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328B1 -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328B1
KR102556328B1 KR1020210088969A KR20210088969A KR102556328B1 KR 102556328 B1 KR102556328 B1 KR 102556328B1 KR 1020210088969 A KR1020210088969 A KR 1020210088969A KR 20210088969 A KR20210088969 A KR 20210088969A KR 102556328 B1 KR102556328 B1 KR 102556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
char
tank
stirring tank
deminera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8387A (ko
Inventor
안광호
김이태
정진홍
신동철
정윤아
이예은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8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328B1/ko
Publication of KR20230008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9/0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1Combinations of similar mixers, e.g.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two or mor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7/00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 C10B57/005After-treatment of coke, e.g. calcination desulfuriz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00/00Components of fuel compositions
    • C10L2200/04Organic compounds
    • C10L2200/0461Fractions defined by their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4Mixing, stirring of fue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4Specific separation steps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C10L2290/545Washing, scrubbing, stripping, scavenging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가 제공된다.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는 유입되는 바이오 차와 세척수를 교반하여 바이오 차에 포함된 염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교반조와, 교반조로부터 유입되는 탈염된 바이오 차를 부상시키는 부상조와, 부상조의 상부로 부상되는 탈염된 바이오 차를 회수하는 스크래퍼와, 스크래퍼에 의해 회수된 탈염된 바이오 차에 포함된 탈염수를 분리하는 분리기와,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탈염수를 저장하는 탈염수 저장조와, 분리기에 의해 탈염수가 분리된 바이오 차를 저장하는 바이오 차 저장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Demineralization apparatus of food waste bio-cha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n차 이상의 교반을 이용하여 바이오 차의 염분 농도를 낮출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2018년 기준 매일 14000톤 이상 발생하고 있으며, 수거와 처리에는 연 1조 3천억원에 달하는 비용이 소모될 정도로 대량 발생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해양 투기가 금지되어 있으며, 유해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의 발생 우려로 소각이나 연료 활용도 어려운 실정이다.
음식물 쓰레기의 일부는 사료, 퇴비 또는 연료로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소각 또는 매립처리되어 왔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 재생사료의 경우 조류인플루엔자나 아프리카 돼지 열병 등의 원인으로도 인식되고 있어 사료로의 사용이 금지되었다. 재생퇴비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염분으로 인한 토양의 경화가 유발된다.
연료로 재활용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바이오차(Bio char)를 제조하여 연료로 사용 가능하나 염분 부식 및 낮은 발열량, NOx, SOx 등의 미세전구물질 발생 및 염분으로 인한 다이옥신 발생 등의 문제로 인하여 바이오차에 포함된 염분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국내 등록특허 제 10-0423568호(2004년03월06일 등록)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제조된 바이오 차의 발열량은 높이고 염분 농도는 낮출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장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는, 유입되는 바이오 차와 세척수를 교반하여 바이오 차에 포함된 염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교반조; 상기 교반조로부터 유입되는 탈염된 바이오 차를 부상시키는 부상조; 상기 부상조의 상부로 부상되는 탈염된 바이오 차를 회수하는 스크래퍼;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회수된 탈염된 바이오 차에 포함된 탈염수를 분리하는 분리기; 상기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탈염수를 저장하는 탈염수 저장조; 및 상기 분리기에 의해 탈염수가 분리된 바이오 차를 저장하는 바이오 차 저장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조는, 상기 유입되는 바이오 차와 세척수가 1차 혼화되도록 제1교반기로 교반하는 제1교반조; 상기 제1교반조에서 혼화된 바이오 차와 세척수를 제2교반기로 교반하여 바이오 차에 포함된 염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2교반조; 및 상기 제1교반조와 제2교반조를 구분하는 제1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교반조로부터 제2교반조로 바이오 차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유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조는, 상기 제2교반조에서 혼화된 바이오 차와 세척수를 제3교반기로 교반하여 바이오 차에 포함된 염분이 추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3교반조; 및 상기 제2교반조와 제3교반조를 구분하는 제2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2교반조로부터 제3교반조로 바이오 차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2유입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교반조는, 상기 제3교반조와 부상조를 구분하는 제3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3교반조에서 탈염된 바이오 차가 부상조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3유입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상조는, 상기 교반조로부터 유입되는 탈염된 바이오 차가 부상하도록 다수의 구멍을 통해 미세기포를 배출하는 미세기포 배출기;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부상조의 수표면으로 부상된 바이오 차를 회수하여 상기 분리기의 표면까지 이동시킨 후, 분리기에서 탈염수가 분리된 바이오 차를 바이오 차 저장조로 밀어낸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유입되는 바이오 차와 세척수를 n차(n은 2 이상의 정수) 이상 교반하여 바이오 차에 포함된 염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교반조; 상기 유입되는 바이오 차를 교반조의 하부까지 이송시켜 교반조 내부로 배출시키는 바이오차 이송기; 상기 교반조로부터 유입되는 탈염된 바이오 차를 부상시키는 부상조; 상기 부상조의 상부로 부상되는 탈염된 바이오 차를 회수하는 스크래퍼;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회수된 탈염된 바이오 차에 포함된 탈염수를 분리하는 분리기; 상기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탈염수를 저장하는 탈염수 저장조; 및 상기 분리기에 의해 탈염수가 분리된 바이오 차를 저장하는 바이오 차 저장조;를 포함한다.
상기 탈염수 저장조에 저장된 탈염수를 상기 교반조로 이송하여 재사용되도록 하는 탈염수 순환장치; 및 상기 탈염수 저장조에 저장된 탈염수의 염분 농도가 사전에 정해진 기준농도를 초과하면, 상기 탈염수를 담수처리하는 담수처리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탄화하여 생성된 바이오 차를 세척수와 교반 및 혼화되도록 하여 바이오 차의 염분결정구조를 빠르게 탈이온화함으로써 발열량은 향상되고 염소이온농도는 저하된 고효율의 바이오 차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바이오 차의 연료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고, 또한 염분이 제거되어 토양개량제나 식생토로의 활용도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200)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200)의 개념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200)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성된 바이오 차의 탈염 전과 탈염 후를 비교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시스템', '장치'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거나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 시스템은 탄화 장치(100) 및 바이오 차 탈염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열회수 건조장치(10)는 고함수율의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여 예를 들어 10% 미만의 함수율을 가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생성한다. 10% 미만은 일 예로서 탄화 장치(100)로 제공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함수율은 조정가능하다.
탄화 장치(100)는 열회수 건조장치(10)에서 생성되는 저함수율 음식물 쓰레기를 열분해 탄화처리하여 고형연료인 Bio Char(또는 Bio SRF(Biomass-Solid Refuse Fuel))를 생성한다.
바이오 차 탈염 장치(200)는 탄화 장치(100)에서 생산되는 바이오 차의 염분 농도를 감소시켜, 고형 연료로서 사용되는 바이오 차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200)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200)의 개념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탄화 장치(100)에서 생성된 바이오 차를 탈염하기 위한 장치이다. 탄화 장치(100)의 차집 컨테이너(132)에 저장된 바이오 차는 이송장치(미도시)에 의해 탈염 장치(200)로 이송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차 탈염 장치(200)는 교반조(220), 교반 구동부(220a), 부상조(230), 스크래퍼(240), 스크래퍼 구동부(240a), 분리기(250), 바이오 차 저장조(260), 탈염수 저장조(265), 처리부(270), 순환부(280) 및 탈염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조(220)는 유입되는 바이오 차와 세척수가 혼화되도록 바이오 차와 세척수를 교반하여 바이오 차에 포함된 염분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교반조(220)는 바이오 차 유입구(221), 제1세척수 유입구(222), 제2세척수 유입구(223), 제1교반조(224), 제1교반기(225), 제2교반조(226), 제2교반기(227), 제3교반조(228) 및 제3교반기(229)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오 차 유입구(221)는 탄화 장치(100)에서 생성된 바이오 차를 유입하여 제1교반조(224)로 공급한다.
제1세척수 유입구(222)는 바이오 차의 탈염을 위한 세척수를 유입하여 제1교반조(224)로 공급한다. 제1세척수 유입구(222)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염분 성분이 불포함된 용수일 수 있다.
제2세척수 유입구(223)는 순환부(280)를 통해 이송되는 탈염수를 유입하여 제1교반조(224)로 공급한다.
제1 내지 제3교반조들(224, 226, 228)에서 사용하는 세척수의 양은 정해져 있다. 따라서, 탈염 장치(200)의 동작을 개시하는 초기에는 탈염수가 없다는 전제하에, 제1세척수 유입구(222)를 통해 세척수를 제1교반조(224)로 공급할 수 있다. 이후, 바이오 차를 탈염하면서 발생한 탈염수가 제1교반조(224)로 유입되면, 제1세척수 유입구(222)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양을 제2세척수 유입구(223)로 유입되는 탈염수의 양만큼 줄임으로써 물의 재사용을 늘릴 수 있다. 제1세척수 유입구(222) 및 제2세척수 유입구(223)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양은 탈염 제어부(290)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제1교반조(224)에서는 바이오 차 유입구(221)로 유입되는 바이오 차와, 제1세척수 유입구(222) 또는 제2세척수 유입구(223)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제1교반기(225)에 의해 교반 및 1차 혼화된다. 이로써 바이오 차에 포함된 염분은 1차 탈염될 수 있다. 제1교반조(224)의 주목적은 소수성 바이오 차가 세척수와 혼화되도록 하는 것이고, 부목적은 1차 탈염일 수 있다.
제1교반기(225)의 날개는 임펠러 형태를 가지며, 바이오 차가 제1교반조(224)의 하부로 하강하면서 세척수와 혼화되도록 하는 기울기를 갖는다. 제1교반기(225)의 날개 기울기는 -90도~+90도일 수 있다.
제1유입부(224b)는 제1교반조(224)와 제2교반조(226)를 구분하는 제1격벽(224a)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1교반조(224)로부터 제2교반조(226)로 바이오 차가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2교반조(226)에서는 제1교반조(224)에서 1차 혼화 및 탈염된 바이오 차와 세척수가 제2교반기(227)에 의해 교반되어 2차 혼화된다. 이로써 바이오 차에 포함된 염분은 2차 탈염될 수 있다. 제2교반조(226)의 주목적은 바이오 차의 탈염일 수 있다.
제2교반기(227)의 날개는 임펠러 형태를 가지며, 바이오 차가 제2교반조(226)의 상부로 상승하면서 세척수와 혼화되도록 하는 기울기를 갖는다. 따라서, 제2교반조(226)에서는 바이오 차가 제2교반기(227)의 날개 방향(기울기)에 따라 상승할 수 있는 수류가 형성된다.
제2유입부(226b)는 제2교반조(226)와 제3교반조(228)를 구분하는 제2격벽(226a)의 상단에 형성되어 제2교반조(226)로부터 제3교반조(228)로 바이오 차가 유입되도록 한다.
제3교반조(228)에서는 제2교반조(226)에서 2차 혼화 및 탈염된 바이오 차와 세척수가 제3교반기(229)에 의해 교반되어 3차 혼화된다. 이로써 바이오 차에 포함된 염분은 3차 탈염될 수 있다. 제3교반조(228)의 주목적은 바이오 차의 탈염일 수 있다.
제3교반기(229)의 날개는 임펠러 형태를 가지며, 바이오 차가 제3교반조(228)의 하부로 하강하면서 세척수와 혼화되도록 하는 기울기를 갖는다.
제3유입부(228b)는 제3교반조(228)와 부상조(230)를 구분하는 제3격벽(228a)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3교반조(228)에서 탈염된 바이오 차가 부상조(230)로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교반 구동부(220a)는 제1 내지 제3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장치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VVVF 장치들(미도시)은 각각 제1 내지 제3교반기들(225, 227, 229)에 연결되어 제1 내지 제3교반기들(225, 227, 229)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VVVF 장치는 제1교반기(225)의 교반 속도가 가장 빠르도록 구동하며 또한, 유입되는 바이오 차가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수류가 형성되도록 제1교반기(225)를 구동한다. 이로써 소수성 성향이 있는 바이오 차와 세척수의 혼화율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제2VVVF 장치는 제1교반기(225)보다 느린 속도로 제2교반기(227)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며, 또한, 제1교반조(224)로부터 유입되는 바이오 차가 상승하도록 하는 수류가 형성되도록 제2교반기(227)를 구동한다.
또한, 제3VVVF 장치는 제2교반기(227)보다 느린 속도로 제3교반기(229)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며, 또한, 제2교반조(226)로부터 유입되는 바이오 차가 하강하면서 제3유입부(228b)를 통해 부상조(230)로 이동하도록 하는 수류가 형성되도록 제3교반기(229)를 구동한다.
부상조(230)는 교반조(220)로부터 유입되는 탈염된 바이오 차를 수면으로 부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부상조(230)의 바닥에는 미세기포 배출기(231)가 구비될 수 있다.
미세기포 배출기(231)는 교반조(220)의 제3유입부(228b)로부터 유입되는 탈염된 바이오 차가 부상하도록 부상조(230)의 바닥에 구비되고, 다수의 구멍들을 통해 미세기포 또는 버블 형태의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미세기포 배출기(231)는 1개의 관으로 이루어져 바닥에 구비되거나, 다수의 관들이 바닥에 격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미세기포 또는 버블 형태의 물은 미세기포 발생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미세기포 또는 버블의 크기는 수nm~ 수mm까지로 교반조(220)로 유입되는 바이오 차의 염분 농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스크래퍼(240)는 부상조(230)의 상부로 부상되는 탈염된 바이오 차를 분리기(250)로 취합하고, 바이오 차 저장조(260)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스크래퍼(240)는 부상조(230)의 수표면으로 부상된 바이오 차를 회수하여 취합하면서 분리기(250)의 표면까지 이송시키고, 분리기(250)에서 탈염수가 분리된 바이오 차를 바이오 차 저장조(260)로 밀어낼 수 있다. 즉, 스크래퍼(240)는 부상된 바이오 차를 바이오 차 저장조(260)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크래퍼(240)는 부상조(230)의 전체(또는 일부) 수표면, 분리기(250)의 전체 표면, 그리고, 바이오 차 저장조(260)의 일부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래퍼(240)는 아다치형 컨베이어 벨트와 같이 회전하는 형태를 가지며, 부상조(230)에 부상된 바이오 차를 회수하는 아다치 형상의 돌기들(241)이 스크래퍼(240)의 표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래퍼(240)의 표면은 부상조(230)의 수표면으로부터 아다치 형상의 돌기들(241)의 높이만큼 이격되며, 바이오 차의 실제 회수는 다수의 돌기들(241)이 하게 된다.
분리기(250)는 스크래퍼(240)에 의해 취합 및 회수된 탈염된 바이오 차에 포함된 탈염수를 분리한다. 분리기(250)는 탈염수 저장조(265)의 상부에 부상조(230)의 수표면과 일직선상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미세필터일 수 있다. 미세필터는 예를 들어 200㎛ 이하의 격자크기를 가질 수 있다.
분리기(250)의 표면으로 회수된 바이오 차는 많은 물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바이오 차에 함유된 물, 즉, 탈염수는 분리기(250)의 격자들에 의해 분리되어 탈염수 저장조(265)로 떨어지고, 탈염수가 분리된 바이오 차는 스크래퍼(240)에 의해 바이오 차 저장조(260)의 유입부까지 이송된다.
바이오 차 저장조(260)는 분리기(250)에 의해 탈염수가 분리된 바이오 차를 저장한다.
탈염수 저장조(265)는 분리기(250)에 의해 분리된 탈염수를 저장한다.
처리부(270)는 탈염수 저장조(265)에 저장된 탈염수의 염분 농도가 사전에 정해진 제1기준농도를 초과하면, 탈염수의 염분 농도가 제1기준농도보다 낮으면서 최소한 제2기준농도가 되도록 수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분 센서(미도시)에 의해 센싱된 염분 농도가 제1기준농도 이하이면, 처리부(270)는 탈염수를 담수처리없이 순환부(280)로 보내고, 제1기준농도를 초과하면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하여 탈염수를 담수처리한 후 순환부(280)로 보낼 수 있다. 처리부(270)는 생략가능하다.
순환부(280)는 탈염수 저장조(265)에 저장된 탈염수를 교반기(220)로 이송하여 재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순환부(280)는 처리부(270)로부터 이송된 탈염수를 교반기(220)의 제2세척수 유입구(223)로 이송한다. 이와 같이 탈염수를 재사용함으로써 제1세척수 유입구(222)로 유입되는 용수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200)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이오 차 탈염 장치(200)는 바이오 차 이송기(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이오 차 탈염 장치(20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교반조(220), 교반 구동부(220a), 부상조(230), 스크래퍼(240), 스크래퍼 구동부(240a), 분리기(250), 바이오 차 저장조(260), 탈염수 저장조(265), 처리부(270), 순환부(280) 및 탈염 제어부(290)를 포함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 및 설명에서 생략한다.
바이오 차 이송기(210)는 탄화 장치(100)에서 생성된 바이오 차를 교반조(220)의 하부까지 이송시켜 교반조(220) 내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바이오 차 이송기(210)는 교반조(220)의 바닥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며, 교반조(220)의 바닥과 수직하는 형태로 구비되거나 10도 이상 90도 미만 중 하나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차 이송기(210)가 교반조(220)에 구비되는 기울기는 교반조(220) 내에서 바이오 차의 세척수 간의 혼화도에 따라 이송기 모터(미도시)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바이오 차 이송기(210)의 기울기가 수직에 가까울수록 하강 속도가 증가하여 혼화도는 낮아지고, 10에 가까울수록 하강 속도가 저하되어 교반조(220) 내에서 혼화도는 증가할 것이다.
또한, 바이오 차 이송기(210)가 내부가 비어있는 관형태인 경우, 바이오 차 이송기(210) 내부로 유입되는 바이오 차는 교반조(220)의 하부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는, 바이오 차 이송기(210) 내부에는 스크류가 구비되어 바이오 차를 스크류 회전 속도에 따라 회전시키면서 교반조(220) 하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스크류 회전 속도에 따라 교반조(220)로 투입되는 바이오 차의 양이 결정되므로, 처리할 바이오 차의 탈염 농도 또는 바이오 차의 탈염 성능에 따라 스크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 차의 탈염 농도가 높을수록 교반조(220)에서 교반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이 때는 스크류 회전 속도를 낮추어 교반조(220)로 투입되는 바이오 차가 감소하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탈염 제어부(29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이오 차 이송기(210), 교반 구동부(220a), 스크래퍼 구동부(240a), 처리부(270) 및 순환부(280)의 동작을 모니터링 및 제어한다.
예를 들어, 탄화 제어부(170)는 투입되는 바이오 차의 탈염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높으면 바이오 차 이송기(210)의 스크류 회전 송도를 기준 속도보다 높이고, 기준 농도 이하이면 기준 속도로 회전하도록 바이오 차 이송기(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탄화 제어부(170)는 제1 내지 제3교반기들(225, 227, 229)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 방향을 제어하도록 제1 내지 제3VVVF 장치들(미도시)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교반기들(225, 227, 229)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 방향은 관리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탄화 제어부(170)는 스크래퍼(240)가 바이오 차를 취합 및 회수하는 속도를 제어하도록 스크래퍼 구동부(240a)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탄화 제어부(170)는 탈염수 저장조(265)에 저장된 탈염수의 염분 농도가 기준 농도를 초과하면 담수처리하도록 처리부(270)를 제어한다.
또한, 탄화 제어부(170)는 처리부(270)로부터 제공되는 탈염수를 교반조(220)로 공급하도록 순환부(280)를 제어한다.
또한, 탄화 제어부(170)는 처리부(27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탈염수 저장조(265)의 탈염수 염분 농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탈염수 저장조(265)의 배출구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기반 바이오 차 생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성된 바이오 차의 탈염 전과 탈염 후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의 탄화 장치(100)에서 생성된 바이오 차의 염소(cl, Chlorine) 결정은 탈염 장치(200)에서 탈염 후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5의 염소 결정은 바이오 차의 탈염 전과 탈염 후 SEM 사진(X3000)이다.
[표 1]은 도 5에 도시된 바이오 차의 탈염 전과 탈염 후 염분(cl) 농도를 보여준다. [표 1]에 의하면 바이오 차의 cl 농도는 탈염 후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탈염 조건 Cl(Chlorine), %
탈염 전 18.14
탈염 후 0.07
한편,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열회수 건조 장치 100: 탄화 장치
200: 바이오 차 탈염 장치 210: 바이오 차 이송기
220: 교반조 221: 바이오 차 유입구
222: 제1세척수 유입구 223: 제2세척수 유입구
224: 제1교반조 225: 제1교반기
226: 제2교반조 227: 제2교반기
228: 제3교반조 229: 제3교반기
220a: 교반 구동부 230: 부상조
231: 미세기포 배출기 240: 스크래퍼
240a: 스크래퍼 구동부 241: 아다치 형상의 돌기들
250: 분리기 260: 바이오 차 저장조
265: 탈염수 저장조 270: 처리부
280: 순환부 290: 탈염 제어부

Claims (8)

  1. 유입되는 바이오 차와 세척수를 교반하여 바이오 차에 포함된 염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교반조;
    상기 교반조로부터 유입되는 탈염된 바이오 차가 부상하도록 다수의 구멍을 통해 미세기포를 배출하는 미세기포 배출기를 포함하는 부상조;
    상기 부상조의 수표면으로 부상된 바이오 차를 회수하여 분리기의 표면까지 이동시킨 후, 분리기에서 탈염수가 분리된 바이오 차를 저장조로 밀어내는 스크래퍼;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회수된 탈염된 바이오 차에 포함된 탈염수를 분리하는 분리기;
    상기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탈염수를 저장하는 탈염수 저장조; 및
    상기 분리기에 의해 탈염수가 분리된 바이오 차를 저장하는 바이오 차 저장조;
    상기 탈염수 저장조에 저장된 탈염수를 상기 교반조로 이송하여 재사용하도록 하는 탈염수 순환장치; 및
    상기 탈염수 저장조에 저장된 탈염수의 염분농도가 사전에 정해진 기준 농도를 초과하면 상기 탈염수를 담수처리하는 담수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조는
    상기 유입되는 바이오 차와 세척수가 1차 혼화되도록 제1교반기로 교반하는 제1교반조;
    상기 제1교반조에서 혼화된 바이오 차와 세척수를 제2교반기로 교반하여 바이오 차에 포함된 염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2교반조; 및
    상기 제1교반조와 제2교반조를 구분하는 제1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교반조로부터 제2교반조로 바이오 차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1유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는,
    상기 제2교반조에서 혼화된 바이오 차와 세척수를 제3교반기로 교반하여 바이오 차에 포함된 염분이 추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3교반조; 및
    상기 제2교반조와 제3교반조를 구분하는 제2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2교반조로부터 제3교반조로 바이오 차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2유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는,
    상기 제3교반조와 부상조를 구분하는 제3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3교반조에서 탈염된 바이오 차가 부상조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3유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
  5. 삭제
  6. 삭제
  7. 유입되는 바이오 차와 세척수를 n차(n은 2 이상의 정수) 이상 교반하여 바이오 차에 포함된 염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교반조;
    상기 유입되는 바이오 차를 교반조의 하부까지 이송시켜 교반조 내부로 배출시키는 바이오차 이송기;
    상기 교반조로부터 유입되는 탈염된 바이오 차를 부상하도록 다수의 구멍을 통해 미세기포를 배출하도록 미세기포 배출기를 포함하는 부상조;
    상기 부상조의 수표면으로 부상된 바이오차를 회수하여 분리기의 표면까지 이동시킨 후 분리기에서 탈염수가 분리된 바이오 차를 저장조로 밀어내는 스크래퍼;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회수된 탈염된 바이오 차에 포함된 탈염수를 분리하는 분리기;
    상기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탈염수를 저장하는 탈염수 저장조;
    상기 분리기에 의해 탈염수가 분리된 바이오 차를 저장하는 바이오 차 저장조;
    상기 탈염수 저장조에 저장된 탈염수를 상기 교반조로 이송하여 재사용되도록 하는 탈염수 순환장치; 및
    상기 탈염수 저장조에 저장된 탈염수의 염분 농도가 사전에 정해진 기준농도를 초과하면, 상기 탈염수를 담수처리하는 담수처리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

  8. 삭제
KR1020210088969A 2021-07-07 2021-07-07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 KR102556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969A KR102556328B1 (ko) 2021-07-07 2021-07-07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969A KR102556328B1 (ko) 2021-07-07 2021-07-07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387A KR20230008387A (ko) 2023-01-16
KR102556328B1 true KR102556328B1 (ko) 2023-07-18

Family

ID=8510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969A KR102556328B1 (ko) 2021-07-07 2021-07-07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3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158Y1 (ko) 2000-03-03 2000-09-01 양재춘 폐수처리 시스템
KR102092693B1 (ko) 2016-12-29 2020-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염분함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2131373B1 (ko) * 2019-11-14 2020-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바이오차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186057B1 (ko) * 2019-12-16 2020-12-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염분함유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568B1 (ko) 2001-07-05 2004-03-18 서희동 음식물쓰레기의 탈염방법
KR20160047696A (ko) * 2014-10-23 2016-05-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농도 식품 및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JP2018066331A (ja) * 2016-10-20 2018-04-26 株式会社デンソー 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158Y1 (ko) 2000-03-03 2000-09-01 양재춘 폐수처리 시스템
KR102092693B1 (ko) 2016-12-29 2020-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염분함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2131373B1 (ko) * 2019-11-14 2020-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바이오차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186057B1 (ko) * 2019-12-16 2020-12-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염분함유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WO2018066331 A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387A (ko) 202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9347A (en) System for electrocatalytic treatment of waste water streams
KR100723337B1 (ko) 산화 가압 부상장치
CA1085070A (en) Thickening device and method
KR101054087B1 (ko) 하수의 총인 제거장치
KR101964832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0674510B1 (ko) 수처리 공정 및 장치
KR101782615B1 (ko) 복합 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방법
CN102633390A (zh) 船舶舱底含油污水的集成处理装置及方法
CN1636896A (zh) 污泥处理方法及污泥处理装置
CN113402066B (zh) 一种集成式浮油处理装置
US200402562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waste water
CN1724422A (zh) 流动式多级化学热力清洗油泥方法
KR101417277B1 (ko) 폐수 응집 처리장치
KR101964828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2556328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차의 탈염 장치
KR101047166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를 위한 부상분리장치
KR20150029938A (ko) 수처리 장치
KR101964830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1641191B1 (ko) 하,폐수의 부유물처리용 가압부상분리기
WO2008025098A1 (en) A 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JP4586422B2 (ja)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
CN1341489A (zh) 加压浮出装置
KR100315903B1 (ko) 미세기포발생장치를 이용한 폐수처리시스템
KR100308531B1 (ko) 고농도 유,무기 폐수의 복합처리장치
KR101102179B1 (ko) 유기성 폐수 및 유기성 오니의 처리 방법과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