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544A -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544A
KR20200050544A KR1020180133239A KR20180133239A KR20200050544A KR 20200050544 A KR20200050544 A KR 20200050544A KR 1020180133239 A KR1020180133239 A KR 1020180133239A KR 20180133239 A KR20180133239 A KR 20180133239A KR 20200050544 A KR20200050544 A KR 20200050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action
sensor parts
learner
event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별
Original Assignee
제이알코딩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알코딩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알코딩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3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0544A/ko
Publication of KR2020005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에 구비되는 프로그램은, 코딩 학습 서비스에 의해 학습자에게 제공된 하나 이상의 센서 파츠가 장착되면, 상기 센서 파츠의 센서 신호에 기초한 인터랙션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인터랙션 신호를 인터랙션 기능 장치로 원격 전송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되며, 상기 인터랙션 신호는 상기 코딩 학습 서비스에 의해 서버에 저장된 상기 학습자의 유저 코드 기반 이벤트 발생 판단에 이용되며,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인터랙션 기능 장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에 구비되는 프로그램{A PROGRAM OF REMOTE INTERACTION APPARATUS FOR STUDYING CODING}
본 발명은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에 구비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원격 인터랙션 장치를 이용하여 코딩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고도의 산업발전과 함께 디지털 문화가 대중화 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문화는 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시대에 어울리는 창의력 사고, 일명 컴퓨팅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 CT)를 기르기 위한 노력이 여기저기서 일어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코딩 교육이 있다.
코딩 교육은 우리 주변에 일어나는 자연 현상을 알려주기 위해 과학을 가르치듯, 매일 사용하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컴퓨터 등의 원리를 가르치기 위한 것이며, 몇 해 전부터 교육 및 기술 전문가가 협업해 코딩 교육 콘텐츠와 교수법을 개발하고 있고, 정부나 IT기업들의 지원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코딩 교육시 사용되고 있는 교재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인 책을 이용해 읽고 이해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그치고 있어, 디지털 교육인 코딩교육과는 동떨어져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제 코딩 학습 결과에 따른 동작 등을 출력하는 시뮬레이션 장비들이 도입되고는 있으나, 시뮬레이션의 경우 실물 동작을 확인하기 어려워 그 효과가 낮으며, 로봇 시뮬레이션의 경우 고가의 설치비용과 고가의 하드웨어 로봇 장비 및 연결 시스템 등이 요구되는 바, 상용화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의 학습방식은 학습 동기가 명확하지 않고, 맥락이 없어 학습자가 그 동기를 부여받지 못하는 문제점도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드웨어의 직접 연결 없이도 유저가 작성한 코드의 탑재 및 기기간 인터랙션 구동이 가능한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 내 구비되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코딩 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그 인프라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랙션 구동을 위한 유저 코드를 학습자에게 판단 및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지속적 피드백 및 센서 파츠 보상에 따라,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에 구비되는 프로그램은, 코딩 학습 서비스에 의해 학습자에게 제공된 하나 이상의 센서 파츠가 장착되면, 상기 센서 파츠의 센서 신호에 기초한 인터랙션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인터랙션 신호를 인터랙션 기능 장치로 원격 전송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되며, 상기 인터랙션 신호는 상기 코딩 학습 서비스에 의해 서버에 저장된 상기 학습자의 유저 코드 기반 이벤트 발생 판단에 이용되며,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인터랙션 기능 장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드웨어의 직접 연결 없이도 유저가 작성한 코드의 탑재 및 기기간 인터랙션 구동이 가능한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이에 기초한 효율적인 코딩 학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코딩 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그 인프라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랙션 구동을 위한 유저 코드를 학습자에게 판단 및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지속적 피드백 및 센서 파츠 보상에 따라,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인터랙션 장치 기반 학습 서비스는, 게임상의 마법 스킬과 같은 원격 인터랙션을 코딩을 통해 현실상에서 구현하는 흥미로운 컨텐츠를 창출할 수 있고, 이를 위한 학습자의 판단과 수행에 따른 피드백을 주어 학습자 스스로 행동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며, 네러티브 및 학습자 중심의 즐거움과 흥미를 유발하는 효율적 코딩 학습 교육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학습자는 코딩 학습에 지속적 동기 부여를 받을 수 잇으며, 상호작용적 네러티브의 영역에서 다양한 컨텐츠가 창출 및 제공될 수 있어, 학습 참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인터랙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랙션 기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직 처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프로그램 형태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들은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 가능하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 학습 서버(300) 및 로직 처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10) 및 학습 서버(300)는, 각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서버(300)는 로직 처리 서버(400)와 연동되어 학습 서비스 및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바, 학습 서버(300)와 로직 처리 서버(400)는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의 각 모듈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먼저, 학습 서버(300)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10)로 코딩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는, 코딩 학습을 위한 하나 이상의 코스 워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 서버(300)는 코딩을 위한 통합 개발환경 IDE와, 교육 컨텐츠를 포함한 온라인 코딩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코스 워크 프로세스는 학습, 보상, 제어 과정의 반복에 따라 센서 파츠 보상 및 코딩 난이도가 상승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학습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이 접속되면, 사용자 인증 수행에 따라 코스 워크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이와 연관된 디스플레이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로 제공된 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하는 바, 이는 후술할 유저 코드로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은 학습 서버(300)에 네트워크망 또는 직접 접속 가능한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학습 서버(300)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송하고, 인증된 경우 학습 서버(3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은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장치, 퍼스널 컴퓨터, PDA 또는 이와 같은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학습 서버(3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다른 서버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상기 학습 서버(300)에 직접 유선 연결되어 입출력 장치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학습 서버(300)는, 학습자의 학습 서비스 이용에 따라,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서 센싱되는 센서 데이터에 기초한 이벤트 발생 및 이에 대응하는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 또는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유저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유저 코드는 학습 결과물로서 생성될 수 있는 제어 코드로서, 학습자가 학습하여 스스로 작성한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의 학습자는 학습 서버(300)에서의 학습 결과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센서 파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센서 파츠는 학습 서버(300)에서 관리될 수 있으며, 학습 프로세스의 보상으로서 사용자 단말(10)의 학습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바, 이는 학습자에게 직접 제공되거나, 배송되는 실물 센서 파츠일 수 있으며,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 장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어,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 장착시 센서 종류에 따른 센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파츠는 터치 센서, 자이로 센서, 음성 센서, 조도 센서, 자기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우 있으며, 사용자는 각 센서 파츠의 센싱 데이터를 조합하여, 조건부 이벤트 발생을 코딩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자신의 것으로 할당된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 하나 이상의 센서 파츠들을 장착하여 보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작성한 유저 코드는 자신의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의 인터랙션 신호 생성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는 장치 식별 정보가 부여될 수 있으며, 장치 식별 정보는 학습자 식별 정보 및 유저 코드 정보에 매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습 서버(300)는 보상으로서 제공되는 각 센서 파츠를 활용한 추가적인 유저 코드를 작성 및 학습하게 할 수 있으며, 학습자는 이러한 유저 코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로직 및 인터랙션 기능 동작을 코딩하고, 실제로 그 기능을 현실에서 구현해볼 수 있다.
그 현실 구현을 위하여, 학습 서버(300)는 학습 서비스 이용에 따라 생성된 학습자의 유저 코드를 로직 처리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로직 처리 서버(400)는,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유저 코드 기반 이벤트 발생 판단을 처리하기 위한 로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로직 데이터를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로직 데이터는 유저 코드로부터 컴파일된 구동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만약 유저 코드의 컴파일에 오류가 발생된 경우, 학습 서버(300)로 오류 메시지를 전달하고, 학습 서버(300)는 오류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여, 학습자가 오류를 수정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는 코딩 학습 서비스에 의해 학습자에게 제공된 하나 이상의 센서 파츠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 및 회로 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파츠의 센서 신호에 기초한 인터랙션 신호를 생성하여,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는 센싱 데이터 획득 및 인터랙션 신호 송출을 위한 기능만으로 포함되어 그 제조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각 학습자에게 판매되거나 지급될 수 있다.
인터랙션 신호는 상기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 대응하는 장치 식별 정보, 학습사 식별 정보 및 상기 센서 파츠에 대응하는 파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에서는 상기 인터랙션 신호에 대응하는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인터랙션 기능 장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는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서 송신된 원격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는 로직 처리 서버(400)로 상기 인터랙션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장치 식별 정보, 학습사 식별 정보 및 상기 센서 파츠에 대응하는 파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퍼미션 확인 요청을 로직 처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로직 처리 서버(400)와의 정보 송수신을 위해,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는 로직 처리 서버(40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네트워크망을 통한 접속 형태가 예시될 수 있다.
퍼미션 확인 요청은 인터랙션 신호의 기능 동작 허용을 요청하는 요청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학습 서비스에서 제공받지 않은 센서를 장착하거나, 자신의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가 아닌 다른 장치에 센서를 장착하여 요청하는 것이 확인된 경우, 로직 처리 서버(400)는 상기 요청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거절 응답을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퍼미션이 확인된 경우, 로직 처리 서버(400)는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 기능 구동을 위한 로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는 로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랙션 신호에 포함된 센서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따른 기능 모듈의 실행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 음성 출력 모듈, 모터 구동 모듈 등의 다양한 기능 모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는 각 기능 모듈의 조합에 따른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센서 파츠 구동을 위한 유저 코드는, 학습자에게 마법 스킬로서 제시될 수 있으며, 학습자는 마법 스킬을 코딩하여, 그 스킬에 맞는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의 기능을 구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는 예를 들어, 마법 액자, 마법 시계, 마법 수정 구슬, 마법 부엉이 등의 다양한 기기가 예시될 수 있고, 전술한 인터랙션 신호에 따라 액자 디스플레이 제어, 시간 출력 제어, 구슬 조명 제어, 부엉이 구동 모터 제어 등의 다양한 기능 모듈 제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는 이러한 스킬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로 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법 지팡이 형태 등이 예시될 수 있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인터랙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05), 파츠 장착형 센서부(120), 장치 정보 관리부(130), 인터랙션 신호 생성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는 학습자별로 제공되는 장치일 수 있으며, 마법 스킬 구현을 위해 필요한 도구로서 제공될 수 있는 바, 학습자들은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 장착된 센서 파츠들을 이용한 코드를 작성하고, 직접 테스팅해볼 수 있다.
특히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는 별도의 하드웨어 연결 없이 센서 파츠의 출력에 따른 인터랙션 신호만을 생성하여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 전달하게 하고, 로직 처리 서버(400)에서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 제공된 로직 데이터에 따른 기능 구현이 처리될 수 있으므로,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는 그 기구적 크기와 제조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처리되는 인터랙션 신호를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 전송하거나,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장치 간 무선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주파수 대역과 통신 프로토콜을 규격을 따르는 통신 모듈로서,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 Band system), RFID 통신 규격 중 하나 이상을 통해 근거리 통신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적외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IrDA의 IrFM 규격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간 무선 통신채널을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파츠 장착형 센서부(120)는, 코딩 학습 서비스에 의해 학습자에게 제공된 하나 이상의 센서 파츠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파츠는 학습자의 학습 코스워크 완료 보상으로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서, 각 센서 파츠별 식별 정보가 할당될 수 있고, 학습 서버(300) 또는 로직 처리 서버(400)는 센서 파츠에 대응하는 권한 퍼미션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정보 관리부(130)는 장착된 센서 파츠 식별 정보와,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의 장치 식별 정보 및 학습자 식별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식별 정보는 학습자별 학습 난이도에 따른 센서 파츠의 활용도를 차별화 하기 위한 관리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파츠에서 출력되는 센서 데이터는 인터랙션 신호 생성부(14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인터랙션 신호 생성부(140)는 장치 정보 관리부(130)에서 관리되는 센서 파츠 식별 정보와,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의 장치 식별 정보 및 학습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센서 데이터를 결합한 인터랙션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05)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05)는 상기 인터랙션 신호를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 원격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는 인터랙션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학습자의 유저 코드 기반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고, 이벤트 발생에 따른 기능 모듈의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05)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의 기능 동작을 요구하는 이벤트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출력과 같은 기능 모듈이 추가 구비된 경우, 이벤트 발생에 따라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뿐만 아니라,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의 기능 모듈도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벤트 처리부(160)는 이벤트 처리에 따른 기능을 출력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105)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 제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처리부(160)는 이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거나, 이벤트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버저 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각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휘발성 메모리 영역(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또는 RAM)을 포함할 수 있으며, 미리 수정 불가능한 영역에 저장되는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의 장치 식별 정보 또는 학습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ROM(Read-Only Memory)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랙션 기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05), 퍼미션 조회부(220), 이벤트 판단부(230), 기능 처리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한다.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는 인터랙션 신호가 수신되면, 로직 처리 서버(400)와의 퍼미션 확인 및 로직 데이터 수신에 따라,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인터랙션 신호의 센서 데이터에 기초한 이벤트 발생을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이벤트에 다른 기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제어부(210)는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의 각 처리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통신부(205)는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와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로직 처리 서버(400)와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접속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통신 모듈의 경우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예시는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퍼미션 조회부(220)는 상기 인터랙션 신호에 대응하는 센서 파츠의 퍼미션 확인을 위한 퍼미션 조회를 로직 처리 서버(400)로 요청할 수 있다. 인터랙션 신호에는 전술한 센서 파츠 식별 정보, 장치 식별 정보 또는 학습자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바, 퍼미션 조회부(220)는 이에 대응하는 퍼미션 부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퍼미션 조회를 로직 처리 서버(400)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미션 조회에는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의 장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제어 가능한 대상인지 여부가 더 판단될 수도 있다.
로직 처리 서버(400)에서는 퍼미션 조회 결과에 따라, 거절 응답 또는 퍼미션 확인 및 로직 데이터를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통신부(205)를 통해 로직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수신로직 데이터와 상기 인터랙션 신호의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 처리부(240)는 이벤트 발생 판단에 따른 각 기능 모듈의 동작을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 처리를 수행할 수 잇다.
또한, 제어부(210)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서의 기능 동작이 필요한 경우, 이벤트 정보를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50)는 각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휘발성 메모리 영역(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또는 RAM)을 포함할 수 있으며, 미리 수정 불가능한 영역에 저장되는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의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ROM(Read-Only Memory)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버(300)는, 통신부(305), 학습 정보 관리부(320), 교육 프로세스 제공부(330), 유저 코드 전달부(340), 센서 파츠 관리부(350) 및 저장부(360)를 포함한다.
통신부(305)는 사용자 단말(10) 및 로직 처리 서버(400)와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학습 정보 관리부(320)는 학습자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며, 학습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학습 레벨 정보, 보유 재화 정보, 보유 센서 파츠 정보 또는 학습 등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교육 프로세스 제공부(330)는, 학습자 정보에 대응하는 코스워크를 포함하는 학습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코스워크는 학습자가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의 동작 및 이에 대응하는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와의 연동된 이벤트 발생을 코딩하기 위한 단계적 학습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프로세스에 따른 유저 코드는 인터랙션을 이용한 네러티브 구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바, 이러한 네러티브 구조는 학습의 몰입도와 지속성의 동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학습자는 학습 프로세스에 따라 자신만의 상호작용적 네러티브를 구상하고, 이에 따른 유저 코드를 작성할 수 있으며, 교육 프로세스 제공부(330)는 그 작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는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의 센서 파츠를 기반으로 상호작용을 위한 잠재적 요소로서의 텍스톤을 구상할 수 있고, 그 일부를 선택하여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이야기로서의 스크립톤을 구현하는 유저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는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를 마법 지팡이로 가정하고, 지팡이를 움직이면서 주문을 외치거나, 지팡이를 휘두르는 방법을 가정하거나, 그 조합에 기초한 다양한 스킬 명령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지팡의 움직임을 자이로 센서 데이터로 센싱한다고 가정하고, 음성 주문과 조합하면 그 조합가능한 스킬은 무한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만의 스킬 이벤트가 유저 코드로서 생성될 수 있으며, 각 센서 파츠의 조합에 따른 조건부 이벤트 발생 명령 코드가 생성되어, 상기 인터랙션 장치 또는 인터랙션 기능 장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이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조건부 이벤트는 센서 파츠에 연동될 수 있으며, 학습 프로세스는 센서 파츠별 조건부 이벤트에 대응하는 스킬 이벤트 코드를 미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파츠가 터치 센서인 경우, 스킬 이벤트는 [지팡이를 쥐었을 때] 라는 네러티브 조건에 대응하는 센서 이벤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센서 파츠가 조도 센서인 경우, 스킬 이벤트는 [주변이 어두울 때] 라는 네러티브 조건에 대응하는 센서 이벤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센서 파츠가 자이로 센서인 경우, 스킬 이벤트는 [지팡이를 XX방향으로 움직일 때] 라는 네러티브 조건에 대응하는 센서 이벤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센서 파츠가 음성 센서인 경우, 스킬 이벤트는 [지팡이에 XX 주문을 외칠 때] 라는 네러티브 조건에 대응하는 센서 이벤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는 다양한 센서 파츠의 장착을 통해 조합된 스킬 이벤트를 구현할 수 있는 바, 이는 학습 동기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유저 코드 전달부(340)는 학습자가 학습 서비스의 교육 프로세스 제공에 의해 작성한 유저 코드를 로직 처리 서버(400)로 전달한다. 유저 코드는 로직 처리 서버(400)에서 컴파일되어 로직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으며, 로직 데이터는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 전달될 수 있다.
센서 파츠 관리부(350)는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센서 파츠 식별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센서 파츠는, 교육 프로세스 제공에 의해 보상으로서 누적된 재화 또는 레벨에 따라 제공될 수 있으며,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360)는 학습자 정보, 교육 프로세스 정보, 유저 코드 정보, 센서 파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직 처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로직 처리 서버(400)는 통신부(405), 제어부(410), 코드 로직 관리부(420), 퍼미션 조회부(430) 및 저장부(440)를 포함한다.
통신부(405)는 학습 서버(300) 및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로직 처리 서버(400)의 전반적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코드 로직 관리부(420)는, 학습 서버(300)에서 전달된 유저 코드의 컴파일 처리를 수행하여 로직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코드 로직 관리부(420)는 유저 코드의 컴파일에 오류가 발생된 경우, 학습 서버(300)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0)에서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퍼미션 확인부(430)는,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인터랙션 신호 또는 그 신호의 센서 파츠의 퍼미션 확인을 처리한다.
이를 위해, 퍼미션 확인부(430)는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유저 코드의 학습자 식별 정보, 센서 파츠 정보,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의 장치 식별 정보를 저장부(44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퍼미션 확인 요청 정보로부터 학습자 식별 정보, 센서 파츠 정보,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의 장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 및 비교하여, 퍼미션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코드 로직 관리부(420)는 퍼미션이 확인된 경우, 학습자의 유저 코드 기반 로직 데이터를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440)는 코드 로직 데이터와, 퍼미션 확인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프로세스는 교육 프로세스 제공부(330)를 통해 처리될 수 있으며, 코딩의 지속 가능 학습을 위한 네러티브 구조를 도입하고, 센서 파츠 구매에 따른 스토리 진행을 통해 반복적이고 난이도가 향상되는 코스별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 프로세스 제공부(330)는 코스워크에 따른 코스별 반복적 레벨 보상 및 재화 보상을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구매 보상으로 각 센서 파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센서 파츠 획득에 따른 추가적인 스토리 진행 등이 가능하게 되는 바, 학습자의 학습 동기 부여 및 지속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학습 서버(300)는 학습자 및 장치 정보를 등록한다(S101).
그리고, 학습 서버(300)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른 코딩 학습 코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학습 코스에 대응하는 코스 워크(코스1, 코스2, 코스3...)를 진행한다(S103).
이후, 학습 서버(300)는 코스 워크 완료시 학습자에게 보상이 획득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S105), 그 보상에 따라 센서 파츠를 구매하기 위한 재화 및 레벨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S107).
예를 들어, 학습 서버(300)는 학습자 계정으로 보상을 지급하고, 그 보상에 따라 센서 파츠를 구매할 만큼의 재화가 모였는지, 레벨이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서버(300)는 학습자 선택에 따른 센서 파츠의 구매 처리를 제공한다(S109).
구매 처리에 따라, 학습자에게 실물 센서 파츠가 제공될 수 있으며, 학습자는 자신의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 구매한 센서 파츠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후, 학습 서버(300)는 구매된 센서 파츠에 대응하는 코스 워크를 진행한다(S111).
예를 들어, 구매된 센서 파츠의 코스 워크는 새로 구매한 센서 파츠를 이용하여 유저 코드를 작성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코스 워크가 완료되어 유저 코드가 작성된 경우, 학습 서버(300)는 학습자에게 센서 파츠 이용의 퍼미션을 부여할 수 있으며(S113), 상기 센서 파츠에 대응하는 퍼미션을 위한 식별 정보가 학습 서버(300) 및 로직 처리 서버(400)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학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학습자에게 코딩 학습 프로세스를 제공한다(S1001).
그리고, 학습 서버(300)는 로직 처리 서버(400)로 학습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된 유저 코드를 전달한다(S1003).
로직 처리 서버(400)는 유저 코드의 컴파일 오류 여부를 확인하며(S1005),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오류 메시지를 학습 서버(300)로 전달하고(S1007), 오류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성공 메시지를 학습 서버(300)로 전달하며(S1009), 유저 코드로부터 컴파일된 로직 데이터를 저장한다(S1011).
이후, 학습 서버(300)는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서의 인터랙션 신호 처리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이벤트 준비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출력한다(S1013).
한편,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는 학습 프로세스에 의해 퍼미션된 센서 파츠가 장착되며(S1015), 센서 파츠의 센서 신호에 기초한 인터랙션 신호를 생성하여(S1017),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 전송한다(S1019).
그리고,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는 로직 처리 서버(400)로 인터랙션 신호에 대응하는 퍼미션 조회를 요청한다(S1021).
이후, 로직 처리 서버(400)는 퍼미션 조회에 대응하는 퍼미션 확인 정보와, 유저 코드 기반으로 컴파일된 로직 데이터를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 전송한다(S1023).
이후,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는, 수신된 로직 데이터와 인터랙션 신호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을 확인한다(S1025).
그리고,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는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리턴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며(S1027), 존재하는 경우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는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로 리턴 이벤트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S1029).
이에 따라, 리턴 이벤트 코드를 수신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는 이벤트 발생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S1033), 리턴 이벤트가 아닌 이벤트에 대하여는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에서 이벤트 발생에 따른 대상 기능 모듈의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S1033).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확인 및 로직 데이터 처리는,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는 전술한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의 이벤트 판단부(230), 퍼미션 조회부(220) 및 기능 처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는 단지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기능 제어 신호만을 수신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의 제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와의 근거리 통신 모듈만을 구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이에 따라 변형된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 그램으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학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학습자에게 코딩 학습 프로세스를 제공한다(S2001).
그리고, 학습 서버(300)는 로직 처리 서버(400)로 학습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된 유저 코드를 전달한다(S2003).
로직 처리 서버(400)는 유저 코드의 컴파일 오류 여부를 확인하며(S2005),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오류 메시지를 학습 서버(300)로 전달하고(S2007), 오류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성공 메시지를 학습 서버(300)로 전달하며(S2009), 유저 코드로부터 컴파일된 로직 데이터를 저장한다(S2011).
이후, 학습 서버(300)는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서의 인터랙션 신호 처리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이벤트 준비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 출력한다(S2013).
한편,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는 학습 프로세스에 의해 퍼미션된 센서 파츠가 장착되며(S2015), 센서 파츠의 센서 신호에 기초한 인터랙션 신호를 생성한다(S2017).
그리고,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는 로직 처리 서버(400)로 인터랙션 신호에 대응하는 퍼미션 조회를 요청한다(S2019).
이후, 로직 처리 서버(400)는 퍼미션 조회에 대응하는 퍼미션 확인 정보와, 유저 코드 기반으로 컴파일된 로직 데이터를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로 전송한다(S2023).
이후,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는, 수신된 로직 데이터와 인터랙션 신호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을 확인한다(S2025).
그리고,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기능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2027).
또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는 자체 이벤트 발생 처리를 통한 출력 동작을 처리할 수도 있다(S2031).
이에 따라, 인터랙션 기능 장치(200)에서는 원격 인터랙션 장치(100)의 기능 제어 신호에 따른 대상 기능 모듈의 수행을 처리할 수 있다(S2033).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8)

  1.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에 구비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코딩 학습 서비스에 의해 학습자에게 제공된 하나 이상의 센서 파츠가 장착되면, 상기 센서 파츠의 센서 신호에 기초한 인터랙션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인터랙션 신호를 인터랙션 기능 장치로 원격 전송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되며,
    상기 인터랙션 신호는
    상기 코딩 학습 서비스에 의해 서버에 저장된 상기 학습자의 유저 코드 기반 이벤트 발생 판단에 이용되며,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인터랙션 기능 장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신호는 상기 원격 인터랙션 장치에 대응하는 장치 식별 정보, 학습사 식별 정보 및 상기 센서 파츠에 대응하는 파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신호는 상기 센서 파츠로부터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 코드는 상기 센싱 데이터에 기초한 조건부 이벤트 발생 명령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 이벤트 발생 명령 코드는, 상기 센서 파츠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스킬 이벤트 발생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킬 이벤트 발생 코드는,
    상기 센서 파츠의 센싱 데이터에 따라, 상기 스킬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고, 상기 스킬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인터랙션 장치 또는 인터랙션 기능 장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을 구동하는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파츠는
    상기 코딩 학습 서비스를 통한 코스 워크 진행에 대한 보상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학습 서비스는 상기 코스 워크의 진행 완료에 따라, 센서 파츠에 대응하는 퍼미션을 부여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신호는, 상기 원격 인터랙션 장치 또는 상기 인터랙션 기능 장치에 의해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인터랙션 신호에 대응하는 센서 파츠의 퍼미션 확인을 처리하며, 퍼미션 확인에 따라 상기 학습자의 유저 코드 기반 로직 데이터를 상기 원격 인터랙션 장치 또는 상기 인터랙션 기능 장치로 전송하는 프로그램.




KR1020180133239A 2018-11-02 2018-11-02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KR20200050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39A KR20200050544A (ko) 2018-11-02 2018-11-02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39A KR20200050544A (ko) 2018-11-02 2018-11-02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544A true KR20200050544A (ko) 2020-05-12

Family

ID=70679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239A KR20200050544A (ko) 2018-11-02 2018-11-02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05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7276A (zh) * 2020-05-25 2020-09-04 中南大学 互动式教具
KR20210157543A (ko) * 2020-06-22 2021-12-29 장선연 원격 코딩 교육 장치 및 원격 코딩 교육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7276A (zh) * 2020-05-25 2020-09-04 中南大学 互动式教具
KR20210157543A (ko) * 2020-06-22 2021-12-29 장선연 원격 코딩 교육 장치 및 원격 코딩 교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53550A1 (en) Education System using Connected Toys
KR102441422B1 (ko) 개인 정보 보호가 가능한 개인화된 질의응답 시스템, 클라우드 서버 및 이의 공통 신경망 모델 제공 방법
US202001220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behavior generator using deep learning and an auto planner
CN115167182B (zh) 自动驾驶仿真测试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20200050544A (ko)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García-Zubía et al. Learning to program in K12 using a remote controlled robot: RoboBlock
Hon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iort based remote control robot using block-based programming
KR20200050539A (ko)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의 동작 방법
JP7083402B2 (ja) 移動ロボット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KR20200050541A (ko) 코딩 학습을 위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
KR20200050546A (ko) 기록매체
Belmonte et al. Training industrial engineers in Logistics 4.0
KR20200050535A (ko) 코딩 학습에 따라 사물 제어가 가능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
KR20200050536A (ko) 사물 제어가 가능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
KR20200050533A (ko) 사물 제어가 가능한 원격 인터랙션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50538A (ko) 기록매체
KR20200055262A (ko) 사물 제어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CN110370267A (zh) 用于生成模型的方法和装置
KR102344322B1 (ko) 어린이 교육 시스템
Fukunaga et al. Evolving controllers for high-level applications on a service robot: a case study with exhibition visitor flow control
Ghazal et al. A framework for teaching robotic control using a novel visual programming language
CN108415983B (zh) 一种基于交互的智能问题解决方法和装置
KR20210023476A (ko) 확률 계산 기반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21664B1 (ko) 발전소 건설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발전소 건설 게임 장치
KR20200077664A (ko) Rfid 태그를 이용한 코딩 교육용 스마트 토이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