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135B1 - 유동층 반응기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및 유동층 반응기 - Google Patents

유동층 반응기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및 유동층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135B1
KR102556135B1 KR1020217015620A KR20217015620A KR102556135B1 KR 102556135 B1 KR102556135 B1 KR 102556135B1 KR 1020217015620 A KR1020217015620 A KR 1020217015620A KR 20217015620 A KR20217015620 A KR 20217015620A KR 102556135 B1 KR102556135 B1 KR 102556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s
air
bar grid
combustor
fluidized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7755A (ko
Inventor
얀 츠비에라크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에스에이치아이 에프더블유 에너지아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에스에이치아이 에프더블유 에너지아 오와이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에스에이치아이 에프더블유 에너지아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21007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 B01J8/44Fluidisation gr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18Details; Accessories
    • F23C10/20Inlets for fluidisation air, e.g. grids; Bot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1836Heating and cooling the rea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02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 F23C10/04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the particles being circulated to a section, e.g. a heat-exchange section or a return duct, at least partially shielded from the combustion zone, before being re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18Details; Accessories
    • F23C10/24Devices for removal of material from the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5/00Fluidised-bed furnaces; Other furnaces using or treating finely-divided materials in dispersion
    • F27B15/02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5/10Arrangements of air or gas suppl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5/00Fluidised-bed furnaces; Other furnaces using or treating finely-divided materials in dispersion
    • F27B15/02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5/16Arrangements of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504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means of a bur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796Details of the reactor or of the particulate material
    • B01J2208/00893Feeding means for the reactants
    • B01J2208/00902Nozzle-type feed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mbustion apparatu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ir;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C2900/10007Spouted fluidized bed combus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05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Crucibles And Fluidized-Bed Furnaces (AREA)

Abstract

유동층 반응기 (12)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로서,
- 유동화 가스의 공급원과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2 개의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을 가로지르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상에 배열되어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 (2) 가 지지하고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중 적어도 2 개와 유체 연통하는 복수의 일차 공기 바아들 (3) 로서,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과 상기 메인 공기 바아들 (3) 은 상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에 회분 제거 개구들을 규정하는, 상기 복수의 일차 공기 바아들 (3), 및
- 상기 유동층 반응기 (12) 를 유동화하기 위해 상기 일차 공기 바아들 (3) 각각에 배열된 복수의 유동화 노즐들 (4)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동층 반응기를 위한 독립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동층 반응기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및 유동층 반응기
본 발명은 개선된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오매스를 포함하는 고형 물질의 연소 또는 불연성 물질을 함유하는 폐연료의 소각용 및 연소 또는 소각 동안 회분 (ash) 또는 불연성 물질의 제거용 등의 유동층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연소 또는 가스화와 같은 화학 반응은 유동층 반응기, 일반적으로 소위 버블링 유동층 또는 순환 유동층 반응기의 유동층 물질층에서 수행된다. 이때, 주로 모래와 연료로 구성된 상기 층상 물질층을 통해 유동화 가스, 예를 들면 공기가 반응기 내로 공급되어 층이 쉽게 유동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유동층 반응기에서, 연소된 물질은 불균일하고, 응집 또는 불연성 물질이 혼입될 수 있다.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는, 공기가 물질의 연소층을 통해 위로 유동할 수 있게 하고 회분 및 불연성 물질이 이 연소층의 저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회분 및 불연성 물질 뿐만 아니라 층물질은 바아들 사이의 공간을 통과한다. 이러한 유형의 그레이트 (grate) 는 매니폴드에 연결된 개별 바아들에 공기를 분배하는 공기 매니폴드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공기 바아는 유동화 공기를 층 물질 내로 분산시키기 위한 공기 노즐들을 갖는다.
US 4,402,665 는 유동층 반응기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공기 바아 그리드를 개시한다. 공기 바아 그리드는 가압 공기 공급원과 유체 연통하는 메인 공기 수집기, 및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에 수직인 일차 공기 바아들의 그리드를 포함한다. 일차 공기 바아들 각각은 상부 표면을 가지며, 메인 공기 수집기와 유체 연통하도록 그 길이를 따라 연결된다. 중간 공기 바아들은 메인 공기 수집기에 평행하게 그리고 각각의 일차 공기 바아들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중간 공기 바아들 및 일차 공기 바아들은 동일 평면 상에 놓이고 서로 직각으로 교차한다.
US 5,743,197 은 물, 증기 또는 공냉식 살포 파이프 그레이트를 갖는 유동층 보일러용 그레이트 조립체를 개시한다. 냉각된 살포 (sparge) 파이프들은 그 단부에서 물, 증기 또는 공기를 안내하는 파이프들에 의해 지지된다. 살포 파이프들은, 인접한 살포 파이프들 사이에 살포 파이프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개구가 유지되도록, 나란히 장착된다.
US 5,425,331 은 연료 및 불연성 고형물들을 포함하는 미립자 물질의 층을 지지하기 위해 보일러의 하부에 배치된 중공 이격 공기 바아들을 갖는 유동층 반응기를 개시한다. 공기 바아들은 공기 바아들로부터의 열을 파이프들 내에서 유동하는 물로 연속적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수냉식 지지관들에 의해 반응기의 하부에서 지지된다. 공기 바아들은 호퍼의 외부에 그리고 벽에 인접하게 배치된 플리넘 챔버에 수직으로 그리고 이와 공기 유동 연통하게 연장된다. 가압 공기는 종래의 수단에 의해 챔버 내로 도입된다.
KR 2009/132934 A 는 유동층을 포함하는 폐기물 연료 연소 시스템용 공기 분배기 시스템을 개시한다. 공기 분배 시스템은 급기 파이프들, 노즐, 및 냉각수 파이프들을 포함한다. 급기 파이프들은 공기 분배기들에 길이 방향 및 횡 방향으로 연결된다. 급기 파이프들은 복수의 급기 포트들이 설치되는 노즐 커넥터를 포함한다. 냉각수 파이프들은 급기 파이프들의 외부에 설치되고 급기 파이프들의 열적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를 공급한다.
US 5,368,824 는 반응 용기 내의 미립자층을 유동화시키고 층 내로 도입되거나 층 내에 형성될 수 있는 비유동성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제 1 그룹의 파이프 아래에 위치된 한 쌍의 횡방향 가스 유입 파이프 및 평행한 가스 유입 파이프의 어레이를 사용하는 가스 분배 시스템을 개시한다.
SU 1149105 은 그 아래에 배치된 공기 박스를 가진 연소실을 함유하고 회분 호퍼가 내부에 설치되는 유동층의 노를 개시한다. 회분 호퍼의 상부에는, 박스 공동에 양 단부가 연결되는 급기 파이프들과, 급기 파이프들의 공동과 공기 박스의 공동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가 있다.
US 2003/170582 A1 은 유동층 보일러용 파이프 그레이트를 개시한다. 공기는 여러 개의 파이프들을 통해 유동층 보일러로 공급된다. 파이프 그레이트의 적어도 일부의 파이프에 포함되는 파이프 특정 제어 수단에 의하여 파이프 그레이트에 공기 등이 공급되는 그레이트의 활성 영역이 조절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층 반응기에서 회분 및 불연성 물질 수집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층에서 유동화 가스의 보다 균질한 유동 분포를 갖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 둘 다는 독립항 제 1 항에 따른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및 독립항 제 12 항에 따른 유동층 반응기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삭제
종속항들은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의 유리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유동층 반응기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는, 가압된 유동화 가스 (예컨대, 공기) 의 공급원과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2 개의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및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이 지지하도록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를 가로지르고 적어도 2 개의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 상에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 중 적어도 2 개와 유체 연통하는 복수의 일차 공기 바아들을 포함한다.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및 일차 공기 바아들은 공기 바아 그리드에서 회분 제거 개구들을 형성한다.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는, 층 반응기를 유동화하기 위해 일차 공기 바아들 각각에 배열된 복수의 유동화 노즐들을 더 포함한다.
US 4,402,665 로부터 공지된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와 비교하여,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중 적어도 2 개로부터, 즉 일차 공기 바아들을 따라 상이한 위치들로부터 일차 공기 바아들로 진입하도록 가압된 유동화 가스를 가짐으로써 유동층 반응기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이는 일차 공기 바아들 내에서 그 길이를 따라 가압된 유동화 가스의 보다 균일한 압력 분포를 가질 수 있게 한다. 한편으로는,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은 또한 일차 공기 바아들을 위한 지지 빔들로서 기능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그리드 모듈형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급기 덕트들은 동시에 지지 빔들로서 작용하고 그리드 모듈형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US 5,743,197 및 US 5,425,331 로부터 공지된 그레이트 바아 조립체와 비교하여, 일차 공기 바아에들서와 같이 일차 공기 바아를 지지하는 2 개의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내에서 유동하는 동일한 매체를 가짐으로써 유동층 반응기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따라서, 유동층 반응기로 유입되는 매체의 공급을 보다 컴팩트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압된 유동화 가스는 일차 공기 바아들 뿐만 아니라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를 냉각하여, 이들을 적절한 온도 범위로 유지하여, 일차 공기 바아들 및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이 너무 많이 연화되지 않음을 보장하도록 돕는다.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을 적절하게 치수화하고 이웃하는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사이의 분리에 의해, 일차 공기 바아들의 연화에 의해 야기되는 연소기 공기층 그리드의 약화가 완화될 수 있다. 추가의 장점은,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의 수냉을 위한 구조가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이 반응기의 기계적 설계를 단순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는 것이다.
가장 간단하게,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은 서로 중첩되는 각각의 일차 공기 바아의 상부측 및 저부측에 형성된 유동화 가스 전달 개구들을 통해 일차 공기 바아들과 유체 연통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동화 가스 전달 개구들은 그 교차 위치에서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및 일차 공기 바아들 각각의 대향면들에서 절취부로서 형성되며, 양 바아들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절취부에 의한 구조의 약화는, 특히 US 4,402,665 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갖는 공기 덕트의 깊은 컷과 비교하여, 비교적 작게 유지될 수 있다.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는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을 지지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지지 빔들 또는 지지 바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층의 중량은 지지 빔 또는 지지 바아에 의해 본질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 유동층 반응기의 기계적 구성의 단순화를 가능하게 한다.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는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및 일차 공기 바아들에 의해 형성된 회분 제거 개구들 아래에 배치된 다수의 회분 호퍼들을 더 포함한다. 이는 층로부터 회분 및 불연성 물질의 효과적인 수집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회분 호퍼들의 상부는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과 측방향으로 정렬되고 그리고 이와 기계적인 접촉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회분 호퍼의 상부는 직사각형 수평 단면을 갖는 상부 섹션을 가지고, 회분 호퍼의 상부의 2 개의 대향측들은 예를 들어 회분 호퍼 퍼넬의 최상부를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에 용접함으로써 각각의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과 기계적으로 접촉하도록 부착된다. 따라서, 주 공기 수집기 바아들은 회분 호퍼들에 대해 공냉된 외부벽들을 형성한다.
또한,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은 적어도 하나의 팽창 조인트를 사용하여 유동층 반응기의 전방벽 또는 후방벽과 연결될 수 있는 윈드 박스 (wind box) 를 생성한다. 따라서, 회분 호퍼들의 하부는 냉각된 플레이트 설계를 사용할 필요 없이 원추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유동층 및 저부 회분의 전체 중량은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및 일차 공기 바아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빔들에 용접) 상의 분배 빔으로부터 그리드 지지 구조물로 전달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팽창 조인트를 사용하여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을 유동층 반응기의 전방벽 또는 후방벽에 연결하는 것은 열 팽창을 수용하는 것을 돕는다.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은 가압된 유동화 가스로 냉각되는 회분 호퍼들을 위한 외부 공랭 벽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로부터의 가압된 유동화 가스는 또한 회분 호퍼로부터 열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분 호퍼들에서 공랭 또는 수냉된 플레이트들을 사용할 필요가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및 복수의 일차 공기 바아들은 유동화 가스를 위한 도관들을 형성하는 금속의 중공 빔이다.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는 다수의 모듈들로 구성된 모듈형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로서 구성될 수 있어서, 모듈들에서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은 유동층 반응기의 전방 벽 및 후방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에서의 2.5 내지 4 미터의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는 설치를 위해 현장으로 이송하기가 더 용이하다.
다른 유리한 양태에 따르면,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은 함께 결합된 모듈들로 구성된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유동층 반응기를 모듈 방식으로 구성하는 모듈 방식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모듈들 각각은 유동층 반응기의 전방 벽 및 후방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에서의 2.5 내지 4 미터의 길이일 수 있다.
유동층 반응기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를 갖는 노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및 유동층 반응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순환 유동층 반응기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는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의 단부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기 공기 그리드를 갖는 버블링 유동층 반응기 보일러이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나타낸다.
도 1 은 증기 발생 시스템 (10) 을 도시한다. 증기 발생 시스템 (10) 의 구조 및 작동은, 연소기 공기 그리드 (1), 회분 호퍼들 (6) 및 지지 구조물들까지, 본원에 원용된 미국 특허 5,425,331 에 개시된 증기 발생 시스템 (10) 과 동일하다.
증기 발생 시스템 (10) 은 유동층 반응기 (12) (도 1 에서는 순환 유동층 반응기로서 그리고 도 4 에서는 버블링 유동층 반응기로서 도시됨), 사이클론 분리기 (14) 및 열 회수 영역 (16) 을 포함한다.
유동층 반응기 (12) 의 하부에는 공기 바아 그리드 (1) 가 제공며, 이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 의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이클론 분리기 (14) 는 유동층 반응기 (12) 로부터 공기와 가스 연소 생성물의 혼합물을 그에 의해 혼입된 고형 입자와 함께 수용한다. 분리기 (14) 는 가스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도록 작동하고, 가스는 열 회수 영역 (16) 으로 통과된다. 분리기 (14) 로부터의 고형물은 분리기의 테이퍼링 섹션 (14a) 내로 낙하하고, 여기서 고형물은 복귀 레그 (22) 를 통해 반응기 섹션 (12) 의 하부로 재주입된다. 가스는, 열 회수 영역 (16) 을 통과한 후, 유출 도관 (16a) 을 통해 배출된다.
유동층 반응기 (12) 는 전방 벽 (24a), 이격된 평행한 후방벽 (24b), 및 전방벽과 후방벽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인클로저를 형성하는 2 개의 이격된 평행한 측벽들 (도 1 에 도시되지 않음) 을 포함한다.
유동층 내로 연료를 도입하기 위해, 전방벽 (24a), 후방벽 (24b), 또는 측벽들을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 (27) 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층 반응기 (12) 내로 연료를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연료의 공급은 사일로-호퍼 및 스크류-피더로 수행될 수 있고, 이 사일로-호퍼 및 스크류-피더는 유동층 반응기 (12) 위에 배치되고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위에 배치된 유동층의 상부 표면 상으로 바이오매스 또는 도시 폐기물과 같은 폐연료를 도입하기 위해 그 루프에 형성된 개구가 나타난다. 폐연료는 병 및 캔과 같은 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 (28) 는 유동층의 상부 표면 상에 층 구성 (bed make-up) 물질을 도입하기 위해 전방벽 (24a) 을 통해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폐연료의 연소 동안 방출되는 황 산화물을 흡수하기 위해, 모래 및/또는 석회석 또는 백운석으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층 구성 물질을 층 상에 분배하기 위해, 다른 분배기가 벽들 (24a, 24b) 및 측벽들 중 임의의 것 또는 둘 다와 연관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증기 발생기 (10) 의 작동시, 다량의 바이오매스 또는 폐연료 및 층 구성 물질은 각각 스크류 피더 (27) 와 분배기 (28) 를 통해 도입되어, 공기 그리드 (1) 의 상부 표면에 축적된다. 외부 공급원으로부터의 유동화 가스 - 바람직하게는 공기 - 는 유동화 가스 공급원 (9) 에 의해 충분한 부피로 플레넘 챔버 (49) 에 공급된다. 바람직하게는, 연소 유동화 공기는 유동화 가스로서 사용된다. 가압된 유동화 가스는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위의 층 구성 물질이 노 (26) 내에서 유동화되게 한다.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위에 배치된 바이오매스 또는 폐연료 물질의 연소를 개시하기에 충분한 온도로 유동화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버너 (도시되지 않음) 가 플레넘 챔버 (49) 내에 배치된다. 석탄 등의 보조 연료는 바이오매스 또는 폐연료가 낮은 칼로리 함량을 갖는 경우에 분배기 (28) 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단 반응기 (12) 내부의 바이오매스 또는 폐연료가 유동화 가스로 연소하기 시작하면, 버너 및/또는 보조 연료에 의한 점화는 필요에 따라 감소되거나 중단된다.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추가적인 폐연료와 층 구성 물질은 각각 스크류 피더 (27) 와 분배기 (28) 를 통해 유동층 반응기 (12) 로 도입된다. 유동화 가스 및 연소 생성물이 유동층 반응기 (12) 내에서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불연성 물질, 회분 및 소모된 층 구성 물질은 중력으로 그리고 공압식으로 하방으로 운반된다. 불연성 고형물은 유동층 반응기 (12) 를 통해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의 상부 표면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고, 공기 바아 그리드 (1) 의 개구를 통해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를 통해 하방으로 통과하며, 일차 공기 바아들로부터의 공기와 함께 공기 노즐들 또는 파이프들로부터 유동하는 유동화 가스에 의해 층 물질로부터의 대류에 의해 열이 전달됨에 따라 회분 호퍼들 (6) 내에서 계속 하강하여, 회분 호퍼들 (6) 의 외부벽들을 공랭시킨다. 불연성 고형물은 호퍼의 베이스 내의 개구를 통해 호퍼들 (6) 을 빠져나오고, 예를 들어 웜 스크류에 의해 제거된다. 불연성 고형물의 일부는, 그 뒤에 폐연료의 연소 동안 형성될 수 있는 불연성 물질 및 임의의 응집물들을 제거하도록 차단되고, 층 구성 물질의 재고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속도로 유동층 반응기 (12) 내에서 유동층으로 복귀된다.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는 가압된 유동화 가스의 공급원 (9) 과 유체 연통하는 다수의 (일반적으로, 적어도 2 개, 그러나 3 개, 4 개, 5 개, ... 가능)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동화 가스의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는,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을 가로지르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상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이 이를 지지하고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중 적어도 2 개에 유체 연통하는 복수의 일차 공기 바아들 (3), 및 유동층 반응기 (12) 를 유동화하기 위해 일차 공기 바아들 (3) 의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유동화 노즐들 (4) 을 더 포함한다. 유동화 노즐들 (4) 은 각각의 일차 공기 바아들 (3) 상에 또는 일차 공기 바아들 (3) 상에 직접 위치된 중심 공기 도관들 (4B)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은 수집기 바아들 (2) 과 일차 공기 바아들 (3) 사이의 개구를 통해 일차 공기 바아들 (3) 과 유체 연통한다.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상에 일차 공기 바아들 (3) 을 설치하기 전에 제조되어, 개구는 일차 공기 바아들 (3) 및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에서 중첩 위치에 (예를 들어, 절단 또는 레이저 절단에 의해) 형성된다.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은 적어도 하나의 팽창 조인트를 사용하여 유동층 반응기 (12) 의 전방벽 (24a) 또는 후방벽 (24b) 과 연결되는 윈드 박스를 생성한다.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는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을 지지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지지 빔들 또는 지지 바아들 (5) 을 더 포함하여, 지지 빔 또는 지지 바아 (5) 가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고,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지지 바아들 (5) 은 선택적으로 본질적으로 수평인 프레임 구조 (5c) 와 함께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바로 아래에 수직 기둥들로서 배열된다.
유동층 및 저부 회분의 전체 중량은 메인 공기 수집기 빔 (용접된 플레이트 빔으로서 실현될 수 있음) 을 통해 일차 공기 바아들로부터 그리드 지지 구조로 전달될 수 있다.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는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및 일차 공기 바아들 (3) 에 의해 규정된 회분 제거 개구들 아래에 배치된 다수의 회분 호퍼들 (6) 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회분 호퍼들 (6) 은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과 측방향으로 정렬되고 기계식으로 접촉한다.
플레넘을 통해 소모된 층 물질의 하강 동안, 열은 층 물질로부터 반응기 벽들 (전방 벽 (24a), 후방 벽 (24b) 및 측벽들) 및 회분 호퍼 (6) 벽들을 형성하는 관들을 통해 유동하는 물로 연속적으로 전달된다.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은 회분 호퍼들 (6) 에 대해 공냉된 외부벽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회분 호퍼들 (6) 은 반드시 수냉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회분 호퍼들 (6) 의 하부 부분은 냉각된 플레이트 설계를 채용하지 않고 원추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 후, 바람직하게는,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은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로부터의 가압된 유동화 가스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공기 노즐들 또는 파이프들을 통해 회분 호퍼들 (6) 을 공랭시키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2 개의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및 일차 공기 바아들 (3) 은 바람직하게는 유동화 가스를 위한 도관들을 형성하는 금속의 중공 빔들이다.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는 다수의 모듈들 (7) 로 구성된 모듈형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로서 구성될 수 있어서, 모듈들 (7) 에서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은 유동층 반응기 (12) 의 전방 벽 (24a) 및 후방벽 (24b)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에서의 2.5 내지 4 미터의 길이를 가지고, 최대 허용 치수는 현재 국가별로 변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은 함께 결합된 모듈들 (7) 로 구성된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듈들 (7) 각각은 유동층 반응기 (12) 의 전방 벽 (24a) 및 후방벽 (24b)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에서의 2.5 내지 4 미터의 길이일 수 있다.
도 1 은 유동층 반응기 (12) 로서 순환 유동층 반응기를 갖는 증기 발생기 시스템 (10) 을 도시하고, 도 2 및 도 3 은 순환 유동층 반응기 내에 위치된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를 도시한다. 대안으로,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블링 유동층 반응기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기술적 진보와 함께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 및 그 실시형태들이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범위 및 그 법적 균등물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5)

  1. 유동층 반응기 (12)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로서,
    상기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는,
    - 유동화 가스의 공급원과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2 개의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을 가로지르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상에 배열되어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이 지지하고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중 적어도 2 개의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과 유체 연통하는 복수의 일차 공기 바아들 (3) 로서,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과 상기 일차 공기 바아들 (3) 은 상기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내에 회분 (ash) 제거 개구들을 규정하는, 상기 복수의 일차 공기 바아들 (3),
    - 상기 유동층 반응기 (12) 를 유동화하기 위해 상기 일차 공기 바아들 (3) 각각에 배열된 복수의 유동화 노즐들 (4),
    - 상기 회분 제거 개구들 아래에 배열된 다수의 회분 호퍼들 (6)
    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은 가압된 유동화 가스로 냉각되는 상기 회분 호퍼들 (6) 을 위한 외부 공랭 벽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은 서로 중첩되는 각각의 수집기 바아 (2) 의 상부측 및 각각의 일차 공기 바아 (3) 의 저부측에 형성된 유동화 가스 전달 개구들을 통해 상기 일차 공기 바아들 (3) 과 유체 연통하는,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는,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을 지지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지지 빔들 또는 바아들 (5)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빔들 또는 바아들 (5) 은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바로 아래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분 호퍼들 (6) 의 상부 부분들은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과 측방향으로 정렬되고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은 적어도 하나의 팽창 조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유동층 반응기 (12) 의 전방벽 (24a) 또는 후방벽 (24b) 에 연결되는,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및 상기 복수의 일차 공기 바아들 (3) 은 유동화 가스를 위한 도관들을 형성하는 금속의 중공 빔들인,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7.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로서,
    상기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모듈들 (7) 로 구성된 모듈형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로서 구성되어, 상기 모듈들 (7) 에서,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은 상기 유동층 반응기 (12) 의 전방 벽 (24a) 및 후방벽 (24b)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에서의 2.5 내지 4 미터의 길이를 갖는,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은 함께 결합된 모듈들 (7) 로 구성된 세그먼트들로 구성되는,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들 (7) 각각은 상기 유동층 반응기 (12) 의 전방 벽 (24a) 및 후방벽 (24b)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에서의 2.5 내지 4 미터의 길이를 가진,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및 상기 일차 공기 바아들 (3) 은 가압된 유동화 가스를 위한 중공 통로를 포함하는,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및 상기 일차 공기 바아들 (3) 은 가압된 유동화 가스를 위한 중공 통로를 포함하는,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는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과 상기 일차 공기 바아들 (3) 내의 상기 중공 통로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과 상기 일차 공기 바아들 (3) 에서 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들은 상기 일차 공기 바아들 (3) 과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에서 중첩 위치들에 배열되는,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13. 유동층 반응기 (12) 로서,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를 가진 노 (26) 를 포함하는, 유동층 반응기 (12).
  14. 유동층 반응기 (12) 로서,
    제 7 항에 따른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를 가진 노 (26) 를 포함하는, 유동층 반응기 (12).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는, 상기 메인 공기 수집기 바아들 (2) 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 빔들 또는 바아들 (5) 사이에서 수평의 프레임 구조 (5c) 를 더 포함하는,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1).
KR1020217015620A 2018-11-07 2018-11-07 유동층 반응기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및 유동층 반응기 KR102556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8/080483 WO2020094224A1 (en) 2018-11-07 2018-11-07 A combustor air bar grid for use within a fluidized bed reactor, and a fluidized bed re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755A KR20210077755A (ko) 2021-06-25
KR102556135B1 true KR102556135B1 (ko) 2023-07-14

Family

ID=6427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620A KR102556135B1 (ko) 2018-11-07 2018-11-07 유동층 반응기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및 유동층 반응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583818B2 (ko)
EP (1) EP3877697B1 (ko)
JP (1) JP2022506144A (ko)
KR (1) KR102556135B1 (ko)
CN (1) CN113242950B (ko)
AU (1) AU2018448673B2 (ko)
BR (1) BR112021008836A2 (ko)
FI (1) FI3877697T3 (ko)
HU (1) HUE060628T2 (ko)
PH (1) PH12021551024A1 (ko)
PL (1) PL3877697T3 (ko)
RU (1) RU2762036C1 (ko)
WO (1) WO2020094224A1 (ko)
ZA (1) ZA202103142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0582A1 (en) 1999-01-21 2003-09-11 Jouni Kinni Method in connection with a pipe grate for fluidized bed boiler and a pipe grat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0143A (en) 1979-12-03 1982-05-18 Reneau Bobby J Apparatus for connecting together flowline end portions
US4402665A (en) * 1980-08-07 1983-09-06 York-Shipley, Inc. Combustor air grid
US4382415A (en) * 1980-12-05 1983-05-10 York-Shipley, Inc. Fluidized bed reactor utilizing a bottomless plate grid and method of operating the reactor
JPS609554Y2 (ja) * 1981-03-03 1985-04-04 徳直 鳴海 火葬炉のロストル装置
JPS5946406A (ja) * 1982-09-08 1984-03-15 Babcock Hitachi Kk 流動層燃焼方法及びその装置
SU1149105A1 (ru) * 1983-11-17 1985-04-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3513 Топка кип щего сло
FR2561541B1 (fr) 1984-03-20 1990-03-23 Creusot Loire Dispositif de mise en fluidisation
DE3706371A1 (de) * 1987-02-27 1988-09-08 Steinmueller Gmbh L & C Vorrichtung zum einduesen eines gasfoermigen mediums fuer einen wirbelschichtprozess
SU1617250A1 (ru) 1989-01-27 1990-12-30 Одес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Топка с кип щим слоем
US5368824A (en) * 1993-08-18 1994-11-29 Marquess And Nell Inc. Gas distribution system for fluidized bed reactors
FI98405B (fi) 1993-12-07 1997-02-28 Tampella Power Oy Leijukattilan arinarakenne
US5425331A (en) 1994-06-13 1995-06-20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Circulating fluidized bed reactor for low grade fuels
FI110026B (fi) 1997-09-12 2002-11-15 Foster Wheeler Energia Oy Leijupetikattilan arinarakenne
SE9704308L (sv) * 1997-11-24 1999-05-25 Asea Brown Boveri Förbränningsanläggning
JP3922992B2 (ja) 2002-09-24 2007-05-30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ストーカ式焼却炉用燃焼装置
US7262816B2 (en) 2004-10-22 2007-08-28 Fakespace Labs, Inc. Rear projection imaging system with image warping distortion corre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CN100483027C (zh) * 2006-11-09 2009-04-29 上海锅炉厂有限公司 一种循环流化床锅炉炉底布风板制造方法
JP2009204196A (ja) * 2008-02-26 2009-09-10 Mitsubishi Heavy Ind Ltd 流動層ボイラ構造
KR20090132934A (ko) * 2008-06-23 2009-12-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알디에프연소 유동층용 공기 공기분배 시스템
US8516968B2 (en) * 2010-03-29 2013-08-27 Outotec Oyj Fluidized bed
CN201875699U (zh) * 2010-11-10 2011-06-22 郑州锅炉股份有限公司 风冷积灰排尘器及锅炉风冷高温二次回料装置
FI124014B (fi) * 2012-01-13 2014-01-31 Carbona Oy Leijupetikaasuttimen arina
CN105351919B (zh) * 2015-12-11 2017-11-10 北京热华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燃用水煤浆的卧式循环流化床锅炉
NO344596B1 (en) 2016-09-05 2020-02-03 Designbanken As Bolt tensioning assembly and method for tensioning of a bolt
CN108343948B (zh) * 2018-04-02 2023-12-05 西子清洁能源装备制造股份有限公司 循环流化床锅炉梁式布风排渣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0582A1 (en) 1999-01-21 2003-09-11 Jouni Kinni Method in connection with a pipe grate for fluidized bed boiler and a pipe g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62036C1 (ru) 2021-12-14
KR20210077755A (ko) 2021-06-25
BR112021008836A2 (pt) 2021-08-17
FI3877697T3 (fi) 2023-01-13
CN113242950A (zh) 2021-08-10
WO2020094224A1 (en) 2020-05-14
EP3877697A1 (en) 2021-09-15
AU2018448673A1 (en) 2021-05-27
US20220023816A1 (en) 2022-01-27
CN113242950B (zh) 2024-05-24
HUE060628T2 (hu) 2023-03-28
JP2022506144A (ja) 2022-01-17
PL3877697T3 (pl) 2023-01-30
US11583818B2 (en) 2023-02-21
PH12021551024A1 (en) 2022-02-21
ZA202103142B (en) 2022-04-28
AU2018448673B2 (en) 2022-04-21
EP3877697B1 (en)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71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firing of biomass and other solid fuels for steam production and gasification
EP2361148B1 (en)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US201403526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Firing of Biomass and Other Solid Fuels for Steam Production and Gasification
US5269263A (en) Fluidized bed reac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1012502B1 (en) Grate construction of a fluidized bed boiler
EP1219896B1 (en) Fluidized bed reactor
AU2010224371B2 (en) Circulating fluidized bed (CFB) with in-furnace secondary air nozzles
US4619315A (en) Fluidized bed boiler in-bed tube support bracket
JP2764382B2 (ja) 低級燃料のための循環流動床反応器
KR102556135B1 (ko) 유동층 반응기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연소기 공기 바아 그리드 및 유동층 반응기
US4250839A (en) Vapor generator utilizing stacked fluidized bed and a water-cooled heat recovery enclosure
US4854854A (en) Fluidized bed fuel-fired power plant
CZ289157B6 (cs) Systém s fluidním loľem
KR20180123002A (ko) 유동층 열교환기 및 이에 대응하는 소각 장치
Maryamchik et al. B&W IR-CFB: Operating Experience and New Develop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