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403B1 -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403B1
KR102556403B1 KR1020220175267A KR20220175267A KR102556403B1 KR 102556403 B1 KR102556403 B1 KR 102556403B1 KR 1020220175267 A KR1020220175267 A KR 1020220175267A KR 20220175267 A KR20220175267 A KR 20220175267A KR 102556403 B1 KR102556403 B1 KR 102556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ensor
sensor
height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륜
Original Assignee
(주)매그나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그나에너지 filed Critical (주)매그나에너지
Priority to KR102022017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2Adjustable mountings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는, 하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 일지점에 기립된 상태로 결합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일단에 비대칭형으로 마련되어 기설정된 작업구간에만 조명을 제공하는 등기구, 상기 메인프레임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등기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 및 상기 지지대 일지점에 마련되고, 안정기가 내장된 안정기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 {Movable Self-Powered Lighting Stand}
본 발명은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가발전이 가능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원하는 작업공간에만 빛을 집중시킬 수 있는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에 관한 것이다.
야간에 도로공사 및 사고현장 복구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면, 작업 공간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이 필요하다. 종래의 야간 작업현장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는 전등을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설치대를 구비하고, 이 설치대에 전등을 고정시킨 후 일정길이의 전력 공급선 또는 케이블이 배선되어 일정 장소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등을 점등시켜 사용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전등이 장착되는 설치대나 주변 시설물에 고정시킨 후 전선 또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을 인가시켜 작업현장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야간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종래의 방법은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고, 작업현장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전선은 작업 중에 전선이 끊어지거나 파손되어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설치대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 다양한 작업현장에 적용할 수 없고, 작업공간에만 빛이 집중되는 것이 아닌, 주변 공간까지 빛이 조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자가발전이 가능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원하는 작업공간에만 빛을 집중시킬 수 있는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189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자가발전이 가능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배선이 없는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작업공간을 효과적으로 밝힐 수 있는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대칭형 등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작업공간에만 빛을 집중시킬 수 있는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센서가 감지한 주변 환경의 밝기에 따라 등기구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부가 마련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는, 하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 일지점에 기립된 상태로 결합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일단에 비대칭형으로 마련되어 기설정된 작업구간에만 조명을 제공하는 등기구, 상기 메인프레임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등기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 및 상기 지지대 일지점에 마련되고, 안정기가 내장된 안정기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상기 지지대는, 상기 메인프레임 일지점에 수직으로 마련되고, 내부가 빈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측면에 마련되는 높이고정공, 상기 수직프레임 내부에 축 결합되는 높이조절프레임, 상기 높이조절프레임 측면에 기설정된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높이조절공 및 상기 높이고정공 및 높이조절공에 삽입되어 상기 등기구의 높이를 고정하는 높이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상기 지지대는, 상기 수직프레임 측면 및 메인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을 지지하는 다수의 보강대, 상기 높이조절프레임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등기구를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수평프레임 및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 내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마련되는 탈선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는, 상기 등기구 일지점에 마련되어 주변 환경의 밝기를 감지하는 광센서 및 상기 광센서가 감지한 주변 환경의 밝기에 따라 상기 등기구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광센서의 평균오차(Aerr)가 기설정된 한계오차(Serr)보다 큰 경우, 상기 광센서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는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2134804301-pat00001
(여기서, Aerr은 평균오차, Taver는 상기 광센서로 측정한 센서값의 전체평균, Paver는 상기 광센서로 측정한 센서값 n개에 대한 일부평균, Tσ는 상기 광센서로 측정한 센서값의 전체표준편차를 의미함)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는, 자가발전이 가능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배선이 없어 고장 빈도가 낮은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작업공간을 효과적으로 밝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는, 비대칭형 등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작업공간에만 빛을 집중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는, 광센서가 감지한 주변 환경의 밝기에 따라 등기구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부가 마련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높이를 조절한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등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례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례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인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10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높이를 조절한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100)는 메인프레임(110), 지지대(120), 등기구(130), 발전기(140) 및 안정기함(15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0)은 하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12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 일지점에 기립된 상태로 결합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20)는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지지대(120)는 수직프레임(121), 높이고정공(122), 높이조절프레임(123), 높이조절공(124) 및 높이고정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121)은 상기 메인프레임(110) 일지점에 수직으로 마련되고, 내부가 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높이고정공(122)은 상기 수직프레임(121)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높이조절프레임(123)은 상기 수직프레임(121) 내부에 축 결합될 수 있다.
높이조절공(124)은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23) 측면에 기설정된 거리 이격되어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높이고정핀(미도시)은 상기 높이고정공(122) 및 높이조절공(124)에 삽입되어 상기 등기구(13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20)는 보강대(125), 수평프레임(126) 및 탈선방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대(125)는 다수 개가 상기 수직프레임(121) 측면 및 메인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21)을 지지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126)은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23)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등기구(130)를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탈선방지부(미도시)는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23)의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121) 내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탈선방지부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등기구(130) 높이 조절 시,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23)이 상기 수직프레임(121) 내부를 벗어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20)의 높이를 낮춘 상태의 모습은 도 1에, 높이를 최대로 높인 상태의 모습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20)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작업공간을 효과적으로 밝힐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등기구(130)는 상기 지지대(120) 일단에 비대칭형으로 마련되어 기설정된 작업구간에만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등기구(130)는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등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표기되어있지는 않지만, 상기 등기구(130)는 바디, 유리, PCB, LED 칩, 브라켓, 브라켓 볼트 및 SMPS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는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칭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유리는 바디에 결합되고, 강화유리로 마련될 수 있다.
PCB는 메탈 재질로, 상기 바디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LED 칩은 상기 바디 내부에 다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은 스틸 재질로, 아연도금되어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 볼트는 용융볼트로 마련되어 상기 브라켓에 볼팅될 수 있다.
SMPS는 전원공급장치로, 240W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등기구(130)가 비대칭형으로 마련됨으로써, 기설정된 작업구간에만 조명을 제공해,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발전기(14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등기구(1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발전기(140)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100)는 자가발전 할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되는 배선이 불필요할 수 있다.
안정기함(150)은 상기 지지대(120) 일지점에 마련되고, 안정기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100)는 광센서(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미도시)는 상기 등기구(130) 일지점에 마련되어 주변 환경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광센서가 감지한 주변 환경의 밝기에 따라 상기 등기구(13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환경의 밝기가 평소보다 밝으면 상기 등기구의 밝기를 낮추고, 주변 환경의 밝기가 평소보다 어두우면 상기 등기구의 밝기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100)의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100)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광센서의 평균오차(Aerr)가 기설정된 한계오차(Serr)보다 큰 경우, 상기 광센서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는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니터링부는 상기 광센서의 평균오차(Aerr)가 기설정된 한계오차(Serr)보다 큰 경우, 상기 광센서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2134804301-pat00002
(여기서, Aerr은 평균오차, Taver는 상기 광센서로 측정한 센서값의 전체평균, Paver는 상기 광센서로 측정한 센서값 n개에 대한 일부평균, Tσ는 상기 상기 광센서로 측정한 센서값의 전체표준편차를 의미함)
보다 상세하게는, Taver는 상기 광센서로 측정한 센서값의 전체평균이며, 광센서가 정상 동작하는 기설정된 기간동안(ex. 한 달) 다수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센싱되는 센서값들의 전체 평균을 산출한 값을 의미하고, Tσ는 상기 기설정된 기간동안(ex. 한 달) 다수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센싱되는 센서값들의 전체표준편차를 산출한 값을 의미한다.
또한, Paver는 상기 광센서 센서값 n개에 대한 일부평균이며, 광센서가 현장 설치되어 사용되는 과정에서 기설정된 수(n개)의 센서값을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상기 기설정된 수(n개)의 센서값에 대한 평균을 산출한 것으로서, 일부 센서값의 평균에 해당하므로 일부평균이라 지칭할 수 있다.
이 때, 일부평균을 이용하여 95%의 신뢰도로 추정평균값을 산출하면, 추정평균값(μ)은
Figure 112022134804301-pat00003
범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추정평균값(μ)의 상한 또는 하한과 전체평균(Taver)과의 차이값인 평균오차(Aerr)는,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평균오차(Aerr)가 기설정된 한계오차(Serr)보다 크다는 것은 실시간으로 입력받은 기설정된 수(n개)의 센서값이 상기 광센서의 고장으로 잘 못 입력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의미하므로,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는 상기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광센서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센서모니터링부는 상기 센서값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평균값(Aerr)과 기설정된 한계값(Serr)을 비교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광센서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 상기 실시간 센서값이 기설정된 구간크기 내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보이는지 여부, 상기 광센서의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습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 센서의 동작시간과 비동작시간의 비율을 분석하여 상기 비율이 기설정된 비율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여, 상기 조건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만족되는 경우에 상기 센서값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오류 판단방법들의 구체적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광센서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광센서와 기설정된 거리 내에 온도센서를 별도로 마련하고,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광센서의 온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는, 광센서가 정상동작하는 상황이라면 허용되는 범위(기설정된 발열온도범위) 내에서의 발열 온도를 유지한다는 기술적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며, 발열이 지나치다거나 발열이 전혀 없는 경우라면 과부하가 걸렸거나 전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므로 그 경우는 광센서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는 곧 실시간 센서값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센서값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센서값이 기설정된 구간크기 내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보이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데, 이는 광센서에 이물질이 유입된 경우,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기설정된 구간크기 내에서 센서값이 반복적으로 특정 패턴으로 출력될 수 있다는 기술적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구간크기는, 아래 [수학식 2]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2]
Arange = {(Taver + Dmax) - (Taver - Dmax)}*0.3
Arange는 기설정된 구간크기이고, Taver는 기설정된 기간동안의 전체 평균이며, Dmax는 기설정된 기간동안의 최대편차를 의미한다.
일례로, 기설정된 기간동안의 전체 평균이 70이고 최대편차가 20이라면 Arange는 12가 되므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12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값이 출력(ex. 52, 62, 52, 62, 53, 62, 52, 63 등과 같은 유사한 값들이 반복 출력)된다면 이는 광센서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센서값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센서의 습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습도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광센서와 기설정된 거리 내에 습도센서를 별도로 마련하고,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광센서의 습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는, 광센서에 수분이 유입된 경우에는 비정상 동작한다는 기술적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며, 습도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했다면 상기 광센서에 수분이 유입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광센서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는 곧 센서값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광센서의 동작시간과 비동작시간의 비율을 분석하여 상기 비율이 기설정된 비율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센서값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현장에 설치된 광센서가 절전을 위해 매 1초마다 0.1초씩 센서값을 수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동작시간과 비동작시간의 비율은 10 : 1이 되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분석한 결과 그 비율이 1 : 10으로 역전되거나 현저히 다른 비율(ex. 30% 이상의 비율변화)로 변화했다면 광센서의 오동작 및 센서값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서 센서모니터링부는 다수의 고장진단방법을 모두 고려하여 상기 센서값에 오류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다수의 고장진단방법을 모두 반영한 Stotal 값으로 최종 판단될 수도 있다.
[수학식 3]
Stotal = W1*Raver + W2*Rtem + W3*Rrep + W4*Rhum + W5*Rrat
여기서, Stotal은 다수의 오류판단값의 합산값, Raver은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평균값(Aerr)과 기설정된 한계값(Serr)을 비교하여 도출한 오류판단값(오류 여부에 따라 0과 1중 하나의 값), Rtem은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오류여부를 판단한 값(오류 여부에 따라 0과 1중 하나의 값), Rrep은 반복 패턴이 나타나는지 여부에 따라 오류여부를 판단한 값(오류 여부에 따라 0과 1중 하나의 값), Rhum은 습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따라 오류여부를 판단한 값(오류 여부에 따라 0과 1중 하나의 값), Rrat은 동작시간과 비동작시간의 비율을 분석하여 오류여부를 판단한 값(오류 여부에 따라 0과 1중 하나의 값), W1은 Raver항목 가중치, W2는 Rtem항목 가중치, W3은 Rrep항목 가중치, W4는 Rhum항목 가중치, W5는 Rrat 항목 가중치를 각각 의미한다.
예를 들어, Stotal가 4 이상이라면 센서값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사전 설정할 수 있고, 발열온도가 매우 중요한 파라미터인 경우이라면 W2를 3으로 사전 설정하고, W1, W3, W4, W5는 모두 1으로 사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상기 다수의 고장진단방법에 따라 오류여부를 모니터링한 결과, Raver는 1, Rtem은 1, Rrep는 0, Rhum은 0, Rrat은 0으로 도출되었다면, Stotal는 4가 되므로, 상기 센서값에는 오류가 있는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면, 자가발전이 가능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배선이 없어 고장 빈도가 낮은 효과를 가지고, 높이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작업공간을 효과적으로 밝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는, 비대칭형 등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작업공간에만 빛을 집중시킬 수 있고, 광센서가 감지한 주변 환경의 밝기에 따라 등기구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부가 마련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
110: 메인프레임
120: 지지대
121: 수직프레임
122: 높이고정공
123: 높이조절프레임
124: 높이조절공
125: 보강대
126: 수평프레임
130: 등기구
140: 발전기
150: 안정기함

Claims (5)

  1. 하면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메인프레임(110);
    상기 메인프레임(110) 일지점에 기립된 상태로 결합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대(120);
    상기 지지대(120) 일단에 비대칭형으로 마련되어 기설정된 작업구간에만 조명을 제공하는 등기구(130);
    상기 메인프레임(110)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등기구(13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140);
    상기 지지대(120) 일지점에 마련되고, 안정기가 내장된 안정기함(150);
    상기 등기구(130) 일지점에 마련되어 주변 환경의 밝기를 감지하는 광센서(미도시);
    상기 광센서가 감지한 주변 환경의 밝기에 따라 상기 등기구(130)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상기 광센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광센서의 고장을 판단하는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12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 일지점에 수직으로 마련되고, 내부가 빈 수직프레임(121);
    상기 수직프레임(121) 측면에 마련되는 높이고정공(122);
    상기 수직프레임(121) 내부에 축 결합되는 높이조절프레임(123);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23) 측면에 기설정된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높이조절공(124);
    상기 높이고정공(122) 및 높이조절공(124)에 삽입되어 상기 등기구(130)의 높이를 고정하는 높이고정핀(미도시);
    상기 수직프레임(121) 측면 및 메인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21)을 지지하는 다수의 보강대(125);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23) 상단에 마련되고, 상기 등기구(130)를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수평프레임(126); 및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23)의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121) 내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마련되는 탈선방지부(미도시);
    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모니터링부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광센서의 평균오차(Aerr)가 기설정된 한계오차(Serr)보다 큰 경우, 상기 광센서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는 제1고장판단값과,
    [수학식 1]
    Figure 112023044942721-pat00009

    (여기서, Aerr은 평균오차, Taver는 상기 광센서로 측정한 센서값의 전체평균, Paver는 상기 광센서로 측정한 센서값 n개에 대한 일부평균, Tσ는 상기 광센서로 측정한 센서값의 전체표준편차를 의미함)
    상기 광센서와 기설정된 거리 이격되고, 상기 광센서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마련되어,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고장판단값과,
    상기 센서값이 기설정된 구간크기 내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보이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고장판단값과,
    [수학식 2]
    Arange = (Taver + Dmax) - (Taver - Dmax)*0.3
    (Arange는 기설정된 구간크기이고, Taver는 기설정된 기간동안의 전체 평균이며, Dmax는 기설정된 기간동안의 최대편차를 의미함)
    상기 광센서와 기설정된 거리 이격되고, 상기 광센서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가 마련되어, 측정된 습도가 기설정된 값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고장판단값과,
    상기 광센서의 동작시간과 비동작시간의 비율을 분석하여 상기 비율이 기설정된 비율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5고장판단값을 고려하여,
    상기 제1고장판단값 내지 제5고장판단값 모두에 센싱 데이터의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고장 진단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75267A 2022-12-14 2022-12-14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 KR102556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267A KR102556403B1 (ko) 2022-12-14 2022-12-14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267A KR102556403B1 (ko) 2022-12-14 2022-12-14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403B1 true KR102556403B1 (ko) 2023-07-17

Family

ID=8743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5267A KR102556403B1 (ko) 2022-12-14 2022-12-14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40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944Y1 (ko) 1994-06-22 1998-08-17 김동환 발광표시등
JPH117827A (ja) * 1997-06-13 1999-01-12 Nikken Corp 移動式照明装置
KR100695929B1 (ko) * 2004-10-08 2007-03-20 주식회사 코엘 조명장치
KR20100012973U (ko) * 2009-06-22 2010-12-30 장경수 엘이디를 이용한 식물 촉성 재배장치
KR20110087574A (ko) * 2010-01-26 2011-08-03 한국도로공사 이동식 임시가로등
KR20140010314A (ko) * 2012-07-16 2014-01-24 서림기전개발 주식회사 이동가능 한 충전식 스탠드 엘이디 조명등
KR102048009B1 (ko) * 2017-12-20 2019-11-22 주식회사 비에스텍 구조물 수리용 이동식 가설기둥
KR102143138B1 (ko) * 2019-04-25 2020-08-10 (주) 매그나텍 집중적이고 균일한 배광 제어가 가능한 리플렉터 구조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장치
JP2021024379A (ja) * 2019-08-01 2021-02-22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944Y1 (ko) 1994-06-22 1998-08-17 김동환 발광표시등
JPH117827A (ja) * 1997-06-13 1999-01-12 Nikken Corp 移動式照明装置
KR100695929B1 (ko) * 2004-10-08 2007-03-20 주식회사 코엘 조명장치
KR20100012973U (ko) * 2009-06-22 2010-12-30 장경수 엘이디를 이용한 식물 촉성 재배장치
KR20110087574A (ko) * 2010-01-26 2011-08-03 한국도로공사 이동식 임시가로등
KR20140010314A (ko) * 2012-07-16 2014-01-24 서림기전개발 주식회사 이동가능 한 충전식 스탠드 엘이디 조명등
KR102048009B1 (ko) * 2017-12-20 2019-11-22 주식회사 비에스텍 구조물 수리용 이동식 가설기둥
KR102143138B1 (ko) * 2019-04-25 2020-08-10 (주) 매그나텍 집중적이고 균일한 배광 제어가 가능한 리플렉터 구조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장치
JP2021024379A (ja) * 2019-08-01 2021-02-22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制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0827B2 (en) Weight monitoring system for tensioned attachment to an object supported above a foundation
KR101959772B1 (ko)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지장치
CN110924946B (zh) 一种基于光谱识别技术的放顶煤装置及其使用方法
CN204434006U (zh) 一种电梯运行中的安全保障装置
KR101642699B1 (ko) 무대 시설물의 이상 감지 및 이를 이용한 고장 예측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556403B1 (ko) 이동식 자가발전 조명대
KR101808752B1 (ko) 초고압 지중송전선로 진단시스템
CN111360784A (zh) 一种用于电力系统的轨道式环境巡检机器人
CN111707201B (zh) 一种快速测量装配式建筑叠合板桁架高度的装置
CN108387453A (zh) 一种建筑围护构件抗垂直荷载性能的检测系统及方法
KR20050053733A (ko) 고정 선로의 하부 구조물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CN202794215U (zh) 一种移动式水流监测仪
JP4338273B2 (ja) 道床沈下検知方法、道床沈下検知器及び道床沈下監視装置
KR101754361B1 (ko) 브레이크 검사장치가 구비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CN213364205U (zh) 一种螺丝螺母漏检装置
KR200177708Y1 (ko) 체인 콘베어 롤러 감지장치
CN217386204U (zh) 司控器检测试验装置
CN213024105U (zh) 一种高压电缆接头安装环境调控装置
CN220039354U (zh) 一种多自由度天轮偏摆监测装置
KR102504961B1 (ko) 빌딩 기울기 모니터링 시스템
CN219429016U (zh) 一种刮板机刮板状态检测装置
CN215812015U (zh) 一种用于检测桥梁栏杆水平推力的试验装置
CN221147554U (zh) 一种提升机底部链盘螺钉检测装置
KR102232472B1 (ko) 도심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검출시스템
KR10202901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