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264B1 -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264B1
KR102556264B1 KR1020210065634A KR20210065634A KR102556264B1 KR 102556264 B1 KR102556264 B1 KR 102556264B1 KR 1020210065634 A KR1020210065634 A KR 1020210065634A KR 20210065634 A KR20210065634 A KR 20210065634A KR 102556264 B1 KR102556264 B1 KR 102556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guide
transferred
chain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7727A (ko
Inventor
김미화
Original Assignee
(주)신일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일기계 filed Critical (주)신일기계
Priority to KR1020210065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264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5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lates or platforms attached to a singl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7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lates or platforms attached to more than on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27Suction retaining means
    • B65G21/2036Suction retaining means f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42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 B65G2812/0245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48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49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load-carrying surfaces using platforms or 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 구간에서의 정밀한 이송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경사컨베이어가 탑체인의 상면으로 진공압을 형성하여 경사구간에서 이송 대상물이 슬립되어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신뢰성 높은 공정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 장치{SLANT CONVEYOR APPARATUS WITH IMPROVED FUNCTION}
본 발명은 생산 및 이송공정에 적용되는 컨베이어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사 구간에서의 정밀한 이송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벨트는 재료나 반제품 또는 완제품을 동력에 의하여 무한궤도 형태로 이송시켜주는 장치를 말하며, 근래에는 자동화공정이 일반화됨에 따라 컨베이어 장치는 매우 다양화한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구동부와,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마찰이송 장치, 지지프레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객체의 이동 방식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나사 컨베이어, 버킷 컨베이어, 롤러 컨베이어 등으로 나뉘기도 한다.
이 중에서 탑체인 방식의 컨베이어는 복수의 체인 요소들을 상호 연결하여 컨베이어 상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탑체인 컨베이어는 재질과 형태에 따라 또한 분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모듈러 체인은 벨트 모양의 넓은 폭의 반송면을 가지고 있어 유지보수성에서 장점을 가진다.
플라스틱의 탑체인 컨베이어(TOP CHAIN CONVEYOR)는 반송물의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제 플레이트와 체인 부분을 일체로 성형하고 이를 핀으로 상호 연결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플라스틱의 탑체인 컨베이어는 환승되는 연결 부위를 단순하고 작게 구성할 수 있어 공간적인 이점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탑체인 컨베이어는 용기의 제조에 있어서 다수 사용되고 있으며 병의 제조, 제약 및 음료회사에서 공정의 자동화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9551호는 종래기술의 탑 체인 컨베이어를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운반 대상물을 상면에 탑재하도록 탑재면을 제공하는 루프형 탑 체인(10)과, 상기 탑 체인(10)을 지지하며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탑 체인(10)의 전후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탑 체인을 감아서 회전시키는 체인 스프로켓(20)과, 상기 체인 스프로켓(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 스프로켓을 구동하는 구동모터(5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 프레임의 상하단부에는 이송 레일이 형성되는데, 상기 이송레일의 둘레에는 탑 체인의 마모를 방지하는 클립 레일이 씌워진다. 상기 탑 체인(10) 위를 이동하는 대상물의 양측부에는 운반물이 컨베이어 밖으로 떨어지지 않고 부드럽게 흐를 수 있게 하는 가이드 레일이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탑 체인 컨베이어의 동작을 설명하면, 구동모터(5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구동모터(50)는 체인 스프로켓(20)을 구동하게 되고, 상기 구동되는 체인 스프로켓(20)은 스프로켓(20)과 맞물려 있는 탑 체인(10)을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회전되는 탑 체인(10)은 탑 체인(10)의 상면에 탑재된 운반 대상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한다.
도시된 사항과 같이 모듈식 탑체인 형태의 컨베이어는 특히 용기나 캡의 이송공정에 효율적이고 공정에 따라 적응이 쉽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자동화공정의 신속성과 공정 전환의 효율성이 중요시되기 때문에 전통적인 2차원 형태의 공정에 더하여 입체적인 형태의 이송에 대한 요청이 증가한다.
그런데, 모듈식의 플라스틱 재질의 탑체인에 있어서는 수평방향 이송에 큰 문제가 없으나 상하방향의 이송시 필연적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야 되고 이 경우는 슬립이 발생하기 때문에 공정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이드나 홀딩 장치들의 부착도 고려해볼 수는 있으나 이러한 경우 구조가 복잡해지고 중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성에 있어서의 장점도 저하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경사구간을 포함하여 입체적이고 복합적인 이송공정에 적용 가능하고 이송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플레이트(1010)가 링크로 연결되는 탑체인(1110)과, 상기 탑체인의 궤도를 형성하되 내부에 음압형성부(2120)가 형성되는 챔버프레임(2100)과, 상부가 폐쇄되고 측면으로 이송 대상물을 감싸며 이송 대상물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압력의 추가적인 누설을 방지하는 상측가이드(1300)와, 상기 탑체인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측면가이드(2200)을 구비하는 경사컨베이어(2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가이드가 탑체인 상측의 상판부(2220)와 탑체인의 하측서 챔버프레임의 플랜지 상부에 결합되는 하판부(2210)를 구비하고 플랜지의 외곽을 감싸되, 이송 대상물이 탑체인의 플레이트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측면이 상판부 및 상측가이드의 측벽에 의하여 감싸지고 상측은 상측가이드의 수용공간에 감싸지며, 음압형성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은 플레이트 사이의 간극을 통해 이송 대상물에 제공되어 경사구간에서 탑체인과 이송 대상물의 부착력을 형성함으로써 이송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측면가이드는, 상판부의 간격이 이송 대상물의 폭에 대응되고, 하판부의 간격이 상판부의 간격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챔버프레임은 측면가이드의 하측의 하판부를 지지하고 폭방향 중심측에 압력의 연통을 위한 연통개구를 형성하는 플랜지(2111)와, 저부를 개폐하는 언더커버(213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탑체인(1110)과, 상기 탑체인의 궤도를 형성하는 수평측프레임(1100)과, 상기 수평측프레임의 플랜지를 감싸며 탑체인의 양측 저면을 지지하는 저부가이드(1200)와, 상기 경사컨베이어와 연결되는 상측가이드를 구비하는 수평컨베이어(1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송 대상물이 경사컨베이어와 수평컨베이어에 위치변경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환승구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사컨베이어가 환승구간에서 측면가이드가 생략되어 좌우방향으로의 이송 대상물의 이송을 허용하고 상측가이드의 형태에 따라 수평컨베이어로 이송 대상물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경사구간에서의 이송 대상물 이송의 정확성이 확실해지며, 제조 또는 조립공정에서 공정의 오차나 불량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전체의 신속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공압의 적용과 이송의 가이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복잡한 구조를 적용하지 않고도 탑체인 컨베이어에 진공압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탑 체인 컨베이어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에서 경사컨베이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에서 수평컨베이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에서 환승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경사 컨베이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품이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이송 대상물이 상면에 운반될 수 있는 탑체인 방식의 컨베이어로 구성되며, 높이가 다른 위치로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경사구간에 배치되는 경사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상기 경사컨베이어가 탑체인의 상면으로 진공압을 제공하여 경사구간에서 이송 대상물이 슬립되어 위치를 벗어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흡착 내지 부착 기능을 제공한다. 동시에, 이송 대상물이 적절하게 가이드될 수 있으면서 이송 경로상에 진공압이 유지될 수 있는 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용기의 캡을 이송 대상물로 설명하나, 상기 이송 대상물은 탑체인 방식의 컨베이어에서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다양한 제품, 부품, 원료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전체적인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으로서 수평구간(100)과 경사구간(200)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구간(100)과 경사구간(200) 또는 수평구간(100)과 수평구간(100) 또는 경사구간(200)과 경사구간(200) 사이에는 컨베이어 사이에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환승구간(3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환승구간(300)의 자세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는 소정의 플레이트들이 핀들에 의하여 연결된 탑체인 방식으로 수평컨베이어(1000) 및 경사컨베이어(2000)를 구성하며, 상기 탑체인의 구조 및 형태는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는 상기 경사컨베이어(20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진공압을 컨베이어 내부 및 상면으로 제공하여 이송 대상물을 탑체인 상면에 부착하여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경사컨베이어(2000)측에는 버큠형성부(3000)가 연결된다. 상기 버큠형성부(3000)는 공지의 진공펌프, 블로워, 에어펌프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버큠형성부(3000)는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진공라인(3020)으로 경사컨베이어(2000)에 연결되며,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챔버연결부(3010)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경사컨베이어(2000)의 프레임 내부는 진공압의 형성을 위한 소정의 챔버가 형성되며 이에 대한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진공이란 완전하게 압력이 제거된 상태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대기압보다 컨베이어 내부 및 상측의 압력이 낮아 이송 대상물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에서 경사컨베이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탑체인을 구성하는 플레이트(1010)들은 컨베이어의 안착면을 구성하며 경사 또는 수평 또는 곡선 등 경로에 따라 적절하게 이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사컨베이어(2000)에서는 플레이트(1010)들의 이동을 지지하는 챔버프레임(2100)이 내부의 공간을 어느 정도 외부와 격리하며 상기 플레이트(1010)는 무한궤도 형태로서 상측에서는 챔버프레임(2100)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하측에서는 챔버프레임(2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플레이트(1010)들은 내마모성과 마찰력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챔버프레임(2100)은 기본적으로 수평컨베이어(1000)에 배치되는 수평측프레임(도 4의 1100)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나, 상하 및 좌우가 어느 정도 밀폐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챔버프레임(2100)은 측면을 감싸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저면은 유지보수를 위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언더커버(2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챔버프레임(2100)의 상측으로는 플레이트(1010)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양측으로 플랜지(2111)가 구성되며, 진공압을 상부로 제공하기 위하여 플랜지(2111) 사이로 연통개구(2112)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개구(2112)의 상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1010)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탑체인의 간극에서 상부에 음압을 형성하는 것이다. 챔버프레임(2100)의 내부는 음압형성부(2120)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송 대상물로 음료용 캡(500)을 설명하며,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를 위한 구조들은 이송 대상물의 유형이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플랜지(2111)의 상부에는 양측에서 측면가이드(2200)가 결합되고 상기 측면가이드(2200)는 탑체인의 외곽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예와 같이 측면가이드(2200)는 정단면상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플레이트(1010)의 외곽을 감쌀 수 있으며, 플랜지(2111)에 접하여 결합되는 하판부(2210)와 플레이트(1010)의 상측을 감싸는 상판부(2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하판부(2210)보다 상판부(2220)가 폭방향 중심으로 더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부(2220)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거리는 이송 대상물의 하부 폭에 대응된다.
다만, 음압형성부(2120) 내부의 압력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하여 상기 하판부(2210) 사이의 간격이 상판부(2220)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캡(500)의 폭에 대응되어 측면가이드(2200)의 상판부(2220) 사이의 간격이 결정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유격이 있더라도 탑체인 상부로 형성되는 진공압의 압력손실은 충분히 무시할만하다.
추가적으로, 이송 대상물의 상측에서 추가적인 압력의 누설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측가이드(13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가이드(1300)는 캡(500)의 상측을 덮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가 폐쇄되고 측면으로 이송 대상물을 감싸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상측가이드(1300)는 이송 대상물의 상부의 형태에 대응되는 수용공간(1310)을 내측에 구성한다.
상기 상측가이드(1300)의 하단측은 대략 측면가이드(2200)의 상판부(2220)를 마주보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캡(500)의 저부는 탑체인의 플레이트(1010) 상면에 밀착되어 있고 하단 측면은 측면가이드(2200)의 상측가이드(1300) 및 상측가이드(1300)의 측벽이 감싸고 있으며, 상단측은 상측가이드(1300)의 수용공간(1310) 천정면을 바라보고 있을 것이다. 이에, 연통개구(2112)에서 작용하는 음압은 탑체인을 연통하여 캡(500)의 저면에 작용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1010)와 캡(500)의 부착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상측가이드(1300)와 측면가이드(2200)의 간격 및 측면가이드(2200)와 캡(500) 사이의 간격은 공정의 공차나 외기의 유입 허용치 등을 감안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측가이드(1300)는 플레이트(1010) 및 측면가이드(2200)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챔버프레임(2100)에 결합되는 소정의 브라켓에 의하여 상부에 지지될 수 있으며, 수평구간(100) 및 경사구간(200)에 길게 배치되는 특성상 상기 측면가이드(2200) 및 상측가이드(1300)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은 길이방향에 선택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캡(500)의 이송시 외관상 측면가이드(2200)의 상부와 상측가이드(1300)가 대부분을 덮고 있어 플레이트(1010)와 캡(500)은 대부분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것이다. 다만, 환승구간에서는 상기 측면가이드(2200)가 제거되고 플레이트(1010)가 노출될 수 있는바 이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에서 수평컨베이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수평컨베이어(1000)의 경우는 탑체인에 의하여 이송 대상물을 상면에 이송하는 것에서는 상기 경사컨베이어(2000)와 공통된다. 따라서, 수평측프레임(1100)이 탑체인을 상면에서 지지하고 내부 공간에 하측의 플레이트(1010)를 수용하고 있음은 상기와 같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수평컨베이어(1000)의 경우 진공압의 형성의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경사컨베이어(2000)의 언더커버(2130)가 설치될 필요가 없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측프레임(1100)이 측면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면 족하다.
수평측프레임(1100)은 상측으로 플레이트(1010)들이 이송 가능하도록 지지하되, 공기의 누설 방지 구조가 생략될 수 있어 상기된 측면가이드(2200)와 같이 캡(500)을 감싸는 형태가 구성되지 않아도 좋다. 다만, 금속재(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플랜지(1111)와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플레이트(1010)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손실 및 손상의 가능성이 있고 이를 위하여 그 사이에 저부가이드(1200)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부가이드(1200)는 플랜지(1111)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면에서 직접 플레이트(1010)의 저면과 접촉하여 이동시 마찰력을 저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부가이드(1200)의 양단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외곽돌부(1210)가 형성될 수 있고 플레이트(1010)의 측면의 외치를 고정하여 탑체인의 정확한 이송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 대상물의 상측을 감싸는 형태로 상측가이드(130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측가이드(1300)의 가이드로서의 기능은 경사컨베이어(2000)와 같다. 상기 상측가이드(1300)는 수평구간(100), 경사구간(200) 및 환승구간(300)에서 공통되게 같은 부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인데, 특히 경로가 가변되는 환승구간(300)에 있어서 상기 상측가이드(1300)가 탑체인을 변경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한다.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플레이트(1010) 및 이송 대상물과의 마찰이 직접 이루어지는 측면가이드(2200), 상측가이드(1300) 및 저부가이드(1200)는 비교적 마찰력이 적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이 채용되는 것이 적절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들의 소재는 GUR(UHMW PE, Ultra High Molecular Weigh Poly Ethylene)일 수 있으며 분자량이 크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무독성을 가진다. 또한, 제조과정에서 또는 부품의 이송 과정에서 비접착 특성을 가지는 상기 소재이므로 다양한 제품, 부품, 원료의 적용에 적합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에서 환승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사항을 기준으로 우측의 경사컨베이어(2000)로부터 좌측의 수평컨베이어(1000)로 이송 대상물이 운반되기 위하여 환승구간(300)을 경유한다.
상기 환승구간은 경사컨베이어(2000)의 인출측 말단과 수평컨베이어(1000)의 인입측 말단이 상호 중첩되고 있으며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만, 상기 연결 및 진행 관계는 치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수평컨베이어(1000)와 경사컨베이어(2000)에서의 탑체인 구동을 위한 체인구동부(4000)는 하나의 컨베이어 요소 또는 복수의 컨베이어 요소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체인구동부(4000)의 구성을 위한 모터 및 제어반은 공지의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컨베이어(2000)에서는 상측 대부분은 측면가이드(2200)와 상측가이드(1300)에 의하여 덮여 있으나, 상기 환승구간(300)에서는 경사컨베이어(2000)의 측면가이드(2200)가 제거되어 이송 대상물의 좌우 유동이 허용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특징에 따라 경사컨베이어(2000)는 환승구간(300)에서는 음압형성부(2120)가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환승구간(300)의 양측에서 경사컨베이어(2000)의 탑체인(1110)과 수평컨베이어(1000)의 탑체인(1110)이 노출되어 있고, 상측가이드(1300)는 경사컨베이어(2000)의 중심선을 따라 이어지다 수평컨베이어(1000)의 탑체인(1110) 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변형되어 수평컨베이어(1000)의 중심선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캡(500)은 이러한 상측가이드(1300)의 배치된 형태를 따라 이송되며 경사컨베이어(2000)의 이송동력의 제공이 수평컨베이어(1000)의 이송동력의 제공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컨베이어(1000)의 경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경로를 형성하거나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도 상측가이드(1300)가 정확한 위치로의 이송을 가이드하고 있다.
이러한 환승구간(300)은 경사컨베이어(2000)와 경사컨베이어(2000)의 사이, 경사컨베이어(2000)와 수평컨베이어(1000)의 사이 및 수평컨베이어(1000)와 수평컨베이어(1000)의 사이에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가 적용 또는 준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 장치에 의하여, 경사구간에서의 이송 대상물 이송의 정확성이 확실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는 제조 또는 조립공정에서 공정의 오차나 불량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전체의 신속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로 이어진다.
또한, 진공압의 적용과 이송의 가이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복잡한 구조를 적용하지 않고도 탑체인 컨베이어에 진공압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수평구간 200...경사구간
300...환승구간 1000...수평컨베이어
1010...플레이트 1100...수평측프레임
1111...플랜지 1200...저부가이드
1210...외곽돌부 1300...상측가이드
1310...수용공간 2000...경사컨베이어
2100...챔버프레임 2111...플랜지
2112...연통개구 2120...음압형성부
2130...언더커버 2200...측면가이드
2210...하판부 2220...상판부
3000...버큠형성부 3010...챔버연결부
3020...진공라인 4000...체인구동부

Claims (5)

  1. 복수의 플레이트(1010)가 링크로 연결되는 탑체인(1110)과, 상기 탑체인의 궤도를 형성하되 내부에 음압형성부(2120)가 형성되는 챔버프레임(2100)과, 상부가 폐쇄되고 측면으로 이송 대상물을 감싸며 이송 대상물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압력의 추가적인 누설을 방지하는 상측가이드(1300)와, 상기 탑체인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측면가이드(2200)을 구비하는 경사컨베이어(2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가이드는,
    탑체인 상측의 상판부(2220)와 탑체인의 하측서 챔버프레임의 플랜지 상부에 결합되는 하판부(2210)를 구비하고 플랜지의 외곽을 감싸되,
    이송 대상물이 탑체인의 플레이트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측면이 상판부 및 상측가이드의 측벽에 의하여 감싸지고 상측은 상측가이드의 수용공간에 감싸지며, 음압형성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은 플레이트 사이의 간극을 통해 이송 대상물에 제공되어 경사구간에서 탑체인과 이송 대상물의 부착력을 형성하는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이드는,
    상판부의 간격이 이송 대상물의 폭에 대응되고, 하판부의 간격이 상판부의 간격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컨베이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프레임은,
    상기 플랜지가 측면가이드의 하측의 하판부를 지지하고 폭방향 중심측에 압력의 연통을 위한 연통개구를 형성하고, 저부를 개폐하는 언더커버(2130)를 더 구비하는 컨베이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탑체인(1110)과, 상기 탑체인의 궤도를 형성하는 수평측프레임(1100)과, 상기 수평측프레임의 플랜지를 감싸며 탑체인의 양측 저면을 지지하는 저부가이드(1200)와, 상기 경사컨베이어와 연결되는 상측가이드를 구비하는 수평컨베이어(1000);를 더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이송 대상물이 경사컨베이어와 수평컨베이어에 위치변경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환승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컨베이어는,
    환승구간에서 측면가이드가 생략되어 좌우방향으로의 이송 대상물의 이송을 허용하고 상측가이드의 형태에 따라 수평컨베이어로 이송 대상물을 전달하는 컨베이어 장치.
KR1020210065634A 2021-05-21 2021-05-21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 장치 KR102556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634A KR102556264B1 (ko) 2021-05-21 2021-05-21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634A KR102556264B1 (ko) 2021-05-21 2021-05-21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727A KR20220157727A (ko) 2022-11-29
KR102556264B1 true KR102556264B1 (ko) 2023-07-17

Family

ID=8423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634A KR102556264B1 (ko) 2021-05-21 2021-05-21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2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551Y1 (ko) * 2000-04-20 2000-10-02 흥진정공주식회사 탑 체인 컨베이어
JP4445645B2 (ja) * 2000-05-26 2010-04-07 大和製罐株式会社 位置決め機能を有する吸着コンベ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49U (ja) * 1992-09-11 1994-04-12 株式会社資生堂 自動搬送装置
JPH11246042A (ja) * 1998-02-27 1999-09-14 Hokkai Can Co Ltd ワークの搬送払出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551Y1 (ko) * 2000-04-20 2000-10-02 흥진정공주식회사 탑 체인 컨베이어
JP4445645B2 (ja) * 2000-05-26 2010-04-07 大和製罐株式会社 位置決め機能を有する吸着コンベ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727A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9229B2 (ja) 物品の流れ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US11806761B2 (en) Package sorting transfer module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US8328004B2 (en) Conveyor system
CN102372160B (zh) 容器的缓冲装置及缓冲容器的方法
US8413793B2 (en) Container conveying system for transporting unit items, in particular baggage items
SU1739841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риентированной подачи контейнеров с горлышком
US8770376B2 (en) Buffer conveyor for conveying and buffering products
JP2009536601A (ja) 製品を運搬し、且つ製品をバッファするためのバッファーコンベア
CN101918294B (zh) 用于输送物体的装置
CN104854004A (zh) 包括由桥轨连接的两条螺旋轨的输送机
US9340370B2 (en) Deflection device for objects and a method for deflecting objects
EP2074045B1 (en) A conveyor for conveying and buffering articles
CN102398762B (zh) 输送器系统
US20110180373A1 (en) Buffer conveyor for conveying and buffering products
US6371032B1 (en) Trolley with passive discharge mechanism
KR102556264B1 (ko) 개선된 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 장치
US5937998A (en) Device for the suspended transport of containers possessing protruding collars
US4986411A (en) Continuous motion vertical conveyor
US20120199444A1 (en) Carrying belt conveyor and conveyor arrangement having a carrying belt conveyor of this type
JPH0777922B2 (ja) コンベア
CN211337691U (zh) 一种变向运输装置
CN109292344B (zh) 一种拼接式物料存储仓
CN110733844A (zh) 轿厢、箱式物流传输系统、箱式物流传输方法
US5915521A (en) Random indexing and lifting apparatus
CN209973476U (zh) 一种输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