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227B1 -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 - Google Patents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227B1
KR102557227B1 KR1020230039574A KR20230039574A KR102557227B1 KR 102557227 B1 KR102557227 B1 KR 102557227B1 KR 1020230039574 A KR1020230039574 A KR 1020230039574A KR 20230039574 A KR20230039574 A KR 20230039574A KR 102557227 B1 KR102557227 B1 KR 102557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oje
unit
tourist destination
tourist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미향
조지선
성연제
백준호
Original Assignee
경상남도 (교육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남도 (교육청) filed Critical 경상남도 (교육청)
Priority to KR1020230039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088Board games concerning traffic or travel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76Games representing technical, industrial or scientific activities, e.g. oil exploration, space ship navigation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4Dice; Dice-boxes; Mechanical dice-throw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4Dice; Dice-boxes; Mechanical dice-throwing devices
    • A63F9/0468Electronic dice; electronic dice sim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02Input by manu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57Display screens, e.g. monitors, video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64Quiz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는 코딩에 대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쉽고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며, 학생들이 재미있게 코딩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거제시의 다양한 관광지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Geoje tourism experience game device for performing Geoje tourism experience game}
본 발명은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코딩에 대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쉽고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며, 학생들이 재미있게 코딩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거제시의 다양한 관광지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는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코딩 교육은 크게 컴퓨터 프로그램 코딩, 스마트폰 앱 코딩, 전자부품을 이용한 하드웨어 코딩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하드웨어 코딩은 전자회로, 메카트로닉스, 소프트웨어를 모두 다루는 가장 높은 수준의 코딩 과목이다. 현재 하드웨어 코딩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는 아두이노 보드이다.
아두이노 보드는 2005년 이탈리아의 한 디자인학교에서 하드웨어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이 자신의 디자인 작품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개발된 비전공자용 프로그래밍 보드인데 일반인들과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사용이 쉽고, 관련된 전자부품이 많이 제작되면서 현재 국내 코딩 교육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교육부의 초, 중등 코딩 교육 의무화 방침에 따라 코딩 교육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학생들을 위한 코딩 교육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또한, 4차 산업의 도래와 함께 인공지능 기반의 기계 학습과 자율 주행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는 상황으로, 초, 중등 교육에서도 이러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과 자율 주행에 대한 교육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만, 코딩 교육과 AI 기반의 기계 학습의 프로그래밍 교육의 경우, 난해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복잡한 논리 관계로 학습 수준이 다소 어려운 편에 속하며, 공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쉽고,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172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코딩에 대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쉽고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 학생들이 재미있게 AI 기반의 기계 학습과 코딩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는 사용자가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로, 제1 도시와 관련된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배열된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 각각에 대한 좌표가 정의되는 게임판; 상기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에 대응되는 복수의 QR 코드; 상기 게임판의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을 결정하는 위치 결정 장치로서, 상기 출발 지점은 상기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며, 상기 도착 지점은 상기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 중 다른 하나로 결정되는, 위치 결정 장치;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게임 장치; 상기 사용자가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컨트롤 장치로서, 상기 컨트롤 장치는 상기 복수의 QR 코드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광지 퀴즈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도착 지점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된 QR 코드에 대응하는 관광지 퀴즈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복수의 관광지 퀴즈 정보, 상기 저장부, 상기 입력부, 상기 식별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트롤 장치; 및 상기 게임 장치를 조종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어 블록은 컨트롤 블록 및 상기 컨트롤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게임 장치를 상기 출발 지점에 대응하는 좌표에서 상기 도착 지점에 대응하는 좌표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명령을 생성하는 커맨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게임 장치는 상기 컨트롤 블록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게임판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부; 및 상기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부를 동작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장치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관광지 퀴즈 정보에 대응하는 정답 여부를 상기 출력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장치는 상기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의 설명 영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더 제공하며, 상기 위치 결정 장치는 상기 출발 지점을 결정하는 출발지 결정부; 및 상기 도착 지점을 결정하는 도착지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발지 결정부는 랜덤 방식으로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출발 지점으로 먼저 결정하는 출발지 결정 모델을 포함하며, 상기 도착지 결정부는 상기 결정된 출발 지점에 대응되는 제1 관광지를 기초로 제2 관광지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제2 관광지에 대응하는 관광지 이미지를 도착 지점으로 결정하는 도착지 결정 모델을 포함하고, 상기 도착지 결정 모델은 상기 제1 관광지의 실제 위치 및 상기 제1 관광지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제2 관광지를 결정하도록 미리 학습된 딥러닝 기반의 학습 모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는 코딩에 대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쉽고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 학생들이 재미있게 AI 기반의 기계 학습과 코딩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는 거제시의 다양한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관광지의 이동 거리 및 종류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공된 정보에 따라 실제로 거제 관광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의 게임판 및 주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판에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이 결정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판의 출발 지점에 게임 장치가 배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판의 도착 지점에 게임 장치가 배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게임 장치에 이동 명령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제1 내지 제4 QR 코드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관광지 퀴즈가 컨트롤 장치가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의 게임판 및 주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판에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이 결정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판의 출발 지점에 게임 장치가 배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판의 도착 지점에 게임 장치가 배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게임 장치에 이동 명령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제1 내지 제4 QR 코드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관광지 퀴즈가 컨트롤 장치가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10)는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게임 장치에 해당한다.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은 학생들(이하, “사용자”)이 게임판에 제1 도시와 관련된 주요 관광지 이미지가 배치된 게임판을 게임 장치를 통해 이동하면서, 관광지와 관련된 퀴즈를 풀이하면서,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게임에 해당한다. 여기서, 제1 도시는 경상남도 거제시일 수 있으며, 주요 관광지는 거제시의 대표적인 관광지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10)는 게임판(100), QR 코드(110), 위치 결정 장치(120), 게임 장치(130), 컨트롤 장치(140) 및 제어 블록(150)을 포함한다.
게임판(100)은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이 수행되는 주요 구성에 해당하며, 게임 장치(10)의 다른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게임판(100)은 교차하는 복수의 라인을 통해 매트릭스 형태의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게임판(100)의 이러한 공간은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PI)가 배열되는 공간일 수 있다. 게임판(100)은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 (PI)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배열된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PI) 각각에 대한 좌표가 정의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게임판(100)은 5개의 가로 라인과 5개의 세로 라인에 의해 정의된 4X4 형태의 매트릭스 공간이 정의될 수 있으며, 가로축은 1 부터 4, 세로축은 A 부터 D로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관광지는 거제의 대표적인 관광지의 대표 이미지일 수 있으며, 총 16개의 관광지가 게임판(100)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동몽돌은 (1, A)에 배치되고, 해금강은 (4, A)에 배치되며, 거가 대교는 (1, D)에 배치될 수 있다.
QR 코드(110)는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PI)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QR 코드(110) 각각과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PI) 각각은 대응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QR 코드(110)는 게임판(100)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QR 코드(110)는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PI)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QR 코드(110)는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형태가 시인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육안으로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PI) 내부에 배치된 QR 코드(110)를 식별할 수 없으나,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식별 장치 등을 통해 QR 코드를 식별할 수 있다. QR 코드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 및 특성에 대해서는 더욱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위치 결정 장치(120)는 게임판(100)의 출발 지점(SP)과 도착 지점(DP)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출발 지점(SP)은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PI)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며, 도착 지점(DP)은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PI) 중 다른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위치 결정 장치(120)는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PI)에서 출발 지점(SP)과 도착 지점(DP)을 각각 결정할 수 있다. 위치 결정 장치(120)는 출발 지점(SP)에 대응하는 좌표 정보와 도착 지점(DP)에 대응하는 좌표 정보를 각각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1, A)에 해당하는 학동몽돌이 출발 지점(SP)으로 결정되고, (3, C)에 해당하는 맹종죽테마파크가 도착 지점(DP)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위치 결정 장치(120)는 사용자가 던질 수 있는 좌표 주사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두개의 주사위로 구성되어 하나의 주사위는 게임판(100)의 가로축에 따른 좌표를 결정하고, 다른 주사위는 게임판(100)의 세로축에 따른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결정 장치(120)는 관광지 사이의 특징을 고려하여 출발 지점(SP)과 도착 지점(DP)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더욱 유익하고 효율적인 거제 관광 코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학습된 결정 모델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 결정 장치(120)의 구성 및 특징에 대해서도 더욱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은 위치 결정 장치(120)를 통해 결정된 출발 지점(SP)에서 도착 지점(DP)까지 게임 장치(130)를 이동시키는 게임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출발 지점(SP)에 배치되는 게임 장치(130)를 제어 블록을 통한 코딩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착 지점(DP)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게임 장치(130)는 본체부(131), 이동부(132) 및 통신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게임 장치(130)는 게임판(100)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작성한 블록 코드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게임 장치(130)는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고 다른 구성들을 제어하는 본체부(131), 게임판(100) 내부를 이동하기 위한 이동부(132) 및 제어 블록(150)과의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32)는 이동 수단이 바퀴 형태인 차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수단이 궤도 형태인 무한궤도형일 수도 있다. 통신부(133)는 제어 블록(150)에서 제공되는 이동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본체부(131)는 내부에 통신부(133)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동부(132)의 이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체부(131)는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이동부(132)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블록(150)과 게임 장치(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즉, 제어 블록(150)은 게임 장치(130)에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선 인터넷 기술, 무선 인터넷 기술 및 근거리 통신 기술에 의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무선랜(Wireless LAN: WLA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블록(150)은 컨트롤 블록(151)과 컨트롤 블록과 연결되어 게임 장치(130)를 출발 지점(SP)에 대응하는 좌표에서 도착 지점(DP)에 대응하는 좌표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명령을 생성하는 커맨드 블록(152)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블록(151)은 커맨드 블록에 따른 명령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명령을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장치(130)의 통신부(133)에 전달하는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블록(151)에 전달되는 커맨드(명령)은 커맨드 블록(151)이 연결된 순서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7과 같이 시작 커맨드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커맨드 블록 등은 순차적인 이동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시작 커맨드에 따라 컨트롤 블록은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동 커맨드에 따른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각각의 이동 커맨드는 이동과 관련된 추가적인 명령 블록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명령 블록은 방향, 기존 명령에 따른 이동 시간 또는 기존 명령에 따라 이동하는 좌표의 거리일 수 있다. 즉, 도 7의 예시에서, 커맨드 블록(152)은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하고, 2초 또는 2칸의 좌표 동안 이동을 지속하며,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하여, 2초 또는 2칸의 좌표 동안 이동을 지속하여 정지하는 커맨드를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맨드를 컨트롤 블록(151)을 통해 게임 장치(130)로 전달될 수 있다. 게임 장치(130)은 (1, A)에 해당하는 학동몽돌이 출발 지점(SP)으로 결정되고, (3, C)에 해당하는 맹종죽테마파크가 도착 지점(DP)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10)를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 블록(150)을 통해 게임 장치(130)에 대한 블록 코딩 및 코딩에 대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10)는 코딩에 대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쉽고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 학생들이 재미있게 AI 기반의 기계 학습과 코딩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어 블록(150) 코딩을 통해 게임 장치(130)가 도착 지점(DP)으로 도착한 경우, QR 코드에 대한 식별이 수행될 수 있다.
컨트롤 장치(140)는 복수의 QR 코드(110)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광지 퀴즈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 장치(140)는 사용자가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컨트롤 장치(140)는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전자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 장치(140)는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의 설명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더욱 용이하게 진행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장치(140)는 사용자가 게임 장치(130)를 도착 지점(DP)으로 이동시킨 이후, 도착 지점(DP)에 대응되는 QR 코드를 식별하고, 식별된 QR 코드에 따라 관광지 퀴즈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도착 지점(DP)과 관련된 정보를 퀴즈를 통해 학습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트롤 장치(140)는 제1 QR 코드(110_1)에 대응하여 제1 관광지 퀴즈(Q1)를 제공하고, 제2 QR 코드(110_2)에 대응하여 제2 관광지 퀴즈(Q2)를 제공하며, 제3 QR 코드(110_3)에 대응하여 제3 관광지 퀴즈(Q3)를 제공하고, 제4 QR 코드(110_4)에 대응하여 제4 관광지 퀴즈(Q4)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컨트롤 장치(140)는 식별된 QR 코드에 대응하는 관광지 퀴즈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응답에 대응하여 관광지 퀴즈 정보에 대응하는 정답 여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컨트롤 장치(140)는 저장부(141), 인터페이스부(142), 입력부(143), 식별부(144), 출력부(145) 및 제어부(146)을 포함한다.
저장부(141)는 복수의 관광지 퀴즈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관광지 퀴즈 정보는 복수의 QR 코드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각각의 관광지 퀴즈 정보는 관광지와 관련된 내용의 퀴즈, 사용자의 응답이 정답인 경우에 제공되는 관광지 정보 및 사용자의 응답이 오답인 경우에 제공되는 힌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1)는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의 설명 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 영상은 게임의 시작 전에 출력부(145)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2)는 컨트롤 장치(140)의 내부 구성 사이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되는 통로일 수 있다. 입력부(143)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구성일 수 있다. 입력부(143)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별부(144)는 QR 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식별부(144)는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QR 코드가 대응되는 관광지 이미지에 포함되고 가시 광선으로 시인되지 않도록 구성된 경우, 식별부(144)는 가시 광선이 아닌 적외선 영역의 광을 조사하여 QR 코드를 식별할 수 있다.
출력부(145)는 식별된 QR 코드에 대응하는 관광지 퀴즈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5)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제어부(146)는 복수의 관광지 퀴즈 정보, 저장부(141), 입력부(143), 인터페이스부(144), 식별부(145) 및 출력부(146)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46)는 사용자가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사용자 환경을 구성하여, 출력부(145)로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환경을 통해 관광지 퀴즈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게임 장치(130)에 식별부(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142)는 게임 장치(130)와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장치(140)는 게임 장치(130)에 구성된 식별부(미도시)에서 식별된 QR 코드에 대응되는 관광지 퀴즈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즉, 컨트롤 장치(140)의 식별부(145)를 이용하지 않고, 도착 지점(DP)에 도착한 게임 장치(130)에 구성된 식별부를 이용하여 도착 지점(DP)의 관광지 이미지에 배치된 QR 코드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QR 코드는 적외선 광으로 시인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게임 장치(130)의 식별부는 적외선 영역의 광을 조사하여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컨트롤 장치(140)의 사용자 환경은 게임 장치(130)의 식별부를 동작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43)를 통해 사용자 환경의 기능을 제어하여 게임 장치(130)의 식별부를 동작, 도착 지점(DP)에 배치된 게임 장치(130)를 통해 QR 코드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QR 코드 정보가 컨트롤 장치(140)로 제공되게 된다.
컨트롤 장치(140)는 식별된 QR 코드에 대응하는 도착지 퀴즈를 출력부(146)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입력부(14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응답에 대응하여 관광지 퀴즈 정보에 대응하는 정답 여부를 출력부(146)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장치(140)는 사용자의 응답이 정답인 경우, 대응하는 관광지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더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 장치(140)는 사용자의 응답이 오답인 경우, 정답과 관련한 힌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계속 퀴즈에 참여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치 결정 장치(120)는 관광지 사이의 특징을 고려하여 출발 지점(SP)과 도착 지점(DP)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더욱 유익하고 효율적인 거제 관광 코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학습된 결정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위치 결정 장치(120)는 출발지 결정부(121) 및 도착지 결정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출발지 결정부(121)는 출발 지점을 결정할 수 있으며, 도착지 결정부(122)은 도착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출발지 결정부(121)는 랜덤 방식으로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출발 지점(SP)으로 결정하는 출발지 결정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출발지 결정 모델은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결정 모델일 수 있다.
도착지 결정부(122)는 결정된 출발 지점(SP)에 대응되는 관광지를 기초로 추천 관광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착지 결정부(122)는 출발 지점(SP)으로 선택된 관광지와 관련된 관광지를 도착지로 결정할 수 있으며, 출발 지점(SP)에 해당하는 제1 관광지와 도착 지점(DP)에 해당하는 제2 관광지로 구성되는 투어코스가 결정되게 된다. 이러한, 제1 관광지에 따라 제2 관광지를 결정하는 것은 도착지 결정부(122)의 도착지 결정 모델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착지 결정 모델은 제1 관광지의 실제 위치 및 제1 관광지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제2 관광지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착지 결정 모델은 제1 관광지의 실제 위치와 가까이 위치한 관광지를 제2 관광지로 결정하거나, 제1 관광지와 상이한 종류의 관광지를 제2 관광지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도시와 관련된 복수의 관광지는 역사, 여행, 놀이 또는 자연으로 종류가 구분될 수 있으며, 도착지 결정 모델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관광지를 추천하기 위해 제1 관광지와 상이한 종류를 가진 제2 관광지를 결정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이한 종류의 관광지가 복수인 경우, 제1 관광지와 거리가 가까운 관광지가 제2 관광지로 추천되도록 도착지 결정 모델은 미리 학습된 상태일 수 있다. 도착지 결정 모델은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학습 모델일 수 있다.
위치 결정 장치(120)를 통해 결정되는 제1 관광지와 제2 관광지는 실제 이동 거리 및 관광지의 종류를 고려하여 결정된 관광 투어 코스로, 사용자에게 더욱 유익하고 효율적인 거제 관광 코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는 코딩에 대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쉽고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 학생들이 재미있게 AI 기반의 기계 학습과 코딩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는 거제시의 다양한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관광지의 이동 거리 및 종류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공된 정보에 따라 실제로 거제 관광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사용자가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로,
    제1 도시와 관련된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배열된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 각각에 대한 좌표가 정의되는 게임판;
    상기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에 대응되는 복수의 QR 코드;
    상기 게임판의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을 결정하는 위치 결정 장치로서, 상기 출발 지점은 상기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며, 상기 도착 지점은 상기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 중 다른 하나로 결정되는, 위치 결정 장치;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게임 장치;
    상기 사용자가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컨트롤 장치로서, 상기 컨트롤 장치는 상기 복수의 QR 코드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광지 퀴즈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도착 지점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된 QR 코드에 대응하는 관광지 퀴즈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복수의 관광지 퀴즈 정보, 상기 저장부, 상기 입력부, 상기 식별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트롤 장치; 및
    상기 게임 장치를 조종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어 블록은 컨트롤 블록 및 상기 컨트롤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게임 장치를 상기 출발 지점에 대응하는 좌표에서 상기 도착 지점에 대응하는 좌표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명령을 생성하는 커맨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게임 장치는 상기 컨트롤 블록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게임판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부; 및 상기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부를 동작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장치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관광지 퀴즈 정보에 대응하는 정답 여부를 상기 출력부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 장치는 상기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의 설명 영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더 제공하며,
    상기 위치 결정 장치는 상기 출발 지점을 결정하는 출발지 결정부; 및 상기 도착 지점을 결정하는 도착지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발지 결정부는 랜덤 방식으로 복수의 관광지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출발 지점으로 먼저 결정하는 출발지 결정 모델을 포함하며,
    상기 도착지 결정부는 상기 결정된 출발 지점에 대응되는 제1 관광지를 기초로 제2 관광지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제2 관광지에 대응하는 관광지 이미지를 도착 지점으로 결정하는 도착지 결정 모델을 포함하고,
    상기 도착지 결정 모델은 상기 제1 관광지의 실제 위치 및 상기 제1 관광지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제2 관광지를 결정하도록 미리 학습된 딥러닝 기반의 학습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


  2. 삭제
KR1020230039574A 2023-03-27 2023-03-27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 KR102557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574A KR102557227B1 (ko) 2023-03-27 2023-03-27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574A KR102557227B1 (ko) 2023-03-27 2023-03-27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227B1 true KR102557227B1 (ko) 2023-07-24

Family

ID=8742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574A KR102557227B1 (ko) 2023-03-27 2023-03-27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22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206B1 (ko) 2017-08-16 2018-01-10 주식회사 한국과학 코딩 학습을 위한 회로기판 키트
KR20180037631A (ko) * 2016-10-04 2018-04-13 (주)모션블루 블록을 이용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55207A (ko) * 2016-11-16 2018-05-25 전석주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전자블록 시스템
KR102236566B1 (ko) * 2020-09-18 2021-04-06 통합놀이학교다동사회적협동조합 교과과정 연계, 지역탐방 및 문화체험용 보드 게임,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61546A (ko) * 2019-11-20 2021-05-28 이데아텍㈜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49718A (ko) * 2020-10-15 2022-04-22 주식회사 휴인텍 코딩 교육용 로봇의 위치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2421658B1 (ko) * 2022-05-02 2022-07-18 경상남도 (교육청) 스마트 건강 관리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건강 관리 게임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631A (ko) * 2016-10-04 2018-04-13 (주)모션블루 블록을 이용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55207A (ko) * 2016-11-16 2018-05-25 전석주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전자블록 시스템
KR101817206B1 (ko) 2017-08-16 2018-01-10 주식회사 한국과학 코딩 학습을 위한 회로기판 키트
KR20210061546A (ko) * 2019-11-20 2021-05-28 이데아텍㈜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36566B1 (ko) * 2020-09-18 2021-04-06 통합놀이학교다동사회적협동조합 교과과정 연계, 지역탐방 및 문화체험용 보드 게임, 보드 게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49718A (ko) * 2020-10-15 2022-04-22 주식회사 휴인텍 코딩 교육용 로봇의 위치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2421658B1 (ko) * 2022-05-02 2022-07-18 경상남도 (교육청) 스마트 건강 관리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건강 관리 게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Özgür et al. Cellulo: Versatile handheld robots for education
Nacher et al. Interactive technologies for preschool game-based instruction: Experiences and future challenges
CN109848985A (zh) 一种机器人的图形编程方法、装置及智能终端
Holden The local games lab ABQ: Homegrown augmented reality
Barbareschi et al. TIP-Toy: a tactile, open-source computational toolkit to support learning across visual abilities
Price Tangibles: Technologies and interaction for learning
KR102557227B1 (ko) 거제 관광 체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거제 관광 체험 게임 장치
JP2018031895A (ja) プログラム作成システム、プログラミング育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作成プログラム
Freina et al. Discussing implementation choices for serious games supporting spatial and orientation skills
Enyedy et al. Learning physics through play and embodied reflection in a mixed reality learning environment
Di Fuccio et al. The activity board 1.0: RFID-NFC WI-FI multitags desktop reader for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applications
Charoenying et al. The choreography of conceptual development in computer supported instructional environments
Ramírez-Benavides et al. MODEBOTS: environment for programming robots for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4 and 6
KR20200050544A (ko)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Rouillard et al. Rapid prototyping for mobile serious games
Cápay Enhancing the Teaching of Informatics through Engaging Experience.
KR102443108B1 (ko)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
Gómez Domínguez Learning English through technology: Infant school education
Cano et al. Design of interactive toy as support tool in STEM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KR102421655B1 (ko) 로봇 물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로봇 물류 게임 장치
KR20200050539A (ko)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의 동작 방법
Metcalf et al.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for context-aware mobile learning
Nácher Soler Kindertivity: Usability and communicability strategies for interactive surfaces and pre-kindergarten children
KR102278291B1 (ko) 클라우드 플랫폼에 연결된 피어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코딩 교육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Tibola et al. Virtual laboratory for promoting engagement and complex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