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022B1 - 의료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022B1
KR102558022B1 KR1020210112489A KR20210112489A KR102558022B1 KR 102558022 B1 KR102558022 B1 KR 102558022B1 KR 1020210112489 A KR1020210112489 A KR 1020210112489A KR 20210112489 A KR20210112489 A KR 20210112489A KR 102558022 B1 KR102558022 B1 KR 102558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device
user
barcode
udi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360A (ko
Inventor
서민영
Original Assignee
서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영 filed Critical 서민영
Priority to KR1020210112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022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0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4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coded with symbols, e.g. text
    • A61B90/96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coded with symbols, e.g. text using barc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67Features concerning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r a particular use of the prosthesis
    • A61F2002/3071Identification means; Administration of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의료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의료기기 관리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리더를 이용하여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Unique Device Identifier)를 판독하는 단계; 판독한 UDI로부터 의료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료기기 정보가 적합한지 사용자의 확인을 받기 위한 확인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정책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된 터치 센서, 호버 센서, 카메라 센서 및 마이크로폰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동작시키는 단계; 동작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의료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확인이 부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다른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의 UDI를 판독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1 화면을 다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 가능한 바코드 유형 중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바코드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제3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정책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된 센서 중,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센서와 다른 센서를 동작시키는 단계; 동작된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바코드 유형에 기초하여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출력한 바코드의 넓이는,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의 넓이보다 넓을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EDICAL DEVICE}
본 발명은 의료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기 표준코드(Unique Device Identifier, UDI) 제도가 도입되어, 국내에서 제조 또는 수입하는 모든 의료기기에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UDI를 기반으로 의료기기 용기, 외장 및 포장 등에 바코드의 형태로 표시하도록 하고, 해당 표준코드 및 제품의 정보 등을 의료기기 통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의료기기 통합정보시스템은 의료기기의 허가부터 제조, 수입, 판매, 및 사용에 이르기까지 의료기기에 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 관리하기 위한 전자정보처리시스템을 말한다.
이와 같은 UDI 제도의 도입에 따라, 제조업자 및 수입업자가 국제표준체계에 맞추어 표시한 의료기기 바코드를 통한 의료기기의 정확한 식별, 신속한 추적과 회수 및 폐기, 국내외 이상사례 정보에 대한 분석, 문제해결 및 바람직한 유통환경 조성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고, 국민의 의료기기 사용 시 안전성 제고를 도모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US 2016-0189321 A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UDI로서 1 mm X 1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초소형 2차원 코드를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마킹하고, 초소형 2차원 코드를 리더로 판독하여, 환자의 의료 차트(또는 진료 차트)에 부착할 수 있기에 적합한 크기를 갖는 바코드로 즉시 손쉽게 출력할 수 있는 의료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UDI 체계 하에 제조된 의료기기를 병원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봉할 때, 해당 의료기기를 환자 정보와 함께 의료기기 통합정보시스템(또는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손쉽게 등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료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리더를 이용하여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Unique Device Identifier)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한 UDI로부터 의료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의료기기 정보가 적합한지 사용자의 확인을 받기 위한 확인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정책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된 터치 센서, 호버 센서, 카메라 센서 및 마이크로폰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동작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의료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확인이 부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다른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의 UDI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1 화면을 다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 가능한 바코드 유형 중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바코드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제3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의된 정책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된 센서 중, 상기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센서와 다른 센서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동작된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바코드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한 바코드의 넓이는, 상기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의 넓이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된 센서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 호버 입력, 모션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된 다른 센서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 호버 입력, 모션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의료기기 정보를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의료기기 정보는 상기 UDI로 식별되는 의료기기의 제조번호, 제조연월, 사용기한 및 일련번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는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베리코드(vericode)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는 1 mm X 1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코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는 체내 삽입형 임플란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은,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리더를 이용하여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Unique Device Identifier)를 판독하는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장치는, 상기 판독한 UDI로부터 의료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의료기기 정보 획득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의료기기 정보가 적합한지 사용자의 확인을 받기 위한 확인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하고, 미리 정의된 정책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된 터치 센서, 호버 센서, 카메라 센서 및 마이크로폰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동작시키고, 상기 동작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화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는 의료기기 정보 확인 모듈, 상기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의료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출력하는 바코드 출력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확인이 부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다른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의 UDI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1 화면을 다시 표시하는 재설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 가능한 바코드 유형 중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바코드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제3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미리 정의된 정책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된 센서 중, 상기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센서와 다른 센서를 동작시키고, 상기 동작된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바코드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코드 출력 모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바코드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바코드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한 바코드의 넓이는, 상기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의 넓이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의료기기 정보 확인 모듈은, 상기 동작된 센서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 호버 입력, 모션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바코드 선택 모듈은, 상기 동작된 다른 센서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 호버 입력, 모션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의료기기 정보를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 접속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의료기기 정보는 상기 UDI로 식별되는 의료기기의 제조번호, 제조연월, 사용기한 및 일련번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는 데이터 매트릭스, 베리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는 1 mm X 1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코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는 체내 삽입형 임플란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방법은,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UDI(Unique Device Identifier)로서 1 mm X 1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코드를 마킹하는 단계; 상기 마킹한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를 병원에 설치된 컴퓨터 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리더를 이용하여 상기 등록된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마킹된 상기 UDI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한 UDI로부터 의료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에게 상기 의료기기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의료기기 정보가 적합한지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1 mm X 1 mm 보다 큰 크기를 갖는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UDI로 식별되는 의료기기의 제조번호, 제조연월, 사용기한 및 일련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기 정보를 환자의 정보와 함께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의료기기 정보 및 상기 환자의 정보의 등록이 성공한 경우, 상기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바코드의 출력 이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수술실에서 환자에게 사용하기 위한 의료기기로서 체내 삽입용 의료용품을 개봉한 경우, 의료기기에 표시된 UDI로부터 판독한 의료기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동시에 개봉한 의료기기가 환자의 수술에 사용 적합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여, 부적합한 경우 신속하게 다른 의료기기의 개봉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경우에는, 의료기기 정보를 즉석에서 원하는 규격으로, 의료 차트를 비롯하여 수술 및 수술 후 과정에서 필요한 임의의 곳에 부착할 수 있는 바코드 출력을 할 수 있어서, 수술 중에 실시간으로 즉석에서 원하는 규격의 바코드를 획득할 수 있으며, 바코드 출력을 위해 수동적으로 의료기기 정보를 입력하거나 별도의 바코드 출력 소프트웨어를 구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경우에, 의료기기 정보를 환자 정보와 함께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함으로써, 의료기기 정보의 등록 과정을 즉석에서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체내에 삽입된 의료용품의 향후 추적 및 관리가 용이하며, 수술을 통해 확인하지 않고도 체내에 삽입된 의료용품의 교체 시기 등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술을 진행하면서 즉석에서 개봉한 의료기기를 환자에게 적용함과 동시에, 별도의 데이터 입력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동과 같이 번거로운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즉석에서 환자에게 적용한 의료기기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고, 동시에 병원 내에서 환자 관리에 필요한 의료 차트 등에 사용할 바코드 라벨까지 획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술 집중도를 높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의료기기 정보 관리까지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입력 방식으로 터치 입력, 호버 입력, 모션 입력 또는 음성 입력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환자의 수술에 있어서 수술자의 위생이 극도로 강조되는 상황에서, 컴퓨터 장치를 손으로 조작하지 않고도, 터치 입력, 호버 입력, 모션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통해 개봉한 의료기기의 의료기기 정보가 현재 수술 단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인지에 대해 확인하거나, 의료 차트에 1차원 코드를 부착할지 또는 2차원 코드를 부착할지 여부를 선택하고, 1차원 코드 또는 2차원 코드 중에서도 내용 구성을 달리하여 미리 정의된 몇 가지 규격 중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의료 차트의 형식에 알맞은 규격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의 컴퓨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일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일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일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1)은, 컴퓨터 장치(10), 리더(12), 디스플레이 장치(14) 및 바코드 프린터(16)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10), 리더(12), 디스플레이 장치(14) 및 바코드 프린터(16) 중 적어도 일부는 병원 현장, 예를 들어, 의료기기(20)를 사용하는 수술실에 설치될 수 있다.
컴퓨터 장치(10), 리더(12), 디스플레이 장치(14) 및 바코드 프린터(16)는 네트워크(40)를 통해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40)에는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3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40)는 임의의 형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40)는 케이블 직접 연결 네트워크,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비롯한 유선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 블루투스 네트워크 등을 비롯한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과 무선이 혼합된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터 장치(10)는 리더(12)를 이용하여 의료기기(20)에 마킹된 UDI를 판독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10)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1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이 적재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적재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기능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 모듈들은 인스트럭션의 실행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능 모듈들 중 적어도 일부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비롯한 임의의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장치(10)가 수행하는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리더(12)는 의료기기(20)에 마킹된 UDI를 컴퓨터 장치(10)에 입력시키기 위한 바코드 리더 또는 바코드 스캐너일 수 있다. 여기서 UDI는 의료기기(20)를 식별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체계에 따라 표기되는 것으로, 의료기기 고유 식별자(UDI-DI(Device Identifier)) 및 의료기기 생산 식별자(UDI-PI(Production Ident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리더(12)는 의료기기(20)에 마킹된 초소형 고밀도의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도록 메가 픽셀 카메라 등이 탑재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의료기기(20)에 마킹되는 UDI는 2차원 코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기기(20)에 마킹되는 UDI는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베리코드(vericode)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일 수 있다. 그리고 2차원 코드의 크기는 1 mm X 1 mm 이하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의료기기(20)는 수술용 도구 뿐만이 아니라, 체내 삽입용 의료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체내 삽입용 의료용품의 예로서 정형외과 삽입물, 치과 고정물 등 체내 삽입형 임플란트를 들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체내 삽입형 임플란트는 소형으로 제작되므로, 의료기기(20)에 UDI를 마킹하기 위해서는 1 mm X 1 mm 이하의 초소형 고밀도 2차원 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핸드헬드형 리더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거치형 리더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4)는, 컴퓨터 장치(10)가 수행하는 기능에 따른 여러가지 화면을 사용자(S)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4)는 의료기기(20)를 사용하는 수술실에 설치되어, 수술을 진행하는 사용자(S)에게 의료기기(20)의 정보를 표시할 뿐 아니라, 의료기기(20)를 환자 정보와 함께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30)에 손쉽게 등록하도록 하고, 등록한 UDI를 편리하게 바코드로 출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인터랙션을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바코드 프린터(16)는 리더(12)가 판독할 수 있는 1차원 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인쇄할 수 있으며, 특히 바코드 프린터(16)가 출력하는 바코드의 넓이는, 의료기기(20)에 마킹된 UDI의 넓이보다 넓을 수 있다. 바코드 프린터(16)가 출력하는 바코드는 의료 차트(C)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1) 구조 하에서, UDI로서 1 mm X 1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초소형 2차원 코드를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마킹하고, 초소형 2차원 코드를 리더로 판독하여, 환자의 의료 차트(또는 진료 차트)에 부착할 수 있기에 적합한 크기를 갖는 바코드로 즉시 손쉽게 출력할 수 있고, UDI 체계 하에 제조된 의료기기를 병원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봉할 때, 해당 의료기기를 환자 정보와 함께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손쉽게 등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해결 방안들에 대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의 컴퓨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1)의 컴퓨터 장치(10)는, 의료기기 정보 획득 모듈(110), 의료기기 정보 확인 모듈(120), 바코드 선택 모듈(130), 바코드 출력 모듈(140), 재설정 모듈(150) 및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 접속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기기 정보 획득 모듈(110)은 리더(12)를 사용하여 판독한 UDI로부터 의료기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기기 정보는, UDI로 식별되는 의료기기의 제조번호, 제조연월, 사용기한 및 일련번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열거하지 않은 의료기기에 대한 다른 정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의료기기 정보 획득 모듈(110)은 리더(12)의 스캔 결과를 해석하여, 각각 의미 있는 의료기기 정보의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의료기기 정보 확인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장치(14)를 통해, 의료기기 정보 획득 모듈(110)에 의해 획득한 의료기기 정보가 적합한지 사용자의 확인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술 중 어떤 의료기기를 개봉하여 리더(12)로 UDI를 스캔하면, 의료기기 정보 확인 모듈(120)은 개봉한 의료기기에 대한 의료기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수행 중인 수술 단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의료기기인지 여부를 확인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기기 정보 확인 모듈(120)은, 사용자가 수술 중 의료기기를 개봉하여 리더(12)로 UDI를 판독하는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4)에, 개봉한 의료기기의 의료기기 정보가 현재 수술 단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인지에 대해 사용자의 확인을 받기 위한 확인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하고, 제2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특히, 의료기기 정보 확인 모듈(120)은, 의료기기 정보가 적합한지 사용자의 확인을 받기 위한 확인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하고, 미리 정의된 정책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4)에 탑재된 터치 센서, 호버 센서, 카메라 센서 및 마이크로폰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동작시키고, 동작된 센서를 이용하여 제2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기기 정보 확인 모듈(120)은, 동작된 센서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 호버 입력, 모션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바코드 출력 모듈(140)은, 제2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해당 의료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출력하도록 바코드 프린터(16)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실에서 개봉된 체내 삽입형 임플란트가 사용 적합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체내 삽입형 임플란트가 체내에 시술된 후 이에 대한 의료기기 정보를 환자의 의료 차트에 바로 부착 가능한 바코드를 출력하여,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코드 선택 모듈(130)은, 디스플레이 장치(14)를 통해, 의료 차트의 다양한 형식 또는 크기에 맞춤형으로 출력 가능한 바코드 유형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바코드 선택 모듈(130)을 통해, 병원에 따라 다를 수 있는, 의료 차트에 1차원 코드를 부착할지 또는 2차원 코드를 부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1차원 코드 또는 2차원 코드 중에서도 내용 구성을 달리하여 미리 정의된 몇 가지 규격 중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의료 차트의 형식에 알맞은 규격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코드 선택 모듈(130)은, 디스플레이 장치(14)에, 출력 가능한 바코드 유형 중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바코드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제3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바코드 출력 모듈(14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바코드 유형에 기초하여 바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바코드 선택 모듈(130)은, 디스플레이 장치(14)에, 출력 가능한 바코드 유형 중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바코드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제3 화면을 표시하고, 미리 정의된 정책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4)에 탑재된 센서 중,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센서와 다른 센서를 동작시키고, 동작된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바코드 선택 모듈(130)은, 동작된 다른 센서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 호버 입력, 모션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정책은, 확인 모드에서는 호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받고, 선택 모드에서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의료기기 정보 확인 모듈(120)은, 확인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하고, 호버 센서를 동작시키고, 동작된 호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호버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바코드 선택 모듈(130)은,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제3 화면을 표시하고, 터치 센서를 동작시키고, 동작된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미리 정의된 정책은, 확인 모드에서는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받고, 선택 모드에서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의료기기 정보 확인 모듈(120)은, 확인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하고, 모션 센서를 동작시키고, 동작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모션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바코드 선택 모듈(130)은,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제3 화면을 표시하고, 마이크로폰을 동작시키고, 동작된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입력의 형태를 다양화함에 따라, 손이 자유롭지 않은 수술실 환경에서 의료기기 관리를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미리 정의된 정책은, 컴퓨터 장치(10) 내 레지스터, 메모리, 스토리지 장치 등에 저장되고, 필요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정책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재설정 모듈(150)은, 제2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이 부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다른 의료기기의 UDI를 판독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4)에 제1 화면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 접속 모듈(160)은, 제2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해당 의료기기 정보를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실에서 개봉된 체내 삽입형 임플란트가 사용 적합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체내 삽입형 임플란트가 체내에 시술되기 전에 이에 대한 의료기기 정보를, 체내 삽입형 임플란트 시술을 받는 환자의 정보와 함께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3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체내에 삽입된 임플란트의 관리 및 추적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별도의 수술을 하지 않고도 체내 삽입형 임플란트의 교체 시기 등이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30)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 접속 모듈(160)은, 제2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해당 의료기기 정보를 클라우드에 업로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에 업로드한 의료정보를, 클라우드에 접속이 가능한 다른 장치에 제공하여, 다양한 응용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수술실에서 환자에게 사용하기 위한 의료기기로서 체내 삽입용 의료용품을 개봉한 경우, 의료기기에 표시된 UDI로부터 판독한 의료기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동시에 개봉한 의료기기가 환자의 수술에 사용 적합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여, 부적합한 경우 신속하게 다른 의료기기의 개봉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경우에는, 의료기기 정보를 즉석에서 원하는 규격으로, 의료 차트를 비롯하여 수술 및 수술 후 과정에서 필요한 임의의 곳에 부착할 수 있는 바코드 출력을 할 수 있어서, 수술 중에 실시간으로 즉석에서 원하는 규격의 바코드를 획득할 수 있으며, 바코드 출력을 위해 수동적으로 의료기기 정보를 입력하거나 별도의 바코드 출력 소프트웨어를 구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경우에, 의료기기 정보를 환자 정보와 함께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함으로써, 의료기기 정보의 등록 과정을 즉석에서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체내에 삽입된 의료용품의 향후 추적 및 관리가 용이하며, 수술을 통해 확인하지 않고도 체내에 삽입된 의료용품의 교체 시기 등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술을 진행하면서 즉석에서 개봉한 의료기기를 환자에게 적용함과 동시에, 별도의 데이터 입력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동과 같이 번거로운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병원 내에서 환자 관리에 필요한 의료 차트 등에 사용할 바코드 라벨까지 획득할 수 있고, 동시에 즉석에서 환자에게 적용한 의료기기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술 집중도를 높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의료기기 정보 관리까지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14)에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S310),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로부터 의료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20), 디스플레이 장치(14)에 의료기기 정보가 적합한지 사용자의 확인을 받기 위한 확인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S340, '예'), 상기 방법은, 의료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S350) 및 의료기기 정보를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S360)로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확인이 부적합을 의미하는 경우(S340, '아니오'),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14)에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S310)로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방법에 대한 더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앞서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일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화면(1400)은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4)의 영역(140a)에 리더(12)로 의료기기(20)를 스캔하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독 모드에서, 의료기기 정보 획득 모듈(110)은 리더(12)를 사용하여 판독한 UDI로부터 의료기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일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화면(1420)은 확인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4)의 영역(142a)에 의료기기 정보의 내용, 예를 들어, 제조번호, 제조연월, 사용기한, 일련번호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개봉한 의료기기의 의료기기 정보가 현재 수술 단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인지에 대해 사용자의 확인을 받기 위한 적합 버튼(142b) 및 부적합 버튼(142c)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확인 모드에서, 의료기기 정보 확인 모듈(120)은 개봉한 의료기기에 대한 의료기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수행 중인 수술 단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의료기기인지 여부를 확인 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14)에, 출력 가능한 바코드 유형 중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바코드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제3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S610),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S620)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바코드 유형에 기초하여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S6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방법에 대한 더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앞서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일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화면(1430)은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4)의 영역(143a)에 바코드 유형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143a)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의료 차트에 1차원 코드를 부착할지 또는 2차원 코드를 부착할지 여부를 선택하고, 1차원 코드 또는 2차원 코드 중에서도 내용 구성을 달리하여 미리 정의된 몇 가지 규격 중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의료 차트의 형식에 알맞은 규격을 선택하도록 하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가능한 바코드 유형 중 사용자의 선택을 받기 위한 선택 버튼(143b) 및 취소 버튼(143c)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택 모드에서, 바코드 선택 모듈(130)은 의료 차트의 다양한 형식 또는 크기에 맞춤형으로 출력 가능한 바코드 유형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고, 바코드 출력 모듈(14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바코드 유형에 기초하여 바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2)은, 디스플레이 장치(14)에 센서(15)가 탑재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1)과 상이하다. 여기서, 센서(15)는 터치 센서, 호버 센서, 카메라 센서 또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사용자는 개봉한 의료기기의 의료기기 정보가 현재 수술 단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인지에 대해 확인하거나, 의료 차트에 1차원 코드를 부착할지 또는 2차원 코드를 부착할지 여부를 선택하고, 1차원 코드 또는 2차원 코드 중에서도 내용 구성을 달리하여 미리 정의된 몇 가지 규격 중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의료 차트의 형식에 알맞은 규격을 선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4)에 탑재된 센서(15)를 통해 터치 입력, 호버 입력, 모션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컴퓨터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4)에 표시된 항목을 터치하여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4)에 손을 직접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미리 정의된 방식의 호버 동작을 한다던지, 모션 동작을 취한다던지, 또는 음성으로 발화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환자의 수술에 있어서 수술자의 위생이 극도로 강조되는 상황에서, 컴퓨터 장치(10)를 손으로 조작하지 않고도, 터치 입력, 호버 입력, 모션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통해 개봉한 의료기기의 의료기기 정보가 현재 수술 단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인지에 대해 확인하거나, 의료 차트에 1차원 코드를 부착할지 또는 2차원 코드를 부착할지 여부를 선택하고, 1차원 코드 또는 2차원 코드 중에서도 내용 구성을 달리하여 미리 정의된 몇 가지 규격 중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의료 차트의 형식에 알맞은 규격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기기 관리 방법은,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UDI로서 1 mm X 1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코드를 마킹하는 단계; 마킹한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를 병원에 설치된 컴퓨터 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리더를 이용하여, 등록된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를 판독하는 단계; 판독한 UDI로부터 의료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에게 의료기기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의료기기 정보가 적합한지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1 mm X 1 mm 보다 큰 크기를 갖는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UDI로 식별되는 의료기기의 제조번호, 제조연월, 사용기한 및 일련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기 정보를 환자의 정보와 함께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의료기기 정보 및 환자의 정보의 등록이 성공한 경우,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바코드의 출력 이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는 1 mm X 1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초소형 코드를 마킹하고, 해당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가 병원에 공급되면, 이를 병원에 설치된 컴퓨팅 장치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병원에 설치된 컴퓨팅 장치는 도 1의 컴퓨팅 장치(10)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수술 중, 수술자는,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를 환자에게 사용하기 전, 리더를 이용하여, 병원에 등록된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를 판독할 수 있다. 이 때 의료기기가 환자의 수술에 사용 적합한 경우, 즉,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1 mm X 1 mm 보다 큰 크기를 갖는 바코드를 출력할 수 있고, 출력된 바코드는 의료 차트 등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UDI로 식별되는 의료기기의 제조번호, 제조연월, 사용기한 및 일련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기 정보를 환자의 정보와 함께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에게 사용된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를 추적할 수 있는 정보가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될 수 있다.
또한,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이 성공한 경우에는,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바코드의 출력 이력을 전송하여, 출력 이력도 등록함으로써, 혹시라도 위조된 바코드가 환자의 의료 차트에 부착되어 환자에게 사용된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를 추적하는 데에 혼란을 줄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사용된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를 추적하는 경우, 차트에 부착된 바코드가 실제 수술 현장에서 선택된 의료기기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검증을 위해,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바코드의 출력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5)

  1. 리더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는 컴퓨터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리더를 이용하여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Unique Device Identifier)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판독한 UDI로부터 의료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의료기기 정보가 적합한지 사용자의 확인을 받기 위한 확인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가, 미리 정의된 정책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된 터치 센서, 호버 센서, 카메라 센서 및 마이크로폰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동작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의료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확인이 부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 장치가 다른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의 UDI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1 화면을 다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 가능한 바코드 유형 중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바코드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제3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미리 정의된 정책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된 센서 중, 상기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센서와 다른 센서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동작된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바코드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한 바코드의 넓이는, 상기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의 넓이보다 넓은,
    의료기기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동작된 센서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 호버 입력, 모션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동작된 다른 센서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 호버 입력, 모션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의료기기 정보를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기기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 정보는 상기 UDI로 식별되는 의료기기의 제조번호, 제조연월, 사용기한 및 일련번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는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베리코드(vericode)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인, 의료기기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는 1 mm X 1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코드인, 의료기기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는 체내 삽입형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관리 방법.
  8. 판독 모드에 대응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리더를 이용하여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Unique Device Identifier)를 판독하는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장치는,
    상기 판독한 UDI로부터 의료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의료기기 정보 획득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의료기기 정보가 적합한지 사용자의 확인을 받기 위한 확인 모드에 대응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하고, 미리 정의된 정책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된 터치 센서, 호버 센서, 카메라 센서 및 마이크로폰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동작시키고, 상기 동작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화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는 의료기기 정보 확인 모듈,
    상기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의료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출력하는 바코드 출력 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확인이 부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다른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의 UDI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제1 화면을 다시 표시하는 재설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 가능한 바코드 유형 중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바코드 선택 모드에 대응하는 제3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미리 정의된 정책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된 센서 중, 상기 사용자의 확인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 센서와 다른 센서를 동작시키고, 상기 동작된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바코드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코드 출력 모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바코드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바코드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한 바코드의 넓이는, 상기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의 넓이보다 넓은,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 정보 확인 모듈은, 상기 동작된 센서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 호버 입력, 모션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바코드 선택 모듈은, 상기 동작된 다른 센서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 호버 입력, 모션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의료기기 정보를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 접속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 정보는 상기 UDI로 식별되는 의료기기의 제조번호, 제조연월, 사용기한 및 일련번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는 데이터 매트릭스(data matrix), 베리코드(vericode)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마킹된 UDI는 1 mm X 1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코드인,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는 체내 삽입형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관리 시스템.
  15. 병원에 설치되고, 리더 및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컴퓨터 장치가, UDI(Unique Device Identifier)로서 1 mm X 1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코드가 마킹된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리더를 이용하여 상기 등록된 체내 삽입형 의료기기에 마킹된 상기 UDI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판독한 UDI로부터 의료기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가, 사용자에게 상기 의료기기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의료기기 정보가 적합한지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확인이 적합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컴퓨터 장치가 1 mm X 1 mm 보다 큰 크기를 갖는 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UDI로 식별되는 의료기기의 제조번호, 제조연월, 사용기한 및 일련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의료기기 정보를 환자의 정보와 함께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의료기기 정보 및 상기 환자의 정보의 등록이 성공한 경우, 상기 컴퓨터 장치가 상기 국가 의료기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바코드의 출력 이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관리 방법.
KR1020210112489A 2021-08-25 2021-08-25 의료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58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489A KR102558022B1 (ko) 2021-08-25 2021-08-25 의료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489A KR102558022B1 (ko) 2021-08-25 2021-08-25 의료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360A KR20230030360A (ko) 2023-03-06
KR102558022B1 true KR102558022B1 (ko) 2023-07-19

Family

ID=8550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489A KR102558022B1 (ko) 2021-08-25 2021-08-25 의료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0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85922A1 (en) 2013-11-22 2016-03-24 Spinal Gen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medical device
JP2018068916A (ja) 2016-11-03 2018-05-10 株式会社メッツ 手術器械の術中管理装置及び手術器械の術中管理方法
JP2021135928A (ja) 2020-02-28 2021-09-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89321A1 (en) 2014-12-30 2016-06-30 Dassault Systèmes Americas Corp. Integrated Unique Device Identifier (UDI) Patient Safety Notif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85922A1 (en) 2013-11-22 2016-03-24 Spinal Gen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medical device
JP2018068916A (ja) 2016-11-03 2018-05-10 株式会社メッツ 手術器械の術中管理装置及び手術器械の術中管理方法
JP2021135928A (ja) 2020-02-28 2021-09-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360A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6247C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medical products
AU20162631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uidance for a robotic medical procedure
US10765563B2 (en) Intra-operative system for identifying and tracking surgical sharp objects, instruments, and sponges
CN105359152B (zh) 用于管控医学设备处方的装置和方法
US20040267562A1 (en) Method for taking a sample from a system
CN109312288A (zh) 模块化测定读取器装置
JP2009077965A (ja) 医療器具管理用携帯端末、医療器具管理システム、及び該使用方法
US20090027164A1 (e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medical institution
US20160374776A1 (en) Mobile device patient identifier
JP2004344216A (ja) 医療具管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医療具管理支援プログラム
KR102558022B1 (ko) 의료기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lvenkar et al. Denture marking for forensic identification using laser-marked stainless steel quick response (QR) code
WO2020174463A1 (en) Identity verifying device and methods
US20020013787A1 (en) Automated sample tracking and generation of corresponding prescription
JP2019040624A (ja) 研究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8269464A (ja) 投薬管理方法および投薬管理システム
JP2018059727A (ja) 病理診断における検体取り違え防止システム
JP2003099529A (ja) 医療用携帯情報端末および医療行為管理方法
JP6767126B2 (ja) 手術器具セット管理システム
US20050108056A1 (en) Patient identification card and method for HIPAA compliant check-in
JP7240108B2 (ja) 医療器具管理装置用の使用料金算出装置および医療器具管理システム
CN103914721A (zh) 针对x光摄影的个人识别单元及附属方法
CA304164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urgical procedures
JP2002230182A (ja) リスク管理支援システム
TW201401215A (zh) 醫院報到暨排隊叫號管理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