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140B1 - 모션 침대 제어를 위한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모션 침대 제어를 위한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140B1
KR102558140B1 KR1020160136375A KR20160136375A KR102558140B1 KR 102558140 B1 KR102558140 B1 KR 102558140B1 KR 1020160136375 A KR1020160136375 A KR 1020160136375A KR 20160136375 A KR20160136375 A KR 20160136375A KR 102558140 B1 KR102558140 B1 KR 102558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control
bed
mod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548A (ko
Inventor
이경환
Original Assignee
이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환 filed Critical 이경환
Priority to KR1020160136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14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션 침대가 지원하는 수면 자세와 관련된 모션 기능 및 기타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모션 침대 제어를 위한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모션 침대 제어를 위한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TERMINAL APPARATUS FOR MOTION BED CONTROLL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션 침대가 지원하는 수면 자세와 관련된 모션 기능 및 기타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면 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기능성 침대들이 개발 및 시판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면 산업은 비단 기능성 침대 자체의 개발 및 시판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전자기기 등의 IT 시장까지 확대될 전망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기능성 침대를 이용하는 실질적인 사용자들은 편의성 확보를 위해 침대 자체의 기능 개선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라 볼 수 있는 모바일 장치(예: 스마트 폰) 상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된 다양한 편의 기능을 요구하기까지 에 이르렀다.
결국, 이러한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기능성 침대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션 침대가 지원하는 수면 자세와 관련된 모션 기능 및 기타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어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모션 침대를 탐지하여 상기 모션 침대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접속부; 상기 모션 침대와의 접속이 완료되는 경우 모션제어화면을 표시하여,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해서 상기 모션 침대의 모션 기능 제어와 관련된 제어값이 입력되도록 하는 표시부; 및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한 상기 제어값의 입력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값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모션 침대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션 침대에서 모션 기능이 처리되도록 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어값에 따라 정의되는 모션제어모드를 기초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모션 침대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하거나, 또는 특정 예약시점에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제어모드가 특정 예약시점에 상기 제어신호가 전송되도록 처리되는 예약모션제어모드이며, 설정시간 동안 타 제어값의 입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백그라운드 모드로 전환시켜 상기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 시까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복구시켜 상기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된 시점부터 상기 모션 침대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변화와 관련된 피드백신호가 수신되는 시점, 또는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피드백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까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상기 액티브 모드로 유지시켜, 상기 액티브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어신호가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션 침대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는, 상기 모션 침대에서 감지되는 하중 변화와 관련된 신호이며, 상기 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모션 침대에서 모션 기능 제어가 개시된 시점에 상기 모션 침대에서 감지된 영역 별 하중 값인 제1하중값과, 상기 모션 기능 제어가 개시된 시점 이후에 감지된 영역 별 하중 값인 제2하중값 간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모션 침대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모션 침대를 탐지하여 상기 모션 침대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접속단계; 상기 모션 침대와의 접속이 완료되는 경우 모션제어화면을 표시하여,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해서 상기 모션 침대의 모션 기능 제어와 관련된 제어값이 입력되도록 하는 표시단계; 및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한 상기 제어값의 입력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값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모션 침대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션 침대에서 모션 기능이 처리되도록 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어값에 따라 정의되는 모션제어모드를 기초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모션 침대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하거나, 또는 특정 예약시점에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모션제어모드가 특정 예약시점에 상기 제어신호가 전송되도록 처리되는 예약모션제어모드이며, 설정시간 동안 타 제어값의 입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백그라운드 모드로 전환시켜 상기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 시까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복구시켜 상기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된 시점부터 상기 모션 침대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변화와 관련된 피드백신호가 수신되는 시점, 또는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피드백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까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상기 액티브 모드로 유지시켜, 상기 액티브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어신호가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션 침대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는, 상기 모션 침대에서 감지되는 하중 변화와 관련된 신호이며, 상기 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모션 침대에서 모션 기능 제어가 개시된 시점에 상기 모션 침대에서 감지된 영역 별 하중 값인 제1하중값과, 상기 모션 기능 제어가 개시된 시점 이후에 감지된 영역 별 하중 값인 제2하중값 간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모션 침대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모션 침대 제어를 위한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서는, 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면 자세와 관련된 모션 기능 제어 및 기타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모션 침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성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침대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제어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침대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침대 제어 시스템은,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장치(100), 및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모션 기능 제어를 실시하는 모션 침대(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모션 침대(200)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모션 침대(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다양한 모션 기능을 처리하는 기능성 침대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전동침대가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침대(200)가 지원하는 모션 기능으로는, 예컨대, Foot Lift, Head Lift, 음악, 조명 ON/OFF, 코골이 방지(Anti Snore), 진동, 무중력 상태 구현(Zero Gravity), 메모리 시트, 매트리스 통풍(냉, 난방)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물론,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기타 사용자 편의와 관련된 기능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침대 제어 시스템은 위 구성을 통해 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모션 침대(200)의 모션 기능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단말(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접속부(110), 표시부(120), 전송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접속부(110), 표시부(120), 전송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단말장치(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단말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단말장치(100) 내 메모리에 적재되어 호출 및 실행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위 구성을 통해서 모션 침대(200)가 지원하는 다양한 모션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접속부(110)는 모션 침대(200)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부(110)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모션 침대(200)를 탐지하여 탐지된 모션 침대(200)와의 접속을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모션 침대(200)에 대한 탐지 및 접속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는 예컨대, WI-FI 등의 무선 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 비(Zig-Bee)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장치 간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방식은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부(120)는 모션제어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20)는 모션 침대와의 접속이 완료되는 경우, 모션제어화면을 표시하여, 표시된 모션제어화면을 통해서 모션 침대(200)의 모션 기능 제어와 관련된 제어값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모션제어화면은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단말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일컫는 것으로, 예컨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의 (a)는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화면의 일례이며, 도 3의 (b) 애플리케이션 보안을 위한 패스워드 입력화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리고, 도 4의 (a)는 모션 침대(200)에서 지원하는 모션 기능 중 예컨대, Foot Lift, Head Lift, 조명 ON/OFF, 코골이 방지(Anti Snore), 진동, 무중력 상태 구현(Zero Gravity), 메모리 시트(MEMORY A, MEMORY B)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4 (b)의 경우 모션 침대(200)에서 지원하는 모션 기능 중 하나인 알람 기능 설정 화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전송부(130)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송부(13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표시되는 모션제어화면을 통해서 모션 침대(200)의 모션 기능 제어와 관련된 제어값의 입력이 확인되는 경우, 입력된 제어값에 따른 제어신호를 모션 침대(200)로 전송함으로써,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모션 침대(200)에서 모션 기능이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모션 침대(200)에 처리되는 모션 기능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예컨대, Foot Lift, Head Lift, 음악, 조명 ON/OFF, 수면 자세 교정을 통한 코골이 방지(Anti Snore), 진동, 무중력 상태 구현(Zero Gravity), 메모리 시트, 매트리스 통풍(냉, 난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어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모션제어화면을 통해 입력된 제어값에 따라 정의되는 모션제어모드를 기초로 전송부(130)로 하여금 제어신호를 모션 침대(200)로 실시간 전송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특정 예약시점에 제어신호를 모션 침대(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모션제어모드는 실시간 제어신호의 전송이 요구되는 실시간모션제어모드와, 특정 예약시점에 제어신호의 전송이 요구되는 예약모션제어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간모션제어모드에 해당하는 모션 기능으로는 예컨대, 모션 침대(200)가 지원하는 모든 모션 기능에 해당될 수 있으며, 예약모션제어모드의 경우 모션 침대(200)가 지원하는 알람 기능을 그 대표적인 예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모션 침대(200)가 지원하는 알람 기능은, 특정 예약 시점에 음악, 조명 ON/OFF를 제어한다거나, 메모리 시트 기능을 활용하여 Foot Lift, Head Lift 기능을 추가로 처리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40)는 제어값에 따라 정의되는 모션제어모드가 예약모션제어모드인 경우, 설정시간 동안 타 제어값의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설정시간 동안 타 제어값이 입력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면,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와 무관하게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백그라운드 모드로 전환시켜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 시까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설정시간 동안 타 제어값의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백그라운드 모드로 전환하기 이전에, 모드제어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모션제어모드의 제어값이 실시간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와 무관하게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백그라운드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가 액티브 모드로 유지됨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가 백그라운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앞서 언급한 단말장치(100)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모션 침대(200)와의 접속이 임시 해제되며, 현재 시간이 특정 예약 시점에 도래하는지 만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제어부(140)는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복구시켜, 접속부(110)에서 모션 침대(200)와의 재접속이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전송부(130) 하여금 제어신호를 모션 침대(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여 모션 침대(200)에서 모션 기능이 처리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모션 침대(200)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변화와 관련된 피드백신호가 수신되는 시점, 또는 모션제어화면을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피드백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까지 유지시키게 되며, 액티브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에 전송부(130)로 하여금 제어신호를 모션 침대(2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처럼, 액티브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에 모션 침대(200)로 제어신호가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은, 모션 침대(200)가 지원하는 알람 기능과 관련된 것으로서, 모션 침대(200)에서의 사용자의 기상이 확인되기까지 알람 기능을 반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상태 변화와 관련하여 모션 침대(200)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신호는, 모션 침대(200)에서 감지되는 하중 변화와 관련된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션 침대(200)에서는 사용자가 누워 있는 영역 별(예: 머리 영역, 가슴 영역, 다리 영역)로 감지되는 하중 값인 제1하중값과, 모션 기능이 개시된 시점 이후에 영역 별로 감지되는 하중 값인 제2하중값 간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기상한 것으로 판단하여 위 피드백신호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모션 침대(200)에서는 지정된 각 영역 별로 하중 감지를 위한 하중센서(무게센서)가 장착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모션제어화면을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피드백신호가 수신된다는 것은, 사용자가 기상하여 단말장치(100)의 화면을 조작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성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션 침대(200)가 지원하는 수면 자세와 관련된 모션 기능 및 기타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제고가 가능함을 예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접속부(110)는 단계 'S110' 및 'S120'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모션 침대(200)를 탐지하여 탐지된 모션 침대(200)와의 접속을 처리한다.
이때, 접속부(110)는 예컨대, WI-FI 등의 무선 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 비(Zig-Bee)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모션 침대(200)와의 접속을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표시부(120)는 모션 침대와의 접속이 완료되는 경우, 단계 'S130'에 따라 모션제어화면을 표시하여, 표시된 모션제어화면을 통해서 모션 침대(200)의 모션 기능 제어와 관련된 제어값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모션제어화면은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단말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로부터 모션 침대(200)를 제어와 관련된 제어값을 입력받기 위한 UI(User Interface) 화면을 말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40)는 단계 'S140'을 통해 모션 침대(200)의 모션 기능 제어와 관련된 제어값의 입력이 확인되는 경우, 단계 'S150'에 따라 해당 제어값에 정의되는 모션제어모드를 확인하게 되며, 확인된 모션제어모드가 실시간제어모드이면 단계 'S170'에 따라 전송부(130)로 하여금 제어신호를 모션 침대(200)로 실시간 전송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모션 침대(200)에서 모션 기능이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앞선 단계 'S150'에서 확인된 모션제어모드가 예약모션제어모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단계 'S160' 및 'S170'에 따라 전송부(130)로 하여금 제어신호를 특정 예약시점에 제어신호를 모션 침대(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모션 침대(200)에서 모션 기능이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제어값에 따라 정의되는 모션제어모드가 예약모션제어모드인 경우, 설정시간 동안 타 제어값의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설정시간 동안 타 제어값이 입력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면,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와 무관하게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백그라운드 모드로 전환시켜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 시까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설정시간 동안 타 제어값의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백그라운드 모드로 전환하기 이전에, 모드제어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모션제어모드의 제어값이 실시간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와 무관하게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백그라운드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가 백그라운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앞서 언급한 단말장치(100)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모션 침대(200)와의 접속이 임시 해제되며, 현재 시간이 특정 예약 시점에 도래하는지 만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제어부(140)는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복구시켜, 접속부(110)에서 모션 침대(200)와의 재접속이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전송부(130) 하여금 제어신호를 모션 침대(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여 모션 침대(200)에서 모션 기능이 처리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모션 침대(200)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변화와 관련된 피드백신호가 수신되는 시점, 또는 모션제어화면을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피드백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까지 유지시키게 되며, 액티브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에 전송부(130)로 하여금 제어신호를 모션 침대(2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처럼, 액티브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에 모션 침대(200)로 제어신호가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은, 모션 침대(200)가 지원하는 알람 기능과 관련된 것으로서, 모션 침대(200)에서의 사용자의 기상이 확인되기까지 알람 기능을 반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션 침대(200)가 지원하는 수면 자세와 관련된 모션 기능 및 기타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제고가 가능함을 예상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침대 제어를 위한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션 침대가 지원하는 수면 자세와 관련된 모션 기능 및 기타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접속부 120: 표시부
130: 전송부 140: 제어부
200: 모션 침대

Claims (10)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모션 침대를 탐지하여 상기 모션 침대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접속부;
    상기 모션 침대와의 접속이 완료되는 경우 모션제어화면을 표시하여,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해서 상기 모션 침대의 모션 기능 제어와 관련된 제어값이 입력되도록 하는 표시부; 및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한 상기 제어값의 입력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값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모션 침대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션 침대에서 모션 기능이 처리되도록 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어값에 따라 정의되는 모션제어모드를 기초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모션 침대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하거나, 또는 특정 예약시점에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제어모드가 특정 예약시점에 상기 제어신호가 전송되도록 처리되는 예약모션제어모드이며, 설정시간 동안 타 제어값의 입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백그라운드 모드로 전환시켜 상기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 시까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복구시켜 상기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된 시점부터 상기 모션 침대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변화와 관련된 피드백신호가 수신되는 시점, 또는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피드백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까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상기 액티브 모드로 유지시켜, 상기 액티브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어신호가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침대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는,
    상기 모션 침대에서 감지되는 하중 변화와 관련된 신호이며, 상기 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모션 침대에서 모션 기능 제어가 개시된 시점에 상기 모션 침대에서 감지된 영역 별 하중 값인 제1하중값과, 상기 모션 기능 제어가 개시된 시점 이후에 감지된 영역 별 하중 값인 제2하중값 간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모션 침대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모션 침대를 탐지하여 상기 모션 침대와의 접속을 처리하는 접속단계;
    상기 모션 침대와의 접속이 완료되는 경우 모션제어화면을 표시하여,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해서 상기 모션 침대의 모션 기능 제어와 관련된 제어값이 입력되도록 하는 표시단계; 및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한 상기 제어값의 입력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값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모션 침대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션 침대에서 모션 기능이 처리되도록 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제어값에 따라 정의되는 모션제어모드를 기초로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모션 침대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하거나, 또는 특정 예약시점에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장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모션제어모드가 특정 예약시점에 상기 제어신호가 전송되도록 처리되는 예약모션제어모드이며, 설정시간 동안 타 제어값의 입력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백그라운드 모드로 전환시켜 상기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 시까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복구시켜 상기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특정 예약시점이 도래된 시점부터 상기 모션 침대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변화와 관련된 피드백신호가 수신되는 시점, 또는 상기 모션제어화면을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피드백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까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상기 액티브 모드로 유지시켜, 상기 액티브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어신호가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침대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는,
    상기 모션 침대에서 감지되는 하중 변화와 관련된 신호이며, 상기 기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모션 침대에서 모션 기능 제어가 개시된 시점에 상기 모션 침대에서 감지된 영역 별 하중 값인 제1하중값과, 상기 모션 기능 제어가 개시된 시점 이후에 감지된 영역 별 하중 값인 제2하중값 간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모션 침대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60136375A 2016-10-20 2016-10-20 모션 침대 제어를 위한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58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375A KR102558140B1 (ko) 2016-10-20 2016-10-20 모션 침대 제어를 위한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375A KR102558140B1 (ko) 2016-10-20 2016-10-20 모션 침대 제어를 위한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548A KR20180043548A (ko) 2018-04-30
KR102558140B1 true KR102558140B1 (ko) 2023-07-21

Family

ID=6208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375A KR102558140B1 (ko) 2016-10-20 2016-10-20 모션 침대 제어를 위한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1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500B1 (ko) 2019-03-08 2019-12-03 (주)체리쉬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모션 베드 플랫폼
KR102527028B1 (ko) 2020-04-30 2023-04-28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2527027B1 (ko) 2020-04-30 2023-04-28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의 제조 방법
CN112334548A (zh) 2020-04-30 2021-02-05 Dic株式会社 卤化锌酞菁颜料的制造方法
WO2021220495A1 (ja) 2020-04-30 2021-11-04 Dic株式会社 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顔料の製造方法
KR20230022088A (ko) 2020-06-12 2023-02-14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22087A (ko) 2020-06-12 2023-02-14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의 제조 방법
CN115667416A (zh) 2020-07-01 2023-01-31 Dic株式会社 卤化锌酞菁颜料及其制造方法
WO2022049686A1 (ja) 2020-09-02 2022-03-10 Dic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5423A1 (en) 2009-10-12 2011-04-14 Brian Cottrell Alarm Clock with Bedpost Pressure Sensor
US20150289672A1 (en) 2006-09-14 2015-10-15 Martin B. Rawls-Meehan Closed Feedback Loop to Verify a Position of an Adjustable Be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326A (ko) * 2006-06-29 2008-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으로 기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24974B1 (ko) * 2011-01-04 2018-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89672A1 (en) 2006-09-14 2015-10-15 Martin B. Rawls-Meehan Closed Feedback Loop to Verify a Position of an Adjustable Bed
US20110085423A1 (en) 2009-10-12 2011-04-14 Brian Cottrell Alarm Clock with Bedpost Pressur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548A (ko) 201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8140B1 (ko) 모션 침대 제어를 위한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0680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US20190050101A1 (en) Touchscreen including force sensors
EP2755136A1 (en) Remote backup system and remote backup method thereof
US9472972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175438A1 (ja)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56915A5 (ko)
JP2014010575A5 (ja) 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80067238A (ko)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72283A1 (zh) 一种降低功耗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EP30639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pying rules between devices
US20140129863A1 (en) Server, power management system,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2012128846A5 (ko)
JP2016063424A (ja) 情報処理装置、通信装置、端末、通信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5212052A (ja) 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0309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11073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620438B2 (ja) 携帯端末および通信制御方法
EP3119066B1 (en)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JP5867350B2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JP523000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周辺装置、情報処理装置、省電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231131B (zh) 一种eMMC测试方法及装置
JP201704972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02533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53220B2 (ja) 端末のディスプレイ電源制御方法及びこれを行う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