 헤드세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헤드세트 잭(170D)은 USB 포트(130) 또는 3.5 mm 개방형 모바일 단말 플랫폼(open mobile terminal platform, OMTP) 표준 인터페이스 또는 미국 셀룰러 전기통신 산업 협회(cellular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 of the USA, CTIA) 표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압력 센서(180A)는 압력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압력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80A)는 디스플레이(19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타입의 압력 센서(180A), 예를 들어, 저항성(resistive) 압력 센서, 유도성(inductive) 압력 센서 및 용량성(capacitive) 압력 센서가 있다. 용량성 압력 센서는 도전성(conductive) 재료로 만들어진 적어도 2개의 평행판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180A)에 힘이 인가되는 경우에, 전극 간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가 바뀐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커패시턴스의 변화에 기반하여 압력 강도를 판정한다. 디스플레이(194) 상에서 터치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0)는 압력 센서(180A)를 사용함으로써 터치 동작의 강도를 검출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또한 압력 센서(180A)의 검출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동일한 터치 위치에서 수행되나 상이한 터치 동작 강도를 갖는 터치 동작은 상이한 동작 명령어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동작 강도가 제1 압력 임계보다 작은 터치 동작이 SMS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상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SMS 메시지를 보기(viewing) 위한 명령어가 실행된다. 터치 동작 강도가 제1 압력 임계 이상인 터치 동작이 SMS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상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SMS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가 실행된다.
자이로 센서(180B)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움직임 자세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자이로 센서(180B)를 사용함으로써 3개의 축(즉, 축 x, y 및 z) 주위에서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각속도가 판정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80B)는 사진촬영 동안 이미지 안정화(image stabilization)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가 눌리는 경우에, 자이로 센서(180B)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흔들리는 각도를 검출하고, 각도에 기반하여, 렌즈 모듈이 보상할 필요가 있는 거리를 계산하여서, 렌즈는 상반되는 움직임(reverse motion)을 통해서 전자 디바이스(100)의 흔들림을 상쇄하는바, 이미지 안정화를 구현한다. 자이로 센서(180B)는 또한 항법 및 움직임 감지 게임 시나리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대기압 센서(180C)는 대기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측위 및 항법을 보조하기 위해, 대기압 센서(180C)에 의해 측정된 대기압에 기반하여 해수면 높이를 계산한다.
자기 센서(180D)는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자기 센서(180D)를 사용함으로써 플립(flip) 가죽 케이스의 열림 및 닫힘을 검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가 폴더형 전화(clamshell phone)인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0)는 자기 센서(180D)를 사용함으로써 플립 커버의 열림 및 닫힘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가죽 케이스의 검출된 열림 또는 닫힘 상태 또는 플립 커버의 검출된 열림 또는 닫힘 상태에 기반하여, 플립 커버의 자동 잠금해제(unlocking)과 같은 특징이 설정된다.
가속도 센서(180E)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방향에서(통상적으로 3개의 축 상에서)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100)가 정지한 경우에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80E)는 또한 전자 디바이스의 자세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풍경 모드(landscape mode) 및 인물사진 모드(portrait mode) 간의 전환과, 계보기(pedometer)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된다.
거리 센서(180F)는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촬영 시나리오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고속 포커싱(focusing)을 구현하기 위해, 거리 센서(180F)를 사용함으로써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광학적 근접 센서(180G)는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및 광학적 검출기, 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photo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함으로써 적외선 광을 발산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함으로써 인근의 객체로부터 적외선 반사광을 검출한다. 충분한 반사광이 검출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0) 근처에 객체가 있음이 판정될 수 있다. 불충분한 반사광이 검출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 근처에 어떤 객체도 없음을 판정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력 절감을 위해 스크린을 자동적으로 끄기 위해, 광학적 근접 센서(180G)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호출을 위해 귀 가까이에 전자 디바이스(100)를 유지함을 검출할 수 있다. 광학적 근접 센서(180G)는 또한 가죽 케이스 모드 및 포켓 모드에서 스크린을 자동적으로 잠금해제하고 잠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변 광 센서(180L)는 주변 광 밝기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감지된 주변 광 밝기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194)의 밝기를 적응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주변 광 센서(180L)는 사진촬영 동안 백색 균형(white balance)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주변 광 센서(180L)는 또한, 우연한 터치를 막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100)가 포켓 내에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광학적 근접 센서(180G)와 협동할 수 있다.
지문 센서(180H)는 지문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수집된 지문의 특징을 사용함으로써 지문 기반 잠금해제, 애플리케이션 액세스 잠금, 지문 기반 사진촬영, 지문 기반 호출 회답 및 유사한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온도 센서(180J)는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온도 센서(180J)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기반하여 온도 처리 정책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180J)에 의해 보고된 온도가 임계를 초과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고 열 보호(thermal protection)를 구현하기 위해, 온도 센서(180J) 근처의 프로세서의 성능을 열화시킨다(degrade).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온도가 다른 임계보다 낮은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0)는, 낮은 온도에 의해 야기되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비정상적 중단(shutdown)을 피하기 위해, 배터리(142)를 가열한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온도가 또 다른 임계보다 낮은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0)는, 낮은 온도에 의해 야기되는 비정상적 중단을 피하기 위해, 배터리(142)의 출력 전압을 상승시킨다.
터치 센서(180K)는 또한 "터치 패널"로 지칭된다. 터치 센서(180K)는 디스플레이(194)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터치 센서(180K) 및 디스플레이(194)는 터치스크린(이는 또한 "터치 제어 스크린"으로 지칭됨)을 형성한다. 터치 센서(180K)는 터치 센서(180K) 상에서 또는 근처에서 수행된 터치 동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터치 센서는, 터치 이벤트의 타입을 판정하기 위해, 검출된 터치 동작을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전송할 수 있다. 터치 동작에 관련된 시각적 출력은 디스플레이(194)를 사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180K)는 대안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94)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위치된다.
골전도 센서(180M)는 진동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골전도 센서(180M)는 인간 성대 부분의 진동 뼈의 진동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골전도 센서(180M)는 또한 혈압 고동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인간의 맥박과의 접촉이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골전도 센서(180M)는 대안적으로 골전도 헤드세트를 형성하기 위해 헤드세트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음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골전도 센서(180M)에 의해 획득된, 성대 부분의 진동 뼈의 진동 신호에 기반하여 파싱(parsing)을 통해서 음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심박수(heart rate) 검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골전도 센서(180M)에 의해 획득된 혈압 고동 신호에 기반하여 심박수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버튼(190)은 전력 버튼, 볼륨 버튼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버튼(190)은 기계적 버튼일 수 있거나, 터치 버튼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버튼 입력을 수신하고,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에 관련된 버튼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모터(191)는 진동 프롬프트(vibration prompt)를 생성할 수 있다. 모터(191)는 착신 호출 진동 프롬프트 및 터치 진동 피드백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사진촬영 및 오디오 재생)에 대해 수행되는 터치 동작은 상이한 진동 피드백 효과에 대응할 수 있다. 모터(191)는 또한 디스플레이(194)의 상이한 영역 상에서 수행되는 터치 동작을 위한 상이한 진동 피드백 효과에 대응할 수 있다.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예를 들어, 시간 리마인더(time reminder), 정보 수신, 알람 시계 및 게임)는 또한 상이한 진동 피드백 효과에 대응할 수 있다. 터치 진동 피드백 효과는 또한 맞춤화될(customized) 수 있다.
지시기(192)는 지시등(indicator light)일 수 있고, 충전 상태 및 전력 변화를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메시지, 간과된 호출(missed call), 통지(notification) 및 유사한 것을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는 SIM 카드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0)와의 접촉 또는 이로부터의 분리를 구현하기 위해, SIM 카드는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 내에 삽입되거나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하나 또는 N개의 SIM 카드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데,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는 나노(nano) SIM 카드, 마이크로 SIM 카드, SIM 카드 및 유사한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카드가 동시에 동일한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카드는 동일한 타입 또는 상이한 타입의 것일 수 있다.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는 또한 상이한 타입의 SIM 카드와 호환가능할 수 있다.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는 또한 외부 저장 카드와 호환가능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호출 및 데이터 통신과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SIM 카드를 통해서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eSIM, 즉 임베딩된(embedded) SIM 카드를 사용한다. eSIM 카드는 전자 디바이스(100) 내에 임베딩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계층화된 아키텍처(layered architecture), 이벤트 구동형 아키텍처(event-driven architecture), 마이크로커널 아키텍처(microkernel architecture),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icro service architecture), 또는 클라우드 아키텍처(cloud architecture)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계층화된 아키텍처를 가진 안드로이드 시스템(Android system)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기술하기 위해 예로서 사용된다.
도 2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소프트웨어 구조의 블록도이다. 계층화된 아키텍처에서, 소프트웨어는 몇 개의 계층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계층은 분명한 역할 및 과업을 갖는다. 계층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서로 통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드로이드 시스템은 4개의 계층으로 분할된다: 위부터 아래로 애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 계층, 안드로이드 런타임(Android runtime), 시스템 라이브러리(system library) 및 커널(kernel)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일련의 애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패키지는 "카메라", "갤러리", "달력", "전화", "지도", "항법", "WLAN", "블루투스", "음악", "비디오" 및 "메시지"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및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은 몇몇 사전정의된 기능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은 윈도우 관리자(window manager), 콘텐트 제공자(content provider), 뷰 시스템(view system), 전화 관리자(phone manager), 리소스 관리자(resource manager), 통지 관리자(notification manager)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관리자는 윈도우 프로그램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윈도우 관리자는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태 바(status bar)가 있는지를 판정하고, 스크린 잠금(screen locking)을 수행하고, 스크린샷(screenshot)을 취하고, 기타 등등을 할 수 있다.
콘텐트 제공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획득하고, 데이터로 하여금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는 비디오, 이미지, 오디오, 행해지고 수신된 호출, 열람 이력(browsing history), 북마크(bookmark), 주소록 및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뷰 시스템은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컨트롤 및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컨트롤과 같은 시각적 컨트롤을 포함한다. 뷰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MS 메시지 통지 아이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디스플레이 뷰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뷰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화 관리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통신 기능, 예를 들어, (회답, 사양, 또는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호출 상태의 관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리소스 관리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리소스, 예컨대 지역화된 문자열(localized character string), 아이콘, 이미지, 레이아웃 파일 및 비디오 파일을 제공한다.
통지 관리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태 바 내에 통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며, 통지 메시지를 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지 관리자는 사용자 상호작용을 요구하지 않고서 잠깐의 멈춤 후에 자동적으로 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지 관리자는 다운로드 완료를 통지하고, 메시지 프롬프트(message prompt)를 제공하고, 기타 등등을 하도록 구성된다. 통지 관리자는 대안적으로 그래프 또는 스크롤 바(scroll bar) 텍스트의 형태로 시스템의 최상부 상태 바에 나타나는 통지, 예를 들어,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에서 가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통지 또는 대화 창(dialog window)의 형태로 스크린 상에 나타나는 통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정보가 상태 바 내에 유발되거나, 프롬프트 음조(prompt tone)가 산출되거나, 전자 디바이스가 진동하거나, 지시등이 깜박거린다.
안드로이드 런타임은 커널 라이브러리(kernel library) 및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을 포함한다. 안드로이드 런타임은 안드로이드 시스템의 스케줄링 및 관리를 담당한다.
코어 라이브러리(core library)는 두 부분을 포함한다: 하나는 자바(java) 언어에 의해 호출될 필요가 있는 함수이고, 다른 것은 안드로이드의 커널 라이브러리이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및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은 가상 머신 내에서 가동된다. 가상 머신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및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의 자바 파일을 이진(binary) 파일로서 실행한다. 가상 머신은 객체 라이프사이클 관리(object lifecycle management), 스택 관리(stack management), 쓰레드 관리(thread management), 보안 및 예외 관리(security and exception management) 및 가비지 콜렉션(garbage collection)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 라이브러리는 복수의 기능 모듈, 예를 들어, 표면 관리자(surface manager), 매체 라이브러리(media libraries), 3차원 그래픽 처리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OpenGL ES) 및 2D 그래픽 엔진(예를 들어, SGL)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관리자는 디스플레이 서브시스템을 관리하고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2D 및 3D 이미지 계층의 융합(fusion)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매체 라이브러리는 복수의 흔히 사용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포맷, 정적 이미지 파일 및 유사한 것의 재생 및 기록을 지원한다. 매체 라이브러리는 복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코딩 포맷, 예컨대 MPEG-4, H.264, MP3, AAC, AMR, JPG 및 PNG을 지원할 수 있다.
3차원 그래픽 처리 라이브러리는 3차원 그래픽 작도(drawing), 이미지 렌더링(image rendering), 합성(composition), 계층 처리(layer processing) 및 유사한 것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2D 그래픽 엔진은 2D 작도를 위한 작도 엔진(drawing engine)이다.
커널 계층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간의 계층이다. 커널 계층은 적어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display driver), 카메라 드라이버(camera driver), 오디오 드라이버(audio driver) 및 센서 드라이버(sensor driver)를 포함한다.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안이 기술되기 전에, 이 출원의 실시예에 관련된 몇 개의 개념이 먼저 기술된다.
단편 비디오(short video): 단편 비디오, 즉 비디오 클립(video clip)은 인터넷 콘텐트의 송신의 모드이고, 일반적으로 인터넷 상의 새로운 매체 상에서 송신되는 지속기간이 1분 내인 비디오 송신 콘텐트이다. 모바일 단말의 대중화 및 네트워크의 가속과 함께, 짧고 순조롭고 빠른 대규모 트래픽 송신 콘텐트가 다양한 플랫폼, 팬 및 자본에 의해 점점 선호된다.
모바일 전화 테마(mobile phone theme): 모바일 전화 테마는 윈도우즈(Windows)의 테마 기능과 유사하다. 좋아하는 모바일 전화 테마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함으로써, 사용자는 대응하는 대기 픽처(standby picture), 스크린세이버(screen saver), 착신음, 동작 인터페이스 및 아이콘과 같은 대응하는 콘텐트를 한 번에 설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모바일 전화를 개인화할 수 있다. 테마에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에 실감나게 느끼며, 더 이상 단지 고정된 모바일 전화 동작 인터페이스, 고정된 픽처 및 고정된 색상과는 마주하지 않는다.
비디오 착신 호출(video incoming call): 비디오 착신 호출은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비디오가 재생됨을 의미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모바일 전화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의 그룹을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GUI는 모바일 전화의 데스크톱(desktop)(301)이다. 사용자가 데스크톱(301) 상의 테마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의 아이콘(302)을 탭하는(tap)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테마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고, 도 3(b)에 도시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테마 애플리케이션은 "폰트", "바탕화면", "혼성" 및 "착신음"에 대한 테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착신음" 아이콘(303)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도 3(c)에 도시된 GUI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3(c)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착신음"은 "오디오" 및 "비디오"를 포함하고, "비디오" 테마는 비디오 테마 타입 1 내지 6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비디오 테마 타입 5의 컨트롤(304)을 선택하고 컨트롤(305)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비디오 테마 타입 5를 모바일 전화에 로딩한다(load).
예를 들어, 비디오 테마 타입 5는 상이한 콘텐트를 가진 복수의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트롤(305)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비디오 테마 타입 5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비디오 콘텐트를 착신 호출 비디오 서버에게 요청할 수 있음이 응당 이해된다. 착신 호출 비디오 서버가 복수 개의 대응하는 비디오 콘텐트를 회신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복수 개의 비디오 콘텐트를 모바일 전화에 로딩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비디오 1이 모바일 전화의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착신 호출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비디오 테마와, 착신 호출이 수신될 때마다 재생되는 비디오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게 되는바, 이로써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가져다 준다.
도 4(a) 및 도 4(b)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GUI의 다른 그룹의 개략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9시 10분에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비디오 2가 모바일 전화의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4(b)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11시 15분에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비디오 3이 모바일 전화의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컨트롤(305)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비디오 정보를 대응하는 서버에게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복수의 비디오를 모바일 전화에 발신할 수 있다. 모바일 전화는 모바일 전화 내의 폴더(예를 들어, 폴더는 "착신 호출 비디오" 폴더로 명명될 수 있음) 내에 복수의 비디오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착신 호출이 있을 때마다, 모바일 전화는 "착신 호출 비디오" 폴더로부터 비디오를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비디오로서 선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모바일 전화는 서버로부터 복수의 비디오를 수신하는 순차를 착신 호출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순차로서 사용할 수 있거나, 모바일 전화는 무작위로 "착신 호출 비디오" 폴더로부터의 비디오를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복수의 비디오를 서버에게 요청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복수의 비디오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비디오는 라벨링되고(labeled), 각각의 비디오의 라벨은 "비디오 테마 타입 5"일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라벨이 모바일 전화 내에 저장된 "비디오 테마 타입 5"인 비디오에 대해 탐색하고 이들 비디오 중 하나를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로부터 모바일 전화에 의해 다운로드된 복수의 비디오의 라벨은 "비디오 테마 타입 5"일 수 있고, 모바일 전화는 또한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촬영되거나 다른 장소로부터 다운로드된 비디오의 라벨(이는 또한 "비디오 테마 타입 5"임)을 저장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라벨이 "비디오 테마 타입 5"인 모든 비디오로부터 비디오를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컨트롤(305)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복수의 비디오를 서버에게 미리 요청하지 않을 수 있다.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실시간으로 서버에게 착신 호출 비디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시10분에,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의 착신 호출을 검출하면서, 모바일 전화는 서버에 의해 발신되는 비디오 2를 요청 및 수신하며,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비디오 2를 재생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컨트롤(305)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바람직하게는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복수의 비디오를 서버에게 요청하지 않고서 네트워크 주소를 판정할 수 있다.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복수의 비디오는 네트워크 주소 내에 저장된다.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실시간으로 서버에게 착신 호출 비디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시10분에,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의 착신 호출을 검출하면서, 모바일 전화는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주소로부터 비디오 2를 다운로드하고,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비디오 2를 재생한다.
장래의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향유되는 네트워크 서비스는 5G 또는 더 높은 속도의 네트워크 서비스일 수 있음이 응당 이해된다. 전자 디바이스가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시점부터 전자 디바이스가 재생될 필요가 있는 착신 호출 비디오를 요청하고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비디오를 재생하는 시점까지의 지연은 무시될 수 있고, 사용자 경험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9시10분에서의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의 착신 호출 및 11시 15분에서의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의 착신 호출은 모바일 전화에 의해 수신된 두 연이은 착신 호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두 호출은 두 연이은 호출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 샤오밍"으로부터의 착신 호출이 10시 30분에 수신되고,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비디오 4가 모바일 전화의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선택적으로, 9시 10분에서의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의 착신 호출 및 11시 15분에서의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의 착신 호출이 모바일 전화에 의해 수신된 두 연이은 착신 호출인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11시 15분에서의 착신 호출을 위해 재생될 필요가 있는 착신 호출 비디오가 비디오 3임을 자동적으로 판정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는 비디오 테마 타입 5에 대응하는 복수의 비디오(예를 들어, 복수의 비디오는 비디오 1, 비디오 2, 비디오 3 및 비디오 4를 포함함)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고, 모바일 전화 내의 저장 경로 내에 복수의 비디오를 저장한다. 9시 10분에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 착신 호출을 수신하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재생될 필요가 있는 비디오 2를 저장 경로 내에서 판정한다.
11시 15분에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 착신 호출을 수신하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재생될 필요가 있는 비디오 3을 이 저장 경로로부터 자동적으로 판정할 수 있거나, 모바일 전화는 재생될 필요가 있는 착신 호출 비디오를 이 저장 경로 내에서 비디오 2로부터 비디오 3으로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모바일 전화가 11시 15분에서의 착신 호출 비디오를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시점은 모바일 전화가 서버에게 "비디오 테마 타입 5"의 복수의 비디오를 요청하는 시점일 수 있음이 응당 이해된다. 모바일 전화는 복수의 비디오를 재생하는 순차를 자동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1, 비디오 2 및 비디오 3은 착신 호출의 순차에 기반하여 재생된다. 대안적으로,
모바일 전화가 11시 15분에서의 착신 호출 비디오를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시점은 모바일 전화가 9시 10분에 착신 호출을 수신한 후 및 모바일 전화가 11시 15분에 착신 호출을 수신하기 전의 임의의 시점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바일 전화가 11시 15분에서의 착신 호출 비디오를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시점은 모바일 전화가 11시 15분에 사용자로부터 착신 호출을 수신하는 시점일 수 있고, 모바일 전화는 복수의 비디오로부터, 비디오 2가 아닌 임의의 비디오(예를 들어, 비디오 3)를 재생될 필요가 있는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자동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모바일 전화가 비디오 3을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시점은 한정되지 않는다.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비디오 테마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비디오 테마는 복수의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고, 착신 호출이 수신될 때마다 이전의 착신 호출이 수신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콘텐트와는 상이한 비디오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바, 이로써 사용자에게 양호한 경험을 가져다 준다.
실시예에서, 현재의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다음의 착신 호출이 수신되는 경우에 재생될 비디오 콘텐트를 판정할 수 있고, 현재의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비디오 콘텐트는 이전의 착신 호출이 수신된 경우에 모바일 전화에 의해 자동적으로 판정된다. 추가로, 각각의 착신 호출을 위해 재생되는 비디오 콘텐트는 이전의 착신 호출을 위해 재생되는 비디오와는 상이하다.
실시예에서, 모바일 전화가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모바일 전화는, 각각의 착신 호출을 위해 재생되는 비디오 콘텐트가 이전의 착신 호출을 위해 재생된 비디오와는 상이하도록, 현재의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될 비디오 콘텐트를 자동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현재의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각각의 착신 호출을 위해 재생되는 비디오 콘텐트가 이전의 착신 호출을 위해 재생된 비디오와는 상이하도록,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비디오 콘텐트를, 다음의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기 전의 임의의 시점에, 자동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XX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YY 단계가 수행됨" 및 "XX 이벤트가 발생한 후에, YY 단계가 수행됨" 양자 모두는 YY 단계가 XX 이벤트의 발생에 기반하여 수행됨을 의미하며, XX 이벤트 및 YY 단계의 동시성 또는 순차가 엄격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비디오 테마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비디오 테마는 복수의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고, 착신 호출이 수신될 때마다 이전의 착신 호출이 수신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콘텐트와는 상이한 비디오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바, 이로써 사용자에게 양호한 경험을 가져다 준다.
도 5(a) 내지 도 5(d)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GUI의 다른 그룹의 개략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GUI는 모바일 전화의 데스크톱이다. 사용자가 데스크톱 상의 "설정" 아이콘(501)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도 5(b)에 도시된 GUI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5(b)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GUI는 모바일 전화의 설정 인터페이스이다. 사용자는 무선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연결, 홈 스크린 및 바탕화면, 소리, 통지 센터 및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소리 설정 하에서 착신 호출 비디오를 선택하기를 고를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 인터페이스 내의 컨트롤(502)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도 5(c)에 도시된 GUI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5(c)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GUI는 모바일 전화의 소리 설정 인터페이스이고, 사용자는 매체, 착신음, 알람 및 호출의 볼륨을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전화 착신음을 가능하게 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것 및 모바일 전화의 각각의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를 위한 전화 착신음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여, 소리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전화 착신음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는 2개의 SIM 카드(카드 1 및 카드 2)를 지원하고, 사용자는 카드 1 및 카드 2 각각을 위한 전화 착신음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착신 호출 비디오를 가능하게 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것 및 모바일 전화의 각각의 SIM 카드를 위한 착신 호출 비디오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여, 소리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착신 호출 비디오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는 2개의 SIM 카드(카드 1 및 카드 2)를 지원하고, 사용자는 카드 1 및 카드 2 각각을 위한 착신 호출 비디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현재의 카드 1의 착신 호출 비디오는 "나루토"(Naruto)이다. 사용자가 컨트롤(503)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도 5(d)에 도시된 GUI를 디스플레이한다.
실시예에서, 카드 1의 착신 호출 비디오 "나루토"는 테마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로딩된 착신 호출 비디오의 테마 타입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드 1의 착신 호출 비디오 "나루토"는 또한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설정되고 모바일 전화의 앨범 내의 "나루토" 카테고리 내에 있는 비디오일 수 있다. "나루토" 카테고리는 "나루토"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카드 1이 착신 호출을 연이은 두 번 검출하는 경우에, 그 두 번의 두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나루토" 테마 타입 내의 상이한 비디오가 각각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카드 2가 착신 호출을 연이은 두 번 검출하는 경우에, 그 두 번의 두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 테마 타입 내의 상이한 비디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카드 1이 착신 호출을 수신하는 경우에,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나루토" 테마 타입 내의 비디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의 카드 2가 착신 호출을 수신하는 경우에,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 테마 타입 내의 비디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GUI는 카드 1의 착신 호출 비디오의 설정 인터페이스이고, 인터페이스는 테마 애플리케이션의 엔트리(entry) 및 로컬 로딩(local loading)을 위한 엔트리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컨트롤(504)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은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테마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좋아하는 착신 호출 비디오의 테마 타입을 사용자가 재선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로컬로 저장된 비디오를 모바일 전화의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GUI의 다른 그룹을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GUI는 모바일 전화의 앨범 인터페이스이다. 모바일 전화의 앨범은 8개의 사진과 4개의 비디오를 포함한다. 비디오(601) 상에서 사용자의 사전설정된 제스처를 검출하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도 6(b)에 도시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앨범 인터페이스에서 비디오(601)를 터치하고 지속하는 것을 모바일 전화가 검출한 후에, 도 6(b)에 도시된 GUI가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앨범 인터페이스에서 비디오(601)를 누르는 것(예를 들어, 누르는 힘이 사전설정된 값 이상임)을 모바일 전화가 검출한 후에, 도 6(b)에 도시된 GUI가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앨범 인터페이스에서 비디오(601)에 대해 단일 탭(single-tap)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모바일 전화가 검출한 후에, 도 6(b)에 도시된 GUI가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앨범 인터페이스에서 비디오(601)에 대해 이중 탭(double-tap)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모바일 전화가 검출한 후에, 도 6(b)에 도시된 GUI가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앨범 인터페이스에서 비디오(601)에 대해 원 궤적(circle track)을 그리는 제스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모바일 전화가 검출한 후에, 도 6(b)에 도시된 GUI가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앨범 인터페이스에서 비디오(601)를 드래그하는(dragging) 제스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모바일 전화가 검출한 후에, 도 6(b)에 도시된 GUI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6(b)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앨범 인터페이스에서의 처리 모드는 비디오(601)를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설정할 것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컨트롤(602), 색상 보존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컨트롤 및 삭제 컨트롤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컨트롤(602)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비디오(601)를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SIM 카드(예를 들어, 카드 1 및 카드 2)가 모바일 전화 내에 설치된다. 사용자가 컨트롤(602)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비디오(601)를 카드 1 및 카드 2의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SIM 카드(예를 들어, 카드 1 및 카드 2)가 모바일 전화 내에 설치된다. 모바일 전화가 비디오(601) 상에서 사용자의 사전설정된 제스처를 검출하는 경우에, 앨범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처리 모드는 비디오(601)를 카드 1의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설정할 것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컨트롤, 비디오(601)를 카드 2의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설정할 것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컨트롤, 색상 보존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컨트롤 및 삭제 컨트롤을 포함한다.
도 6(c)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모바일 전화는 또한 이전에 촬영되거나 세이브된(saved) 비디오에 대해 지능적인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앨범을 여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사용자를 위해 비디오의 지능적으로 분류된 카테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전화는 비디오를 3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귀여운 강아지", "가족" 및 "해양". "귀여운 강아지" 카테고리는 4개의 비디오를 포함하고, "가족" 카테고리는 15개의 비디오를 포함하고, "해양" 카테고리는 6개의 비디오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귀여운 강아지" 카테고리(603)에 대해 사전설정된 제스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모바일 전화가 검출한 후에, 도 6(d)에 도시된 GUI가 디스플레이된다.
실시예에서, 이전에 촬영되거나 세이브된 비디오인 비디오의 지능적 분류는 또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완료될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컨트롤(604)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귀여운 강아지" 카테고리(603) 내의 4개의 비디오를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SIM 카드(예를 들어, 카드 1 및 카드 2)가 모바일 전화 내에 설치된다. 사용자가 컨트롤(604)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귀여운 강아지" 카테고리(603) 내의 4개의 비디오를 카드 1 및 카드 2의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SIM 카드(예를 들어, 카드 1 및 카드 2)가 모바일 전화 내에 설치된다. 모바일 전화가 비디오(601) 상에서 사용자의 사전설정된 제스처를 검출하는 경우에, 앨범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처리 모드는 "귀여운 강아지" 카테고리(603) 내의 4개의 비디오를 카드 1의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설정할 것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컨트롤, "귀여운 강아지" 카테고리(603) 내의 4개의 비디오를 카드 2의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설정할 것을 지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컨트롤, 색상 보존 모드를 입력하기 위한 컨트롤 및 삭제 컨트롤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모바일 전화는 "귀여운 강아지" 카테고리(603) 내의 4개의 비디오를 저장하는 순차에 기반하여 착신 호출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거나, 모바일 전화는 4개의 비디오 중 하나를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사용자는 또한 착신 호출 비디오의 선명도를 설정할 수 있거나 시스템은 디폴트(default) 선명도를 갖는다. 사용자가 컨트롤(602)을 탭하는 것을 모바일 전화가 검출한 후에, 만일 비디오(601)의 선명도가 착신 호출 비디오를 위해 허용된 가장 높은 선명도보다 더 높은 경우, 모바일 전화는 비디오(601)의 선명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비디오(601)를 처리할 수 있다.
로컬 로딩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가 도 5(d)에 도시된 GUI를 탭하는 것을 모바일 전화가 검출하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로딩될 필요가 있는 착신 호출 비디오를 선택하도록 모바일 전화의 앨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이 응당 이해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로컬 로딩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가 도 5(d)에 도시된 GUI를 탭하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오직 로컬로 저장된 비디오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컬 로딩"을 탭하는 것을 모바일 전화가 검출한 후에, 도 6(c)에 도시된 G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사용자는 "귀여운 강아지" 카테고리(603) 내의 비디오를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사용하기를 고를 수 있다. 이 경우에, 카드 1의 착신 호출 비디오는 "나루토"로부터 "귀여운 강아지"로 업데이트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모바일 전화는 착신 호출 비디오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불러낼 수 있다. 비디오 재생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동작이 검출된 후에,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시청하는 비디오는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설정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GUI는 모바일 전화의 데스크톱이다. 사용자가 데스크톱(301) 상의 비디오 APP의 아이콘(701)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비디오 APP을 시작하고, 도 7(b)에 도시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비디오 앱은 모바일 전화 상에 사전설치되거나 제3자에 의해 개발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비디오 APP을 사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위쪽으로 밀거나(sliding), 아래쪽으로 밀거나, 왼쪽으로 밀거나, 오른쪽으로 미는 동작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비디오 콘텐트를 전환할 수 있다.
GUI는 좋아요(like) 컨트롤, 메시지 컨트롤, 전달 컨트롤, 그리고 착신 호출 비디오를 설정하기 위한 컨트롤(702)을 더 포함한다. 비디오 APP은 착신 호출 비디오를 설정하기 위해 모바일 전화 내에 인터페이스를 불러낼 수 있고, 이후에 컨트롤(702)이 비디오 APP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컨트롤(702)을 탭하는 것을 모바일 전화가 검출한 후에, 현재 시청되는 비디오는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설정될 수 있다.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비디오를 시청하고 있거나 비디오 파일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현재 시청되는 비디오 또는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파일을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설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기대하는 착신 호출 비디오를 적시에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실시예에서, 만일 현재 시청되는 비디오가 오프라인(offline) 비디오인 경우, 모바일 전화는 네트워크로부터 비디오를 다운로드하고, 로컬로 모바일 전화 내에 비디오를 저장할 수 있다.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다운로드된 비디오를 재생을 위해 로컬로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컨트롤(702)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지속기간은 10분이고, 사용자는 사용자가 관심 있는 시간 기간을, 예를 들어, 3분 20초로부터 3분 40초까지,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관심 있는 시간 기간을 사용자가 선택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원래의 비디오를 포착하고, 착신 호출 비디오의 저장 폴더 내에 비디오 클립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컨트롤(702)을 탭하는 것을 모바일 전화가 검출한 후에, 만일 "곰돌이 푸"(Winnie the Pooh)의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선명도가 착신 호출 비디오를 위해 허용된 가장 높은 선명도보다 더 높은 경우, 모바일 전화는 "곰돌이 푸"의 비디오를, 비디오의 선명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비디오 APP에서, 복수 개의 비디오 콘텐트를 위해 컨트롤(702)을 탭할 수 있고, 모바일 전화는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702)이 탭된 비디오 콘텐트를, 모바일 전화 내의 착신 호출 비디오 폴더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로부터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착신 호출 비디오는 사용자가 복수 개의 비디오 콘텐트를 위해 컨트롤(702)을 탭하는 순차에 기반하여 재생될 수 있거나, 복수 개의 비디오 콘텐트 중 임의의 것이 무작위로 재생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 산"으로부터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의 착신 호출 비디오는 도 7(b)에 도시된 비디오 콘텐트로서 디스플레이되거나, 도 7(b)에 도시된, 사용자에 의해 포착된, 비디오 콘텐트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GUI 인터페이스는 비디오의 테마 이름 "곰돌이 푸"를 더 포함한다.
도 7(d)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 산"으로부터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의 착신 호출 비디오는 도 7(b)에 도시된 비디오 콘텐트로서 디스플레이되거나, 도 7(b)에 도시된, 사용자에 의해 포착된, 비디오 콘텐트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된다. GUI 인터페이스는 동작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동작 인터페이스는 즐겨찾기 컨트롤(703), 좋아요 컨트롤(704), 공유 컨트롤(705), 그리고 "곰돌이 푸"의 비디오의 더 많은 소개 콘텐트를 포함한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곰돌이 푸"의 비디오의 소개 콘텐트는 "곰돌이 푸는 그 매력적으로 천진난만한 이미지로 전 세계적으로 어린이들이 무척 사랑하는, 디즈니의 고전 만화 캐릭터입니다"이다.
사용자가 컨트롤(703)을 탭하는 것을 모바일 전화가 검출하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현재의 비디오가 사용자가 좋아하는 비디오임을 판정할 수 있고, 모바일 전화는 착신 호출 비디오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에 비디오를 삭제하지 않을 수 있음이 응당 이해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는 서버로부터 10개의 비디오를 다운로드한다(모바일 전화 내에 저장되는 착신 호출 비디오의 최대 수량은 10이라고 가정됨).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사용자가 비디오 중 2개를 즐겨찾기에 추가하는 것을 검출한다. 시간 기간 후에, 두 비디오는 모바일 전화가 착신 호출 비디오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에 삭제되지 않을 수 있고, 10개의 다운로드된 비디오 중에서 두 착신 호출 비디오가 아닌 다른 8개의 비디오는 삭제되며, 8개의 새로운 비디오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다.
사용자가 컨트롤(704)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대응하는 좋아요 데이터를 서버에 발신할 수 있음이 또한 응당 이해된다. 통계를 수집한 후에, 서버는 실시간으로 테마 애플리케이션 내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마 애플리케이션을 연 후에, 사용자는 내림차순으로 좋아요의 수량에 기반하여 정렬된 착신 호출 비디오 테마 타입을 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다른 사용자로부터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착신 호출 비디오 인터페이스 내에 비디오 콘텐트 및 비디오에 대응하는 테마 이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바일 전화가 착신 호출 비디오 인터페이스 내에서의 사용자의 사전설정된 제스처를 검출하는 경우에, 또는 모바일 전화가 사용자가 버튼을 탭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동작, 예를 들어, 즐겨찾기에 추가하기, 좋아요 하기, 또는 공유하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동작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착신 호출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은, 비디오를 시청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좋아요가 된 비디오를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실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착신 호출 비디오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불러낸다. 이것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구독된(subscribed) 착신 호출 비디오는 저장의 시간 순차에 기반하여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일 동안 저장된 비디오는 자동적으로 삭제된다. 대안적으로, 만일 착신 호출 비디오 폴더 내의 비디오의 크기가 특정 용량(예를 들어, 200 M)을 초과하거나 비디오의 수량이 특정 수량(예를 들어, 20)을 초과하는 경우, 비디오의 크기가 200 MB 미만이거나 비디오의 수량이 20 미만일 때까지, 저장 시간의 길이에 기반하여 가장 긴 저장 시간부터 순차로 비디오가 삭제된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사용되고 즐겨찾기에 추가된 비디오는 삭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GUI의 다른 그룹의 개략도이다. GUI의 이 그룹은 사용자에 의해 비디오 클립을 수동으로 포착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GUI에서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총 지속기간은 10분이다. 사용자가 컨트롤(702)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도 8(a)에 도시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모바일 전화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의 총 지속기간이 과도하게 깁니다. 비디오를 클리핑하기를 원하십니까?"라고 말(또는 음성)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컨트롤(801)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도 8(b)에 도시된 GUI를 디스플레이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재생되는 비디오의 지속기간이 제1 지속기간 임계(예를 들어, 2분) 이상인 경우에, 도 8(a)에 도시된 GUI가 디스플레이된다. 재생되는 비디오의 지속기간이 제1 지속기간 임계 미만인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702)을 탭하는 동작이 검출된 후, 비디오는 바로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판정된다.
도 8(b)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비디오의 시작 클리핑 시점, 예를 들어, 00:03:20을 입력 박스(802)에 입력하고, 비디오의 종료 클리핑 시점, 예를 들어, 00:03:40을 입력 박스(803)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트롤(804)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비디오 클리핑 후에 획득된 비디오 클립(원래의 비디오에서 3분 20초부터 3분 40초까지의 20초 비디오)을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판정한다.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비디오를 시청하거나 비디오 파일의 지속기간이 과도하게 길다고 보이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비디오 클립을 사용자가 시청하도록, 비디오 클리핑을 수행할 것을 사용자에게 상기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도 9(a) 및 도 9(b)는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GUI의 다른 그룹의 개략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사용자 "리 시"로부터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테마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이전에 로딩되거나, 앨범으로부터 선택되거나, 제3자 비디오 재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선택된 비디오 콘텐트가 착신 호출 비디오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추가로, 착신 호출 비디오 인터페이스는 컨트롤(901)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가 컨트롤(801)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착신 호출 비디오를 더 이상 재생하고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도 9(b)에 도시된 GUI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9(b)에 도시된 GUI를 참조하면, 모바일 전화는 착신 호출 비디오 인터페이스 상에 어떤 비디오 콘텐트도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이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9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1010: 구독된 착신 호출 비디오 테마 타입을 탭하는, 사용자 A에 의해 수행된 제1 동작을 검출한다.
S1020: 전자 디바이스 1은 착신 호출 비디오 서버와 동기화하고 착신 호출 비디오 테마 타입의 비디오 콘텐트를 사전로딩한다(preload).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 1이 착신 호출 비디오 테마 타입을 사전로딩한다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 1이 전자 디바이스 1 내에 착신 호출 비디오 테마 타입의 비디오 콘텐트를 로컬로 캐싱함(cache), 또는 전자 디바이스 1이 착신 호출 비디오 서버로부터 착신 호출 비디오 테마 타입의 비디오 콘텐트를 다운로드함으로서 또한 이해될 수 있다.
S1030: 사용자 B는 전자 디바이스 2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A에게 호출을 행한다.
S1040: 전자 디바이스 1의 착신 호출 인터페이스 내에 비디오 콘텐트 1을 디스플레이하는데, 비디오 콘텐트 1은 착신 호출 비디오 테마 타입 내의 한 개의 비디오 콘텐트이다.
S1050: 사용자가 호출에 회답하거나 호출을 끊는 것을 전자 디바이스 1이 검출한 후에, 전자 디바이스 상의 비디오 콘텐트 1은 사라진다.
S1060: 사용자 C는 전자 디바이스 3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A에게 호출을 행한다.
S1070: 전자 디바이스 1의 착신 호출 인터페이스 내에 비디오 콘텐트 2를 디스플레이하는데, 비디오 콘텐트 2는 착신 호출 비디오 테마 타입 내의 다른 한 개의 비디오 콘텐트이다.
전술한 실시예 및 관련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이 출원의 실시예는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1100)의 다른 개략적인 흐름도를 제공한다. 방법(1100)은 스크린(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을 갖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100)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110: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한다.
S1120: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착신 호출 요청에 기반하여 스크린 상에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제1 비디오를 재생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9시 10분에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터치스크린 상에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비디오 2를 재생한다.
S1130: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한다.
S1140: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착신 호출 요청에 기반하여 스크린 상에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제2 비디오를 재생한다.
제1 착신 호출 요청 및 제2 착신 호출 요청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연이어 수신되는 두 호출 요청이고, 제1 비디오는 제2 비디오와 상이하다.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복수의 착신 호출 비디오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착신 호출이 수신될 때마다 이전의 착신 호출이 수신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콘텐트와는 상이한 비디오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바, 이로써 사용자에게 양호한 경험을 가져다 준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시 15분에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터치스크린 상에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비디오 3을 재생하는데, 9시 10분에서의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의 착신 호출 및 11시 15분에서의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의 착신 호출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연이어 수신되는 두 착신 호출이고, 비디오 2 및 비디오 3은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상이한 비디오이다.
선택적으로, 방법(1100)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가 서버에게 복수의 비디오를 요청하는 것(복수의 비디오는 제1 비디오 및 제2 비디오를 포함함); 및
전자 디바이스가 서버에 의해 발신된 복수의 비디오를 수신하는 것.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비디오 테마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비디오 테마는 복수의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고, 착신 호출이 수신될 때마다 이전의 착신 호출이 수신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콘텐트와는 상이한 비디오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바, 이로써 사용자에게 양호한 경험을 가져다 준다.
선택적으로, 제2 착신 호출 비디오 인터페이스 내에 제2 비디오를 재생하기 전에, 방법(1100)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필요가 있는 제2 비디오를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것.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수동 동작 없이 두 연이은 착신 호출 간에 비디오 콘텐트를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트롤(305)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서버에게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복수의 비디오를 요청하고, 요청에 의해 획득되는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복수의 비디오를 로컬로 저장할 수 있다. 11시 15분에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복수의 비디오로부터, 비디오 3을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필요가 있는 비디오로서 자동적으로 판정할 수 있거나,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필요가 있는 비디오를 비디오 2로부터 비디오 3으로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가, 복수의 비디오로부터, 비디오 3을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필요가 있는 비디오로서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시점은 모바일 전화가 서버로부터 복수의 비디오를 수신하는 시점일 수 있고, 이후에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복수의 비디오를 재생하는 순차가 판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바일 전화가, 복수의 비디오로부터, 비디오 3을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필요가 있는 비디오로서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시점은 모바일 전화가 9시 10분에서의 사용자 "우 샤오팡"으로부터의 착신 호출에 회답하거나 이를 끊는 시점일 수 있고, 다음에 사용자로부터 착신 호출이 있을 때에 비디오 3이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됨이 판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바일 전화가, 복수의 비디오로부터, 비디오 3을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필요가 있는 비디오로서 자동적으로 판정하는 시점은 모바일 전화가 11시 15분에 착신 호출을 수신하는 시점일 수 있고,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비디오는 비디오 3임이 자동적으로 판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법(1100)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설정 명령어를 수신하는 것(설정 명령어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비디오의 범위를 지정하는 데에 사용됨); 및
전자 디바이스가 설정 명령어에 의해 지정된 범위에 기반하여 제1 비디오 및 제2 비디오를 판정하는 것.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비디오의 범위는 비디오로서, 이로부터 전자 디바이스가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필요가 있는 비디오를 선택하는 비디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범위는 지정된 저장 경로일 수 있고, 착신 호출 비디오는 저장 경로 내의 비디오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대안적으로 범위는 지정된 라벨 정보일 수 (있거나 테마 또는 타입으로 지칭될 수) 있고, 라벨 정보를 갖는 비디오의 범위로부터 착신 호출 비디오가 선택된다.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비디오 콘텐트의 범위를 판정하여, 전자 디바이스가 범위 내의 비디오를 적시에 재생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는 서버로부터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복수의 비디오를 수신하고, 저장 경로 내에 복수의 비디오를 저장한다. 모바일 전화가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모바일 전화는, 저장 경로 내의 복수의 비디오로부터,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필요가 있는 비디오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는 서버로부터 비디오 테마 타입 5 내의 복수의 비디오를 수신하고, 라벨 정보 "비디오 테마 타입 5"로써 복수의 비디오를 라벨링한다. 모바일 전화가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모바일 전화는, 라벨 정보 "비디오 테마 타입 5"를 가진 비디오로부터,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필요가 있는 비디오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트롤(604)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비디오의 범위가 "귀여운 강아지" 카테고리 내의 4개의 비디오임을 판정할 수 있다. 모바일 전화가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모바일 전화는, "귀여운 강아지" 카테고리 내의 4개의 비디오로부터,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필요가 있는 비디오를 판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제1 가입자 신원 모듈(SIM) 카드 및 제2 SIM 카드는 전자 디바이스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성 명령어는 제1 구성 명령어 및 제2 구성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1 구성 명령어는 제1 SIM 카드의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비디오의 범위를 지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제2 구성 명령어는 제2 SIM 카드의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비디오의 범위를 지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착신 호출 시에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상이한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에 대해 상이한 착신 호출 비디오가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컨트롤(503)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테마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새로운 비디오 테마 타입(예를 들어, 비디오 테마 타입 1)을 로딩하고, 비디오 테마 타입 1 내의 복수의 비디오를 서버에게 요청할 수 있다. 복수의 비디오가 요청된 후에, 모바일 전화는 저장 경로 내에 복수의 비디오를 저장할 수 있는데, 비디오 테마 타입 1 내의 복수의 비디오는 카드 1의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비디오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카드 2의 착신 호출 비디오에 대응하는 컨트롤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테마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새로운 비디오 테마 타입(예를 들어, 비디오 테마 타입 2)을 로딩하고, 비디오 테마 타입 2 내의 복수의 비디오를 서버에게 요청할 수 있다. 복수의 비디오가 요청된 후에, 모바일 전화는 저장 경로 내에 복수의 비디오를 저장할 수 있는데, 비디오 테마 타입 2 내의 복수의 비디오는 카드 2의 착신 호출에 대응하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비디오의 범위이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 및 제2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는 전자 디바이스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착신 호출 요청 및 제2 착신 호출 요청이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연이어 수신되는 두 호출 요청임은 구체적으로 제1 착신 호출 요청 및 제2 착신 호출 요청이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두 호출 요청임을 의미하거나;
제1 착신 호출 요청 및 제2 착신 호출 요청이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연이어 수신되는 두 호출 요청임은 구체적으로 제1 착신 호출 요청 및 제2 착신 호출 요청이 제2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두 연이은 호출 요청임을 의미한다.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동일한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에 대해, 상이한 시점에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동일한 비디오 테마 내의 상이한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고, 다른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에 대해, 상이한 시점에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다른 비디오 테마 내의 상이한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이는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카드 1의 착신 호출 비디오가 비디오 테마 타입 1의 것인 경우에, 만일 모바일 전화가 카드 1을 위한 두 호출 요청을 연이어 수신하면, 모바일 전화는 두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비디오 테마 타입 1 내의 비디오 5 및 비디오 6을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2의 착신 호출 비디오가 비디오 테마 타입 2의 것인 경우에, 만일 모바일 전화가 카드 2을 위한 두 호출 요청을 연이어 수신하면, 모바일 전화는 두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비디오 테마 타입 2 내의 비디오 7 및 비디오 8을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두 연이은 착신 호출은 두 SIM 카드 간에 구별되지 않을 수 있음이 응당 이해된다. 다시 말해, 제1 착신 호출 요청은 카드 1을 위한 착신 호출 요청이고, 제1 착신 호출 요청에 후속하는 다음 착신 호출 요청은 카드 2를 위한 착신 호출 요청이다. 카드 1의 착신 호출 요청에 대해, 비디오 테마 타입 1 내의 비디오 5가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수 있다. 카드 2의 착신 호출 요청에 대해, 비디오 테마 타입 2 내의 비디오 7이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방법(1100)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제1 비디오가 재생되거나 제1 비디오의 파일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제1 동작을 검출하는 것; 및
제1 동작에 응답하여, 제1 비디오를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후보 비디오로서 설정하는 것.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비디오를 시청하고 있거나 비디오 파일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현재 시청되는 비디오 또는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파일을 착신 호출 비디오로서 설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기대하는 착신 호출 비디오를 적시에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컨트롤(702)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현재 재생되는 비디오를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후보 비디오로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곰돌이 푸"의 비디오의 재생 인터페이스는 제3자 APP 내의 비디오 재생 인터페이스이다. 모바일 전화가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 연결된 후, 비디오는 온라인으로 시청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트롤(702)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곰돌이 푸"의 비디오를 대응하는 서버에게 요청하고, 모바일 전화의 저장 경로 내에 비디오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경로 내의 비디오는 모바일 전화의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후보 비디오이다.
예를 들어, 도 6(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앨범을 열람하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복수의 비디오의 분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컨트롤(604)을 탭하는 것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귀여운 강아지" 카테고리 내의 4개의 비디오를 모바일 전화의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후보 비디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방법(1100)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제3 비디오가 재생되거나 제3 비디오의 파일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제1 동작을 검출하는 것;
제1 동작에 응답하여 제3 비디오를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검출하는 것(선택 동작은 제3 비디오 내의 부분적인 비디오 클립을 선택하는 데에 사용됨); 및
선택 동작에 기반하여 제3 비디오 내의 부분적인 비디오 클립을 제1 비디오로서 판정하고, 제1 비디오를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후보 비디오로서 설정하는 것.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비디오를 시청하거나 비디오 파일의 지속기간이 과도하게 길다고 보이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비디오 클립을 사용자가 시청하도록, 비디오 클리핑을 수행할 것을 사용자에게 상기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도 8(a)를 참조하면, 제1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801)을 탭하는 동작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801)을 탭하는 동작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곰돌이 푸"의 비디오를 위한 비디오 클립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선택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804)을 탭하는 동작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804)을 탭하는 동작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원래의 비디오에서 3분 20초부터 3분 40초까지의 비디오 클립을 모바일 전화의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후보 비디오로서 판정할 수 있다.
원래의 비디오의 비디오 클리핑을 완료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저장 경로 내에 비디오 클리핑 후에 획득된 비디오 클립을 저장하거나, 앨범 내에 비디오 클립을 저장할 수 있음이 응당 이해된다.
선택적으로,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방법(1100)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제1 비디오의 선명도를 조정하는 것.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이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의 선명도가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비디오를 재생하는 것의 선명도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좋아하는 비디오를 사용자가 적시에 시청할 수 있도록, 비디오의 선명도를 자동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602)을 탭하는 동작을 검출한 후에, 모바일 전화는 비디오(601)를 모바일 전화의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후보 비디오로서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바일 전화는 또한 비디오(601)의 선명도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비디오(601)의 선명도가 초고선명도(ultra-high definition)이나,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비디오의 선명도가 고선명도(high definition) 또는 고선명도보다 더 낮은 선명도인 경우, 모바일 전화는 또한 비디오(601)의 선명도를 자동적으로 조정, 예를 들어, 비디오(601)의 선명도를 초고해상도로부터 고해상도로 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제1 비디오를 재생하는 경우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의 제2 동작을 검출하는 것; 및
제2 동작에 응답하여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제1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제1 컨트롤은 제1 비디오를 즐겨찾기에 추가하거나, 제1 비디오에 좋아요를 하거나, 제1 비디오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됨).
예를 들어, 도 7(d)를 참조하면,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컨트롤(703), 컨트롤(704) 및 컨트롤(705)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컨트롤(703), 컨트롤(704) 및 컨트롤(705) 중 일부 컨트롤을 포함한다.
각각의 컨트롤의 기능에 대해,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서술을 참조하시오. 간결함을 위해,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회답 UI 컨트롤 또는 끊기 UI 컨트롤을 트리거하는 것을 전자 디바이스가 검출하는 경우에,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의 비디오 콘텐트는 자동적으로 사라진다.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대응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함이 이해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기술된 각각의 예의 단계를 참조하면, 이 출원은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하드웨어 구동되는지는 기술적 해결안의 특정한 적용 및 설계 제약에 달려 있다. 당업자는 기술된 기능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각각의 특정한 적용을 위해 구현하는 데에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구현이 이 출원의 실시예의 범위를 넘어간다고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전술한 방법에서의 예에 기반하여 기능 모듈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기능에 대응하는 각각의 기능 모듈이 구분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기능이 하나의 처리 모듈 내에 집성될 수 있다. 집성된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모듈 구분은 예이며, 단지 논리적 기능 구분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제의 구현에서, 다른 구분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대응하는 기능을 사용하여 구분을 통해서 기능 모듈이 획득되는 경우에, 도 12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200)의 가능한 조성의 개략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200)는 검출 유닛(1210), 디스플레이 유닛(1220) 및 재생 유닛(1230)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유닛(1210)은 전자 디바이스(1200)가 단계(1110), 단계(1130) 및 유사한 것, 그리고/또는 이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을 위해 사용되는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20)은 전자 디바이스(1200)가 단계(1120) 및 단계(1140)에서, 관련된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의 디스플레이 동작 및 유사한 것, 그리고/또는 이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을 위해 사용되는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재생 유닛(1230)은 전자 디바이스(1200)가 단계(1120) 및 단계(1140)에서, 관련된 비디오 재생 동작 및 유사한 것, 그리고/또는 이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을 위해 사용되는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단계의 모든 관련된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 모듈의 기능 서술에서 인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구현 방법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집성된 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처리 유닛, 저장 유닛 및 통신 유닛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유닛 블록은 전자 디바이스의 행위를 제어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가 검출 유닛(1210), 디스플레이 유닛(1220) 및 재생 유닛(1203)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유닛은 전자 디바이스가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및 유사한 것을 저장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전자 디바이스 및 다른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모듈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이 출원에서 개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 모듈 및 회로를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컴퓨팅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세서의 조합,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일 수 있다. 저장 모듈은 메모리일 수 있다. 통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회로, 블루투스 칩, 또는 와이파이 칩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이 프로세서이고 저장 모듈이 메모리인 경우에, 이 실시예에서의 전자 디바이스는 도 1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실시예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또한 제공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명령어를 저장한다. 컴퓨터 명령어가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가동되는 경우에, 전술한 실시예에서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는 전술한 관련된 방법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또한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가동되는 경우에, 전술한 실시예에서 착신 호출 시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는 전술한 관련된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추가로, 이 출원의 실시예는 장치를 또한 제공한다. 장치는 구체적으로, 칩, 컴포넌트, 또는 모듈일 수 있다. 장치는 서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장치가 가동되는 경우에, 칩으로 하여금 전술한 실시예에서 착신 호출 시에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자 디바이스, 컴퓨터 저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칩은 위에서 제공된 대응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달성될 수 있는 유익한 효과에 대해, 위에서 제공된 대응하는 방법에서의 유익한 효과를 참조하시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기술된 예와 조합되어,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해결안의 특정한 적용 및 설계 제약에 달려 있다. 당업자는 기술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한 적용을 위해 구현하는 데에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구현이 이 출원의 범위를 넘어간다고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편리하고 간결한 설명의 목적으로,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함이 당업자에 의해 명확히 이해될 수 있고,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이 출원에서 제공되는 몇 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응당 이해된다. 예를 들어, 기술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이다. 예를 들어, 유닛 구분은 단지 논리적 기능 구분이며 실제의 구현에서 다른 구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다른 시스템으로 조합되거나 집성될 수 있거나, 몇몇 특징은 무시될 수 있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현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커플링 또는 직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몇몇 인터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간접적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자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별개의 부분으로서 기술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별개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현시된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거나, 하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산될 수 있다. 실시예의 해결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의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유닛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될 수 있다.
추가로,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적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내에 집성될 수 있거나, 유닛 각각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 내에 집성된다.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적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에, 기능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이 출원의 기술적 해결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또는 기술적 해결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되며, 컴퓨터 디바이스(이는 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음)로 하여금 이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술된 방법의 단계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몇 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 예컨대 USB 플래시(flash) 드라이브, 탈거가능(removable)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이 출원의 구체적인 구현일 뿐이며, 이 출원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 출원에서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쉽게 안출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이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응당 속할 것이다. 따라서, 이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응당 청구항의 보호 범위에 의거할 것이다.

Claims (22)

  1. 착신 호출(incoming call)이 있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는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 및 제2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가 설치되며,
    상기 방법은,
    제1 비디오를 상기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착신 호출 비디오로 설정하기 위한 제1 동작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비디오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저장됨 -와
    상기 제1 비디오의 지속기간이 제1 지속시간 임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비디오를 클리핑할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1 프롬프트(prompt)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클리핑된 제1 비디오를 상기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상기 착신 호출 비디오로 결정하는 단계와
    제2 비디오를 상기 제2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착신 호출 비디오로 설정하기 위한 제2 동작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비디오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저장됨 -와
    상기 제2 비디오의 지속기간이 제1 지속시간 임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비디오를 클리핑하지 않고 상기 제2 비디오를 상기 제2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상기 착신 호출 비디오로 결정하는 단계와
    제1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착신 호출 요청은 상기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호출 요청임 -와,
    상기 제1 착신 호출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상기 클리핑된 제1 비디오를 재생하는(playing) 단계와,
    제2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착신 호출 요청은 상기 제2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호출 요청임 -와,
    상기 제2 착신 호출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상기 제2 비디오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착신 호출 요청 및 상기 제2 착신 호출 요청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연이어 수신되는 두 호출 요청이고, 상기 클리핑된 제1 비디오는 상기 제2 비디오와 상이하며,
    상기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각각 회답 UI 컨트롤(answering UI control) 및 끊기 UI 컨트롤(hang-up UI control)을 또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회답 UI 컨트롤이 트리거되는(triggered) 경우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에 회답하고, 상기 끊기 UI 컨트롤이 트리거되는 경우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착신 호출을 끊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설정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설정 명령어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비디오 콘텐트(video content)의 범위를 지정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비디오 콘텐트의 범위는 상기 비디오 콘텐트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포함함 - 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설정 명령어에 의해 지정된 상기 범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비디오 및 상기 제2 비디오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제1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비디오가 재생되거나 상기 제1 비디오의 파일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제1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비디오를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후보 비디오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1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제3 비디오가 재생되거나 상기 제3 비디오의 파일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제1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비디오를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선택 동작은 상기 제3 비디오 내의 부분적인 비디오 클립(partial video clip)을 선택하는 데에 사용됨 - 와,
    상기 선택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비디오 내의 상기 부분적인 비디오 클립을 상기 제1 비디오로서 판정하고, 상기 제1 비디오를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후보 비디오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제1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비디오의 선명도(definition)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가 상기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경우에,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제2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제1 컨트롤(control)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제1 컨트롤은 상기 제1 비디오를 즐겨찾기에 추가하거나, 상기 제1 비디오에 좋아요를 하거나, 상기 제1 비디오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제3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신 호출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 1 착신음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신음은 상기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착신음으로 설정되는,
    방법.
  11. 전자 디바이스로서,
    스크린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과,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는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 및 제2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가 설치되고,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비디오를 상기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착신 호출 비디오로 설정하기 위한 제1 동작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비디오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저장됨 -와
    상기 제1 비디오의 지속기간이 제1 지속시간 임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비디오를 클리핑할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1 프롬프트(prompt)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클리핑된 제1 비디오를 상기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상기 착신 호출 비디오로 결정하는 단계와
    제2 비디오를 상기 제2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착신 호출 비디오로 설정하기 위한 제2 동작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비디오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저장됨 -와
    상기 제2 비디오의 지속기간이 제1 지속시간 임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비디오를 클리핑하지 않고 상기 제2 비디오를 상기 제2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상기 착신 호출 비디오로 결정하는 단계와
    제1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착신 호출 요청은 상기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호출 요청임 -와,
    상기 제1 착신 호출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상기 클리핑된 제1 비디오를 재생하는 단계와,
    제2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착신 호출 요청은 상기 제2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호출 요청임 -와,
    상기 제2 착신 호출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제2 비디오를 재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 착신 호출 요청 및 상기 제2 착신 호출 요청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연이어 수신되는 두 호출 요청이고, 상기 클리핑된 제1 비디오는 상기 제2 비디오와 상이하며,
    상기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각각 회답 UI 컨트롤(answering UI control) 및 끊기 UI 컨트롤(hang-up UI control)을 또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회답 UI 컨트롤이 트리거되는(triggered) 경우에는 착신 호출에 회답하고, 상기 끊기 UI 컨트롤이 트리거되는 경우에는 착신 호출을 끊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전자 디바이스.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설정 명령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설정 명령어는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비디오 콘텐트의 범위를 지정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비디오 콘텐트의 범위는 상기 비디오 콘텐트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포함함 - 와,
    상기 설정 명령어에 의해 지정된 상기 범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비디오 및 상기 제2 비디오를 판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전자 디바이스.
  14. 삭제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비디오가 재생되거나 상기 제1 비디오의 파일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제1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비디오를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후보 비디오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전자 디바이스.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제3 비디오가 재생되거나 상기 제3 비디오의 파일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제1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비디오를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선택 동작은 상기 제3 비디오 내의 부분적인 비디오 클립을 선택하는 데에 사용됨 - 와,
    상기 선택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비디오 내의 상기 부분적인 비디오 클립을 상기 제1 비디오로서 판정하고, 상기 제1 비디오를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될 후보 비디오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전자 디바이스.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착신 호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제1 비디오의 선명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전자 디바이스.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비디오가 상기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재생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제2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내에 제1 컨트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제1 컨트롤은 상기 제1 비디오를 즐겨찾기에 추가하거나, 상기 제1 비디오에 좋아요를 하거나, 상기 제1 비디오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사용됨 - 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전자 디바이스.
  20. 제11항, 제13항,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착신 호출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제1 착신 호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 1 착신음을 재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1 착신음은 상기 제1 가입자 신원 모듈 카드의 착신음으로 설정되는,
    전자 디바이스.
  21.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명령어가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가동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제1항, 제3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삭제
KR1020217017810A 2019-02-03 2020-01-17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KR102558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108885.X 2019-02-03
CN201910108885.XA CN109981885B (zh) 2019-02-03 2019-02-03 一种电子设备在来电时呈现视频的方法和电子设备
PCT/CN2020/072678 WO2020156230A1 (zh) 2019-02-03 2020-01-17 一种电子设备在来电时呈现视频的方法和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739A KR20210089739A (ko) 2021-07-16
KR102558615B1 true KR102558615B1 (ko) 2023-07-21

Family

ID=6707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810A KR102558615B1 (ko) 2019-02-03 2020-01-17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489972B2 (ko)
EP (2) EP3876506B1 (ko)
JP (1) JP7268275B2 (ko)
KR (1) KR102558615B1 (ko)
CN (6) CN113037928A (ko)
WO (1) WO2020156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7928A (zh) * 2019-02-03 2021-06-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在来电时呈现视频的方法和电子设备
CN109981907B (zh) * 2019-04-04 2022-06-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通信连接建立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0536027B (zh) * 2019-08-15 2021-07-30 咪咕文化科技有限公司 文件处理方法、系统、通信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519464B (zh) * 2019-09-27 2021-10-26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来电提醒的设置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788381B (zh) * 2019-11-04 2023-01-17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显示方法
CN117978912A (zh) * 2022-10-24 2024-05-03 荣耀终端有限公司 通话控制方法和设备
CN117041465A (zh) * 2023-07-18 2023-11-10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视频通话的优化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63347A1 (en) * 2011-06-16 2015-06-11 Mikael Jansson Multimedia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2369A (ja) * 2001-01-26 2002-08-09 Victor Co Of Japan Ltd コンテンツ配布システム
JP2003189361A (ja) * 2001-12-18 2003-07-04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
JP4340809B2 (ja) * 2004-09-27 2009-10-07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21335A (ja) * 2004-10-20 2006-05-11 Vodafone Kk 情報通信端末、通信管理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
CN1925503A (zh) * 2005-08-30 2007-03-07 北京高高登信息科技有限公司 在移动终端平台上实现彩视的系统及其方法
US20070207782A1 (en) * 2006-03-06 2007-09-06 Tran Bao Q Multimedia telephone
US7747290B1 (en) * 2007-01-22 2010-06-29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demarcating a portion of a media file as a ringtone
CN101321333A (zh) * 2007-06-09 2008-12-10 叶志宝 一种手机待机、来电时显示播放内容更新的系统和方法
CN101119519A (zh) * 2007-06-18 2008-02-06 王金波 移动终端实现多媒体振铃音的技术方案
CN101090539A (zh) * 2007-06-25 2007-12-19 嘉兴闻泰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用视频作为来电提示的方法
CN101175195A (zh) * 2007-11-26 2008-05-07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可视终端的通话方法及可视终端
KR101474963B1 (ko) * 2008-07-01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686222A (zh) * 2008-09-27 2010-03-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媒体资源系统和媒体资源提供方法
KR20120019244A (ko) * 2010-08-25 2012-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복합 속성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03067890B (zh) * 2012-12-19 2016-06-08 朱剑峰 一种基于视频作为电话拨出拨入提示的方法和装置
KR20150001881A (ko) * 2013-06-26 2015-01-07 캠프모바일 주식회사 동영상 멀티미디어 링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6033247B (zh) * 2015-03-09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681572A (zh) * 2016-02-04 2016-06-15 上海卓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铃声响应方法
CN105847588A (zh) * 2016-05-18 2016-08-10 广州市久邦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主题的来电显示系统及其显示方法
CN106254810A (zh) * 2016-08-23 2016-12-21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视频通话方法和装置
CN106412347B (zh) * 2016-10-27 2019-03-08 姚杰 一种实现来电视频铃声的方法
CN108111663A (zh) * 2016-11-25 2018-06-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播放多媒体的方法及装置
CN109119101B (zh) * 2018-09-20 2021-04-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频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5550500A (zh) 2018-12-14 2022-12-30 华为技术有限公司 来电提醒方法及终端
CN113037928A (zh) * 2019-02-03 2021-06-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在来电时呈现视频的方法和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63347A1 (en) * 2011-06-16 2015-06-11 Mikael Jansson Multimedia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94136A1 (en) 2022-12-08
EP3876506B1 (en) 2023-11-22
KR20210089739A (ko) 2021-07-16
CN114390138A (zh) 2022-04-22
US11856128B2 (en) 2023-12-26
EP3876506A4 (en) 2022-03-16
US11863701B2 (en) 2024-01-02
CN114390139A (zh) 2022-04-22
CN113067940A (zh) 2021-07-02
EP3876506A1 (en) 2021-09-08
US20210289075A1 (en) 2021-09-16
CN109981885B (zh) 2022-03-08
JP2022518656A (ja) 2022-03-16
US11489972B2 (en) 2022-11-01
US20220394137A1 (en) 2022-12-08
WO2020156230A1 (zh) 2020-08-06
CN113170011A (zh) 2021-07-23
CN113037928A (zh) 2021-06-25
CN109981885A (zh) 2019-07-05
JP7268275B2 (ja) 2023-05-08
EP4333413A2 (en) 2024-03-06
CN114390139B (zh)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8615B1 (ko) 착신 호출이 있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WO2021017889A1 (zh) 一种应用于电子设备的视频通话的显示方法及相关装置
WO2020253719A1 (zh) 一种录屏方法及电子设备
US20210263564A1 (en) Display Method for Flexible Display, and Terminal
CN113497909B (zh) 一种设备交互的方法和电子设备
WO2019072178A1 (zh) 一种通知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230070358A1 (en) File Sharing Method, System, and Related Device
CN114363462B (zh) 一种界面显示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US11973895B2 (en) Call method and apparatus
WO2023015963A1 (zh) 管理文件的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141483B (zh) 基于视频通话的共享屏幕方法及移动设备
US20230236714A1 (en) Cross-Device Desktop Management Method, First Electronic Device, and Second Electronic Device
CN112532508B (zh) 一种视频通信方法及视频通信装置
CN114756785A (zh) 页面显示的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CN113438366A (zh) 信息通知的交互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5268737A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102668913B1 (ko) 통화 방법 및 장치
WO2023197999A1 (zh) 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3973152A (zh) 一种未读消息快速回复方法及电子设备
CN114449103A (zh) 提醒方法、图形用户界面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