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985B1 - 자가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원터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볼트모듈 - Google Patents

자가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원터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볼트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985B1
KR102555985B1 KR1020220033496A KR20220033496A KR102555985B1 KR 102555985 B1 KR102555985 B1 KR 102555985B1 KR 1020220033496 A KR1020220033496 A KR 1020220033496A KR 20220033496 A KR20220033496 A KR 20220033496A KR 102555985 B1 KR102555985 B1 KR 102555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olt
self
shaped bolt
suppor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환령
Original Assignee
최환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환령 filed Critical 최환령
Priority to KR102022003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985B1/ko
Priority to PCT/KR2023/002339 priority patent/WO202317710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 F16B37/04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with resilient means for urging the nut inside the chan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볼트모듈에 관한 것으로, T형 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걸쳐질 수 있는 정도의 홀만 있다면 거의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스프링을 자가 지지하는 기능에 의해 스프링 지지를 위한 별도의 부품을 미리 설치하거나 결합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원터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T형 볼트; 탄성지지력에 의해 일단부에 위치한 상기 T형 볼트의 머리부를 밀어주는 스프링; 및 상기 T형 볼트의 몸체부가 회전 및 진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물의 삽입홀 주변부 전면에 걸쳐지도록 한 전면 걸침부와, 상기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상기 T형 볼트의 머리부가 상기 전면 걸침부를 향하여 전진하는 경향을 갖도록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해주는 스프링 지지부로 이루어진 자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가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원터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볼트모듈{Bolt module with self-supporting member to enable one-touch installation}
본 발명은 볼트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T형 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걸쳐질 수 있는 정도의 홀만 있다면 거의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스프링을 자가 지지하는 기능에 의해 스프링 지지를 위한 별도의 부품을 미리 설치하거나 결합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원터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볼트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 등 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벽이나 슬라브에 특정 단면을 갖는 스틸 각관으로 이루어지는 건축용 트러스 구조물을 조립하는데, 이와 같은 스틸 각관에는 T형 볼트 등을 이용하여 패널 고정용 브래킷 등을 결합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T형 볼트는 스틸 각관 내부에서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기는 하나, 위치가 제대로 고정이 되지 않아 추락하거나 정확한 위치에 고정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T형 볼트가 헛도는 등의 문제로 너트를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건축용 트러스 구조물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부 마디마디를 용접하는 등 모든 부재를 볼트결합으로 조립할 수 없다는 곤란함이 있었다.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21006호(2018.11.15)에는 '볼트 회전 및 슬롯 처짐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스틸 각관을 이용한 내진성능을 갖는 건축용 무용접 구조물'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건축용 무용접 구조물은 스틸 각관의 내부에 볼트 회전방지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T형 볼트를 사용하여 체결 시에 더는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용접 없이도 브래킷, 볼트의 조립만으로 트러스형 구조물을 건물 벽체에 설치하여 내/외장재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경우 위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T형 볼트를 건축물에 고정하기 위하여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트 머리 삽입홈이 형성되고, 가이드턱과 볼트 회전방지 돌기가 추가로 형성된 제한된 형태의 스틸 각관을 함께 이용해야만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특수한 형태의 스틸 각관을 제조하기 위한 고가의 포밍형 제조장치를 마련해야 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틸 각관을 사용하는 데 따른 자재 비용의 증가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틸 각관을 설치할 수 없는 건축물의 외벽이나 슬라브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시공상의 한계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21006호(2018.11.1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T형 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걸쳐질 수 있는 정도의 홀만 있다면 거의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스프링을 자가 지지하는 기능에 의해 스프링 지지를 위한 별도의 부품을 미리 설치하거나 결합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원터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볼트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볼트모듈은, 삽입홀이 형성된 고정물에 고정되도록 한 볼트모듈로서, T형 볼트; 탄성지지력에 의해 일단부에 위치한 상기 T형 볼트의 머리부를 밀어주는 스프링; 및 상기 T형 볼트의 몸체부가 회전 및 진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물의 삽입홀 주변부 전면에 걸쳐지도록 한 전면 걸침부와, 상기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상기 T형 볼트의 머리부가 상기 전면 걸침부를 향하여 전진하는 경향을 갖도록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해주는 스프링 지지부로 이루어진 자가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자가 지지부재의 전면 걸침부가 상기 고정물의 삽입홀 주변부 전면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T형 볼트의 머리부와 상기 스프링과 상기 자가 지지부재의 스프링 지지부를 상기 고정물의 삽입홀에 함께 삽입한 후 회전시켜 놓아주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지지에 의해 상기 T형 볼트의 머리부는 상기 고정물의 삽입홀 주변부 후면에 걸쳐진 상태가 되고 상기 T형 볼트의 근각부는 상기 고정물의 삽입홀 내에 위치하여 헛돌지 않게 구속되어 상기 고정물에 고정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가 지지부재의 전면 걸침부는 플레이트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물의 삽입홀 주변부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걸쳐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 지지부재의 전면 걸침부는 원형 플레이트로 구비되어 평와셔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 지지부재의 스프링 지지부는 상기 전면 걸침부의 이격된 복수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T형 볼트 머리부의 단폭 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T형 볼트가 상기 고정물의 삽입홀에 삽입되거나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때 간섭받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 지지부재의 스프링 지지부는, 상기 전면 걸침부의 둘레부 중 서로 대칭된 복수의 지점으로부터 띠 형태로 연장된 후 절곡되어 상기 전면 걸침부의 후면에 밀착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의 선단에서 절곡된 후 상기 T형 볼트 머리부의 단폭 측면 및 상기 스프링의 측면을 따라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까지 연장된 제2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의 선단에서 절곡된 후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 내측으로 부분 삽입되어 걸어주는 형태로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제3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 지지부재는 금속 플레이트를 절단하여 전면 걸침부와 스프링 지지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하나의 전개도를 마련한 후 상기 스프링 지지부에 해당하는 부위를 절곡하는 방법으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 지지부재는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형 볼트의 머리부에는 스프링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는 코일형 압축 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T형 볼트의 머리부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자가 지지부재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 지지부재에서 전면 걸침부의 관통공은 상기 T형 볼트의 근각부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통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T형 볼트의 근각부가 밀접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볼트모듈은 T형 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걸쳐질 수 있는 정도의 홀만 있다면 거의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여 볼트 머리 삽입홈이 형성된 스틸 각관 등과 같이 고가의 특수한 고정물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부품을 미리 설치하거나 결합하는 번거로움 없이 스프링을 자가 지지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트모듈의 상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트모듈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트모듈의 상면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트모듈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트모듈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트모듈에서 자가 지지부재의 제작을 위한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트모듈에서 자가 지지부재의 부분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트모듈의 시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볼트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트모듈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트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트모듈의 상면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트모듈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트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트모듈은 T형 볼트(110) 및 스프링(120)에 더해 스프링(120)을 자가 지지하기 위한 자가 지지부재(13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같은 주요 구성요소들에 의해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것처럼 T형 볼트(110)의 머리부(112)가 삽입되어 걸쳐질 수 있는 정도의 삽입홀(11)이 형성된 고정물(10)만 있다면 거의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스프링(120)을 자가 지지하는 기능에 의해 스프링(120) 지지를 위한 별도의 부품을 미리 설치하거나 결합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원터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단, 상기 고정물(10)은 스틸 각관을 비롯하여 평판형 플레이트, 벽체 등 T형 볼트(110)의 머리부(112)가 삽입된 후 후면에 걸쳐질 수 있는 있도록 삽입홀(11)을 구비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라도 제한을 두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트모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T형 볼트(110)는 통상적인 T형 볼트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외주면에 수나사 형성된 몸체부(111), 몸체부(111)의 후단부에서 단폭과 장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고정물(10)의 삽입홀(11)에 삽입된 후 회전하여 고정물(10)의 삽입홀(11) 주변부 후면에 장폭에 의해 걸쳐지도록 한 머리부(112), 상기 몸체부(111)와 머리부(112) 사이에서 각진 둘레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머리부(112)가 고정물(10)의 삽입홀(11) 주변부 후면에 걸쳐진 상태가 되면 각진 둘레부가 고정물(10)의 삽입홀(11)에 내에 위치하면서 헛돌지 않도록 구속되는 근각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근각부(113)의 경우 도면과 같이 사각의 근각부(113)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120)은 고정물(10)의 삽입홀(11)로 삽입된 T형 볼트(110)의 머리부(112)가 고정물(10)의 삽입홀(11) 주변부 후면을 향해 전진하는 경향을 갖도록 탄성지지력에 의해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120)은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는 코일형 압축 스프링(120)으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120)은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스프링(120)의 일단부가 T형 볼트(110)의 머리부(112)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홈(112c)에 안착되고,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스프링(120)의 타단부는 상기 자가 지지부재(130)의 스프링 지지부(130a)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자가 지지부재(130)는 별도의 부품을 설치하거나 결합할 필요 없이 스프링(120)을 자가 지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전면 걸침부(131)와 스프링 지지부(13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자가 지지부재(130)에서 전면 걸침부(131)는 T형 볼트(110)의 몸체부(111)가 회전 및 진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관통공(131a)을 중앙부에 구비하는 원형의 플레이트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물(10)의 삽입홀(11) 주변부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걸쳐진다. 상기 자가 지지부재(130)는 볼트모듈 전체가 고정물(10)의 삽입홀(11)로 완전히 빠져버리지 않도록 해주며 T형 볼트(110)의 몸체부(111)에 나사체결되는 너트나 그 외 부품들의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켜 면압을 낮추고 마찰 손상을 방지하는 평와셔의 기능도 겸한다.
상기 자가 지지부재(130)에서 스프링 지지부(130a)는 스프링(120)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T형 볼트(110)의 머리부(112)가 전면 걸침부(131)를 향하여 전진하는 경향을 갖도록 스프링(120)의 타단부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 지지부(130a)는 전면 걸침부(131)의 둘레부 중 서로 대칭된 복수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띠 형태로 연장된 후 절곡되어 전면 걸침부(131)의 후면에 밀착되는 제1연장부(132), 상기 제1연장부(132)의 선단에서 절곡된 후 T형 볼트(110) 머리부(112)의 단폭 측면(112a) 및 스프링(120)의 측면을 따라 스프링(120)의 타단부까지 연장된 제2연장부(133), 제2연장부(133)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스프링(120)의 타단부를 걸어주는 형태로 스프링(120)을 지지하는 제3연장부(13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제1연장부(132)와 제2연장부(133)의 구성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자가 지지부재(130)의 스프링 지지부(130a)가 띠 형태로 가급적 좁은 폭으로 형성되며 T형 볼트(110)로부터 들뜨지 않고 최대한 밀착되도록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이같은 구성에 의해 T형 볼트(110)가 고정물(10)의 삽입홀(11)에 삽입될 때나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때 자가 지지부재(130)의 스프링 지지부(130a)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자가 지지부재(130)의 스프링 지지부(130a)가 넓은 폭으로 형성되거나 T형 볼트(110)에 밀착되지 않고 들떠 있다면 T형 볼트(110)가 고정물(10)의 삽입홀(11)에 삽입될 때나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때 스프링 지지부(130a)가 고정물(10)의 삽입홀(11)에서 간섭을 받으면서 결국 T형 볼트(110)의 회전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같은 자가 지지부재(130)의 경우 전면 걸침부(131)와 스프링 지지부(130a)를 별도로 제조하여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도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금속 플레이트를 절단하여 전면 걸침부(131)와 스프링 지지부(130a)에 대응하는 형태로 하나의 전개도(130a)를 마련한 후 스프링 지지부(130a)에 해당하는 부위를 절곡하는 방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면 걸침부(131)와 스프링 지지부(130a)를 별도로 제조하여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는 것보다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자가 지지부재(130)의 제조와 관련하여 고려할 수 있는 또 다른 한 가지 중요한 방법은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전면 걸침부(131)와 스프링 지지부(130a)를 일체화한 형태로 사출성형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향후에 자가 지지부재(130)를 저렴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갖는다. 플라스틱을 소재로 자가 지지부재(130)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전면 걸침부(131)와 스프링 지지부(130a)를 별도로 제조하여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접합 작업을 위한 추가공정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볼트모듈의 시공방법을 첨부한 도 8a 내지 도 8d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물(10)의 삽입홀(11)에 대응하도록 고정물(10)의 삽입홀(11)의 장방향과 T형 볼트(110)의 머리부(112) 장방향을 일치시킨 상태로 T형 볼트(110)의 머리부(112), 스프링(120) 및 자가 지지부재(130)의 스프링 지지부(130a)를 삽입홀(11)에 삽입하면 자가 지지부재(130)의 전면 걸침부(131)가 고정물(10)의 삽입홀(11) 주변부 전면에 걸쳐지는 초기 상태가 된다.
이처럼 자가 지지부재(130)의 전면 걸침부(131)가 고정물(10)의 삽입홀(11) 주변부 전면에 걸쳐진 초기 상태에서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스프링(120)의 탄성지지력에 반하는 힘으로 T형 볼트(110)를 후방으로 밀어주면 근각부(113)가 고정물(10)의 삽입홀(11)에서 후방으로 벗어나 이격되면서 T형 볼트(110)가 진퇴동작뿐 아니라 회전동작까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도 8c에 도시된 것처럼 T형 볼트(110)의 머리부(112)를 회전시킨 후 힘을 가하지 않고 그대로 놓아주면 스프링(120)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T형 볼트(110)가 원위치로 전진하여 도 8d와 같이 그 머리부(112)의 장폭이 고정물(10)의 삽입홀(11) 주변부 후면에 걸쳐진 상태가 되는 동시에 T형 볼트(110)의 근각부(113)는 고정물(10)의 삽입홀(11) 내에 위치하여 헛돌지 않도록 구속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고정물(10)에 대한 볼트모듈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T형 볼트 111: 몸체부
112: 머리부 113: 근각부
120: 스프링 130: 자가 지지부재
130a: 스프링 지지부 131: 전면 걸침부

Claims (9)

  1. 삽입홀이 형성된 고정물에 고정되도록 한 볼트모듈로서,
    T형 볼트;
    탄성지지력에 의해 일단부에 위치한 상기 T형 볼트의 머리부를 밀어주는 스프링; 및
    상기 T형 볼트의 몸체부가 회전 및 진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물의 삽입홀 주변부 전면에 걸쳐지도록 한 전면 걸침부와, 상기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상기 T형 볼트의 머리부가 상기 전면 걸침부를 향하여 전진하는 경향을 갖도록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해주는 스프링 지지부로 이루어진 자가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자가 지지부재의 전면 걸침부가 상기 고정물의 삽입홀 주변부 전면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T형 볼트의 머리부와 상기 스프링과 상기 자가 지지부재의 스프링 지지부를 상기 고정물의 삽입홀에 함께 삽입한 후 회전시켜 놓아주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지지에 의해 상기 T형 볼트의 머리부는 상기 고정물의 삽입홀 주변부 후면에 걸쳐진 상태가 되고 상기 T형 볼트의 근각부는 상기 고정물의 삽입홀 내에 위치하여 헛돌지 않게 구속되어 상기 고정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지지부재의 전면 걸침부는 플레이트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물의 삽입홀 주변부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걸쳐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지지부재의 전면 걸침부는 원형 플레이트로 구비되어 평와셔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지지부재의 스프링 지지부는 상기 전면 걸침부의 이격된 복수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T형 볼트 머리부의 단폭 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T형 볼트가 상기 고정물의 삽입홀에 삽입되거나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때 간섭받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지지부재의 스프링 지지부는, 상기 전면 걸침부의 둘레부 중 서로 대칭된 복수의 지점으로부터 띠 형태로 연장된 후 절곡되어 상기 전면 걸침부의 후면에 밀착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의 선단에서 절곡된 후 상기 T형 볼트 머리부의 단폭 측면 및 상기 스프링의 측면을 따라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까지 연장된 제2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를 걸어주는 형태로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제3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지지부재는 금속 플레이트를 절단하여 전면 걸침부와 스프링 지지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하나의 전개도를 마련한 후 상기 스프링 지지부에 해당하는 부위를 절곡하는 방법으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지지부재는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T형 볼트의 머리부에는 스프링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는 코일형 압축 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T형 볼트의 머리부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자가 지지부재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모듈.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지지부재에서 전면 걸침부의 관통공은 상기 T형 볼트의 근각부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통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T형 볼트의 근각부가 밀접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모듈.
KR1020220033496A 2022-03-17 2022-03-17 자가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원터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볼트모듈 KR102555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496A KR102555985B1 (ko) 2022-03-17 2022-03-17 자가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원터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볼트모듈
PCT/KR2023/002339 WO2023177101A1 (ko) 2022-03-17 2023-02-17 자가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원터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볼트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496A KR102555985B1 (ko) 2022-03-17 2022-03-17 자가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원터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볼트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985B1 true KR102555985B1 (ko) 2023-07-18

Family

ID=8742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496A KR102555985B1 (ko) 2022-03-17 2022-03-17 자가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원터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볼트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5985B1 (ko)
WO (1) WO202317710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006B1 (ko) 2017-11-01 2018-11-21 주식회사 산돌기업 볼트 회전 및 슬롯 처짐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스틸 각관을 이용한 내진성능을 갖는 건축용 무용접 구조물
KR20190000657U (ko) * 2017-09-04 2019-03-13 정현선 스프링 볼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2546B1 (fr) * 1994-07-18 1996-08-30 Rapid Sa Vis a tete encagee pour montage en aveugle dans l'ouverture d'un panneau par example
DE202010012019U1 (de) * 2010-08-31 2010-12-02 Acument Gmbh & Co. Ohg Käfigmutter
WO2016166551A1 (en) * 2015-04-15 2016-10-20 1Nventions Ltd Locking device for a nut such as a wheel nut
KR102118997B1 (ko) * 2019-09-24 2020-06-04 삼성물산 주식회사 탈착이 용이한 앵커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657U (ko) * 2017-09-04 2019-03-13 정현선 스프링 볼트
KR101921006B1 (ko) 2017-11-01 2018-11-21 주식회사 산돌기업 볼트 회전 및 슬롯 처짐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스틸 각관을 이용한 내진성능을 갖는 건축용 무용접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7101A1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895B2 (en) Insert bolt having anti-turn function
JP2008111336A (ja) 建築部材
KR101303196B1 (ko)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JP2009085384A (ja) 管継手
KR101917922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KR102555985B1 (ko) 자가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원터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볼트모듈
JP5100538B2 (ja) ビーム接続構造
KR101591391B1 (ko) 건물외장재 고정구조
KR20150019937A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JP2007225070A (ja) フェンスの支持具及び取付構造
KR101867301B1 (ko) 가설물용 연결구
JP2020041334A (ja) ブレース材連結金具
KR101770393B1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JP5057292B2 (ja) 縦樋
KR100455561B1 (ko) 건축용 석재판넬 고정소자
JP5898044B2 (ja) 工事現場用仮設ポール
KR20090012861U (ko)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
JP2006090045A (ja) 外装材取付具
KR200410087Y1 (ko) 석재판넬 고정장치
JP3852202B2 (ja) トラス状骨組構造体
JP3119534B2 (ja) 結合構造
JP2011214286A (ja) 屋根支持構造
JP7033815B1 (ja) 胴縁固定具
KR20220085644A (ko) 건축물의 외장 패널 어셈블리
JP2002201761A (ja) 鉄筋ブロックにおけるつる巻き状の鉄筋の配置方法、部品およびつる巻き状鉄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