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239B1 -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 - Google Patents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239B1
KR102556239B1 KR1020230053795A KR20230053795A KR102556239B1 KR 102556239 B1 KR102556239 B1 KR 102556239B1 KR 1020230053795 A KR1020230053795 A KR 1020230053795A KR 20230053795 A KR20230053795 A KR 20230053795A KR 102556239 B1 KR102556239 B1 KR 102556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ain ladder
brace
mov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룡
Priority to KR1020230053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3/00Transport specially adapted to underground conditions
    • E21F13/08Shifting conveyors or other transport devices from one location at the working fac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3/00Transport specially adapted to underground conditions
    • E21F13/004Staff transport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에 관련되며, 이는 베이스프레임 배치단계,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 가새재 조립단계, 확장사다리부 조립단계,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를 통하여 협소한 선로 터널 내에서 고소작업용 대차 조립 및 분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고소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 배치단계(S10),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S20), 가새재 조립단계(S30), 확장사다리부 조립단계(S40),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Aerial work bogie assembly for tunnel tracks}
본 발명은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프레임 배치단계,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 가새재 조립단계, 확장사다리부 조립단계,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를 통하여 협소한 선로 터널 내에서 고소작업용 대차 조립 및 분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고소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열차 및 지하철이 운행하는 경로에 따라 형성되는 터널 및 전기설비 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대해 주기적으로 안전진단 및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터널 내부 작업은 선로 레일을 타고 이동되는 대차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높은 곳으로 올라가 고소작업을 수행하는바, 터널 높이가 상이하여 작업에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731475호에서, 이동대차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고,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기설정된 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부에 고정되는 걸림쇠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내면에 배치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상부 작업 발판; 상기 상부 작업 발판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편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 작업 발판의 내부로부터 상기 진행 방향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연장되는 연장 발판;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진행 방향의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면부 작업 발판을 포함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열차 및 지하철이 운행하지 않는 시간 동안, 열차 및 지하철이 지나는 레일의 진행방향에 따라 주행하며, 단면의 높이 변화가 존재하는 현장 여건에 능동적으로 적용되어, 근접조사를 실시하려는 것이나, 긴 터널이나 열차 및 지하철 운행주기가 짧은 선로에서 작업시, 작업 중 열차 및 지하철 운행이 감지되면 대차를 철거하여 레일 밖으로 이동한 후, 열차 및 지하철이 지나간 후에 대차를 재조립해야 하므로 작업성 저하 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따랐다.
KR 10-1731475 B1 (2017.04.24.)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 배치단계,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 가새재 조립단계, 확장사다리부 조립단계,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를 통하여 협소한 선로 터널 내에서 고소작업용 대차 조립 및 분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고소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하부에 휠(11)이 설치되고, 상부에 베이스조인트(12)가 구비되는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을 선로 레일(R)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베이스프레임 배치단계(S10); 상기 베이스프레임 시공단계(S10) 이후,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의 베이스조인트(12) 상에 메인사다리부(20)을 기립 설치하는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S20); 상기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S20) 이후, 제 1, 2가새재(40)(40')를 'X'형으로 배치하여 서로 대향하는 메인사다리부(20)를 연결하는 가새재 조립단계(S30); 상기 가새재 조립단계(S30) 이후, 메인사다리부(20) 상에서 가이드레일(31)을 타고 종방향으로 직선 이송되는 확장사다리부(30)를 설치하는 확장사다리부 조립단계(S40); 및 상기 확장사다리부 조립단계(S40) 이후, 메인사다리부(20) 및 확장사다리부(30)에 양단이 거치되도록 발판플레이트(50)를 설치하여 작업발판을 형성하는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사다리부(30)의 상향 위치 이동을 통하여 발판플레이트(50)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S20)에서, 메인사다리부(20)는 센터메인사다리(21)와 사이드메인사다리(2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 중앙에 센터메인사다리(21)를 조립한 후, 센터메인사다리(21) 양측에 한 쌍의 사이드메인사다리(22)를 조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S50) 이후, 전도방지부재(60)를 활성화하여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을 선로 레일(R)에 구속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전도방지부재(60)는,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에 힌지(61)로 결합되고, 하단부에 후크(62)가 형성되어 선로 레일(R)을 하부에서 구속하는 후크대(63)와, 후크대(63) 상부에 일단이 삽통된 상태로 조절너트(64)가 나사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 측에 연결되는 나사봉(65)과, 나사봉(65)에 삽입되어 후크대(63)를 조절너트(64)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체(66)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너트(64)의 일측 방향 피치 이송에 의해 후크대(63)가 힌지(61)를 축으로 선회되면, 후크(62)가 선로 레일(R) 측으로 이동하여, 선로 레일(R)을 하부에서 구속하고, 상기 조절너트(64)의 다른 일측 방향 피치 이송에 의해 후크대(63)가 힌지(61)를 축으로 역방향으로 선회되면, 후크(62)가 선로 레일(R) 측에서 구속해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S50) 이후, 선로 레일(R)을 타고 전철이 근접하는 경우,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 메인사다리부(20), 확장사다리부(30), 제 1, 2가새재(40)(40') 및 발판플레이트(50)가 조립된 상태로 횡형 무빙수단(70)에 의해 선로 레일(R) 폭방향으로 대피이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횡형 무빙수단(70)은, 메인사다리부(20)에 설치되어, 제 1, 2가새재(40)(40')의 낮은 측 단부를 선회가능하게 결속하는 고정형 가새축(71)과, 제 1, 2가새재(40)(40') 중앙부를 선회 가능하게 결속하는 센터 가새축(72)과, 제 1, 2가새재(40)(40')의 높은 측 단부에 설치되는 유동측 가새축(73)과, 메인사다리부(20) 길이 방형으로 형성되어, 유동측 가새축(73)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새레일(74)과, 제 1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메인사다리부(20)에 일단이 연결되어 핸들에 의해 회전운동되는 가새스크류(75)와, 제 2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메인사다리부(20)에 설치되어, 가새스크류(75)와 나사결합되는 가새너트(76)와, 가새스크류(76) 작동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메인사다리부(20) 사이 간격이 축소되면서 제 1, 2가새재(40)(40') 사이 간격이 확장되는 이송력에 연계되어 무빙롤러(77)를 승하강 이송하는 리프트이송모듈(80)과, 무빙롤러(77)와 대응하도록 선로 레일(R) 상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에 무빙롤러(77)와 맞물리는 제 1무빙레일(78a)이 설치되는 제 1레일베이스(78)와, 제 1레일베이스(78)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선로 레일(R) 폭방향 대피공간으로 연장되어 받침다리(79b)에 의해 높낮이 조절되며, 상부에 제 2무빙레일(79a)이 설치되는 제 2레일베이스(7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이송모듈(80) 은, 제 1, 2가새재(40)(40')의 낮은 측 영역에 하부 축핀(81)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각홀(82)이 형성되며, 상부에 장공형 리프트가이드(83)가 구비되는 리프트관체(84)와, 제 1, 2가새재(40)(40')의 높은 측 영역에 설치되어 장공형 리프트가이드(83)를 타고 상하 이송되는 상부 축핀(85)과, 리프트관체(8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86)과, 리프트관체(84) 내에 삽입되어 피니언(86)에 치합되고, 상단부가 상부 축핀(85)에 연결되는 상부 래크(87)와, 상부 래크(87)와 대향하도록 리프트관체(84) 내에 삽입되어 피니언(86)에 치합되고, 하단부에 무빙롤러(77)가 설치되는 하부 레크(88)를 포함하고, 상기 가새스크류(75) 작동에 의해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에 탑재되는 메인사다리부(20) 사이 간격이 축소되면서 제 1, 2가새재(40)(40') 단부 사이 간격이 확장되면, 리프트관체(84) 내에서 상부 래크(87)가 상향 이송되면서 피니언(86)에 치합된 하부 레크(88)가 무빙롤러(77)와 함께 하향 이송되고, 무빙롤러(77)가 제 1무빙레일(78a)에 안착된 후부터 리프트관체(84)가 상향 이송되면,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이 상향 리프팅되면서 휠(11)이 선로 레일(R) 상부로 이격되고, 상기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을 선로 레일(R) 폭방향으로 밀면, 무빙롤러(77)가 제 1무빙레일(78a) 및 제 2무빙레일(79a)을 타고 선로 레일(R) 폭방향 대피공간으로 이동되고, 이어서 제 1무빙레일(78a)을 제 2무빙레일(79a) 상에서 분리하여 선로 레일(R)을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무빙레일(78a)은 제 1레일베이스(78) 상면에 형성되는 받침레일(78b)을 타고 선로 레일(R) 길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한 쌍의 메인사다리부(20)와 함께 간격이 축소되는 한 쌍의 리프트이송모듈(80)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무빙롤러(77)를 받침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 배치단계,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 가새재 조립단계, 확장사다리부 조립단계,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를 통하여 협소한 선로 터널 내에서 고소작업용 대차 조립 및 분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고소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으로 시공된 대차를 이용한 고소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의 전도방지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의 횡형 무빙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의 신축리프트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의 횡형 무빙수단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으로 시공된 대차를 이용한 고소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의 전도방지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의 횡형 무빙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의 신축리프트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의 횡형 무빙수단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에 관련되며, 이는 베이스프레임 배치단계,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 가새재 조립단계, 확장사다리부 조립단계,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를 통하여 협소한 선로 터널 내에서 고소작업용 대차 조립 및 분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고소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 배치단계(S10),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S20), 가새재 조립단계(S30), 확장사다리부 조립단계(S40),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베이스프레임 배치단계(S10)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프레임 배치단계(S10)는, 하부에 휠(11)이 설치되고, 상부에 베이스조인트(12)가 구비되는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을 선로 레일(R)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도 1 (a)처럼, 상기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은 판 또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이 나란히 설치치되는 선로 레일(R) 폭 대비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조인트(12)는 후술하는 메인사다리부(20)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수용부를 형성한다.
2.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S20)
본 발명에 따른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S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시공단계(S10) 이후,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의 베이스조인트(12) 상에 메인사다리부(20)을 기립 설치하는 단계이다.
도 2 (b) 및 도 3처럼, 상기 메인사다리부(20)는 센터메인사다리(21)와 사이드메인사다리(2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 중앙에 센터메인사다리(21)를 조립한 후, 센터메인사다리(21) 양측에 한 쌍의 사이드메인사다리(22)를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사다리부(20)는 한 쌍의 종바와, 종바 사이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횡바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하 이동통로로 이용된다.
3. 가새재 조립단계(S30)
본 발명에 따른 가새재 조립단계(S30)는, 상기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S20) 이후, 제 1, 2가새재(40)(40')를 'X'형으로 배치하여 서로 대향하는 메인사다리부(20)를 연결하는 단계이다
도 2 (c)에서, 상기 가새조인트(41)는 관체와 축봉으로 형성되어, 축봉에 관체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현장에서 간단하게 분해/조립되도록 구비된다.
4. 확장사다리부 조립단계(S40)
본 발명에 따른 확장사다리부 조립단계(S40)는, 상기 가새재 조립단계(S30) 이후, 메인사다리부(20) 상에서 가이드레일(31)을 타고 종방향으로 직선 이송되는 확장사다리부(3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도 2 (d) 내지 도 3에서, 상기 확장사다리부(30)는 한 쌍의 종바와, 종바 사이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횡바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하 이동통로로 이용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확장사다리부(30)는 메인사다리부(20)를 타고 소정의 높이로 길이 조절된 후, 스토퍼(도시생략)에 의해 위치고정되도록 구비되는바, 상기 스토퍼(33)는 확장사다리부(30)에 일단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일단에 스톱봉이 형성되어 메인사다리부(20)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며, 이때 스톱봉은 메인사다리부(20)의 횡바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5.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S50)
본 발명에 따른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S50)는, 상기 확장사다리부 조립단계(S40) 이후, 메인사다리부(20) 및 확장사다리부(30)에 양단이 거치되도록 발판플레이트(50)를 설치하여 작업발판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발판플레이트(50)는 유공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확장사다리부(30)의 상향 위치 이동을 통하여 발판플레이트(50)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을 선로 레일(R) 상에 이격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조인트(12)에 메인사다리부(20) 하단부를 체결한 상태로,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에 설치되는 메인사다리부(20)를 제 1, 2가새재(40)(40')로 체결한 후, 메인사다리부(20)에 설치된 확장사다리부(30) 높이를 상향 조절하고, 상기 메인사다리부(20) 및 확장사다리부(30)에 발판플레이트(50) 양단부를 거치한 상태로, 발판플레이트(50) 상에서 이동하며 고소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 메인사다리부(20), 확장사다리부(30), 제 1, 2가새재(40)(40') 및 발판플레이트(50) 조립 역순으로 분해하여 철거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현장에서 분해/조립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S50) 이후, 전도방지부재(60)를 활성화하여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을 선로 레일(R)에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도 5에서, 상기 전도방지부재(60)는,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에 힌지(61)로 결합되고, 하단부에 후크(62)가 형성되어 선로 레일(R)을 하부에서 구속하는 후크대(63)와, 후크대(63) 상부에 일단이 삽통된 상태로 조절너트(64)가 나사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 측에 연결되는 나사봉(65)과, 나사봉(65)에 삽입되어 후크대(63)를 조절너트(64)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체(66)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너트(64)의 일측 방향 피치 이송에 의해 후크대(63)가 힌지(61)를 축으로 선회되면, 후크(62)가 선로 레일(R) 측으로 이동하여, 선로 레일(R)을 하부에서 구속하고, 상기 조절너트(64)의 다른 일측 방향 피치 이송에 의해 후크대(63)가 힌지(61)를 축으로 역방향으로 선회되면, 후크(62)가 선로 레일(R) 측에서 구속해제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확장사다리부(30)를 상방향으로 비교적 높게 연장하여 무게 중심이 상부로 편중되더라도 전도방지부재(60)에 의해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S50) 이후, 선로 레일(R)을 타고 전철이 근접하는 경우,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 메인사다리부(20), 확장사다리부(30), 제 1, 2가새재(40)(40') 및 발판플레이트(50)가 조립된 상태로 횡형 무빙수단(70)에 의해 선로 레일(R) 폭방향으로 대피이동되도록 구비되고,
도 6 내지 도 7에서, 상기 횡형 무빙수단(70)은, 메인사다리부(20)에 설치되어, 제 1, 2가새재(40)(40')의 낮은 측 단부를 선회 가능하게 결속하는 고정형 가새축(71)과, 제 1, 2가새재(40)(40') 중앙부를 선회 가능하게 결속하는 센터 가새축(72)과, 제 1, 2가새재(40)(40')의 높은 측 단부에 설치되는 유동측 가새축(73)과, 메인사다리부(20) 길이 방형으로 형성되어, 유동측 가새축(73)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새레일(74)과, 제 1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메인사다리부(20)에 일단이 연결되어 핸들에 의해 회전운동되는 가새스크류(75)와, 제 2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메인사다리부(20)에 설치되어, 가새스크류(75)와 나사 결합하는 가새너트(76)와, 가새스크류(76) 작동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메인사다리부(20) 사이 간격이 축소되면서 제 1, 2가새재(40)(40') 사이 간격이 확장되는 이송력에 연계되어 무빙롤러(77)를 승하강 이송하는 신축리프트모듈(80)과, 무빙롤러(77)와 대응하도록 선로 레일(R) 상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에 무빙롤러(77)와 맞물리는 제 1무빙레일(78a)이 설치되는 제 1레일베이스(78)와, 제 1레일베이스(78)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선로 레일(R) 폭방향 대피공간으로 연장되어 받침다리(79b)에 의해 높낮이 조절되며, 상부에 제 2무빙레일(79a)이 설치되는 제 2레일베이스(79)를 포함한다.
도 8에서, 상기 리프트이송모듈(80) 은, 제 1, 2가새재(40)(40')의 낮은 측 영역에 하부 축핀(81)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각홀(82)이 형성되며, 상부에 장공형 리프트가이드(83)가 구비되는 리프트관체(84)와, 제 1, 2가새재(40)(40')의 높은 측 영역에 설치되어 장공형 리프트가이드(83)를 타고 상하 이송되는 상부 축핀(85)과, 리프트관체(8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86)과, 리프트관체(84) 내에 삽입되어 피니언(86)에 치합되고, 상단부가 상부 축핀(85)에 연결되는 상부 래크(87)와, 상부 래크(87)와 대향하도록 리프트관체(84) 내에 삽입되어 피니언(86)에 치합되고, 하단부에 무빙롤러(77)가 설치되는 하부 레크(8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무빙레일(78a)은 제 1레일베이스(78) 상면에 형성되는 받침레일(78b)을 타고 선로 레일(R) 길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한 쌍의 메인사다리부(20)와 함께 간격이 축소되는 한 쌍의 신축리프트모듈(80)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무빙롤러(77)를 받침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9와 같이 무빙롤러(77)와 대응하는 선로 레일(R) 상에 폭방향으로 제 1, 2무빙레일(78a)(79a)을 설치하고, 이어서 도 10처럼 상기 가새스크류(75) 작동에 의해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에 탑재되는 메인사다리부(20) 사이 간격이 축소되면서 제 1, 2가새재(40)(40') 단부 사이 간격이 확장되면, 리프트관체(84) 내에서 상부 래크(87)가 상향 이송되면서 피니언(86)에 치합된 하부 레크(88)가 무빙롤러(77)와 함께 하향 이송되고, 무빙롤러(77)가 제 1무빙레일(78a)에 안착된 후부터 리프트관체(84)가 상향 이송되면,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이 상향 리프팅되면서 휠(11)이 선로 레일(R) 상부로 이격된다.
이후, 도 11처럼 상기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을 선로 레일(R) 폭방향으로 밀면, 무빙롤러(77)가 제 1무빙레일(78a) 및 제 2무빙레일(79a)을 타고 선로 레일(R) 폭방향 대피공간으로 이동되고, 이어서 도 12와 같이 제 1무빙레일(78a)을 제 2무빙레일(79a) 상에서 분리하여 선로 레일(R)을 개방하도록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S10: 베이스프레임 배치단계
S20: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
S30: 가새재 조립단계
S40: 확장사다리부 조립단계
S50: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

Claims (6)

  1. 하부에 휠(11)이 설치되고, 상부에 베이스조인트(12)가 구비되는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을 선로 레일(R)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베이스프레임 배치단계(S10);
    상기 베이스프레임 배치단계(S10) 이후,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의 베이스조인트(12) 상에 메인사다리부(20)을 기립 설치하는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S20);
    상기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S20) 이후, 제 1, 2가새재(40)(40')를 'X'형으로 배치하여 서로 대향하는 메인사다리부(20)를 연결하는 가새재 조립단계(S30);
    상기 가새재 조립단계(S30) 이후, 메인사다리부(20) 상에서 가이드레일(31)을 타고 종방향으로 직선 이송되는 확장사다리부(30)를 설치하는 확장사다리부 조립단계(S40);
    상기 확장사다리부 조립단계(S40) 이후, 메인사다리부(20) 및 확장사다리부(30)에 양단이 거치되도록 발판플레이트(50)를 설치하여 작업발판을 형성하는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사다리부(30)의 상향 위치 이동을 통하여 발판플레이트(50)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S50) 이후, 전도방지부재(60)를 활성화하여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을 선로 레일(R)에 구속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전도방지부재(60)는,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에 힌지(61)로 결합되고, 하단부에 후크(62)가 형성되어 선로 레일(R)을 하부에서 구속하는 후크대(63)와, 후크대(63) 상부에 일단이 삽통된 상태로 조절너트(64)가 나사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 측에 연결되는 나사봉(65)과, 나사봉(65)에 삽입되어 후크대(63)를 조절너트(64)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체(66)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너트(64)의 일측 방향 피치 이송에 의해 후크대(63)가 힌지(61)를 축으로 선회되면, 후크(62)가 선로 레일(R) 측으로 이동하여, 선로 레일(R)을 하부에서 구속하고, 상기 조절너트(64)의 다른 일측 방향 피치 이송에 의해 후크대(63)가 힌지(61)를 축으로 역방향으로 선회되면, 후크(62)가 선로 레일(R) 측에서 구속해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사다리부 조립단계(S20)에서,
    메인사다리부(20)는 센터메인사다리(21)와 사이드메인사다리(2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 중앙에 센터메인사다리(21)를 조립한 후, 센터메인사다리(21) 양측에 한 쌍의 사이드메인사다리(22)를 조립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플레이트 조립단계(S50) 이후, 선로 레일(R)을 타고 전철이 근접하는 경우,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 메인사다리부(20), 확장사다리부(30), 제 1, 2가새재(40)(40') 및 발판플레이트(50)가 조립된 상태로 횡형 무빙수단(70)에 의해 선로 레일(R) 폭방향으로 대피이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횡형 무빙수단(70)은,
    메인사다리부(20)에 설치되어, 제 1, 2가새재(40)(40')의 낮은 측 단부를 선회가능하게 결속하는 고정형 가새축(71)과,
    제 1, 2가새재(40)(40') 중앙부를 선회 가능하게 결속하는 센터 가새축(72)과,
    제 1, 2가새재(40)(40')의 높은 측 단부에 설치되는 유동측 가새축(73)과,
    메인사다리부(20) 길이 방형으로 형성되어, 유동측 가새축(73)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새레일(74)과,
    제 1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메인사다리부(20)에 일단이 연결되어 핸들에 의해 회전운동되는 가새스크류(75)와,
    제 2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메인사다리부(20)에 설치되어, 가새스크류(75)와 나사결합되는 가새너트(76)와,
    가새스크류(75) 작동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메인사다리부(20) 사이 간격이 축소되면서 제 1, 2가새재(40)(40') 사이 간격이 확장되는 이송력에 연계되어 무빙롤러(77)를 승하강 이송하는 리프트이송모듈(80)과,
    무빙롤러(77)와 대응하도록 선로 레일(R) 상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상부에 무빙롤러(77)와 맞물리는 제 1무빙레일(78a)이 설치되는 제 1레일베이스(78)와,
    제 1레일베이스(78)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선로 레일(R) 폭방향 대피공간으로 연장되어 받침다리(79b)에 의해 높낮이 조절되며, 상부에 제 2무빙레일(79a)이 설치되는 제 2레일베이스(7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이송모듈(80) 은,
    제 1, 2가새재(40)(40')의 낮은 측 영역에 하부 축핀(81)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각홀(82)이 형성되며, 상부에 장공형 리프트가이드(83)가 구비되는 리프트관체(84)와,
    제 1, 2가새재(40)(40')의 높은 측 영역에 설치되어 장공형 리프트가이드(83)를 타고 상하 이송되는 상부 축핀(85)과,
    리프트관체(8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86)과,
    리프트관체(84) 내에 삽입되어 피니언(86)에 치합되고, 상단부가 상부 축핀(85)에 연결되는 상부 래크(87)와,
    상부 래크(87)와 대향하도록 리프트관체(84) 내에 삽입되어 피니언(86)에 치합되고, 하단부에 무빙롤러(77)가 설치되는 하부 레크(88)를 포함하고,
    상기 가새스크류(75) 작동에 의해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에 탑재되는 메인사다리부(20) 사이 간격이 축소되면서 제 1, 2가새재(40)(40') 단부 사이 간격이 확장되면, 리프트관체(84) 내에서 상부 래크(87)가 상향 이송되면서 피니언(86)에 치합된 하부 레크(88)가 무빙롤러(77)와 함께 하향 이송되고, 무빙롤러(77)가 제 1무빙레일(78a)에 안착된 후부터 리프트관체(84)가 상향 이송되면,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이 상향 리프팅되면서 휠(11)이 선로 레일(R) 상부로 이격되고,
    상기 제 1, 2베이스프레임(10)(10')을 선로 레일(R) 폭방향으로 밀면, 무빙롤러(77)가 제 1무빙레일(78a) 및 제 2무빙레일(79a)을 타고 선로 레일(R) 폭방향 대피공간으로 이동되고, 이어서 제 1무빙레일(78a)을 제 2무빙레일(79a) 상에서 분리하여 선로 레일(R)을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무빙레일(78a)은 제 1레일베이스(78) 상면에 형성되는 받침레일(78b)을 타고 선로 레일(R) 길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한 쌍의 메인사다리부(20)와 함께 간격이 축소되는 한 쌍의 리프트이송모듈(80)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무빙롤러(77)를 받침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
KR1020230053795A 2023-04-25 2023-04-25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 KR102556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795A KR102556239B1 (ko) 2023-04-25 2023-04-25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795A KR102556239B1 (ko) 2023-04-25 2023-04-25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239B1 true KR102556239B1 (ko) 2023-07-19

Family

ID=8742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3795A KR102556239B1 (ko) 2023-04-25 2023-04-25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2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168U (ja) * 1991-12-20 1995-08-18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における乗降用梯子構造
KR20130122365A (ko) * 2012-04-30 2013-11-07 신성산건 주식회사 터널방음벽용 작업대차
KR101426703B1 (ko) * 2014-03-31 2014-08-07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대차
KR101731475B1 (ko) 2015-05-19 2017-05-02 에스큐엔지니어링(주) 궤도형 작업 이동대차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168U (ja) * 1991-12-20 1995-08-18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における乗降用梯子構造
KR20130122365A (ko) * 2012-04-30 2013-11-07 신성산건 주식회사 터널방음벽용 작업대차
KR101426703B1 (ko) * 2014-03-31 2014-08-07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대차
KR101731475B1 (ko) 2015-05-19 2017-05-02 에스큐엔지니어링(주) 궤도형 작업 이동대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531619T2 (de) Gerüstanordnung
US20090106964A1 (en) Automatic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Metal Frameworks
US20120006621A1 (en) Movable modular scaffold system for building works and method to form it
KR100989111B1 (ko)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
JP6709089B2 (ja) 迅速組立足場
KR102556239B1 (ko)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 조립공법
DE3719403C2 (ko)
US20060086568A1 (en) Scaffolding structure
KR102556238B1 (ko) 터널 선로용 고소 작업 대차장치
GB2378978A (en) Builder's trestle system
CH714893A2 (de) Fahrbares Arbeitsgerüst.
CN110395645B (zh) 折叠伸缩式维修升降梯
RU198229U1 (ru) Передвижная лестница для купольного здания
CN216787779U (zh) 用于站台施工的可移动脚手架
KR200489141Y1 (ko) 시스템 난간대
JPS623477Y2 (ko)
GB2347453A (en) Scaffold system mountable on window sill or ledge
JP2003147954A (ja) 枠組足場の先行手摺
JP6479640B2 (ja) 移動足場装置
JP4986419B2 (ja) 仮設階段
WO1998014676A1 (en) Scaffolding support arrangement
KR100278830B1 (ko) 교각두부 시설용 안전작업대
KR101683403B1 (ko) 케이블 점검이 용이한 철도 비상 대피로
CN212270695U (zh) 一种组合式型钢预应力张拉作业平台
EP1118716B1 (en) Apparatus for the maintenance of via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