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894B1 -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894B1
KR102555894B1 KR1020220063465A KR20220063465A KR102555894B1 KR 102555894 B1 KR102555894 B1 KR 102555894B1 KR 1020220063465 A KR1020220063465 A KR 1020220063465A KR 20220063465 A KR20220063465 A KR 20220063465A KR 102555894 B1 KR102555894 B1 KR 102555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panel
reflector
chamber
fluid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연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3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01Q15/16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curved in two dimensions, e.g. paraboloidal
    • H01Q15/161Collapsible ref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8Adaptation for use in or on aircraft, missiles, satellites, or balloons
    • H01Q1/288Satellite antenn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위성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더를 가지는 피더부; 상기 피더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반사패널을 가지는 반사부; 및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반사패널을 전개시키고, 반력을 발생시켜 상기 반사패널이 전개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개부;를 포함하고,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의 반사패널을 안정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ANTENNA APPARATUS FOR SATELLITE}
본 발명은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사패널을 안정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는 전파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의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 장비이다. 대형 안테나의 경우 외부의 전파를 안정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곡면을 이루는 접시형 반사판을 구비한다.
우주에서 사용되는 안테나는 위성 발사체에 탑재된 상태로 우주로 발사된다. 위성 발사체의 탑재 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안테나의 반사판은 접을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 그리고 위성 발사체에 의해 안테나가 우주로 발사되면, 안테나의 반사판을 전개시킨다.
한편, 안테나는 반사판은 접힐 수 있는 구조의 복수의 반사패널들을 포함한다. 반사패널들은 접혀진 상태에서 반사패널들의 한 쪽 끝이 홀더에 임시로 고정되고, 벨트로 묶여진 상태로 우주로 발사된다. 그리고 우주에 발사된 이후에는 복수의 반사패널들을 묶고 있던 벨트가 풀리면, 반사패널들이 홀더에서 분리되면서 반사패널들을 지지하고 있는 전개부에 의해 전개되어 접시 모양의 반사판을 형성한다. 이러한 반사판은 다양한 형태의 전개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는데, 주로 반사패널 각각에 충격을 주어 반사패널을 반사판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반사패널의 전개 속도를 조절하기 어렵고, 반사패널의 전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반사패널을 스토퍼 등의 구조체에 충돌시키 반사패널의 전개를 중단시키는 경우, 반사판에 진동이 발생하여 그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KR 10-1754234 B
본 발명은 반사패널을 안정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반사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는, 피더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반사패널에 구동력을 가하여 상기 반사패널을 전개시킬 수 있고, 상기 구동력보다 작은 반력을 발생시켜 상기 반사패널이 전개되는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상기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유체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반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는, 피더를 가지는 피더부; 상기 피더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반사패널을 가지는 반사부; 및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반사패널을 전개시키고, 반력을 발생시켜 상기 반사패널이 전개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반사패널을 지지시키기 위한 베이스; 및 상기 반사패널의 하단에 연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전개부는, 상기 브라켓을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반사패널의 전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개부는,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반사패널을 전개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구동부재; 및 상기 반사패널의 전개 속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구동력보다 작은 반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반사부의 외측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돌기; 일측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챔버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챔버의 내면과의 사이에 수용실을 형성하며, 상기 제1돌기와의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는 구동축; 상기 수용실에 수용되는 유체; 및 상기 유체를 밀어서 상기 통로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축의 타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실은, 상기 제1돌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수용실과, 상기 제1돌기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수용실을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제1수용실과 상기 제2수용실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체가 상기 통로를 빠져나면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반사패널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반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통로의 폭에 따라 상기 반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유체의 점도에 따라 상기 반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점성을 가지는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의 반사패널을 안정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즉, 반사패널에 반사패널을 전개시키기 위한 구동력과, 반사패널의 전개를 저지하는 반력을 가하여 반사패널의 전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패널이 전개되면서 반사패널에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반사패널의 손상이나 파손을 억제함으로써 반사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의 반사부와 전개부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전개부를 구성하는 조절부재의 사시도.
도 5는 조절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반사패널의 전개 속도를 조절하는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의 반사부와 전개부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전개부를 구성하는 조절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조절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반사패널의 전개 속도를 조절하는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안테나 장치(100)는 우주로 발사되는 인공위성에 탑재되며, 우주에서 전개되어 운용되는 안테나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111)를 가지는 피더부(110)와, 피더(111)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반사패널(122a)을 가지는 반사부(120) 및 구동력을 발생시켜 반사패널(122a)을 전개시키고, 반력을 발생시켜 반사패널의 전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더부(110)는 반사부(120)의 중심부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더부(110)는 복수의 반사패널(122a)을 구비하는 반사판(122)의 중심부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피더부(110)는 도 1과 같이 피더(111) 및 피더(111)를 지지하는 지지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더부(1100)는 도 2와 같이 반사판(2100)이 접혔을 때 반사판(122)이 접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임시로 고정하는 홀더(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더(111)는 지상의 위성단말과 통신 정보를 송수신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피더(1110)는 반사부(120)에서 반사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피더(111)는 지지대(113) 및 홀더(11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113)는 반사부(120)의 중심부에 위치되어 피더(111)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11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단이 반사부(120)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단이 반사부(120)의 상측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113)의 상단은 반사부(120)의 상측 외부에 위치된 피더(11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지지대(113)는 피더(111)를 반사부(120)와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고, 피더(111)는 반사부(120)의 중심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홀더(112)는 피더(11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지지대(113)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112)는 피더(111)와 마주보는 영역 예컨대 중심이 개구된 중공형의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지지대(113)는 그 상단이 홀더(112)에 마련된 중심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홀더(112)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홀더(112)의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대(113)의 상단에 피더(111)가 설치될 수 있다.
홀더(112)에는 안테나 장치(100)의 반사판(122)과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체결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반사판(122)이 피더(111)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의 반사패널(122a)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반사패널(122a) 각각에는 지지부재(12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112)에 마련된 체결부재는 지지부재(123)와 체결 및 분리되도록 마련된 구성일 수 있다. 이에, 반사판(122)이 접힌 상태일 때 복수의 반사패널(122a) 각각에 설치된 지지부재(123)와 홀더(112)에 마련된 복수의 체결부재가 각기 체결됨에 따라, 반사판(122), 즉 반사패널(122a)이 접힌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반사판(122) 또는 반사패널(122a)은 벨트(미도시)에 의해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벨트가 끊어지면 접힌 상태가 해제되어 전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반사판(122) 또는 반사패널(122a)은 다양한 방식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접힌 상태가 해제되어 전개될 수 있다.
반사부(120)는 피더부(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부(120)는 베이스(121) 및 피더부(110)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의 반사패널(122a)을 구비하는 반사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반사패널(122a)은 전개부(130)에 의해 베이스(121) 상부에 전개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반사부(120)는 복수의 반사패널(122a)을 전개부(130)와 각각 연결하여 베이스(121) 상부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124)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24)은 반사패널(122a)의 하단에 연결되며, 반사패널(122a)을 전개부(130)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브라켓(124)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반사패널(122a)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반사패널(122a)을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브라켓(124)의 형태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반사패널(122a)에는 반사패널(122a)의 전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토퍼(125)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25)는 반사패널(122a)의 외면 또는 브라켓(124)의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반사패널(122a)의 전개 각도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25)는 베이스(121) 또는 베이스(121)에 설치되는 다른 구조물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반사패널(122a)의 이동을 중지시켜 반사패널(122a)의 전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스토퍼(125)가 반사패널(122a)이나 브라켓(124)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스토퍼(125)는 반사패널(122a)을 전개했을 때 반사패널(122a)의 외면과 마주보는 베이스(121)의 상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121)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21)는 그 폭 방향의 중심이 개구된 중공형의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21)의 상부면 상에 피더부(110)의 지지대(113) 및 복수의 전개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베이스(121) 상에 피더부(110), 전개부(130) 및 복수의 전개부(130)에 연결된 반사패널(122a)이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121)는 상술한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개부(130)는 복수의 반사패널(122a)들이 피더부(110)를 향해 모이면서 접히거나 피더부(110)의 외측을 향해 펴지면서 전개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전개부(130)는 피더(111)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반사패널(122a)에 구동력을 가하여 반사패널(122a)을 전개시킬 수 있고, 구동력보다 작은 반력을 발생시켜 반사패널(122a)이 전개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개부(130)는 반사패널(122a)에 전개시키기 위한 힘을 가하는 구동부재(132)와, 반사패널(122a)의 전개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전개부(130)는 반사패널(122a)의 하단, 예컨대 반사패널(122a)의 하단에 연결된 브라켓(124)에 설치되고, 반사패널(122a)을 베이스(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시킬 수 있다. 전개부(130)는 브라켓(124)에 설치되는 회전축(131)과, 반사패널(122a)을 전개시키도록 브라켓(124)에 설치되는 구동부재(132)와, 반사패널(122a)의 전개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동부재(132)에 연결되는 조절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개부(130)는 반사패널(122a), 구동부재(132) 및 조절부재(135)를 베이스(121)에 지지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지지부재(137a, 137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개부(130)는 반사패널(122a)과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어, 베이스(121)의 상부에서 피더부(110)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반사패널(122a)들 각각이 전개부(130)와 연결되어 피더부(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개부(130)는 반사패널(122a)들이 피더부(110)를 향해 모이면서 접히거나 피더부(110)의 외측을 향해 펴지면서 전개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131)은 브라켓(124)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131)의 외측에는 브라켓(124)이 회전축(13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 등과 같은 제1연결부재(133, 13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31)은 제2지지부재(137b)에 의해 베이스(121)에 지지될 수 있다.
구동부재(132)는 반사패널(122a)을 전개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회전축(13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재(132)는 브라켓(124)의 내부에서 브라켓(124)과 접촉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브라켓(124)과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부재(132)는 반사패널(122a)에 피더부(110)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가하는 탄성체(미도시) 예컨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더부(110)의 외측방향이란, 피더(11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방향, 예컨대 피더부(110)와 반대쪽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조절부재(135)는 반사패널(122a)의 전개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동부재(13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조절부재(135)는 브라켓(124)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브라켓(124)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조절부재(135)는 커플러 등과 같은 제2연결부재(136)에 의해 회전축(131)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재(135)는 구동부재(132)에서 발생되는 구동력보다 작은 반력을 발생시켜, 구동부재(132)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3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이에 반사패널(122a)은 구동부재(132)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피더부(110)의 외측으로 전개되며, 조절부재(135)에 의해 전개 속도가 감속되어 천천히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135)는 구동력에 의해 반사패널(122a)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여, 반사패널(122a)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재(135)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구동력보다 작은 반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반력이란 구동력에 저항하는 힘을 저지하는 힘으로, 구동력이 발생되는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발생하는 힘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조절부재(135)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나, 조절부재(135)는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조절부재(135)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베이스(121)에 연결되는 챔버(1351)와, 챔버(1351)의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돌기(1353)와, 일측은 회전축(131)에 연결되고, 타측은 챔버(13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챔버(1351)의 내면과의 사이에 수용실(1355)을 형성하며, 제1돌기(1353)와의 사이에 통로(1356)를 형성하는 구동축(1352)과, 수용실(1355)에 수용되는 유체(F) 및 통로(1356)로 유체(F)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 구동축(1352)의 타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돌기(1354)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351)는 내부에 유체(F), 구동축(1352)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원통형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챔버(1351)는 제1지지부재(137a)에 의해 베이스(121)에 지지될 수 있다.
제1돌기(1353)는 챔버(1351)의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돌기(1353)는 별도의 구조물을 챔버(1351)에 내면에 부착시켜 형성될 수도 있고, 챔버(1351)의 내면을 가공하여 챔버(135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돌기(1353)는 한 개 또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챔버(1351)의 내경보다 짧고, 챔버(1351) 내부에 삽입되는 구동축(1352)의 외면과의 사이에 유체(F)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1356)를 형성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축(1352)은 일측이 회전축(131)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챔버(1351)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구동축(1352)은 회전축(131)과 함께 회전하도록 커플러 등과 같은 제2연결부재(13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축(1352)은 챔버(1351)의 내면과 사이에 유체(F)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실(1355)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돌기(1354)는 챔버(1351)에 삽입되는 구동축(1352)의 타측 외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돌기(1354)는 구동축(1352)의 외면에 한 개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챔버(1351)의 내면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돌기(1354)가 챔버(1351)의 내면에 접촉되는 길이로 형성되면, 제2돌기(1354)와 챔버(1351)의 내면 간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회전축(131)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1352)이 제대로 회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2돌기(1354)는 수용실(1355)을 2개의 수용실, 예컨대 제1수용실(1355a)과 제2수용실(1355b)로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돌기(1353)의 일측과, 제1돌기(1353)의 일측과 마주보는 제2돌기(1354)의 일측 사이에 제1수용실(1355a)이 형성되고, 제1돌기(1353)의 타측과, 제1돌기(1353)의 타측과 마주보는 제2돌기(1354)의 타측 사이에 제2수용실(1355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수용실(1355a)과 제2수용실(1355b)은 통로(1356)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돌기(1354)는 구동부재(132)에 의해 회전축(131)이 회전하면, 회전축(131)과 연결된 구동축(1352)과 함께 회전하면서 챔버(1351)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F)를 구동축(1352)의 회전방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즉, 제2돌기(1354)는 유체(F)를 유동시키고, 유체(F)가 제1돌기(1353)와 챔버(135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1356)로 빠져나갈 수 있는 힘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제2돌기(1354)에 의해 유체(F)에 힘이 가해지면, 유체(F)가 좁은 통로(1356)를 빠져나져나가면서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압력은 구동력에 의해 전개되는 반사패널(122a)에 반력으로 작용하여, 반사패널(122a)의 전개 속도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구동력에 의해 반사패널(122a)이 빠르게 전개되면서 반사패널(122a)에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수용실(1355)에 수용되는 유체(F)는 점성을 가지는 액체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유체(F)는 점성을 가지는 실리콘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유체(F)로서 점성을 가지는 액체를 사용하면, 제2돌기(1354)가 유체(F)에 의해 저항력을 받아 구동축(1352) 및 회전축(131)의 회전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F)의 점도에 따라 회전축(13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즉 반사패널(122a)의 전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유체(F)의 점도에 따라 반사패널(122a)의 전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유체(F)의 점도가 높을수록 반사패널(122a)의 전개 속도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F)의 점도를 이용하여 반사패널(122a)의 전개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1356)의 폭(D)을 조절함으로써 반사패널(122a)의 전개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제1수용실(1355a)과 제2수용실(1355b)을 서로 연통시키는 통로(1356)의 폭(D)에 따라 유체(F)가 통과하는 속도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F)는 통로(1356)의 폭(D1)이 넓어질수록 통로(1356)를 쉽게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통로(1356)의 폭(D1)이 넓어질수록 통로(1356)를 빠져나가는 유체(F)의 속도 및 양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유체(F)가 통로(1356)를 빠져나갈 때 비교적 작은 압력이 발생하고, 반사패널(122a)에 가해지는 반력이 비교적 저감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재(132)에 의한 반사패널(122a)의 전개 속도를 다소 저감시킬 수 있다. 반사패널(122a)의 전개 속도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F)는 통로(1356)의 폭(D2)이 좁아질수록 통로(1356)를 빠져나가기 어렵기 때문에 통로(1356)의 폭(D2)이 좁아질수록 통로(1356)를 빠져나가는 유체(F)의 속도 및 양이 저감하게 된다. 이에 유체(F)가 통로(1356)를 빠져나갈 때 비교적 큰 압력이 발생하고, 반사패널(122a)에 가해지는 반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반사패널(122a)의 전개 속도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동부재(132)를 이용하여 반사패널(122a)에 구동력을 가해 전개시키고, 조절부재(135)를 이용하여 반사패널(122a)에 구동력의 반대 방향으로 구동력보다 작은 반력을 가하여 반사패널(122a)의 전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135)를 이용하여 구동부재(132)에 의해 반사패널(122a)에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을 완충시켜 반사패널(122a)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안테나 장치 110: 피더부
120: 반사부 130: 전개부
131: 회전축 132: 구동부재
133, 134: 제1연결부재 135: 조절부재
136: 제2연결부재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피더를 가지는 피더부;
    상기 피더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반사패널을 가지는 반사부; 및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반사패널을 전개시키고, 반력을 발생시켜 상기 반사패널이 전개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반사패널을 지지시키기 위한 베이스; 및 상기 반사패널의 하단에 연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전개부는, 상기 브라켓을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반사패널의 전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개부는,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반사패널을 전개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구동부재; 및
    상기 반사패널의 전개 속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구동력보다 작은 반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반사부의 외측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돌기;
    일측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챔버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챔버의 내면과의 사이에 수용실을 형성하며, 상기 제1돌기와의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는 구동축;
    상기 수용실에 수용되는 유체; 및
    상기 유체를 밀어서 상기 통로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축의 타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돌기;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은,
    상기 제1돌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수용실과, 상기 제1돌기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수용실을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제1수용실과 상기 제2수용실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10.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체가 상기 통로를 빠져나면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반사패널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반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11.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통로의 폭에 따라 상기 반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12.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유체의 점도에 따라 상기 반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13.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점성을 가지는 오일을 포함하는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KR1020220063465A 2022-05-24 2022-05-24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KR102555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465A KR102555894B1 (ko) 2022-05-24 2022-05-24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465A KR102555894B1 (ko) 2022-05-24 2022-05-24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894B1 true KR102555894B1 (ko) 2023-07-14

Family

ID=8715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465A KR102555894B1 (ko) 2022-05-24 2022-05-24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8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530A (ko) * 2003-07-09 2005-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운동 제어장치
KR20140113699A (ko) * 2011-12-18 2014-09-24 오르 하마 에너지 엘티디. 태양 에너지 활용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7469A (ko) * 2013-12-10 2015-06-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소형 인공위성용 안테나 모듈
KR101754234B1 (ko) 2017-04-05 2017-07-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인공위성에 탑재되는 안테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530A (ko) * 2003-07-09 2005-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운동 제어장치
KR20140113699A (ko) * 2011-12-18 2014-09-24 오르 하마 에너지 엘티디. 태양 에너지 활용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7469A (ko) * 2013-12-10 2015-06-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소형 인공위성용 안테나 모듈
KR101754234B1 (ko) 2017-04-05 2017-07-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인공위성에 탑재되는 안테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620B1 (ko) 인공위성에 탑재되는 안테나
US5198832A (en) Foldable reflector
US10797402B2 (en) Deployable antenna reflector
EP1386838B1 (en) Deployable antenna reflector
KR102282878B1 (ko)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EP2482378B1 (en) Deployable antenna
WO2005027186A2 (ja) 展開型反射鏡
KR102289302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US5864320A (en) Synchronous rotation dual-axis mechanical hinge assemblies
US8487830B2 (en) Antenna with long focal length that is compact, robust and can be tested on the ground, mounted on a satellite
KR102555894B1 (ko)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US20200028274A1 (en) Reflecting systems, such as reflector antenna systems, with tension-stabilized reflector positioning apparatus
KR101754234B1 (ko) 인공위성에 탑재되는 안테나
CN111279554A (zh) 反射器、展开天线以及宇宙飞行器
CN112968301B (zh) 一种弹簧机构驱动绳轮传动的可折展星载八木天线
US5762294A (en) Wing deployment device
KR102282877B1 (ko)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KR102555895B1 (ko)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CN114503361B (zh) 天线可展开组件
JP2004064195A (ja) 駆動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
KR102479846B1 (ko) 반사판 전개속도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 안테나
JPS6229206A (ja) メツシユ展開アンテナ
KR102257115B1 (ko) 전개형 미러 어셈블리
KR102325956B1 (ko) 안테나 시험장치 및 안테나 시험방법
JP3476730B2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